KR101365745B1 -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 Google Patents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745B1
KR101365745B1 KR1020120108926A KR20120108926A KR101365745B1 KR 101365745 B1 KR101365745 B1 KR 101365745B1 KR 1020120108926 A KR1020120108926 A KR 1020120108926A KR 20120108926 A KR20120108926 A KR 20120108926A KR 101365745 B1 KR101365745 B1 KR 10136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eight
pipe
bloc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이일행
Original Assignee
이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태 filed Critical 이종태
Priority to KR1020120108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4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fire or other external sources of extrem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건물의 콘크리트 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금속소재 배관을 통해 열이 전도되어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방화용 배관 방화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은 단면 형상이 반원형이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힌지로 체결되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이 배관 외면에 감겨 체결되도록 체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하우징 내면에는 방화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Fireproof block for fire partition having metal pipe}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건물의 콘크리트 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금속소재 배관을 통해 열이 전도되어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방화용 배관 방화블럭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사무용 빌딩 등의 건축에서는 서로의 거주공간을 구획 구분하는 벽이나 바닥 등의 방화 구획체에 관통공을 천공하고, 상기 관통공에 각종 금속소재 또는 합성수지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하수배관, 공조설비의 배관 및 각종 전선 케이블이 삽입된다.
그런데 어느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상기 배관을 타고 벽이나 바닥으로 구획된 경계를 넘어 인접한 구획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종래에는 슬레이트 파이프로 수지 파이프 등의 외측이 피복된 이른바 내화 2중관을 상기 관통공에 삽입하고, 상기 내화 2중관과 관통공 사이의 공간을 모르타르나 암면 등으로 폐색하는 방화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화 2중관은 상당한 무게의 중량물이므로 수송이 매우 힘들고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배관의 외면에 팽창성 방화패드를 감아서 화재에 의해 가열되면 방화패드가 팽창하여 화재에 의해 연화된 파이프를 압착하여 관통공 전체를 폐색하는 방화용 방화패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화용 방화패드는 화재에 의한 열로 형붕괴를 일으키고 관통공으로부터 붕낙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방화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강관, 동관 또는 주철관과 같이 금속소재의 파이프인 경우 상기와 같은 방화패드의 압착으로 인한 관통공 전체 폐색이 불가능하고,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의 열이 금속소재 배관을 가열하여 열이 전도되어 인접한 구획의 분진이나 먼지 또는 적재된 인화성물질을 착화시켜 화재가 인접 구역으로 번지는 사례가 종종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70131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강관, 동관 또는 주철관과 같이 방화 구획체를 관통하는 금속소재의 파이프에 체결되어 금속 소재의 배관을 통해 화재가 방화구획체를 넘어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구획 방화용 배관 방화블럭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시공이 간편하고, 화재발생시 배관에 체결된 방화블럭이 가열되더라도 그 형태를 유지하여 배관과 구획체 사이의 틈을 계속 폐색함으로써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은 단면 형상이 반원형이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힌지로 체결되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이 배관 외면에 감겨 체결되도록 체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하우징 내면에는 방화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다른 하우징과 접하는 한 하우징의 일측면에 돌출된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화패드는 NR고무 14.5 내지 38.5중량%, 난연성 충진제 10 내지 40중량%, 지방산으로 스테아린산(C18H36O2) 0.1 내지 2중량%, 분산제 0.1 내지 2중량%, 첨가제 1.2 내지 10.2 중량%, 가교제 0.1 내지 5중량% 및 안료 0.1 내지 5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쿠마론(C8H6O) 0.1 내지 2중량%, 아민계 내열노화방지제 0.1 내지 5중량% 및 발포제 1 내지 5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화패드에는 내열강도부여제로서 흑카본이 10 내지 40중량%가 더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구획 방화용 배관 방화블럭은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화재발생시 형상붕괴나 붕낙하지 않기 때문에 벽 또는 바닥을 관통한 배관을 통해 화재가 옆 구획으로 번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방화블럭을 파이프 외면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 배관용 방화블럭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통 형태 하우징(101) 일측이 힌지(104)로 체결되어 여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1)이 닫히면 원통형태를 이루어 구획체를 관통하는 강관, 동관 또는 주철관 등의 금속소재 배관외면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1) 일측은 힌지(104)로 체결되어 한 쌍의 하우징(101)이 여닫히도록 구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이 금속 소재의 배관 외면에 체결되도록 하우징(104)의 타측에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104)로 체결된 한 쌍의 하우징(101)을 닫았을 때 어느 한 하우징(101)이 다른 하우징(101)이 접하는 면에 돌출된 체결돌기(102)를 형성하고, 다른 하우징(101)의 접촉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02)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103)을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하우징(101)을 닫았을 때 상기 체결돌기(102)가 체결홈(103)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1)의 내면에는 방화패드(105)가 형성된다.
상기 방화패드는 NR고무 14.5 내지 38.5 중량%, 난연성 충진제 10 내지 40중량%, 연화제로서 A-2오일 5 내지 30중량%, 지방산으로 스테아린산(C16H36O2) 0.1 내지 2중량 %, 분산제 0.1 내지 2중량%, 첨가제 1.2 내지 10.2중량%, 가교제 0.1 내지 5중량% 및 안료 0.1 내지 5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다.
고무는 가열되더라도 용융되어 액상으로 상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NR고무를 베이스 수지로 사용하면 화재 발생시에 그의 시공위치로부터 방화패드가 유실되지 않는다.
그리고 NR고무는 내열성, 내후성, 내오존성이 우수하고, 장시간의 보관에 있어서도 적정한 가요성을 유지하므로 시공성이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NR고무는 방화패드를 구성하는 적절한 성질의 베이스 수지이다.
NR고무가 14.5 내지 5중량%가 혼합되는데 NR고무가 14.5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화염에 의해 방화패드가 형붕괴를 일으킬 수 있고, NR고무가 38.5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팽창성 및 내열강도 등의 다른 물성들이 저하되므로 NR고무는 14.5 내지 38.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화패드에는 충진제(Filler)가 10 내지 40중량% 혼합된다.
상기 충진제는 난연성 충진제로서 시중에서 널리 시판되고 있는 상품명 'CH-15C'나, 유기물로 코팅처리된 magnesium hydroxide의 백색분말인 'Kyowa'사의 'KISUMA'를 사용한다.
상기 난연성 충진제가 본 발명의 방화패드에 혼합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여 가열되더라도 방화패드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충진제는 10 내지 40중량%가 혼합되는데 10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방화패드의 난연성이 저하되어 화재가 확산될 수 있고, 45중량%를 초과하여 혼합하면 NR고무와 다른 성부들의 혼합량이 적어져 화재발생시 가열되어 형붕괴를 일으키거나 팽창성 및 내열강도 등의 다른 물성들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충진제는 10 내지 4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화블럭에 삽입되는 방화패드에는 연화제로서 아로매틱 오일인 'A-2'오일이 5 내지 30중량%가 혼합된다.
상기 'A-2'(상품명)오일은 아로매틱오일(Aromatic oil)로서 방화패드에 혼합됨으로써 상기 NR고무의 연화, 가소화, 팽윤 등의 연화작용에 의하여 강도와 신장률 등의 고무특성을 유지시킨다.
상기 A-2오일이 5 내지 30중량%가 혼합되는데 A-2오일이 5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NR고무의 특성이 저하되고, NR고무가 30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방화패드의 다른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므로 A-2오일은 5 내지 30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화블럭에 삽입되는 방화패드에는 지방산으로 스테아린산(C18H36O2)이 0.1 내지 2중량%가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화블럭에 삽입되는 방화패드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분산제를 0.1 내지 2.0중량%를 혼합한다.
또한, 상기 방화패드에는 내열강도부여제로서 카본이 10 내지 40중량%가 혼합된다.
상기 카본은 내열강도부여제로서 방화패드에 혼합됨으로써 화재에 의해 금속 소재 배관이 가열되면 방화블럭에 열이 전달되어 팽창되었을 때 방화블럭에 강도를 부여한다.
상기 카본은 10 내지 40중량%가 혼합되는데 카본이 10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강도가 저하되어 형붕괴될 수 있고, 40중량%를 초과하면 방화패드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40중량% 미만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방화블럭(100)의 방화패드(105)에는 여러 물리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제를 1.2 내지 10.2중량%가 혼합된다.
상기 첨가제는 쿠마론(C8H6O) 0.1 내지 2.0중량%, Amine계통의 내열노화방지제 0.1 내지 5.0중량% 및 '(주)금양'사의 '셀렉스-A'가 1.0 내지 5.0중량% 혼합된다.
첨가제인 쿠마론(Coumarone)은 각 수지간의결합력을 증대시키고, 노화방지제는 본 발명의 수지가 산소에 의한 자동산화 연쇄반응을 중지시킴으로써 방화패드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셀렉스-A는 발포촉진제로서 화재발생시 방화패드를 소정량 발포 팽창시켜 방화패드를 금속 배관표면에 압착하여 화재에 의해 배관을 타고 전도되는 열을 방화패드로 전도 흡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획방화용 팽창성 방화패드에는 가교제 0.1 내지 1.0 중량%와, 안료 .01 내지 5.0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방화블럭(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관, 동관, 주철관의 외면에 체결되어 도 3과 같이 방화블럭(100)이 방화구획체에 삽입되도록 시공한다.
이때, 상기 방화블럭(100)의 양 단부는 방화구획체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후 어느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그 열기가 금속 배관을 타고 전도되어 방화구획체를 관통하여 인접한 다른 곳으로 열기가 전도되는데 방화블럭(100)의 방화패드(105)가 금속소재 배관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배관을 타고 전도되는 열을 상기 방화패드(105)로 전달된다.
화재로 인해 금속소재의 배관(110)으로부터 열을 흡수한 방화블럭(100)의 방화패드(105)는 가열 팽창하며 배관(110)을 더욱 강하게 압착하고, 배관(110)을 타고 전도되는 열의 상당부분은 상기 방화블럭(100)의 방화패드(105)로 전도되어 열에너지가 방화패드(105)를 형변화시킴으로써 화재로 인해 금속소재의 배관(110)을 타고 인접한 다른 구획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방화블럭
101 : 하우징
102 : 체결돌기
103 : 체결홈
104 : 힌지
105 : 방화패드
110 : 배관

Claims (5)

  1. 단면 형상이 반원형이 한 쌍의 하우징(101)이 서로 힌지(104)로 체결되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1)이 배관 외면에 감겨 체결되도록 체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1) 내면에는 NR고무 14.5 내지 38.5중량%, 난연성 충진제 10 내지 40중량%, 지방산으로 스테아린산(C18H36O2) 0.1 내지 2중량%, 분산제 0.1 내지 2중량%, 첨가제 1.2 내지 10.2 중량%, 가교제 0.1 내지 5중량% 및 안료 0.1 내지 5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 방화패드(105)가 한 쌍의 하우징(101)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다른 하우징(101)과 접하는 한 하우징의 일측면에 돌출된 체결돌기(102)가 형성되고, 다른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02)가 삽입되는 체결홈(10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쿠마론(C8H6O) 0.1 내지 2중량%, 아민계 내열노화방지제 0.1 내지 5중량% 및 발포제 1 내지 5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패드(105)에는 내열강도부여제로서 흑카본이 10 내지 40중량%가 더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KR1020120108926A 2012-09-28 2012-09-28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KR10136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926A KR101365745B1 (ko) 2012-09-28 2012-09-28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926A KR101365745B1 (ko) 2012-09-28 2012-09-28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745B1 true KR101365745B1 (ko) 2014-02-21

Family

ID=5027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926A KR101365745B1 (ko) 2012-09-28 2012-09-28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7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565B1 (ko) * 2015-04-03 2016-08-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내화성 및 열팽창성 pvc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 구조체
KR101930909B1 (ko) * 2016-08-26 2018-12-2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포 불연재가 구비된 댐퍼
WO2019077468A1 (en) * 2017-10-16 2019-04-25 Promat Australia Pty Ltd FIRE ARREST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SYSTEM
KR102014033B1 (ko) * 2018-11-22 2019-08-2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배관보온재 화재확산 방지장치
KR20200001092A (ko) * 2018-06-26 2020-01-0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벽체 관통 설비라인의 화재 차단용 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913Y1 (ko) 2000-08-01 2001-02-15 주식회사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KR20010043508A (ko) * 1998-05-13 2001-05-25 캐롤린 에이. 베이츠 퀵 파스너를 구비하는 팽창성의 화재 차단 장치
JP2006234140A (ja) * 2005-02-28 2006-09-07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貫通部の耐火用スリー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3508A (ko) * 1998-05-13 2001-05-25 캐롤린 에이. 베이츠 퀵 파스너를 구비하는 팽창성의 화재 차단 장치
KR200212913Y1 (ko) 2000-08-01 2001-02-15 주식회사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JP2006234140A (ja) * 2005-02-28 2006-09-07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貫通部の耐火用スリーブ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565B1 (ko) * 2015-04-03 2016-08-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내화성 및 열팽창성 pvc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 구조체
KR101930909B1 (ko) * 2016-08-26 2018-12-2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포 불연재가 구비된 댐퍼
WO2019077468A1 (en) * 2017-10-16 2019-04-25 Promat Australia Pty Ltd FIRE ARREST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SYSTEM
KR20200001092A (ko) * 2018-06-26 2020-01-0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벽체 관통 설비라인의 화재 차단용 박스
KR102175036B1 (ko) * 2018-06-26 2020-11-05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벽체 관통 설비라인의 화재 차단용 박스
KR102014033B1 (ko) * 2018-11-22 2019-08-2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배관보온재 화재확산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745B1 (ko)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JP4777877B2 (ja) 耐火発泡体、それを用いた建設資材、開口の遮炎封止システム、および壁に設けられた開口の封止方法
US20120110934A1 (en) Intumescent backer rod
JP5779435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KR101732118B1 (ko) 발포성 개구부 채움재 및 시공방법
RU2738299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манжета
JP4953049B2 (ja) 耐火性樹脂組成物、耐火性樹脂ストリップ、耐火性テープ
JP5846945B2 (ja) 防火構造体、および防火構造体の施工方法
JP2007154566A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KR101644565B1 (ko) 고내화성 및 열팽창성 pvc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 구조체
JP3148209U (ja) 区画体の貫通部構造
JP2004232452A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及び防火区画貫通部の施工方法
KR20130000806A (ko)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JP2016153588A (ja) 防火性建具
JP2011122414A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6588722B2 (ja) 耐火構造
JP2004324370A (ja) 耐火性部材と、その施工方法
RU2731120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манжета
JPH1119242A (ja) 区画貫通部の防耐火パイプ、区画貫通部の防耐火構造および区画貫通部の防耐火措置工法
JP6867157B2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KR101354069B1 (ko) 내화 충전구조 블럭
JP6876396B2 (ja) 耐火充填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の施工方法
JP6908358B2 (ja) 区画貫通構造。
JP6863738B2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JP7046727B2 (ja) 熱膨張性耐火材料および耐火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