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913Y1 -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913Y1
KR200212913Y1 KR2020000021994U KR20000021994U KR200212913Y1 KR 200212913 Y1 KR200212913 Y1 KR 200212913Y1 KR 2020000021994 U KR2020000021994 U KR 2020000021994U KR 20000021994 U KR20000021994 U KR 20000021994U KR 200212913 Y1 KR200212913 Y1 KR 200212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 shaft
system panel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21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913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파이프 파이프 샤프트 내부에서 배관의 지지와 방화, 방진, 방음, 단열을 위한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에서 배관(1)의 수직 경로로 사용되는 파이프 샤프트 내부에 있어서 배관(1)의 지지를 위한 클램프(3)와 방진을 위한 고무패드(2), 층간 방화구획을 위한 방화강판(7), 배관(1)의 단열을 위한 보온재(8)와 보온재 커버(9)가 일체화된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Pipe Shaft Floor System Panel}
본 고안은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패드, 클램프, 방화강판, 보온재, 보온재 커버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1)의 수직 경로로 사용되는 파이프 샤프트가 시공된다. 이러한 파이트 샤프트의 시공 방법은 슬래브 바닥판 상부에-형강(10)을 올려 놓고 슬래브 바닥에 ANCHORING 하여 일체화 시킨후 배관(1)을 수직으로-형강(10)에 밀착하여 포설하고 U-BOLT를 배관(1)의 외측에서 삽입하여-형강(10)의 볼트(5) 구멍에 끼운후 NUT로 조여 배관(1)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증간 바닥판 구성은 콘크리트 타설 또는 철판 등으로 깔아 마감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요즈음 들어 건축물의 복잡 다양화와 고층화 그리고 낡은 건물의 RENOVATION 등의 경향에 따라 건축물의 요구 성능은 증가하게 되어 배관(1)의 신설과 증설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샤프트에서는 배관(1)의 신설과 증설에 따른 배관(1) 지지부의 부족과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은 후 배관(1) 시공에 의한 시공비 증가와 콘크리트 구멍과 배관(1) 사이의 공극부분에 보온재(8)의 미시공, 방화재료 미시공 등의 영향으로 방화, 방진, 방음, 단열 등의 성능 저하의 문제점과 파이프 샤프트 내부에서 배관(1) 시공 공간의 부족에 따른 샤프트 외측으로 돌출시켜 배관(1) 시공시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의 바닥 시공에 있어서 고무패드, 클램프, 방화강판, 보온재, 보온재 커버가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 시스템 패널을 콤팩트하게 제작 설치하여 배관의 지지와 층간 방화구획, 방진, 방음, 단열의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배관의 신설과 증설에 원할히 재처하여 건축물 성능 요구에 적절히 부합할 수 있고, 파이프 샤프트 시공 공기 단축과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는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샤프트 시공을 도시한 평면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을 시공한 분해사시도, 조립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평면 분해도
도 4는 상기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관 2. 고무패드
3. 클램프 4. 와셔
5. 볼트 6. 너트
7. 방화강판 8. 보온재
9. 보온재 커버 10.-형강
11. 콘크리트 구조체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슬래브-형강(10) 상부에 설치하여 배관(1)의 지지와 방화, 방진, 방음, 단열 등의 성능을 향상시켜 주며, 손쉽게 바닥을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에는 고무패드(2), 클램프(3), 방화강판(7), 보온재(8), 보온재 커버(9)가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이 제공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조립사시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샤프트의-형강(10) 상부에 설치하는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에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한 바화 같이 배관(1)의 진동을 건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트가 설치된다.
이 고무패드(2)는 두께 1.5mm이상의 충분한 방화 성능을 갖춘 것으로 제작하여 배관(1)의 외측에서 클램프(3)의 안쪽으로 삽입한 후 볼트(5) 구멍을 일치시켜-형강(10) 상부에 놓고 볼트(5)와 너트(6)를 조여 고정하며, 층간 배관(1) 하중은 이 클램프(3)에 의해 이 클램프(3)에 의해-형강(10)에 전달되게 한다.
이때 고무패드(2)는 클램프(3)와 배관(1) 사이의 미끄럼 방지와 배관(1)의 외측에서 발생한 수분 등에 의한 부식 방지와 이종 금속의 결합헤 의한 전식 등을 방지하게 된다.
배관(1)의 외측에서-형강(10) 상부에 설치되는 클램프(3)는 배관(1)의 하중은-형강(10)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구조 내력을 갖추기 위하여 높이는 50mm 이상으로 하고 두께는 배관(1)의 중량에 따른 U-BOLT 산정 방법에 의한 동일한 두께 이상의 철판으로 제작하며, 볼트(5) 구멍은 U-BOLT 지름 보다 1∼2mm 크게 뚫어 제작 한다.
상기의 클램프(3)는 파이프 샤프트의 바닥재로 쓰이는 방화강판(7)과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클램프(3)와 방화강판(7)의 둥근부분이 평탄하게 하여 이음부는 용접으로 접합하여야 한다.
그리고 방화강판(7)은 파이프 샤프트의 바닥재로 충분한 두께로 제작하여야 하며, 최소 두께는 방화구획을 위한 건축법규에 명시된 1.5mm이상의 철판을 사용하여야 하며, 보온재(8)을 삽입한 보온재 커버(9)와 함께 관경 별로 구분 제작 한다.
도 4는 파이프 샤프트에서-형강(10) 상부에 시스템 패널을 설치한 정면도와 좌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정면도에서는 방화강판(7)과 보온재(8)를 삽입한 보온재 커버(9)의 접속은 볼트(5) 구멍을 일치시켜 조립한 후 볼트(5)와 너트(6)로-형강(10)에 고정 시켜야 한다.
이때, 보온재(8)는 충분한 보온 성능을 갖춘 재료로 두께는 25mm 이상으로 제작하고 보온재 커버(9)는 두께 0.5mm 이상의 아연도 철판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3의 평면도와 평면 분해도는-형강(10)과 시스템 패널의 고정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지름 5mm 이상의 볼트(5)와 너트(6)를 좌, 우측에 각각 2개소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은 샤프트 바닥 시고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비와 공기를 단축함은 물론 샤프트를 통한 기계실 소음의 실내 전달은 방지하여 주고, 배관(1) 자체에서 발생한 진동과 소음을 차단하여 실내 주거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방화구획과 배관(1)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켜 화재 예방과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배관(1)의 신설과 증설시 배관(1) 포설 후 시스템 패널을 손쉽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성능 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은 모든 건축물의 파이프 샤프트에 적용할 수 있으며 EPS실과 플랜트의 수직 배관(1)의 지지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에 설치되는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에 고무패드(2), 클램프(3), 방화강판(7), 보온재(8), 보온재 커버(9)를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하여 시공함으로서, 별도의 바닥 시공이 불필요 하며, 방화, 방진, 방음, 단열의 성능을 향상시켜 주고, 시공비 절감과 공기 단축의 효과와 샤프트 바닥의 외관을 개선하여 주고, 배관(1)의 신설과 증설에 자유로이 대처할 수 있는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건축물 배관(1)의 수직 경로인 파이프 샤프트의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패널에는 고무패드(2), 클램프(3), 방화강판(7), 보온재(8), 보온재 커버(9)가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KR2020000021994U 2000-08-01 2000-08-01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KR200212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94U KR200212913Y1 (ko) 2000-08-01 2000-08-01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94U KR200212913Y1 (ko) 2000-08-01 2000-08-01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913Y1 true KR200212913Y1 (ko) 2001-02-15

Family

ID=7307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994U KR200212913Y1 (ko) 2000-08-01 2000-08-01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9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745B1 (ko) 2012-09-28 2014-02-21 이종태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745B1 (ko) 2012-09-28 2014-02-21 이종태 구획 방화를 위한 금속배관용 방화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2867A (en) Acoustic building structure
KR10124537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 구조물
KR100515792B1 (ko) 건축물용 바닥 패널
KR200212913Y1 (ko) 건축물 파이프 샤프트 바닥 상치형 시스템 패널
JP6414253B2 (ja) 建物の床構造
KR102236474B1 (ko) 우물천장 구조물
KR100693194B1 (ko)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200423289Y1 (ko) 경량 천장틀의 설치구조
JP4866601B2 (ja) 二重天井構造
JP3761882B2 (ja) 床パネルの支持構造
KR100235262B1 (ko) 실내방화문의 설치방법
JP3800811B2 (ja) 建築物の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844044B1 (ko) 건축물의 방진 방음 패널
JP2006283401A (ja) 二重床構造
JP3958949B2 (ja) 天井下地パネル
JP4120820B2 (ja) 防火区画壁の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2002081159A (ja) 鉄骨系住宅
KR101536406B1 (ko) 층간소음 저감유닛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KR200271096Y1 (ko) 차음구조를 갖는 건물 층간의 바닥판
JP2011106088A (ja) 外周を固定したボールト付防振材と防振工法
KR200399882Y1 (ko) 지하이중벽의 내벽 구축용 패널의 설치구조
JPS6313282Y2 (ko)
JP2003184293A (ja) 床先行二重床構造および床先行二重床工法
JP3474316B2 (ja) バスユニット付建物ユニット
JP3800818B2 (ja) 建築物の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