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123B1 - 자동차 차체의 레벨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체의 레벨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123B1
KR101365123B1 KR1020097007797A KR20097007797A KR101365123B1 KR 101365123 B1 KR101365123 B1 KR 101365123B1 KR 1020097007797 A KR1020097007797 A KR 1020097007797A KR 20097007797 A KR20097007797 A KR 20097007797A KR 101365123 B1 KR101365123 B1 KR 101365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valve
valves
curre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568A (ko
Inventor
디이르크 하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9005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60G17/018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for failur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27Mechanical springs regulated by flui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50Pressure
    • B60G2400/51Pressure in suspension unit
    • B60G2400/512Pressure in suspension unit in spring
    • B60G2400/5122Fluid spring
    • B60G2400/51222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60G2500/2012Op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변경 공정에 의해 자동차 차체의 레벨이 항상 변경될 수 있게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기(2a, 2b), 상기 조절기(2a, 2b)와 연관된 밸브(6a, 6b, 14), 및 제어 유닛(10)을 포함하는 레벨 제어 시스템(1)을 사용하여 자동차 차체의 레벨을 제어하고/하거나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높이 변경 공정 중에, 상기 밸브(6a, 6b, 14)를 열어서 상기 조절기(2a, 2b)로 압력 매체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레벨이 팽창할 수 있고, 상기 압력 매체를 배출시켜 낮추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기준점과 관련하여 상기 차체의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레벨이 미리 결정된 레벨 이하 또는 이상이라면 높이 변경 공정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높이 변경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밸브(6a, 6b, 14)가 개방되었는지를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밸브(6a, 6b, 14)가 개방되지 않았거나 완전히 개방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 유닛(10)에 의해서 상기 높이 변경 공정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자동차, 레벨, 제어, 밸브, 조절기, 압력, 기능, 진단

Description

자동차 차체의 레벨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ND/OR REGULATING THE LEVEL OF A VEHICLE BODY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라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의 레벨이 높이 변경 작동을 통해 변경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높이 변경 작동 동안에, 밸브가 개방될 때, 상기 레벨이 상기 액추에이터로의 압력 매체의 추가를 통해 더 높아질 수 있거나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의 압력 매체의 배출을 통해 낮아질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할당된 상기 밸브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레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자동차 차체의 레벨의 개방 루프 및/또는 폐쇄 루프 제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처음에 기술된 형태의 방법은 공개 간행물인 독일 특허 19959012C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자동차의 차체의 레벨의 개방 루프 및/또는 폐쇄 루프 제어를 위한, 상기 공개 간행물로부터 공지된, 상기 방법은 액추에이터들을 포함하는 레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차체의 레벨이 상기 액추에이터들로부터 작동 매체를 배출시킴으로써 낮춰질 수 있다.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의 오작동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공지된 방법의 경우에, 상기 차체의 레벨은 기준점과 관련하여 확인되며, 확인된 상기 레벨이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높다면 배출 작동이 시작되며, 일정 시간 후에 상기 배출 작동 직전에 확인된 상기 레벨과 관련하여 상기 차체가 낮아지게 되는가가 상기 제어 유닛에서 상기 배출 작동의 시작 후에 체크되며, 이것이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의 경우가 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배출 작동을 끝마친다. 상기 일정 시간은 몇 초 및 그 이상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공지된 방법의 단점은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의 결함이 있는 기능을 확인하기까지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걸리며, 상기 자동차가 상기 시간 동안에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의 오작동을 오직 배출할 때에만 확인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공지된 방법은 상기 결함이 있는 기능의 원인에 대한 어떤 추정도 허용하지 않으며, 상기 레벨 제어 작동을 즉시 끝마치며, 상기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다른 레벨 제어 작동을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상기 공지된 방법에 따라 종료된 배출 작동은 다수의 원인들, 예를 들어, 차량용 잭을 이용하여 들어올림, 물체의 위에 놓임, 막힌 배출 배관 등 또는 또한, 대안으로, 결함이 있는 제어 배선 또는 결함이 있는 밸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벨 제어 시스템의 결함이 있는 기능의 신속한 확인을 위한 개선된 방법을 만들어내는 것이며, 그에 의해 상기 결함의 원인이 적어도 국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그 해법은 다음의 방법 단계들을 포함한다:
- 기준점과 관련하여 차체의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확인된 레벨이 미리 결정된 레벨 이하 또는 이상이라면 높이 변경 작동을 시작하는 단계,
- 상기 높이 변경 작동의 시작 후에, 밸브가 개방되었는지를 제어 유닛에서 체크하는 단계, 및
- 상기 밸브가 개방되지 않았거나 완전히 개방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높이 변경 작동을 종료시키는 단계.
자동차의 각각의 레벨 제어 시스템은, 압력원 또는 압력 싱크(pressure sink)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로 출입하는 압력 매체의 유입 및 유출이 제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압력원 또는 상기 압력 싱크와 액추에이터 사이의 압력매체 배관에, 예를 들어, 역지 밸브들로서, 배치되는 밸브들을 가진다. 상기 압력 배관들에 있는 상기 압력 매체의 유동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공지된 소위 전환 밸브들이 있다. 만약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이 공압 현가 시스템으로 구현된다면, 이 때 쾌적성을 이유로 공압 스프링들이 보충 체적들에, 증가되는 효과를 위해, 연결되며, 상기 액추에이터 "공압 스프링"과 상기 상응하는 보충 체적 사이의 연결의 단속(switching-in and switching-out)이 밸브들에 의해 수행된다. 신속하면서 신뢰성이 있는 스위칭 동작 때문에, 주로 솔레노이드 밸브들이 레벨 제어 시스템들에서 전술한 일들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들이, 표준 방식에서, 통상 폐쇄된 밸브들로서 사용되지만, 또한 통상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점은 레벨 제어 시스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작동을 매우 신속하게, 그리고 추가적인 센서들 없이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함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예를 들어, 자석 코일의 선 절단, 또는 걸리거나 정지된 스트로크 전기자를 가질 수 있다. 가능한 반응 시간은, 밀리세컨드, 예를 들어, 10 밀리세컨드(ms, millisecond)의 범위에 있지만, 예를 들어, 폐쇄되는 것으로부터 개방되기까지, 또는 역으로, 상기 의도된 상태 변화로부터 적어도 1초의 시간 내에 있다. 그러므로 가능한 이동 위기 상황들 또는 결점이 있는 레벨 제어 시스템의 원하지 않은 레벨 제어 작동들에 기인한 상기 차량 또는 사람들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오작동에 대하여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이 매우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다. 반응으로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제한된 기능성이며, 이에 의존하여 밸브가 상기 확인된 오작동을 가지거나,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이 작동 불능이 된다.
청구항 2에서 청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에 따라서, 대책이 수립되며 이에 의해 상기 밸브의 개방 동작을 상기 밸브의 전류 진행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개방 동작 동안에, 특히 스위칭 온(switching-on) 작동 동안에,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류 진행은 간단한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높은 정확도로 확인될 수 있는 독특한 진행을 가진다. 상기 스위칭 온 작동 동안에 상기 전류 진행으로부터, 기준 곡선, 상기 제어 유닛에 저장된 일군의 특성들, 또는 상기 전류의 한계치, 예를 들어, 단위시간당 변화율과 비교하여, 충분한 정확도로 밸브의 결점이 없거나 결점이 있는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3에서 청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에 따라서, 대책이 수립되며 이에 의해 상기 밸브의 개방 동작을 상기 스위칭 온 작동의 시작에서 상기 밸브의 전류 진행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개량의 이점은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이 구성요소의 결점이 있는 기능에 대하여 매우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것과 원하지 않은 레벨 제어 작동들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청구항 4에서 청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에 따라서, 대책이 수립되며 이에 의해 상기 밸브의 상기 측정된 전류 진행은 상기 밸브의 전기자의 이동의 측정을 구성한다.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기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일한 이동 가능한 부품을 구성하며,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마모, 걸림, 막힘 또는 정지를 통해, 특유의 기계적 응력을 받기가 쉬우며, 그러므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4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량을 이용하여 신속하면서 신뢰성이 있게 확인될 수 있는 오작동을 하기 쉽다.
청구항 5에서 청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에 따라서, 대책이 수립되며 이에 의해
- 상기 밸브는 그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되며,
- 상기 밸브의 상기 전류 진행을 상기 스위칭 온 작동 동안에 측정하며,
- 상기 제어 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전류 진행을 전류 기준 곡선, 일군의 전류 특성들 또는 전류 한계치와 비교하며,
- 상기 비교에 근거하여, 상기 밸브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되었는지를 상기 제어 유닛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5에서 청구한 바와 같은 상기 개량의 이점은 상기 밸브의 오작동을 쉽고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으며, 통상 폐쇄된 밸브의 오작동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최소로 감소된다는 것에 있다.
청구항 6에서 청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에 따라서, 대책이 수립되며 이에 의해 상기 밸브의 개방 동작을 픽업 지연 시간(pickup delay time) 및/또는 픽업 시간 동안에 상기 밸브의 상기 전류 진행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픽업 지연 시간은 상기 밸브에 대한 스위칭 전압의 적용으로부터 상기 전기자가 제1 밸브 시트로부터 다시 상승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픽업 시간은 상기 전기자가 제2 밸브 시트에 처음으로 도달하는 순간까지 상기 전기자가 상기 제1 밸브 시트로부터 상승한 순간의 측정치이며, 그러므로 상기 밸브의 상태 변화가 실제로 달성된다. 청구항 6에서 청구한 바와 같은 상기 개량의 이점은, 밸브, 특히 통상 폐쇄된 밸브의 오작동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최소로 감소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도 1은 레벨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를 보이며,
도 2는 선도를 보인다.
도 1은 오직 다음의 설명들을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들만이 보여지는, 자동차를 위한 레벨 제어 시스템(1)의 상당히 개략적인 도면을 보인다. 동일한 것이 여기에서 오직 간단하게 설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1)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1)은 상기 자동차의 전방 차축에 배치되는 공압 스프링들(2a)을 가지고, 상기 자동차의 후방 차축에 배치되는 공압 스프링들(2b)을 가진다. 상기 자동차의 차체(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공압 스프링들(2a, 2b)을 이용하여 스프링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공압 스프링들(2a)은 횡단 배관(4a)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공압 스프링들(2b)은 횡단 배관(4b)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각각의 횡단 배관(4a, 4b)은, 두 개의 횡단 역지 밸브들(6a, 6b)을 각각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상기 공압 스프링(2a, 2b)에 할당된다. 게다가, 상기 횡단 배관들(4a, 4b)은 다른 배관(8)에 연결되며, 상기 다른 배관(8)을 통해서 상기 공압 스프링들(2a, 2b)은 압축 공기로 채워지며, 상기 다른 배관(8)을 통해서 상기 압축 공기는 상기 공압 스프링들(2a, 2b)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공압 스프링들(2a, 2b)을 충전할 목적으로, 상기 횡단 역지 밸브들(6a, 6b)과 배출 밸브(14)는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의 제어 유닛(10)에 의해 작동되며, 그 결과로 상기 밸브들은 도 1에 보여지는 기본 상태로부터 다른 전환 상태로 바뀌며, 상기 횡단 배관들(4a, 4b)을 "통해서 연결된다". 상기 밸브들이 작동됨에 따라 압축기(12)는 상기 제어 유닛(10)에 의해 작동되며, 그 결과로 상기 압축기(12)는 상기 공압 스프링들(2a, 2b)로 압축 공기를 이송한다. 상기 충전 작동을 종료할 목적으로, 상기 압축기(12)는 상기 제어 유닛(10)에 의해 정지되며 상기 횡단 역지 밸브들(6a, 6b) 및 상기 배출 밸브(14)는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작동되며, 그 결과로 상기 밸브들은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기본 상태를 취한다.
상기 공압 스프링들(2a, 2b)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출할 목적으로, 상기 횡단 역지 밸브들(6a, 6b)은 상기 제어 유닛(10)에 의해 작동되며 그 결과로 상기 밸브들은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기본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된 전환 상태로 바뀐다. 게다가, 상기 제어 유닛(10)은 상기 배출 밸브(14)를 작동시키며 그 결과로 상기 배출 밸브는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기본 상태로부터, 상기 배관(8)을 대기에 연결시키는, 상기 개방된 전환 상태로 바뀐다. 이때 상기 공압 스프링들(2a, 2b)은 상기 횡단 배관들(4a, 4b)을 통해서 그리고 상기 배관(8)을 통해서 대기와 연결되며, 그 결과로 압축 공기는 상기 공압 스프링들(2a, 2b)로부터 배출된다. 배출 작동을 마치거나 끝내기 위해서, 상기 횡단 역지 밸브들(6a, 6b) 및 상기 배출 밸브(14)는 상기 제어 유닛(10)에 의해 폐쇄되며, 그 결과로 상기 밸브들은 이때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기본 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바뀐다.
차축 하중들이 다르고, 그 결과로 상기 공압 스프링들(2a, 2b)의 압력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충전 및 배출은 차축마다 수행된다.
상기 횡단 역지 밸브들(6a, 6b) 및 상기 배출 밸브(14)의 상응하는 작동을 통해서, 하나의 공압 스프링 또는 공압 스프링들의 어떤 조합으로부터(예를 들어, 차축에 할당된 공압 스프링들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 능하다. 휠 위치 "후방 좌측"에 할당되는 공압 스프링(2b)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상기 공압 스프링(2b)에 할당된 상기 횡단 역지 밸브(6b) 및 상기 배출 밸브(14)가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기본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된 전환 상태로 되는 것이 필요하다. 게다가, 만약 공기가 휠 위치 "후방 우측"에 할당된 공압 스프링(2b)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면, 이때 상기 공압 스프링(2b)에 할당된 상기 횡단 역지 밸브(6b)가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폐쇄된 기본 상태로부터 상기 다른, 개방된 전환 상태로 되는 것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지금까지 언급된 상기 구성요소들에 덧붙여,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은 높이 센서들(16, 18, 20, 22)을 가지며, 이들 중의 각각의 하나는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의 공압 스프링(2a, 2b)에 배치된다. 상기 높이 센서(16)의 도움으로, 상기 휠 위치 "전방 좌측"의 영역에 있는 상기 차체의 현재 레벨을, 기준점과 관련하여, 언제든지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높이 센서들(18, 20, 22)에 상응하여 적용된다. 상기 높이 센서들(16, 18, 20, 22)에 의해 측정된 상기 현재 레벨은 상기 높이 센서들에 의해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의 상기 제어 유닛(10)에 전달되며, 거기서 평가된다. 그러므로, 언제든지,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에 의해 현재 레벨이, 미리 결정된 기준점과 비교하여, 상기 차체의 상기 휠 위치의 영역에 있는 상기 차체에 의해 추정된다. 더구나, 상기 상응하는 높이 센서들의 측정치들의 평균을 통해, 상기 자동차의 차축에 관련된 상기 차체에 의해 어떤 현재 레벨이 평균적으로 추정되는 것이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확인될 수 있다. 만약에, 예를 들어, 상기 후방 차축에 관련된 상기 차체의 레벨이 결정될 것이 라면, 상기 높이 센서들(20, 22)에 의해 상기 제어 유닛(10)에 전달되었던 측정치들이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평균이 내어진다.
휠 위치의 영역에 있는 상기 차체의 현재 레벨, 또는 상기 자동차의 차축에 관련된 상기 차체의 현재 레벨이 상기 제어 유닛(10)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결정된 레벨에 부합하는지가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계속해서 체크된다(상기 높이 센서들(16, 18, 20, 22)에 의해 전달된 측정 신호들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유닛(10)에 있는 최종의 레벨이 상기 현재 레벨로 이해된다). 만약에 상기 현재 레벨이 상기 제어 유닛(10)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높다면, 상기 제어 유닛(10)은 배출 작동을 시작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응하는 횡단 역지 밸브들(6a, 6b) 및 상기 배출 밸브(14)는, 앞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환된다. 상기 현재 레벨이 상기 제어 유닛(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미리 결정된 레벨과 부합하는 것을 상기 제어 유닛(10)이 입증할 때 상기 배출 작동은 종료된다. 이때 상기 제어 유닛(10)은 상기 상응하는 횡단 역지 밸브들(6a, 6b) 및 상기 배출 밸브(14)를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기본 상태로 되돌린다.
상기 자동차가 중요한 상황에 있기 때문에, 상기 차체의 레벨이 배출 작동 중에 기대된 바와 같이 낮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제어 유닛(10)이 입증하는 것이 또한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10)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 작동을 끝낸다.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은 또한, 마지막으로, 압력 센서(24)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압력 센서(24)를 이용하여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의 각각 개별 공압 스프링(2a, 2b)에서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휠 위치 "후방 좌측"에 할당된 상기 공압 스프링들(2b)에서 상기 공기 압력을 측정할 목적으로, 상기 공압 스프링(2b)에 할당된 상기 횡단 역지 밸브(6b)가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폐쇄된 기본 상태로부터 상기 다른, 개방된 전환 상태로 되며, 반면에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의 모든 다른 밸브들은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기본 상태로 남는다. 이 경우에, 상기 휠 위치 "후방 좌측"에 할당된 상기 공압 스프링(2b)에 있는 상기 정적인 공기 압력이 상기 압력 센서(24)에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레벨 제어 시스템의 상기 다른 공압 스프링들에 있는 상기 공기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4)의 각각의 측정 결과는 상기 제어 유닛(1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 유닛에서, 상기 전달된 측정 결과는 이의 횡단 역지 밸브(6a, 6b)가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작동되었던 상기 공압 스프링(2a, 2b)에 할당되며, 평가된다. 이것이 상세하게 수행되는 방법을 이하에서 보다 더 충분하게 설명한다.
각각의 밸브(6a, 6b, 14)는 제어 배선을 통해서 상기 제어 유닛(10)에 연결된다. 각각의 밸브(6a, 6b, 14)는 상기 전환 위치의 작동 및 변경을 위해, 상기 상응하는 배선을 통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된다. 상기 밸브(6a, 6b, 14)에 가해진 전압 및 각각의 밸브(6a, 6b, 14)에 의해 소비된 전류는 상기 제어 유닛(10)에 의해 결정되어 확인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밸브(6a, 6b, 14)의 상기 전압 및 상기 전류에 대한 기준 곡선, 일군의 특성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한계치가 상기 제어 유닛(10)에 저장될 수 있다.
통상 폐쇄된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통상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특성 곡 선들을 도식적인 형태로 보이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보여지는 상기 제어 유닛(10)의 도움으로 어떻게 진단 방법이 수행되는지가 다음에 설명된다. 상기 선도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압(U), 전류(I) 및 전기자 이동(S)의 진행이 시간에 대하여 작도되어 있다.
제1 순간(t1)에, 전압(U1)이 가해진다. 상기 밸브의 전기자의 관성 및 상기 밸브의 전기자에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스프링힘 때문에, 전기자가 상기 제1 밸브 시트로부터 처음으로 상승할 때까지, 순간(t2)까지 전기자가 상승하지 않고 유지된다. 상기 전류는, 소위 픽업 지연 시간인, 순간(t1)에서부터 순간(t2)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며, 순간(t2)에서 국소 최대치에 도달한다. 소위 픽업 시간인, 순간(t2)에서부터 순간(t3)까지, 상기 밸브의 전기자는 상기 제1 밸브 시트로부터 상승하며 상기 제2 밸브 시트까지 이동되며, 상기 밸브는 그 전환 상태의 변경을 수행하며 상기 전류는 이 시간 동안 계속해서 감소하면서 순간(t3)에서 국소 최소치에 도달한다.
완벽하고, 기능적인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에, 순간(t1)으로부터 순간(t3)까지의 상기 전류 진행은 독특한 진행을 가진다. 만약 상기 밸브의 기능, 특히 상기 제2 밸브 시트에 있는 전기자의 완전한 개방 및 정지가, 손상되면, 이때 상기 전류의 측정된 국소 최대치 및 국소 최소치는 완벽한 밸브의 기준치들로부터 현저하게 벗어나며, 상기 밸브의 기능적인 성능의 진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약 시간인, 순간(t3)으로부터 순간(t4)까지, 전기자는 아마 상기 제2 밸브 시트에 대하여 몇 번 "도약(bounce)" 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의 전류 소비는 이미 다시 계속해서 증가한다. 상기 도약 시간 후에, 상기 전압(U1)이 상기 밸브에 가해지는 한, 이 경우에, 순간(t5)까지, 밸브의 전기자는 상기 제2 밸브 시트에 놓여 있다.
순간(t5)에서, 상호 유도 때문에, 상기 밸브에 대한 상기 공급 전압은 차단되고 국소 최소치로 매우 크게 감소한다. 그 이후에, 상기 전압은 계속해서 증가하며, 특정한 시간, 이 경우 순간(t6), 후에, 상기 밸브의 전기자는 상기 제2 밸브 시트로부터 상승하며, 상기 제1 밸브 시트로 계속해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압은 국소 최대치에 도달하며, 순간(t7)에서, 상기 밸브의 전기자가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놓여 있을 때, 국소 최소치로 다시 떨어진다. 상기 전압 진행의 국소 최대치 및 국소 최소치는, 완벽하고, 기능적인 밸브의 경우에, 독특한 양이다. 만약 상기 밸브의 기능, 특히,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있는 전기자의 완전한 폐쇄 및 정지가, 손상된다면, 이때 상기 전압의 국소 최대치 및 국소 최소치의 측정치들은 완벽한 밸브의 기준치들로부터 현저하게 벗어나며, 상기 밸브의 기능적인 성능의 진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위치 오프 작동의 경우에, 상기 밸브의 기능적인 성능의 진단을 위해 순간(t5)에서부터 순간(t6)까지 상기 전류 진행을 사용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가능한데, 그 이유는 오직 순간(t6), 상기 전류 진행이 거의 제로 값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전기자가 상기 제2 밸브 시트로부터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 정보는 상기 밸브의 기능적인 성능의 진단을 개선시키며 더 정확한 결과들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시작부터 종료까지 상기 전기자의 이동이 상기 전류 진행과 상기 전압 진행에 근거하여 검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응하는 기준 특성, 일군의 특성들 또는 한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 온 및/또는 스위칭 오프 작동 동안에 전압 및/또는 전류의 측정을 통해 상기 밸브의 기능적인 성능이 평가되어 확인될 수 있는, 전압 및 전류의 독특한 진행을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가진다. 만약에 측정된 전압 진행 및/또는 전류 진행이 상기 상응하는 기준치들로부터 너무 크게 벗어난다면, 이때 상기 밸브의 전기자가 개방되지 않았거나 적절하게 개방되지 않았거나, 또는 폐쇄되지 않았거나 적절하게 폐쇄되지 않았다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
상기 스위칭 온 작동 동안에 통상 폐쇄된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통상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올바른 기능을 상기 순간들(t1, t4) 사이의 상기 전류 진행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다. 차단 또는 스위칭 오프 작동 동안에 통상 폐쇄된 또는 통상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는 순간(t5)와 순간(t7) 사이의 상기 전압 진행에 의해 가능하게는 상기 전류 진행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다.
<참조 부호들의 목록>
(상기 설명의 부분)
1 - 레벨 제어 시스템
2a, 2b - 공압 스프링
4a, 4b - 배관
6a, 6b - 밸브
8 - 배관
10 - 제어 유닛
12 - 압축기
14 - 배출 밸브
16, 18, 20, 22 - 높이 센서
24 - 압력 센서
26 - 밸브
t1 - 제1 순간
t2 - 제2 순간
t3 - 제3 순간
t4 - 제4 순간
t5 - 제5 순간
t6 - 제6 순간
t7 - 제7 순간
U - 전압
U1 - 전압값
I - 전류
S - (전기자의) 이동

Claims (6)

  1. 차체의 레벨을 높이 변경 작동을 통해 변경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2a, 2b)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2a, 2b)에 할당된 밸브(6a, 6b, 14)로서, 상기 높이 변경 작동 동안에 상기 밸브(6a, 6b, 14)가 개방될 때, 상기 레벨이 상기 액추에이터(2a, 2b)로 압력 매체를 추가함으로써 더 높아질 수 있거나 상기 액추에이터(2a, 2b)로부터 압력 매체를 배출함으로써 낮아질 수 있는, 밸브(6a, 6b, 14)를 포함하며, 그리고
    해당 제어 배선을 통한 스위칭 위치의 변경을 위한 그리고 작동을 위한 전압 및 전류를 각각의 밸브(6a, 6b, 14)에 제공하는 제어 유닛(10)을 포함하고,
    각각의 밸브(6a, 6b, 14)에 가해진 전압 그리고 소비된 전류는 상기 제어 유닛(10)에 의해서 규정 및 결정되는,
    레벨 제어 시스템(1)을 이용하는 자동차 차체의 레벨의 개방 루프 제어 및 폐쇄 루프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준점과 관련하여 상기 차체의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레벨이 미리 결정된 레벨 이하 또는 이상이라면 상기 높이 변경 작동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높이 변경 작동의 시작 후에, 상기 밸브(6a, 6b, 14)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밸브(6a, 6b, 14)가 개방되지 않았거나 완전히 개방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 유닛(10)이 상기 높이 변경 작동을 종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만족스럽게 작동하는 밸브의 기준치들로부터 상기 전류의 국소 최소치 및 국소 최대치에 대한 측정치들이 벗어날 때 상기 밸브의 기능의 손상이 진단된다는 것에 의해서, 스위칭 온 작동의 시작에서 상기 밸브(6a, 6b, 14)의 전류 진행(I)으로부터 상기 밸브(6a, 6b, 14)의 개방 동작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레벨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6a, 6b, 14)의 측정된 전류 진행(I)은 상기 밸브(6a, 6b, 14)의 전기자의 이동(S)의 측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레벨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6a, 6b, 14)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되거나 또는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되며,
    상기 밸브(6a, 6b, 14)의 전류 진행(I)을 스위칭 온 작동 동안에 측정하며,
    상기 측정한 전류 진행(I)을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전류 기준 곡선, 일군의 전류 특성들 또는 전류 한계치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에 근거하여, 상기 밸브(6a, 6b, 14)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또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폐쇄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제어 유닛(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레벨의 제어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6a, 6b, 14)의 개방 동작을 픽업 지연 시간 및 픽업 시간 중 하나 이상의 시간 동안에 상기 밸브(6a, 6b, 14)의 전류 진행(I)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레벨의 제어 방법.
KR1020097007797A 2006-09-16 2007-07-11 자동차 차체의 레벨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 KR101365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43608.3 2006-09-16
DE102006043608A DE102006043608A1 (de) 2006-09-16 2006-09-16 Verfahren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des Niveaus eines Fahrzeugaufbaus eines Kraftfahrzeuges
PCT/EP2007/057073 WO2008031650A1 (de) 2006-09-16 2007-07-11 Verfahren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des niveaus eines fahrzeugaufbaus eines kraftfahrzeu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568A KR20090058568A (ko) 2009-06-09
KR101365123B1 true KR101365123B1 (ko) 2014-02-20

Family

ID=3853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797A KR101365123B1 (ko) 2006-09-16 2007-07-11 자동차 차체의 레벨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63689A1 (ko)
EP (1) EP2069155B1 (ko)
JP (1) JP2010503572A (ko)
KR (1) KR101365123B1 (ko)
AT (1) ATE537984T1 (ko)
DE (1) DE102006043608A1 (ko)
WO (1) WO2008031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3607A1 (de) * 2006-09-16 2008-03-27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Diagnose der Funktion einer Niveauregelanlage eines Kraftfahrzeugs
US8434774B2 (en) 2009-05-29 2013-05-07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Vehicle suspension and pneumatic systems
DE102009057529A1 (de) 2009-12-08 2011-06-09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erfahren zur Steuerung der Niveauregulierung eines Fahrzeugaufbaus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1083614A1 (de) * 2011-03-01 2012-09-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rocknerschaltung für eine pneumatische Regelvor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12218393A1 (de) * 2012-10-09 2014-04-10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Gasventils, Steuerung für ein Gasventil und Gaskochgerät
GB2511827B (en) * 2013-03-14 2015-08-12 Jaguar Land Rover Ltd Control unit for a vehicle suspen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3386A1 (en) * 1999-12-08 2001-06-14 Alexander Still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a vehicle body of a motor vehicle
US6644253B2 (en) * 2001-12-11 2003-1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magnetic valve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5307A (en) * 1978-10-30 1980-05-27 Wabco Westinghouse Gmbh Device for monitoring the function of electromagnets
JPS57119260A (en) * 1981-01-17 1982-07-24 Kawasaki Heavy Ind Ltd Detecting method for trouble on dc solenoid device
JP2503241B2 (ja) * 1987-11-30 1996-06-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JPH0714011Y2 (ja) * 1988-04-28 1995-04-05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車高調整装置
JP2566639B2 (ja) * 1988-11-30 1996-12-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611446B2 (ja) * 1989-08-31 1997-05-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JP2623852B2 (ja) * 1989-08-31 1997-06-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JPH04186705A (ja) * 1990-11-20 1992-07-03 Tokimec Inc ソレノイドの作動チエツク方法
GB9102789D0 (en) * 1991-02-09 1991-03-27 Norgren Martonair Ltd Armature movement detection circuit
DE19602513C1 (de) * 1996-01-25 1996-10-02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zum Überwachen der Funktionstüchtigkeit elektrisch ansteuerbarer Magnetventile in Webmaschinen
JP3633084B2 (ja) * 1996-03-13 2005-03-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US6111514A (en) * 1996-12-18 2000-08-29 Kelsey-Hayes Company Solenoid fail-safe using current feedback as a diagnostic input
GB9826643D0 (en) 1998-12-04 1999-01-27 Rover Group Vehicle suspensions
JP2002098255A (ja) * 2000-09-20 2002-04-05 Denso Corp 電磁弁制御装置
DE10126458C2 (de) * 2001-05-31 2003-06-12 Daimler Chrysler Ag Dichtheits- und Funktionsprüfung eines Sperrventils in einer pneumatischen Federung
DE10150199A1 (de) * 2001-10-12 2003-04-24 Wolfgang E Schultz Verfahren und Schaltung zur Erkennung der Ankerlage eines Elektromagneten
DE10330414B4 (de) * 2003-07-04 2008-06-05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Messung eines Drucks
US7483253B2 (en) * 2006-05-30 2009-01-27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solenoid armature mov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3386A1 (en) * 1999-12-08 2001-06-14 Alexander Still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a vehicle body of a motor vehicle
US6644253B2 (en) * 2001-12-11 2003-1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magnetic valve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3689A1 (en) 2010-03-11
EP2069155B1 (de) 2011-12-21
JP2010503572A (ja) 2010-02-04
WO2008031650A1 (de) 2008-03-20
ATE537984T1 (de) 2012-01-15
DE102006043608A1 (de) 2008-03-27
EP2069155A1 (de) 2009-06-17
KR20090058568A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123B1 (ko) 자동차 차체의 레벨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
KR101360880B1 (ko) 자동차의 레벨 제어 시스템의 기능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KR101871092B1 (ko) 자동차 공학에서 특히 공통 레일 분사 시스템을 위한 압력 저장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EP1394008B1 (en) Electromagnetic valve control device and method
JP6539346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11448086B (zh) 用于获知车辆上的车桥负荷的方法及其设备
US11221088B2 (en) Method for actuating a solenoid valve, and compressed-air installation comprising a solenoid valve
US20100089473A1 (en) Method for checking the operability of an actuator
US20100037966A1 (en) Method for checking the functionality of an actuator
US20190176562A1 (en) Vehicle-height control system
KR20170046609A (ko) 차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공압 회로
KR20180064407A (ko) 전자기 밸브의 작동 방법 및 상응하는 유체 시스템
CN112344080A (zh) 有开关阀、气动操动机构、电磁阀和功能监控装置的系统
CN113784856A (zh) 用于控制车辆的空气悬架装置的方法
KR102117777B1 (ko) 차고 조정 장치
KR102374493B1 (ko) 유체 제어 디바이스 및 유체 제어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
RU2356763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изменения тормозного момента тормоза-замедлителя
US118677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the functionality of a solenoid valve
KR101303210B1 (ko)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작동하는 방법
CN113280182A (zh) 对脉冲螺线管i/p的开路诊断
JP3721961B2 (ja) 異常点検方法及び異常点検装置
JP2005512877A (ja) 電磁弁
WO2021199174A1 (ja) ブレーキ制御装置の監視装置
JP2010195281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56867B1 (ko) 차고 유지를 위한 공기유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