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210B1 -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작동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작동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210B1
KR101303210B1 KR1020087003502A KR20087003502A KR101303210B1 KR 101303210 B1 KR101303210 B1 KR 101303210B1 KR 1020087003502 A KR1020087003502 A KR 1020087003502A KR 20087003502 A KR20087003502 A KR 20087003502A KR 101303210 B1 KR101303210 B1 KR 10130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ehicle
adjustment system
height adjustment
pressur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679A (ko
Inventor
하이케 일리아스
마르크 네텔만
토마스 스프린겔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8004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50Pressure
    • B60G2400/51Pressure in suspension unit
    • B60G2400/512Pressure in suspension unit in spring
    • B60G2400/5122Fluid spring
    • B60G2400/51222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60G2500/2014Clos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5Air-compresso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은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soll)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해,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서 압력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압력 발생기(10), 및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밸브 장치(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평가 유닛(24)은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차체 높이(di, erw)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 장치(13)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soll)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느 정도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LEVEL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기설정된 차체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해, 압력 매체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 사이에서 압력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압력 발생기, 및 압력 매체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 사이에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overflow process)를 수행하기 위한 밸브 장치를 갖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은 독일특허출원 DE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높이 조절 시스템은 차체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압축공기로 충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을 가진다. 만일 압축기를 사용하여 발생된 압력차를 기초로 하여 압축공기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의 사이에서 압축공기 저장고의 공기압이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의 공기압보다 큰 상태인 경우, 차체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은 먼저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저장고에서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 안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밸브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압축공기 저장고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공기 스프링의 공기압은 증가하여 압축공기 저장고의 공기압에 가까워진다.
만일 압축공기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의 사이에 존재하는 압력차가 압축공기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의 사이에서 압력 평형의 형성에 대체로 해당하는 기설정된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 또한 만일 차체를 기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을 충전시킬 필요가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이것은 압축기의 추가 작동에 의해 실행된다.
압축기는 단지 압축공기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 사이에서 압력 평형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만 작동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상승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시간의 지연은 피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매체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의 사이에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함을 기본으로 하여 시간이 지연되지 않고 설정 차체 높이가 크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서두 부분에서 언급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과 제11항의 특징에 따라 각각 달성된다.
기설정된 차체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해 압력매체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의 사이에 압력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압력 발생기와 별도로, 차량용 높이 조절장치는 압력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의 사이에서 오버플로우를 실행하기 위한 밸브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 유닛(evaluation unit)은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차체 높이에 기초하여 단지 밸브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기설정된 차체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느 정도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이 방법에서는 기설정된 차체 높이가 대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함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는지, 그리고 적절하다면 압력 발생기의 대응 작용에 대해 추가의 또는 대안의 필요성이 있는지를 설정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라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압력 발생기의 늦은 작동에 기초한 불필요한 지연을 크게 막을 수 있게 된다.
압력 발생기는 전형적으로 현행 디자인의 전기 구동형 압축기이다. 압축기는 단지 밸브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기설정된 차체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단지 조건적으로 가능한 경우에만 작동되며, 전체적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압축기 작동시간은 압축기의 너무 빠른 마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 뿐만 아니라, 차량의 구역내에서 소음 정도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감소된다. 압축기 작동시간은 특히 차량이 정지해 있는 경우에 각별한 중요성을 갖는다.
높이 조절 시스템은, 예를 들어 공기 저항을 줄여서 차량의 연료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속의 작동 속도인 경우에 차체를 일시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시스템의 유용한 설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분명해진다.
밸브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기설정된 차체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느 정도 가능한지에 대한 결정은 기설정된 차체 높이와 오버플로우를 수행하기 위해 예상되는 차체 높이 사이에 컴퓨터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비교 작용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만일 예를 들어 차체를 기설정된 차체 높이로 상승시키려고 한다면, 이것은 대개 (기설정된 안전 예비분을 뺀) 예상되는 차체 높이가 설정 차체 높이보다 크거나 동일하다는 비교에 기초하여 분명해질 때 밸브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유사한 연구들이 차체를 설정 차체 높이로 하강시키는 경우에 적용되고 있다.
안전 예비분을 적절히 설명함으로써, 전 설정 작업에 걸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설정된 차체 높이가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에 기초하여 빠르게 달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압력 매체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의 사이에 충분한 압력 변화가 있는 때에 한해 단지 밸브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차체가 각각 상승되거나 또는 하강되는 것을 간접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만일 기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단지 밸브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기설정된 차체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고, 기설정된 시간이 압력 매체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 사이에서 설정 작업의 초기에 실재하는 압력 조건을 평가함으로써 쉽게 검출될 수 있는 경우, 압력 발생기는 설정 작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지원 방식으로 작동된다.
압력 발생기는, 예를 들어 원래의 예측 또는 예상과 비교하여 단지 밸브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기설정된 차체 높이를 달성하는 것이 아직 가능하지 않은 상태일 때, 특히 기설정된 시간 주기의 만료와 함께 지원 방식으로 여기서 작동될 수 있다.
예상되는 차체 높이는 특히 압력 매체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 사이에서 결정된 압력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우선 압력 매체 저장고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의 사이에서 압력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어느 정도의 압력 매체량이 오버플로우될 수 있는지 예측된다. 마지막으로,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에서 예상되는 차체 높이는 압력 매체량으로부터 계산되고 그로부터 산정된다. 여기서 압력차의 결정은 종래의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차량의 능동형 구동장치(active running gear)의 구성요소인 종래 디자인의 공압 또는 유압 스프링 레그(leg)이다. 이러한 능동형 구동장치들은 많은 차량들에 구비된 어떤 케이스에나 존재하며, 따라서 비용 효율이 높은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폐쇄형 압력 매체 회로를 갖는 높이 조절 시스템이며, 따라서 매우 초기부터 특히 오염물질(예를 들어, 윤활유 찌꺼기, 마모를 일으키는 마손 물질 등과 같은)이 부가된 압축공기의 주변으로 이탈물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과 본 발명의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의 도움으로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기 제어 라인들은 가는 연속선으로, 압력 라인들은 두꺼운 연속선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높이 조절 시스템은 기설정된 차체 높이(di,soll)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해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i = a...d)의 사이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압력 발생기(10)를 포함한다. 게다가,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의 사이에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밸브 장치(13)가 제공된다.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압축기와 같이 현재 상황에서 설계된 압력 발생기(10)는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서 압력 매체가 높이 조절 시스템의 폐쇄된 압력 매체 회로에 앞뒤로 주입되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은, 예를 들면 작동으로 인한 차체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차륜 및 차체에 할당된 지지점 사이에 배열되는 공압 또는 유압 스프링 레그(leg)이다. 본질적으로, 스프링 레그는 압력 실린더와 압력에 의해 변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압력 실린더 안에 배열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4륜 차량은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된 것이고, 따라서 총 네 개의 상기한 작동 장치들(12a 내지 12d)이 제공되며, 이 작동 장치들(12a 내지 12d)은 차량의 능동형 구동장치의 구성요소들이 된다.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작동 장치들(12a 내지 12d)의 상류측에 차단 밸브(14a 내지 14d)가 연결되고, 따라서 작동 장치들(12a 내지 12d)의 상호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두 개의 가능한 유동 방향들 각각에 대해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밸브 장치(13)는 각각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바이패스 밸브(20 또는 21)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황에서 일렬로 연결되는 일방 밸브(22 또는 23)는 각각 의도한 유동 방향에 대한 압력 매체의 원치 않은 역류가 개방된 바이패스 밸브(20 또는 21)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된 밸브 장치(13)는 단지 한 예로써 여기에 사용된다. 따라서, 밸브 장치(13)는, 압력 매체 저장고(11)로부터 하나 이상의 작동 장치(12i)의 방향(또한, 반대 방향)으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가 목표방향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어떠한 원하는 다른 형태로도 대체 가능하다. 폐쇄형 압력 매체 회로인 경우에, 이러한 밸브 장치들은 원칙에 의해 요구되는 것처럼 제공되며, 따라서 이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비용 효율이 높은 공용(co-use)을 위해 매우 초기에서부터 이용 가능하다.
또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차체 높이(di , erw)를 기초로 하여, 단지 밸브 장치(13)를 작동함으로써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를 설 정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지를 결정하는 평가 유닛(24)이 있으며, 후자는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와 예상 자체 높이(di , erw) 사이의 비교 작용으로써 수행된다.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는 예를 들면, 높이 조절 시스템보다 더 높은 수준이며, 비교적 높은 작동 속도인 경우에 차체를 일시적으로 낮추기 위해 또는 부하 변화로 인한 차체의 위치 변화를 바로잡기 위해 제공되는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설정된다.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예상 차체 높이(di , erw)는 결정된 압력차를 기초로 평가 유닛(24)에 의해 계산되고,
△p = p -
Figure 112008010729416-pct00001
i,i=a...d (1.1),
압력 매체 저장고(11)의 현재 내압(p) 이외에도, 설정 작업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동 장치(12i)의 내압의 평균값으로서 사용되는 평균 압력(pi,i=a...d)이 압력차(△P)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려된다. 즉, 작동 장치(12i)들의 현재 내압 및 평균 압력이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의 설정에 사용된다. 이를 뒷받침하는 일반적인 관계식은 다음과 같으며,
Figure 112008010729416-pct00002
i,i=a...d =
Figure 112008010729416-pct00003
(1.2)
작동 장치(12i)의 현재 내압(pi) 이외에도, 설정 작업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동 장치(12i)를 위한 값(1)과 다른 작동 장치(12i)를 위한 값(0)을 취하는 개별적으로 연관된 가중치(gi)가 또한 특징이 된다. 작동 장치들(12i) 중 하나만이 설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면, 대응적으로 pi,i=a...d = p 가 된다.
내압(p, pi)의 검출은 압력 검출 장치(25)를 통해 수행되고, 압력차(△P)를 결정하기 위해 압력 검출 장치의 신호가 평가 유닛(24) 에 전달된다. 이를 위해, 압력 검출 장치(25)는 각각 압력 매체 저장고(11) 및 작동 장치(12i)에 할당된 다수의 압력 센서(미도시)를 갖는다.
압력차(△P)를 결정하기 시작하면, 평가 유닛(24)은 압력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관련 작동 장치들(12i) 사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압력 매체량(△Nmax)를 개산하기 위하여, 설정 작업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동 장치들(12i)의 각 피스톤 위치에 따라, 압력 매체 저장고(11)의 이미 알고 있는 내부 체적(V) 및 현재 내부 체적(Vi)을 고려한다. 이 상황에서, 현재 내부 체적(Vi)은 작동 장치(12i)의 동시 현재 차체 높이(di , ist)로부터 도출되며, 후자의 높이는 작동 장치(12i)의 각 피스톤 위치에 관하여 도출되는 직접적인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 현재 차체 높이(di , ist)를 결정하기 위하여, 높이 검출 장치(26)가 제공되고, 이 장치의 신호는 평가 유닛(24)에 전달된다. 이를 위해, 높이 검출 장치(26)는 작동 장치들(12i)에 각각 할당된 다수의 작동 주행 센서(actuator travel sensors; 미도시)를 갖는다.
설정 작업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동 장치들(12i)들 각각을 위해, 평가 유닛(24)은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예상되는 차체 높이(di , soll)를 계산하고, 따라서 압력 매체량(△Nmax)으로부터 작동 장치(12i)의 현재 내부 체적(Vi) 및 특징적인 작동 장치 응답 특히, 동시 현재 차체 높이(di , ist)의 작용으로서 작동 장치(12i)의 압력 효율이 높은 피스톤 영역의 변화가 개산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로 차체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와 예상 차체 높이(di , erw) 사이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예상 차체 높이(di , erw)에서 기설정된 안전 예비분(△dsafe)
Figure 112008010729416-pct00004
1...3 cm)을 뺀 값은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와 같거나 크다는 것이 판명되면, 차체를 높이는 것이 밸브 장치(13)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di , erw - △dsafe ≥ di , soll . . (2.1)
이 식이 적용되면, 평가 유닛(24)은 압력 매체 저장고(11) 및 설정 작업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동 장치들(12i) 사이에 압력 연결을 생성하고, 이는 바이패스 밸브(21) 및 관련된 작동 장치들(12i)의 차단 밸브들(14i)의 개방을 통해 수행된 다. 이 경우에, 압력 매체는 압력 매체 저장고(11)로부터 각각의 작동 장치들(12i)로 유동되고, 이로 인해 차체는 그 영역안에서 상승된다.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의 설정이 밸브 장치(13)의 작동만으로 기설정된 시간 주기 (△tmax) 내에 이루어지지 못하면, 압력 발생기(10)가 지원 방식으로 작동된다.
원래의 예측 또는 예상과는 다르게,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가 아직 밸브 장치(13)의 작동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으면, 압력 발생기(10)의 지원 작동은 기설정된 시간 주기 (△tmax)가 끝남과 동시에 수행된다. 후자의 적용은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와 순간 현재 차체 높이(di , ist)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평가 유닛(24)을 통해 검출된다.
만약 안전 예비분(△dsafe)을 뺀 예상 차체 높이(di , erw)가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보다 작지만 본질적으로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보다 크거나 같으면,
di , erw - △ dsafe < di , soll ≤ di , erw , (2.2)
압력 발생기(10)의 지원 작동은 오버플로우 프로세스의 수행에 더불어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의 설정이 요구되는 것으로 단정된다. 이 경우에 상기 작동은 압력 매체가 압력 매체 저장고(11)로부터 작동 조작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동 장치들(12i)로 주입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만약 예상 차체 높이(di , erw)가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보다 작으면,
di , erw < di , soll (2.3)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를 오버플로우 프로세스의 수행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응하여, 바이패스 밸브(21)의 개방이 생략되고, 설정 작업은 단지 압력 발생기(10) 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위 연구는 이 경우에 제공된 바이패스 밸브(21)에 상응하는 방법으로 바이패스 밸브(20)를 작동시키는 유사한 방법으로 차체를 낮추는데 유효하다.
동시 현재 차체 높이(di , ist)를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와 일치시키는 설정은, 예를 들어 평가 유닛(24)에 의해 통합된 조정 작동의 형태로 수행된다.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예상되는 차체 높이(di,erw)를 내부 압력들(p, pi) 또는 내부 체적들(V, Vi)로부터 직접 계산하는 것은 또한 선택적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중대한 때에 감지될지도 모른다. 만약 공압 구동되는 높이 조절 시스템을 고려한다면, 예상 차체 높이(di,erw)의 계산은, 특히, 압력 매체 저장고(11) 내의 현재 공기 질량(m)과 하나 이상의 작동 장치(12i) 내의 현재 공기 질량(mi)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변수(λ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λi =
Figure 112008010729416-pct00005
. (2.4)
높이 조절 시스템이 이상 기체와 같이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상태비는,
Figure 112008010729416-pct00007
(2.5)
이 경우에 유효한 이상기체 방정식(p·V = m·R·T)과 함께 방정식 (2.4)으로부터 나온다, R은 이상기체 상수(R = 8.314 J/mol-1·K-1)를 나타낸다.
압력 매체 저장고(11) 내부와 하나 이상의 작동 장치(12i) 내부의 온도들이 대체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T≒Ti, 방정식(2.5)으로부터 더 나아가 아래의 식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8010729416-pct00008
Figure 112008010729416-pct00009
. (2.6)
내부 압력들(p, pi) 또는 내부 체적들(V, Vi)과 대비하여, 이와 같이 얻어진 무차원 변수(λi)는 온도에 크게 독립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그 결과, 이는 특히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각각 예상 차체 높이(di , erw)의 계산을 가능케 한다.

Claims (11)

  1.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soll)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서 압력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압력 발생기(10), 및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밸브 장치(13)를 갖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으로서,
    평가 유닛(24)은,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의 사이에서 압력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차체 높이(di, erw)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 장치(13)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soll)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느 정도 가능한지를 결정하고,
    상기 밸브 장치(13)는,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에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방향으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에서부터 상기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방향으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압력 발생기(10)는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서 압력 매체를 펌핑(pum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13)만을 작동시킴으로써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soll)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느 정도 가능한지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와 상기 예상 차체 높이(di , erw) 사이의 비교 작용에 의해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발생기(10)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tmax) 내에 상기 밸브 장치(13)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 soll)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확정되면, 지원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발생기(10)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 주기(△tmax)의 종료와 함께 지원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24)은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 결정된 압력 차(
    Figure 112011068063087-pct00010
    )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차체 높이(di,erw)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24)은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 내의 현재 공기 질량(m)과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장치(12i) 내의 현재 공기 질량(mi)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변수(λi) 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차체 높이(di,erw)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는 공압 또는 유압 스프링 레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장치(12i)는 차량의 능동형 구동장치의 한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은 폐쇄형 압력 매체 회로를 갖는 높이 조절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 갖는 차량.
  11.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soll)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서 압력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압력 발생기(10), 및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밸브 장치(13)를 갖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의 사이에서 압력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차체 높이(di, erw)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 장치(13)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설정된 차체 높이(di, soll)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느 정도 가능한지를 결정하고,
    상기 밸브 장치(13)는,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에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방향으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에서부터 상기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방향으로 오버플로우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압력 발생기(10)는 상기 압력 매체 저장고(1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제어 작동 장치(12i) 사이에서 압력 매체를 펌핑(pum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087003502A 2005-09-20 2006-09-01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작동하는 방법 KR101303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4806A DE102005044806A1 (de) 2005-09-20 2005-09-20 Niveauregel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Niveauregelsystems für ein Fahrzeug
DE102005044806.2 2005-09-20
PCT/EP2006/008556 WO2007033754A1 (de) 2005-09-20 2006-09-01 Niveauregel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 eiben eines niveauregelsystems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679A KR20080045679A (ko) 2008-05-23
KR101303210B1 true KR101303210B1 (ko) 2013-09-03

Family

ID=3718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502A KR101303210B1 (ko) 2005-09-20 2006-09-01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작동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61999B2 (ko)
EP (1) EP1928676B1 (ko)
JP (1) JP4864091B2 (ko)
KR (1) KR101303210B1 (ko)
AT (1) ATE450390T1 (ko)
DE (2) DE102005044806A1 (ko)
WO (1) WO2007033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5732B4 (de) * 2008-03-26 2012-07-26 Miro Gudzulic Luftfederungsanlage sowie Messeinrichtung für eine Luftfeder
JP6201694B2 (ja) 2013-11-29 2017-09-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DE102014218296A1 (de) * 2014-09-12 2016-03-1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Luftfedersystem mit Niveauregelung mit wählbarer Betriebsart
US10967697B2 (en) 2016-03-29 2021-04-0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Air suspension system
US11135888B2 (en) 2019-02-26 2021-10-0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Closed integrated air management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450A (ja) * 1993-04-01 1994-10-11 Toyota Motor Corp エア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9990059734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443A (en) 1911-02-15 1911-09-26 George B Miller Chalk-line holder.
US1017449A (en) 1911-10-18 1912-02-13 William C Neth Metallic tie and rail-fastener.
JPH10914A (ja) * 1996-06-12 1998-01-06 Toyota Motor Corp 車高調整装置
DE19813672C1 (de) * 1998-03-27 1999-05-20 Daimler Chrysler Ag Luftfederungsanlage für Fahrzeuge
GB9826643D0 (en) * 1998-12-04 1999-01-27 Rover Group Vehicle suspensions
DE19959556C1 (de) * 1999-12-10 2000-12-14 Continental Ag Geschlossene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DE10006024C1 (de) * 2000-02-11 2001-10-25 Continental Ag Verfahren zum Auffüllen einer Druckmittelkammer einer Niveauregelanlage aus einem Druckmittelspeicher
DE10055108A1 (de) 2000-11-07 2002-05-08 Daimler Chrysler Ag Luftfederung mit geschlossenem Druckluft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450A (ja) * 1993-04-01 1994-10-11 Toyota Motor Corp エア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9990059734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58413A1 (en) 2008-10-23
JP2009513422A (ja) 2009-04-02
US8761999B2 (en) 2014-06-24
DE502006005538D1 (de) 2010-01-14
DE102005044806A1 (de) 2007-03-29
JP4864091B2 (ja) 2012-01-25
EP1928676A1 (de) 2008-06-11
WO2007033754A1 (de) 2007-03-29
EP1928676B1 (de) 2009-12-02
ATE450390T1 (de) 2009-12-15
KR20080045679A (ko) 200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210B1 (ko)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작동하는 방법
JP2002104043A (ja) 懸架装置
KR101438942B1 (ko) 페달 시뮬레이터의 반력제어장치
KR102628639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시 누출의 검출 방법, 그리고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US20160214658A1 (en) Vehicle seat or vehicle cab with a suspension system, and utility vehicle
US9796367B2 (en) Vehicle brake device
KR20130109100A (ko) 자동차용 제동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제어 회로
KR20140131390A (ko)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브레이크 시스템
US9821618B2 (en) Suspension system
KR101924248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브레이크 시스템
JP2006527683A (ja) 電気液圧式のブレーキ装置
KR102117777B1 (ko) 차고 조정 장치
EP1197361B1 (en) Motorcycle with active rear suspension unit providing improved braking
KR101365123B1 (ko) 자동차 차체의 레벨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
KR20210035841A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및 브레이크 시스템
JP5227293B2 (ja) 助勢限界認定装置、助勢限界認定方法および助勢限界認定装置を備えた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EP1628039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KR20210035840A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및 브레이크 시스템
JP2007145093A (ja) 車高調整装置
JP4239737B2 (ja) 液圧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動制御装置
JP4727488B2 (ja) 作業車両の操舵制御装置
KR100365681B1 (ko) 영공식 화차용 제동장치
JP2000177586A (ja) 鉄道車両の振動抑制装置
JP2004316809A (ja) 流体作動機器の制御装置
JP5267896B2 (ja) 油圧システムおよび該油圧システム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