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734A -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734A
KR19990059734A KR1019970079948A KR19970079948A KR19990059734A KR 19990059734 A KR19990059734 A KR 19990059734A KR 1019970079948 A KR1019970079948 A KR 1019970079948A KR 19970079948 A KR19970079948 A KR 19970079948A KR 19990059734 A KR19990059734 A KR 19990059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ompressor
solenoid valve
reservoir tan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윤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9734A/ko
Publication of KR1999005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734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리저터 탱크내의 공기압이 설정치 이하(비정상)일 경우에는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공기 스프링에 직접 공급하여 차고를 원상태로 제어하는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는 전동기에 의하여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서;
상기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 공급하는 리저버 탱크;
상기 리저버 탱크내의 압축 공기 압력에 따라 설정치 이상의 압력에서는 온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안전 밸브;
전자제어유닛(ECU)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안전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리저버 탱크내의 압축 공기 압력이 설정치 이하일 경우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직접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하도록 콤프레서와 상기 솔레노이 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로에 설치되어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하여 제어되는 다른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바이패스 관로와 솔레노이드 밸브 및 리저버 탱크와 안전 밸브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제어하므로 차고를 제어하도록 차체와 바퀴사이에 설치되는 공기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콤프레서의 압축 공기를 바로 에어 스프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현가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은 차체를 일정한 차고로 바퀴(또는 차축)상에 지지하도록 공기 스프링을 사용한다.
이 공기 스프링은 콤프레서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공급 배출하므로서 차고를 일정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으로, 대형 트럭이나 대형 버스 등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공기 스프링(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미도시)에 의하여 작동되는 콤프레서(53)에서 발생되어 리저버 탱크(55)에 저장된 압축 공기를 안전 밸브(57)와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59)에 의하여 공급 및 차단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저버 탱크(55)에는 전자제어유닛(ECU)이 콤프레서(53)를 제어하여 리저버 탱크(55)가 항상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도록 공기압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6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기 현가장치는 차고가 낮아지면, 이를 원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리저버 탱크(55)내의 압축 공기를 공기 스프링(51)으로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는 리저버 탱크의 공기압이 설정치 이상(정상)일 때 콤프레서가 구동되지 않고, 안전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가 온되어 공기 스프링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지만;
리저버 탱크의 공기압이 설정치 이하(비정상)일 때, 안전 밸브가 오프되고 콤프레서가 구동되면서 리저버 탱크의 공기압이 설정치에 도달하기 전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관계없이 공기 스프링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지 못하여;
차고를 원상태로 제어하는 응답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시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저터 탱크내의 공기압이 설정치 이하(비정상)일 경우에는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공기 스프링에 직접 공급하여 차고를 원상태로 제어하는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관련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콤프레서 3:리저버 탱크 5:공기 스프링 7:안전 밸브 9,13:제1,2솔레노이드 밸브 11:바이패스 관로 15:압력 센서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는 전동기에 의하여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서;
상기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 공급하는 리저버 탱크;
상기 리저버 탱크내의 압축 공기 압력에 따라 설정치 이상의 압력에서는 온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안전 밸브;
전자제어유닛(ECU)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안전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리저버 탱크내의 압축 공기 압력이 설정치 이하일 경우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직접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하도록 콤프레서와 상기 솔레노이 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하여 제어되는 바이패스 수단;
상기 바이패스 수단이 및 리저버 탱크와 안전 밸브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솔레노이드 밸브가 제어하므로 차고를 제어하도록 차체와 바퀴사이에 설치되는 공기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는 리저버 탱크내의 압축 공기 압력이 일정압 이하일 경우, 전자제어유닛(ECU)이 바이패스 수단을 제어하여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직접 공기 스프링에 공급하여 차고를 제어케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도로서, 콤프레서(1)에 의하여 발생된 압축 공기를 리저버 탱크(3)를 경유 또는 바이패스 하여 공기 스프링(5)으로 공급하여 차고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콤프레서(1)는 전동기(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되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며, 이의 일측에는 압축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리저버 탱크(3)가 연결된다.
그리고 리저버 탱크(3)의 출구측에는 리저버 탱크(3)내의 압축 공기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때 온으로 제어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안전 밸브(7)가 설치된다.
이 안전 밸브(7)의 다른 일측에는 전자제어유닛(ECU)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안전 밸브(7)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공기 스프링(5)으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9)가 설치된다.
한편 리저버 탱크(3)내의 압축 공기 압력이 설정치 이하일 경우, 콤프레서(1)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직접 제1솔레노이드 밸브(9)로 공급할 수 있도록 콤프레서(1)와 제1솔레노이 밸브(9)사이에는 바이패스 수단이 설치된다.
이 바이패스 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패스 관로(11)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13)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바이패스 관로(11)는 콤프레서(1)와 제1솔레노이 밸브(9)사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13)는 바이패스 관로(11)상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단속하도록 설치되며,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이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13)를 제어하도록 리저버 탱크(3)의 일측에 설치된 압력 센서(15)는 전자제어유닛(ECU)의 입력단에 그 감지 신호를 인가시키도록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는 압력 센서(15)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제어유닛(ECU)은 제2솔레노이드 밸브(13)를 온/오프로 제어한다.
즉, 리저버 탱크(3) 내의 공기압이 설정치 이상(정상)일 경우에는 압력 센서(15)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전자제어유닛(ECU)에 인가시키므로 전자제어유닛(ECU)은 콤프레서(1)를 비작동시키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13)를 오프로 제어한다.
그러나 안전 밸브(7)가 온되므로 압축 공기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9)에 대기한다.
이 때 차고가 낮아지면, 전자제어유닛(ECU)은 제1솔레노이드 밸브(9)를 온시켜, 공기 스프링(5)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차고를 제어케 한다.
그리고 리저버 탱크(3)내의 압축 공기 압력이 설정치 이하(비정상)일 경우에는 압력 센서(15)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전자제어유닛(ECU)에 인가시키므로 전자제어유닛(ECU)은 콤프레서(1)를 구동시키고, 제1,2솔레노이드 밸브(9,13)를 온으로 제어한다.
이 때 안전 밸브(7)는 오프로 제어되지만, 콤프레서(1)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는 바이패스 관로(11)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13) 및 제1솔레노이드 밸브(9)를 경유하여 공기 스프링(5)로 압축 공기를 공급되어 차고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차고를 일정하게 제어한 후, 전자제어유닛(ECU)은 제1솔레노이드 밸브(9)를 오프로 제어하여 공기 스프링(5)으로 더 이상의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콤프레서(1)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는 리저버 탱크(3)로 공급되어 이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 때 압력 센서(15)가 이를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ECU)에 인가시키므로 전자제어유닛(ECU)은 리저버 탱크(3)내의 공기압이 설정치에 도달함을 판단하고, 콤프레서(1)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13)를 오프로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리저버 탱크(3)내의 공기압이 낮은 상황에서 공기 스프링(5)에 압축 공기를 공급해야 할 경우에는 콤프레서(1)를 구동시켜, 그 압축 공기를 직접 공기 스프링(5)으로 공급하므로 리저버 탱크(3)가 설정압에 도달하는 시간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스프링(5)이 차고를 제어하는 시간은 단축되어 차고를 제어하는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는 리저버 탱크내의 압축 공기 압력이 일정압 이하일 경우, 전자제어유닛(ECU)이 바이패스 수단을 제어하여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직접 공기 스프링에 공급하여 차고를 제어케 하므로 차고를 원상태로 제어하는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전동기에 의하여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서;
    상기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 공급하는 리저버 탱크;
    상기 리저버 탱크내의 압축 공기 압력에 따라 설정치 이상의 압력에서는 온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안전 밸브;
    전자제어유닛(ECU)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안전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리저버 탱크내의 압축 공기 압력이 설정치 이하일 경우 콤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직접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하도록 콤프레서와 상기 솔레노이 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하여 제어되는 바이패스 수단;
    상기 바이패스 수단이 및 리저버 탱크와 안전 밸브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솔레노이드 밸브가 제어하므로 차고를 제어하도록 차체와 바퀴사이에 설치되는 공기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이패스 수단은 콤프레서와 상기 솔레노이 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로;
    상기 바이패스 관로상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단속하며,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설치되는 다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KR1019970079948A 1997-12-31 1997-12-31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KR19990059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948A KR19990059734A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948A KR19990059734A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734A true KR19990059734A (ko) 1999-07-26

Family

ID=6618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948A KR19990059734A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97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210B1 (ko) * 2005-09-20 2013-09-03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작동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210B1 (ko) * 2005-09-20 2013-09-03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 및 차량용 높이 조절 시스템을작동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0679A1 (en) Valve device for a pneumatic suspension unit of a vehicle
JP2004359085A (ja) 車高調整装置
WO2017002617A1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220633A (zh) 空气弹簧式悬架
KR19990059734A (ko)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WO19980075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air compressor
EP1658185B1 (en) Arrangement in a vehicle with air suspension
KR0181259B1 (ko)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KR940701346A (ko) 차량용 안티-록크 및 드라이브 슬립 제어기를 갖춘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US20030098619A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actuator of on-board travel control device
JPS6231643B2 (ko)
KR100439912B1 (ko) 자동차 기관용 브이벨트의 장력조정 및 장력경보장치
JPH06115338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1044739A (ja) 車両用ポンプユニット
KR200144282Y1 (ko)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 시스템
JPS62199510A (ja) 車高調整装置
KR100197871B1 (ko) 자동차의 속도 감응형 차고 제어장치와 그 방법
JPH11180332A (ja) 電動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640054Y2 (ja) 荷台傾斜装置
JP2531825Y2 (ja) 車高調整装置
KR20050038691A (ko) 차량용 푸셔 액슬 장치
JPS6231644B2 (ko)
KR950031573A (ko) 자동차의 차고(車高) 조절 시스템
KR100456836B1 (ko) 자동차의실내압력조정장치
JPS59120572A (ja) パワ−ステアリングの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