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259B1 -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259B1
KR0181259B1 KR1019960000807A KR19960000807A KR0181259B1 KR 0181259 B1 KR0181259 B1 KR 0181259B1 KR 1019960000807 A KR1019960000807 A KR 1019960000807A KR 19960000807 A KR19960000807 A KR 19960000807A KR 0181259 B1 KR0181259 B1 KR 0181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garage
value
pressure
dri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973A (ko
Inventor
박세진
Original Assignee
손명원
쌍용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명원, 쌍용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명원
Priority to KR101996000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259B1/ko
Publication of KR97005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use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e.g. during loading, engine start-up or switch-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60G2400/102Acceleration; Deceleration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60G2400/106Acceleration; Deceleration longitudinal with regard to vehicle, e.g.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50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5Air-compresso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4Height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장치에서의 차고(車庫)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가장치에 차고제어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차고를 원하는 높이로 자동제어하도록하는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엔진이 워밍업 안된 상태에서도 현가장치 및 내장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차량이 주차한 경우와 출발한 경우에 대해서 각각 검출하고, 주차 또는 출발한 경우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경우에 대해서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서 차고를 자동적으로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도록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차고제어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시 차고제어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발시 차고제어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3 : 차고검출센서 20 : 속도/가속도검출센서
30 : 마이크로 컴퓨터 41∼44 : 구동기
51∼54 : 구동기밸브 60 : 압축기
70, 90 : 저장탱크밸브 80 : 저장탱크
100 : 압력검출센서
본 발명은 대형차나 소형차 등과같은 차량에 있어서의 현가장치의 차고(車高)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가장치에 차고제어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차량의 엔진이 워밍업 안된 상태에서도 차고를 최적의 높이로 자동제어하도록 하는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고제어시스템은 차체에 가해지는 외란을 각종 센서로 검출하여 구동기에서 발생되는 힘으로 일정한 자세와 차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제어를 행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차고제어장치에 의해서 최대한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차체가 노면에 대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서 균일한 안락성을 보장하고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는 댐퍼와 스프링의 풀-리바운드(Ful-Rebound)와 풀덤프(Full-Bump)에 대한 스트로크(Stroke)을 항시 보장함으로서 댐퍼스프링을 항시 정상동작범위에 있게 하고, 급작한 선회나 제동시에도 강성이 증가된 스프링 강성과 보장된 스트로크를 통해서 현가기능의 저하가 없다.
일반적인 기술에 관련되는 종래 차고제어장치는 압축유의 공급원으로 압축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같은 압축기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장치에서는 엔진시동 초기에 압축유가 들어있는 저장탱크내의 압력이 낮은 관계로 상기 압축기에 갑작스런 큰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때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엔진의 엔진오일 압력이 소정치이상이 될 때까지 시간이 소요되어 승객변동에 따라 차고제어를 즉시 수행할 수 없으며, 불필요한 엔진의 공회전이 필수적으로 따르는 등과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고려해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1-2820에서 제안하고 있는 요지는 엔진이 워밍업 안된상태에서는 일정기간 압축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차고제어를 수행하고 있으나, 이와같이 엔진이 워밍업 안된 상태인 엔진시동초기에 승객 또는 물건등으로 차량의 부하변동이 발생되는 관계로, 차고제어기능의 필요성이 요망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방법은 엔진이 워밍업 안된 상태인 엔진시동초기에는 차고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엔진이 워밍업이 안된상태에서도 현가장치의 차고제어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차량의 차고를 최적의 높이로 자동제어하도록하는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차고를 검출하는 차고검출센서와, 차량의 속도와 수직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가속도검출센서와, 상기 검출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각 장치 및 회로블럭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에 접속되는 구동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밸브와, 상기 구동기에 공급할 압축유를 생성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 제어되며 저장탱크로부터 압축유의 유실을 방지하는 저장탱크밸브와, 고압의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엔진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엔진스위치가 오프(OFF)상태로 되는 경우 또는 상기 차고검출센서와 속도/가속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분서해서 엔진의 정지상태를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엔진의 정지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압축기의 구동회로를 동작시키고, 급기통로를 연결하도록 저장탱크밸브 및 구동기밸브를 개방으로 제어하는 제2단계; 상기 구동기내의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로부터의 차고치가 설정치 이상인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기내의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의 차고치가 설정치 이상으로 되면 저장탱크의 밸브 및 구동기밸브를 차단으로 제어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후, 상기 저장탱크압력센서로부터의 저장탱크내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탱크내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에 압축기구동회로를 오프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고를 검출하는 차고검출센서와, 차량의 속도와 수직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가속도검출센서와, 상기 검출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각 장치 및 회로블럭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에 접속되는 구동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밸브와, 상기 구동기에 공급할 압축유를 생성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 제어되며 저장탱크로부터 압축유의 유실을 방지하는 저장탱크밸브와, 고압의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직가속도값을 실효치로 환산한 다음에 환산된 값이 설정치이상 되는 경우 또는 엔진스위치가 온(ON)상태로 되는 경우를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환산된 값이 설정치이상일 경우에 저장탱크밸브와 구동기밸브를 개방으로 제어하여 구동기내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로부터의 차고치가 설정치보다 크기전까지 잔여압유를 이용하여 구동기의 위치조절을 제어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후, 구동기내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로부터의 차고치가 설정치보다 크게 되는 경우에 구동기 밸브 및 저장탱크밸브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차고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차고제어장치의 구성은 차량의 차고를 검출하는 차고검출센서(11∼13)와, 차량의 현재속도와 수직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가속도검출센서(20)와, 상기 차고검출센서(11∼13)와 속도/가속도검출센서(20)로부터 검출된 값을 입력받아서 각 장치블럭 및 회로블럭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30)와,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에 접속되는 구동기(41∼44)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에 의해서 제더되며 구동기(41∼44)의 압력 및 높이를 제어하는 구동기밸브(51∼54)와, 상기 구동기(41∼44)에 공급할 압축된유체(압축유)를 생성공급하는 압축기(60)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에 의해서 제어되어 저장탱크의 압축유 누설을 차단하는 저장탱크밸브(70)와, 상기 압축기(60)에서 생성된 고압의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80) 및 저장탱크의 압력을 검출하는 저장탱크압력센서(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고감지센서(11∼13)는 차량의 바퀴와 차체간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도록 차체의 소정부분에 설치한다.
상기 속도/가속도검출센서(20)는 ABS시스템 또는 속도미터로부터 차량이 주행하는 속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속도검출센서와, 차량 상하방향의 수직진동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가속도검출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41∼44)는 유압에 의한 실린더 또는 공기압에 의한 에어스프링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며, 이는 공지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장치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시 차고제어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발시 차고제어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주차시 차고제어방법을 설명하면, 제2도에 도시된 제1단계(111,112)에서는 상기 차량의 엔진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엔진스위치가 오프(OFF)상태로 되는 경우 또는 제1도에 도시된 차고검출센서(11∼13)와 속도/가속도검출센서(2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분석해서 엔진의 정지상태를 검출한다.
제2단계(113)에서는 상기 제1단계(111,112)에서 엔진의 정지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압축기(60)의 구동회로를 동작시키고, 급기통로를 연결하도록 저장탱크밸브(70) 및 구동기밸브(51∼54)를 개방으로 제어한다.
제3단계(114, 115)에서는 상기 구동기(41∼44)내의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20)로 부터의 차고치가 설정치 이상인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기(41∼44)내의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20)의 차고치가 설정치 이상으로 되면 저장탱크밸브(70) 및 구동기밸브(51∼54)를 차단으로 제어한다.
제4단계(116, 117)에서는 상기 제3단계(114, 115)후, 상기 저장탱크압력센서(100)로 부터의 저장탱크(80)내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탱크(80)내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60) 구동회로를 오프시킨다.
다음은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출발시 차고제어방법을 설명하면, 제3도에 도시된 제1단계(121, 122)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속도/가속도센서(20)를 통해 측정된 수직가속도값을 실효치로 환한한 다음에 환산된 값이 설정치이상이 되는 경우 또는 엔진스위치가 온(ON) 상태로 되는 경우를 검출한다.
제2단계(123, 124)에서는 상기 제1단계(121, 122)에서 환산된 값이 설정치상일 경우에 저장탱크밸브(70)와 구동기밸브(51∼54)를 개방으로 제어하여 구동기(41∼44)내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20)로부터의 차고치가 설정치보다 크기전까지 잔여압유를 이용하여 구동기(41∼44)의 위치조절을 제어한다.
제3단계(125)에서는 상기 제2단계(123, 124)후, 구동기(41∼44)내 압력치 또는 차고 검출센서(20)로부터의 차고치가 설정치보다 크게 되는 경우에 구동기밸브(51∼54) 및 저장탱크밸브(70)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엔진이 워밍업 안된 상태에서도 현가장치 및 내장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차량이 주차한 경우와 출발한 경우에 대해서 각각 검출하고, 주차 또는 출발한 경우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경우에 대한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서 차고를 자동적으로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도록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차고제어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엔진이 워밍업이 안된 상태에서도 차고를 소망높이로 자동제어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2)

  1. 차고를 검출하는 차고검출센서(11∼13)와, 차량의 속도와 수직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가속도검출센서(20)와, 상기 검출센서(11∼13),(20)의 검출값에 따라 각 장치 및 회로블럭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30)와,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에 접속되는 구동기(41∼44)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밸브(51∼54)와, 상기 구동기(41∼44)에 공급할 압축유를 생성공급하는 압축기(60)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에 의해서 제어되며 저장탱크(80)로부터 압축유의 유실을 방지하는 저장탱크밸브(70, 90)와, 고압의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80) 및 저장탱크(80)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100)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엔진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엔진스위치가 오프(OFF)상태로 되는 경우 또는 상기 차고검출센서(11∼13)와 속도/가속도검출센서(2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분석해서 엔진의 정지상태를 검출하는 제1단계(111, 112); 상기 제1단계(111, 112)에서 엔진의 정지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압축기(60)의 구동회로를 동작시키고, 급기통로를 연결하도록 저장탱크밸브(70) 및 구동기밸브(51∼54)를 개방으로 제어하는 제2단계(113); 상기 구동기(41∼44)내의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20)로부터의 차고치가 설정치 이상인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기(41∼44)내의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20)의 차고치가 설정치 이상으로 되면 저장탱크밸브(70) 및 구동기밸브(51∼54)를 차단으로 제어하는 제3단계(114, 115); 상기 제3단계(114, 115)후, 상기 저장탱크압력센서(100)로부터의 저장탱크(80)내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탱크(80)내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에 압축기(60) 구동회로를 오프시키는 제4단계(116, 117)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2. 차고를 검출하는 차고검출센서(11∼13)와, 차량의 속도와 수직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가속도검출센서(20)와, 상기 검출센서(11∼13), (20)의 검출값에 따라 각 장치 및 회로블럭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30)와,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에 접속되는 구동기(41∼44)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밸브(51∼54)와, 상기 구동기(41∼44)에 공급할 압축유를 생성공급하는 압축기(60)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에 의해서 제어되며 저장탱크(80)로부터 압축유의 유실을 방지하는 저장탱크밸브(70, 90)와, 고압의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80) 및 저장탱크(80)의 압력을 검출하는 입력센서(100)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속도/가속도센서(20)를 통해 측정된 수직가속도값을 실효치로 환산한 다음에 환산된 값이 설정치이상이 되는 경우 또는 엔진스위치가 온(ON)상태로 되는 경우를 검출하는 제1단계(121, 122) ; 상기 제1단계(121, 122)에서 환산된 값이 설정치이상일 경우에 저장탱크밸브(70)와 구동기밸브(51∼54)를 개방으로 제어하여 구동기(41∼44)내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20)로부터의 차고치가 설정치보다 크기전까지 잔여압유를 이용하여 구동기(41∼44)의 위치조절을 제어하는 제2단계(123, 124); 상기 제2단계(123, 124)후, 구동기(41∼44)내 압력치 또는 차고검출센서(20)로부터의 차고치가 설정치보다 크게 되는 경우에 구동기밸브(51∼54) 및 저장탱크밸브(70)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3단계(12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KR1019960000807A 1996-01-17 1996-01-17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KR0181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807A KR0181259B1 (ko) 1996-01-17 1996-01-17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807A KR0181259B1 (ko) 1996-01-17 1996-01-17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973A KR970058973A (ko) 1997-08-12
KR0181259B1 true KR0181259B1 (ko) 1999-03-20

Family

ID=1944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807A KR0181259B1 (ko) 1996-01-17 1996-01-17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89B1 (ko) * 2006-04-26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시 차체의 차고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89B1 (ko) * 2006-04-26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시 차체의 차고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973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6728A1 (en) Suspension apparatus
KR0181259B1 (ko) 현가장치의 차고제어방법
JP4788675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US115546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height of vehicle
US20090143945A1 (en) Method of regulating a chassis of a motor vehicle, regul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2008296802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2007045218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4316809A (ja) 流体作動機器の制御装置
JP4631847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4582068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4797869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2949402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H06286533A (ja) 少なくとも2つの異なるシステム機能を有するシステム
JPH07257339A (ja) 制動力制御装置
JPH04345565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H06115338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0289591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259529B1 (ko) 자동차용 가변형 로드센싱밸브
JP4635979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20010061144A (ko) 차량의 현가 장치
JPH02106460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903365B2 (ja) 電子制御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用制御装置
KR19990059734A (ko)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JPH0571572A (ja) シヨツクアブソーバ装置
JPH11334561A (ja) 車両の制動流体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