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458B1 -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 Google Patents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458B1
KR101363458B1 KR1020120108686A KR20120108686A KR101363458B1 KR 101363458 B1 KR101363458 B1 KR 101363458B1 KR 1020120108686 A KR1020120108686 A KR 1020120108686A KR 20120108686 A KR20120108686 A KR 20120108686A KR 101363458 B1 KR101363458 B1 KR 10136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 screen
heating
weft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엠에스
(주)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엠에스, (주)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엠에스
Priority to KR1020120108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8Fabrics having an electronic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47Miner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67Glas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벽그림이나 커튼용으로 사용되는 롤 스크린을 제조함에 있어 원단을 제조할 때 유리 섬유를 이용하여 제직함으로써 평활도를 유지하고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심미성뿐만 아니라 방염성, 물리적 특성까지 우수하여 채광 기능, 실내 디자인 기능과 더불어 난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발열 롤 스크린을 위한 발열 원단과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발열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열 롤 스크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Heating fabric for roll scree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heating roll scree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벽그림이나 커튼용으로 사용되는 롤 스크린에 제직 원단으로서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원단을 사용함으로써 실내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난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발열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과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발열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열 롤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롤 스크린은 통상 창문에 설치되어 해를 가리거나 실내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롤 스크린은 표면을 단색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린이용 그림이나 명화와 같은 특정 이미지를 부여함에 의해 실내 디자인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기존의 롤 스크린의 용도는 이와 같이 주로 창문을 가리는 용도로 국한되어 있었던 것이 현실이다.
한편, 벽에 거는 액자나 벽그림은 주로 명화 등을 이용하여 실내 디자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액자나 벽그림 안쪽에 탄소섬유 등의 발열 섬유로 제직된 발열 원단을 내재시켜 전원 공급에 의해 액자나 벽그림이 열원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난방 장치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발열 원단은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를 이용하여 경사 및 위사를 제직하며 이 때 위사에 탄소 섬유와 같은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섬유를 포함시켜 제직하고, 경사에는 양 끝 가장자리에 철이나 동으로 된 극선을 포함시켜 제직함으로써 발열 원단을 제조한 후 원단의 표면을 플라스틱 재료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발열 원단은 코팅 과정에서 고열의 코팅 원액, 건조 등에 의해 가열되게 되는데, 이러한 가열 후 냉각 과정에서 극선은 변동이 없으나 섬유가 과도하게 수축되어 극선이 포함된 가장 자리 부근은 쭈글쭈글해져 평활도가 열악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벽에 부착하는 액자나 벽그림에 사용되는 발열 원단은 발열 원단을 제직한 후 코팅액으로 코팅함에 있어 두꺼운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표면 상태가 비교적 평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롤 스크린과 같은 경우에는 상부에 장착된 롤에 감기고 펴지는 동작이 반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두꺼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없다. 즉 롤 스크린용으로 사용되기 위한 원단은 표면 코팅이 섬유 원단을 얇게 도포할 정도로만 형성되어야 스크린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롤에 감기고 펴지는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종래의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발열 원단은 코팅 과정에서의 섬유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해 표면 평활도가 떨어져서 롤 스크린용으로 사용되기는 어려웠다.
관련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29036호는 블라인드 구조에서 창틀의 상측에 장착되는 베이스에 원통형의 드럼이 조절 와이어의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드럼의 외주연 상에 서로 대향되는 이치에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이 나란히 부착 결합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 및 제2스크린을 반투명한 망사로서 형성하고 이 망사에 부분적으로 불투명한 위사를 직조하여 위사가 직조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등 간격으로 격자형의 투시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투시 영역들은 각각 상하에 위치하는 투시 영역이 대각선 상에 존재하도록 하여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이 완전히 느려뜨러진 상태일 때는 각 스크린에 형성된 투시 영역이 일치되어 외부가 보이고 드럼을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투시 영역이 어긋나면서 외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41117호는 망사 직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합성 수지나 고무와 같은 코팅제로 망사 직물의 공간을 메운 일정 폭의 가림부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블라인드 원단을 구성하여, 원통형의 조정줄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의 지름 방향 양쪽으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이중으로 고정하고 그 하단에 웨이트를 구성한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상기 이중의 블라인드 원단의 가림부의 위치가 동일할 때에는 외부를 관찰할 수 있고, 조정줄로 드럼을 회전하여 가림부의 위치를 오프셋하여 빛을 차단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채광 조절과 통풍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블라인드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6-0005899호는 도전성 발열사와 비도전성 면사를 경사와 위사로 편직하여 발열 포지판을 구성함에 있어, 도전성 발열사를 면사의 외면에 카본, 금속분말 및 우레탄 수지를 혼합한 발열층으로 코팅하여 구성하고 발열 포지판의 양단에 발열사와 연결되는 동선을 일체로 직조하여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코팅하여 제조되는 발열판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11213호는 발열 원단의 제조에 있어서 극선이 구김과 접힘에 취약하여 단선 및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철선을 다수의 선재로 선택하고 이들을 꼬아 하나의 극선으로 하고 다수의 극선을 유연성 섬유사와 종방향 및 횡방향의 형태로 함께 직조함으로써 직조 발열체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위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주로 채광용 블라인드의 제조나 발열 원단의 제조와 관련된 기술에 관하여 주로 다루고 있을 뿐이며, 얇고 유연한 발열 원단을 제조하여 이를 롤 스크린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에 관해서는 연구되거나 개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상황을 고려하여 새로이 개발된 것으로서, 롤 스크린을 실내 디자인용 뿐만 아니라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에 평활도와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과 이러한 기술이 적용된 발열 롤 스크린을 제공하고자 함에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 섬유로 경사 및 위사가 제직되고 위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탄소 섬유가 포함되어 제직되고, 경사에는 양 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이 포함되어 극선에 전원을 공급시 롤 스크린 원단이 발열되도록 구성되며, 양 표면은 코팅제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유리 섬유로 경사 및 위사를 제직하되, 위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탄소 섬유를 포함하여 제직하며, 경사에는 양 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이 포함되도록 하는 원단 제직 공정;
(2) 상기 제조된 원단의 양 표면을 코팅제로 코팅한 후 경화하는 원단 코팅 공정; 및
(3) 상기 얻어진 원단의 가장 자리를 마감하는 마감 공정
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의 드럼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롤 스크린 원단을 삽입 고정하여 드럼의 회전에 의해 롤 스크린 원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롤 스크린 원단 상하 이동 수단;
상기 롤 스크린 원단 상하 이동 수단의 작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감기고 펴지는 롤 스크린 원단; 및
상기 롤 스크린 원단의 하단에 결합되며 중량에 의해 롤 스크린 원단을 평활하게 유지하는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 스크린 원단은 유리 섬유로 경사 및 위사가 제직되고 위사에는 일정 간격을 두어 탄소 섬유가 포함되어 제직되며, 경사에는 양 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이 포함되어 제직됨으로써 극선에 전원을 공급시 롤 스크린 원단이 발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웨이트에는 상기 롤 스크린 원단의 극선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수단 및 온도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롤 스크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발열 원단을 이용한 롤 스크린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발열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 기존 면사나 합성 섬유는 코팅제의 처리 과정에서 과도한 수축이 발생하여 극선 연결 부위에서 쭈글쭉글하게 우는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 평활도가 열악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면사나 합성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유리 섬유를 이용하여 제직함으로써 해결하였다. 즉 유리 섬유는 열수축성이 면사나 합성섬유와는 달리 크지 않으므로 코팅제 처리 과정에서 고열에 접하더라도 수축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표면 평활도가 유지될 수 있다.
2. 유리 섬유는 표면 질감이 면사나 합성 섬유에 비하여 열악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팅제를 얇게 도포함으로써 표면의 거친 질감을 없애고 부드러운 질감을 갖도록 하였다.
3. 위와 같이 제조된 발열 원단은 표면 평활도가 우수하고 거친 질감도 해결될 수 있으며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전원 공급 장치와 온도 콘트롤러를 장착하여 롤 스크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4. 유리 섬유(glass fiber yarn)는 인장강도, 치수 안정성, 전기 절연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풍화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이로부터 제조된 유리 섬유 원단(glass fiber fabric)은 난연성 및 방염성도 기존의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를 이용한 경우보다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섬유를 이용한 발열 원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섬유를 이용한 발열 원단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발열 롤 스크린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발열 롤 스크린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섬유를 이용한 발열 원단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은 경사(1) 및 위사(2)를 제직함에 있어 기존의 면섬유나 합성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유리 섬유(glass fiber yarn)를 사용하여 제직한다. 이 때 제직 방향과 수직 방향인 위사에는 일정 간격으로 발열사인 탄소 섬유(3)를 포함시켜 제직하며, 제직 방향인 경사에는 원단의 양 가장자리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4)을 포함시켜 제직한다. 이 때 탄소 섬유 간의 간격은 약 5mm 전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발열 원단의 사용 용도, 발열사의 재질, 크기 등에 따라 상기 간격은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극선은 전원을 공급하면 탄소 섬유에 전기를 제공하여 탄소 섬유에서 열이 발생하여 원단 전체적으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극선으로는 도전성 철선이나 도전성 동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 금선, 은선, 니크롬선 등도 단독 또는 혼합 형태로 극선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극선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섬유를 이용한 발열 원단을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 경사에 극선을 포함하여 제직하지 않고, 극선은 원단 제직 후에 경사 방향으로 부착하는 방법에 의해 탄소 섬유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부착하는 방법은 점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점착제 없이 고열, 고압에 의해 압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점착제는 탄소 발열사를 원단에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시 점착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은 하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1) 유리 섬유로 경사 및 위사를 제직하되, 위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탄소 섬유를 포함하여 제직하며, 경사에는 양 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이 포함되도록 하는 원단 제직 공정;
(2) 상기 제조된 원단의 양 표면을 코팅제로 코팅한 후 경화하는 원단 코팅 공정; 및
(3) 상기 얻어진 원단의 가장 자리를 마감하는 마감 공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단 제직 공정은 직물의 길이 방향, 즉 경사 방향과 폭 방향, 즉 위사 방향으로 유리 섬유를 이용하여 제직을 실시한다. 유리 섬유는 인장강도, 치수 안정성, 전기 절연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풍화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이를 발열 원단으로 사용하면 유리 섬유가 갖는 기능, 특히 치수 안정성과 방염성을 갖는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유리 섬유는 기존의 발열사로 주로 이용되는 면사에 비하여 표면 질감이 좋지 않고 제조 원가가 다소 차이가 나는 점은 있으나 제직 과정에서의 문제점이나 어려움은 크게 없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발열 원단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유리 섬유 원단이 갖는 장점인 치수 안정성 및 방염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유리 섬유를 이용하여 경사 및 위사를 제직하되, 위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탄소 발열사를 포함시켜 제조하고, 경사에는 양 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을 포함시키도록 제조한다. 이 때 경사 방향으로 극선을 포함시키는 것은 극선을 포함시켜 제직하거나 극선을 제직하지 않고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원단 제직 공정이 완료되면 이어서 원단을 코팅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코팅 공정은 코팅제를 일정 두께로 코팅하여 원단의 표면에 코팅층(5)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코팅제는 용융 온도로 액화된 코팅제를 도포하거나 필름 형태를 갖는 일정 폭의 코팅제를 원단에 두고 열을 가해 코팅을 하며, 코팅제는 원단의 양면에 코팅한다.
상기 코팅제는 고무계나 합성 수지계가 사용되며, 구체적인 예로는 PVC, PE, PET,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이 경화 후에 휨성이 좋고 내후성 및 내구성이 좋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제로 원단 표면을 코팅함에 있어서는 원단이 롤 스크린으로 이용되는 만큼 원단의 유연성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두껍게 코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유리 섬유의 표면의 거칠기가 제거될 정도의 두께로만 얇게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제의 코팅을 위한 온도와 건조 시간은 코팅제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충분한 코팅과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코팅제로 코팅함에 있어서 방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팅 원액에 방염제나 난연제 등을 첨가할 수 있고, 컬러 코팅을 하기 위하여 안료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마감 공정은 제조할 롤 스크린의 폭에 맞도록 하기 위해 양 가장 자리를 마감하는 공정으로서, 가장 자리를 따라 오버로크 처리, 또는 바이어스 처리, 또는 레이스 달기, 합성 수지 마감 등의 방법으로 마감하여 직물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조된 원단의 표면에 명화나 어린이용 그림, 사진 등과 같은 다양한 무늬, 문양 등을 갖는 이미지 천을 덧대어 실내 디자인 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상기 탄소 섬유를 이용한 발열 원단은 롤 스크린에 적용될 경우 롤 스크린이 채광 효과 뿐만 아니라 실내 디자인 및 장식의 기능을 발휘하고 동시에 난방 장치로서의 역할까지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발열 롤 스크린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발열 롤 스크린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롤 스크린은
원통형의 드럼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롤 스크린 원단을 삽입 고정하여 드럼의 회전에 의해 롤 스크린 원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롤 스크린 원단 상하 이동 수단(11);
상기 롤 스크린 원단 사항 이동 수단의 작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감기고 펴지는 롤 스크린 원단(10); 및
상기 롤 스크린 원단의 하단에 결합되며 중량에 의해 롤 스크린 원단을 평활하게 유지하는 웨이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롤 스크린 원단(10)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리 섬유로 경사 및 위사가 제직되고 위사에는 일정 간격을 두어 탄소 섬유가 포함되어 제직되며, 경사에는 양 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이 포함되어 제직됨으로써 극선에 전원을 공급시 롤 스크린 원단이 발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15)에는 상기 롤 스크린 원단(10)의 극선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수단(17) 및 온도 조절 장치(16)가 구비되어 극선을 통해 탄소 섬유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열을 유도한다.
이 때, 상기 롤 스크린 원단의 상하 이동 수단(11)은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수동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도 4는 전동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동 방식의 원단 상하 이동 수단은 우선 적정 지름을 갖는 원통형의 드럼이 구성되고 상기 드럼의 양단은 브라켓(12, 12‘)이 조립되며, 상기 드럼 상단에는 드럼을 보호하면서 벽체나 천정에 블라인드를 고정하는 프레임(14)이 조립되고, 상기 일단 브라켓에는 조정줄(13)이 구성되며, 상기 조정줄의 당김으로 드럼이 회전하여 롤 스크린 원단(1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드럼의 회전을 위한 브라켓과 드럼의 연결 및 조립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동 방식의 원단 상하 이동 수단 역시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드럼의 일단에 구성된 조정줄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드럼을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전동 모터(M)와 전원 공급 수단(20)을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전기적 버튼의 조작에 의해 드럼을 회전시켜 발열 원단을 상하로 이동시킨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 때 버튼 조작은 리모콘(19)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에 알려진 기술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원단은 유리 섬유를 이용하여 제직하므로 코팅제 처리 과정에서 고열에 접하더라도 수축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표면 평활도가 유지되며, 인장강도, 치수 안정성, 전기 절연성 및 방염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원단을 이용하여 평활도가 우수하고 방염성이 우수하며 각종 물성도 우수한 동시에 유연하여 롤 스크린용으로 사용되기 적합하며, 상기 롤 스크린은 차양 기능, 디자인 기능 뿐만 아니라 발열 원단을 사용하므로 난방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경사 2: 위사
3: 탄소 섬유 4: 극선
5: 코팅층 10: 롤 스크린 원단
11: 롤 스크린 원단 상하 이동 수단
12, 12': 브라켓 13: 조정줄
14: 프레임 15: 웨이트
16: 온도 조절 장치 17: 전원 공급 수단
19: 리모콘 20: 전원 공급 수단

Claims (6)

  1. 유리 섬유로 경사 및 위사가 제직되고 위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탄소 섬유가 포함되어 제직되고, 경사에는 양 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이 포함되어 극선에 전원을 공급시 롤 스크린 원단이 발열되도록 구성되며, 양 표면은 코팅제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에 포함되는 극선은 제직에 의하거나 부착에 의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3. (1) 유리 섬유로 경사 및 위사를 제직하되, 위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탄소 섬유를 포함하여 제직하며, 경사에는 양 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이 포함되도록 하는 원단 제직 공정;
    (2) 상기 제조된 원단의 양 표면을 코팅제로 코팅한 후 경화하는 원단 코팅 공정; 및
    (3) 상기 얻어진 원단의 가장 자리를 마감하는 마감 공정
    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에서 상기 경사에 극선을 포함시키는 것은 제직에 의하거나 부착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의 제조 방법.
  5. 원통형의 드럼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롤 스크린 원단을 삽입 고정하여 드럼의 회전에 의해 롤 스크린 원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롤 스크린 원단 상하 이동 수단;
    상기 롤 스크린 원단 상하 이동 수단의 작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감기고 펴지는 롤 스크린 원단; 및
    상기 롤 스크린 원단의 하단에 결합되며 중량에 의해 롤 스크린 원단을 평활하게 유지하는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 스크린 원단은 유리 섬유로 경사 및 위사가 제직되고 위사에는 일정 간격을 두어 탄소 섬유가 포함되어 제직되며, 경사에는 양 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극선이 포함되어 제직됨으로써 극선에 전원을 공급시 롤 스크린 원단이 발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웨이트에는 상기 롤 스크린 원단의 극선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수단 및 온도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롤 스크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롤 스크린 원단 상하 이동 수단은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롤 스크린.
KR1020120108686A 2012-09-28 2012-09-28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KR10136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86A KR101363458B1 (ko) 2012-09-28 2012-09-28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86A KR101363458B1 (ko) 2012-09-28 2012-09-28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458B1 true KR101363458B1 (ko) 2014-02-19

Family

ID=5027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686A KR101363458B1 (ko) 2012-09-28 2012-09-28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4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379B1 (ko) * 2014-07-15 2016-03-17 주식회사 세기센추리 면상 발열체가 구비된 창문형 블라인드
KR101945218B1 (ko) * 2017-11-24 2019-02-07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테크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2109019B1 (ko) * 2019-12-26 2020-05-12 이성만 발열원단
KR20210058316A (ko) * 2019-11-14 2021-05-24 (주) 아산디씨티 발열 롤블라인드
KR20220094245A (ko) * 2020-12-28 2022-07-06 이귀연 도전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572A (ko) * 1989-03-24 1990-10-27 백일만 직물상 양면 발열체
JPH11102772A (ja) * 1997-09-26 1999-04-13 Arisawa Mfg Co Ltd 面状発熱装置
KR20060002256A (ko) * 2004-07-01 2006-01-09 유근호 다기능 전동 롤 스크린
KR20110042753A (ko) * 2009-10-20 2011-04-27 이성균 온열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572A (ko) * 1989-03-24 1990-10-27 백일만 직물상 양면 발열체
JPH11102772A (ja) * 1997-09-26 1999-04-13 Arisawa Mfg Co Ltd 面状発熱装置
KR20060002256A (ko) * 2004-07-01 2006-01-09 유근호 다기능 전동 롤 스크린
KR20110042753A (ko) * 2009-10-20 2011-04-27 이성균 온열 블라인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379B1 (ko) * 2014-07-15 2016-03-17 주식회사 세기센추리 면상 발열체가 구비된 창문형 블라인드
KR101945218B1 (ko) * 2017-11-24 2019-02-07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테크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KR20210058316A (ko) * 2019-11-14 2021-05-24 (주) 아산디씨티 발열 롤블라인드
KR102393223B1 (ko) * 2019-11-14 2022-05-02 (주) 아산디씨티 발열 롤블라인드
KR102109019B1 (ko) * 2019-12-26 2020-05-12 이성만 발열원단
WO2021132825A1 (ko) * 2019-12-26 2021-07-01 이성만 발열원단
KR20220094245A (ko) * 2020-12-28 2022-07-06 이귀연 도전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3279B1 (ko) 2020-12-28 2023-03-24 이귀연 도전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458B1 (ko)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KR101153854B1 (ko)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0959028B1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WO2011155675A1 (ko) 커튼일체형 버디컬 블라인드
AU2018404905B2 (en) Light-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50006034A1 (en) Vertical blind having a face of parallel threads
US5612126A (en) Stiff fabric and method of forming the stiff fabric
KR20070041855A (ko) 직물 벽지와 그의 제조방법
US20130146236A1 (en) Venetian blind slat
KR101025303B1 (ko)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
KR101204167B1 (ko) 제직과 봉제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KR101464178B1 (ko) 롤블라인드용 블라인드시트
KR100894280B1 (ko) 직물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1023B1 (ko) 망사형 직물지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이로부터 얻어진 블라인드용 원단
KR101173834B1 (ko) 친환경 암막기능을 갖는 블라인드지의 제조방법
JP2015137484A (ja) 機能性の日射遮蔽両面織地を有するカーテン地
KR20110131611A (ko) 이중 층을 가지는 블라인드
JP6890995B2 (ja) 布地調防水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876882B1 (ko) 블라인드용 암막직물의 제조방법
CN213006880U (zh) 一种防水抗污面料
KR101366157B1 (ko)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JPH0347394B2 (ko)
KR102187568B1 (ko) 롤 스크린용 암막 블라인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174593B1 (ko) 인쇄층을 형성한 어닝 직물 생산방법 및 그 어닝 직물
CN215040964U (zh) 一种环保隔热窗帘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