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157B1 -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157B1
KR101366157B1 KR1020120032931A KR20120032931A KR101366157B1 KR 101366157 B1 KR101366157 B1 KR 101366157B1 KR 1020120032931 A KR1020120032931 A KR 1020120032931A KR 20120032931 A KR20120032931 A KR 20120032931A KR 101366157 B1 KR101366157 B1 KR 10136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ft
plastic
weaving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735A (ko
Inventor
윤석천
Original Assignee
(주)풍전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전티.티 filed Critical (주)풍전티.티
Priority to KR102012003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1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2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arp, e.g. cleaning, moisten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 D03J5/24T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함에 있어서, 경사용 플라스틱 끈을 감은 권체를 경사 본수(本數)와 같은 수의 권체(2)를 거는 크릴(Creel)에 꽂고, 상기 크릴(1)에 꽂은 권체(2)가 회전하면서 풀려나온 경사(4)용 플라스틱 끈이 가이드(3)와 가이드 롤러(5) 및 인취 실린더(6)를 거쳐 역직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백 롤러(7), 종광(8) 및 바디(9)에 설계된 폭과 밀도로 끼워 경사 준비를 할 수 있는 경사 준비 장치와, 역직기에서 제직을 위한 위사용 플라스틱 끈으로 된 위사(13)를 감은 위사 권체(12)를 준비하여 위사(13)를 공급할 수 있도록 헤드(10)를 설치하고, 위사(13)를 공급할 때에 위사를 가열할 수 있도록 위사가열 수단(11)을 갖추는 위사 공급 준비 장치 및, 상기 준비된 역직기를 이용하여 제직할 때 경사(4)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경사 가열장치(15, 15')를 갖춘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A power loom for fabrics with plastics cords for interi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s}
본 발명은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성형 가공방식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봉(棒), 관(管), 필름(Film) 강모(剛毛) 또는 피복(被服), 이형(異形) 등의 형태로 제조된 압출 끈을 이용하여 독특한 질감에 의한 장식효과를 극대화한 가구의 표면 장식이나 벽지, 블라인드 등의 광의의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용 직포는 넓은 의미에서 실내장식용, 가구용, 건축용으로 구분할 수 있고, 실내 장식용으로는 벽지, 커튼지, 창호지가 있고, 가구용으로는 탁자, 장롱문의 판 무늬 형성용 또는 전체적인 몸체 문양을 표현하는 직포와 의자 커버가 있고, 건축용으로는 바탕 장식재와 건물 내·외벽재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직물로 이루어진 인테리어용 포지의 경우 의류용 원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이나 사의 조합을 통하여 장식효과를 발휘하고는 있으나 일반적인 직물용 원사를 기본으로 하여 제조하고 사 가공을 통하여 의장사를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평면적이고 섬세한 면에만 치우쳐 있어, 나무 질감을 표현하는 등의 자연스런 질감과 입체감이 매우 열악하여 새로운 소재의 인테리어용 소재의 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필요성에 의해 최근에는 여러 가지 인테리어용 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67554호(장판지용 평직 직포)에는 PVC 장판지의 한 면에 사용되어지는 평직 직포에 있어서, 화섬 방적사로 된 위사와 경사로 구성되며, 상기 위사의 실의 굵기가 16수 이상 25수 이하 단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의 실의 굵기는 16수 이상 25수 이하 단사로 구성되어, 경사 밀도가 인치당 20본 이상 25본 이하로 결합되며, 위사밀도가 밀도가 인치당 20본 이상 25본 이하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직으로 제직된 장판지용 직포가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9335호(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는 (S11)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단사 또는 겹사 구조를 갖는 테이프사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알루미늄 박층이 적층된 통상위사를 준비하여 제1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12)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보강위사를 준비하여 제2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는 단계; (S13)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사의 단사 구조 또는 테이프사의 측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좌우 대접된 겹사 구조를 갖는 복수의 통상경사와 합성섬유 원사로 이루어진 단수의 보강경사가 반복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각각의 경사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S14)상기 제1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통상 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송출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S15)상기 경사에 대해 통상위사를 복수회 직조한 후, 상기 제2 측장장치의 드럼에 감긴 보강위사를 상기 교차 배열된 경사 사이로 소울시킨 후, 각각의 경사를 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시키는 단계; 및 (S16)상기 (S14)단계와 (S15)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직물구조체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에 의한 직물 및 그 구조체들은 다양한 색상의 평면적인 인테리어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풍부한 질감의 입체적인 인테리어용 포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2039호(장식판재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8234호(양면이 다른 색을 갖는 메탈릭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및 그 제직방법)이 있으나, 역시 상기한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6703호(직기용 필름사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에는 드럼에 감긴 직사각형의 필름사를 롤러를 통해 직기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감긴 필름사를 구동롤러를 통해 투입 에어관을 일측에 형성한 투입관으로 투입하고, 상기 투입관 일측에는 저장고의 투입구를 마련하고 저장고의 투입구 내부에는 필름사를 포개어 적재 가능한 유선 적재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배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와 동일선상의 저장고 내부에 필터망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고의 배출구 타측에는 배출 에어관을 일측에 형성한 배출관을 마련하여 저장고에 적재된 필름사를 배출관을 통해 롤러로 공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필름사 공급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장치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필름사를 위사로 사용할 때 그 필름사가 꼬이지 않게 직기로 공급하도록 하는 장치로써, 상기한 저장고의 투입구로 에어를 분사하여 필름사와 같이 저장고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며, 이는 단순히 필름사의 꼬임을 방지하여 평면적인 평편직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 외에는 포의 질감이나 입체감을 가지므로 다양한 용도의 인테리어용 포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평면적 효과에 그치는 인테리어용 직물 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연적 질감과 패션감이 뛰어나면서 독특한 표면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형태의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출성형 가공방식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봉, 관, 필름(Film) 강모 또는 피복(被服), 이형(異形) 등의 형태로 제조된 독특한 소재를 이용하여 장식효과를 극대화하고 입체감을 증진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압출성형 가공방식으로 제조되는 봉(棒), 관(管), 필름(Film) 강모(剛毛) 또는 피복(被服), 이형(異形) 압출 품(이하 ‘플라스틱 끈’이라 칭함) 등의 이른바 플라스틱 끈을 감은 권체(捲體)에 감아 경사로 사용하되 경사본수와 같은 수의 권체를 거는 장치인 크릴(creel)에 꽂아 역직기에 경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경사의 끝을 풀어 가이드 롤러 및 인취실린더를 거쳐 종광 및 바디에 설계된 폭과 밀도로 끼우는 제직 준비 단계;
역직기에서 제직을 위한 위사를 감은 위사 권체를 준비하여 위사 공급 직전에 위사를 가열할 수 있도록 위사가열 수단을 갖추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역직기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로 제직하여 포 권취롤러에 권취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사를 가이드 롤러 및 인취실린더를 거쳐 종광 및 바디에 끼우는 것은 플라스틱 끈으로 되는 경사가 크릴에서 풀려나올 때 장력이 강하여 역직기에서 당길 수 없을 경우 경사를 당겨주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권취 실린더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가열장치를 설치하면 플라스틱 끈을 유연하게 하여 경사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권체로부터 풀려나온 플라스틱 끈이 우레탄이나 실리콘인 경우에는 부드럽고 탄성이 우수하므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플라스틱 끈으로 된 끈은 매우 뻣뻣하여 권체에서 풀려나온 상태로 제직하게 되면 포의 표면이 평활하게 되지 않을 우려와 또 개구가 원활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제직하면서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경사나 위사 모두를 가열함으로써 제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열수단은 경사는 인취 실린더부터 포 가이드 롤러까지 가열하거나 또는 백롤러를 거쳐 종광 직전부터 포 가이드 롤러까지 부분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특히 경사를 인취하는 데는 많은 장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경사를 부드럽게 할 필요가 있어 이때 경사를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인취 롤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전열 또는 열풍에 의한 가열수단을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위사 역시 플라스틱 압출 성형물이기 때문에 뻣뻣하여 고밀도의 제직이 어려우므로 이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는 바디의 폭에 맞추어 위사 공급 헤드로부터 바디의 폭에 대응하도록 부분적인 위사 가열수단을 갖추거나 또는 위사 공급 헤드로부터 권체에 이르기까지 위사 공급 수단 전체를 전열 또는 열풍을 이용한 가열존을 형성하여 가열함으로써 위사를 부드럽게 하여 보다 조밀한 제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직 후에는 포지의 경위사가 교차하는 교착점에서 열융착 처리를 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가공하여 경사와 위사가 포 상태에서 미끄러지거나 서로 빠져나오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용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감은 권체(捲體)를 이용하지 않으면 플라스틱 끈이 굵고 두꺼워 도투마리에 감는 경사의 길이가 매우 짧기 때문에 역직기로 생산하게 되면 도투마리를 자주 바꾸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작업 능률 또한 저하됨으로 도투마리를 역직기에 얹는 대신에 권체를 크릴에 꽂아 권체가 제직량에 직축 량을 더한 길이만큼씩 회전하면서 보다 긴 플라스틱 끈 즉 경사가 풀려나오게 하거나, 모터가 부착되어 개별회전이 가능하여 권체가 회동하면서 풀려나오게 하고, 위사 역시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감은 권체(捲體)를 이용하고, 역직기에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다양한 문양과 형상을 갖는 인테리어용 포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인테리어용 포는 비치 의자용 포지나 햇빛 가리개용 포지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벽지, 블라인드, 롤 커튼, 버티컬 및 바닥재, 사무실 가리개, 내·외벽 장식재, 탁자의 상재, 각종 생활용기 또는 가전용기, 다용도 판재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크릴에 꽂은 권체에서 풀려나오는 경사가 무연인 경우는 권체가 제직 량에 따라 수동으로 권체에서 풀려나오는 형태가 되고, 유연의 경우는 권체가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꼬임을 가하면서 풀려나오는 형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는 비치 의자용 포지나 햇빛 가리개용 포지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벽지, 블라인드, 롤 커튼, 버티컬 및 바닥재, 사무실 가리개, 내·외벽 장식재, 탁자의 상재, 각종 생활용기 또는 가전용기, 다용도 판재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재가 뻣뻣하여 고밀도의 제직이 어려운 압출성형 가공방식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끈을 쉽고 조밀하게 제직할 수 있어 장식효과를 극대화 하고 볼륨감을 증진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경사 공급부의 확대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부분 위사 가열수단을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 위사 가열수단을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부분 경사 가열수단을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경사 공급부의 가열수단을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벽지용 시트를 제조하는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에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가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사 공급부의 확대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부분 위사 가열수단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 위사 가열수단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부분 경사 가열수단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경사 공급부의 가열수단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벽지용 시트를 제조하는 다른 실시 예시도이다.
플라스틱 끈은 의류용 원사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매우 뻣뻣하고, 굵고, 폭이 넓어 일반적인 역직기로는 제직할 수가 없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위사의 준비에서부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제작된 역직기가 필요하며,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장치는 경사용 플라스틱 끈을 감은 실패(이하, 권체(捲體)라 함)를 경사 본수(本數)와 같은 수의 권체(2)를 거는 장치(이하, 크릴(Creel))에 꽂고, 상기 크릴(1)에 꽂은 권체(2)에서 풀려나온 경사(4)용 플라스틱 끈이 가이드(3)와 가이드 롤러(5) 및 인취 실린더(6)를 거쳐 역직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백 롤러(7), 종광(8) 및 바디(9)에 설계된 폭과 밀도로 끼워 경사 준비를 할 수 있는 경사 준비 장치와,
역직기에서 제직을 위한 위사용 플라스틱 끈으로 된 위사(13)를 감은 위사 권체(12)를 준비하여 위사(13)를 공급할 수 있도록 헤드(10)를 설치하고, 위사(13)를 공급할 때에 위사를 가열할 수 있도록 위사가열 수단(11, 14)을 갖추는 위사 공급 준비 장치 및,
상기 준비된 역직기를 이용하여 제직할 때 경사(4)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경사 가열수단(15, 15')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인취 실린더(6)는 많은 장력에 의해 경사(4)의 공급이 어렵게 되므로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부드럽고 원활한 경사공급을 위하여 가열수단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며, 가열수단은 전열이나 스팀 가열 또는 열풍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경사용 플라스틱 끈을 감은 권체(捲體)(2)를 경사 본수(本數)와 같은 수의 권체(2)를 크릴(Creel)(1)에 꽂고, 크릴(1)에 꽂은 권체(2)가 회전하면서 풀려나온 경사용 플라스틱 끈으로 된 경사(4)가 인취 실린더(6)를 거쳐 역직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종광(8) 및 바디(9)에 설계된 폭과 밀도로 끼우는 경사 준비 단계;
역직기에서 제직을 위한 플라스틱 끈으로 된 위사(13)를 감은 위사 권체(12)를 준비하고 상기 위사(13)를 공급하기 위한 헤드(10)와 위사 공급 시에 위사(13)를 가열할 수 있도록 위사가열 수단(11, 14)을 갖추는 위사 공급 준비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역직기를 이용하여 가열에 의하여 부드러워진 경사(4)와 위사(13)로 제직하여 포 가이드 롤러(16)를 거쳐 포 권취롤러(18)에 포(17)를 권취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사용 플라스틱 끈을 감은 권체(捲體)를 이용하는 이유는 플라스틱 끈은 역직기에 얹을 도투마리를 만들기가 매우 어렵고, 플라스틱 끈이 굵고 두꺼워 도투마리에 감는 경사(4)의 길이가 매우 짧기 때문에 역직기로 생산하게 되면 도투마리를 자주 바꾸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작업 능률 또한 저하함으로 도투마리를 역직기에 얹는 대신에 권체(2)를 크릴(1)에 꽂아 권체(2)가 회전하면서 보다 긴 플라스틱 끈(경사 :4)이 풀려나오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경·위사(4, 13)를 가열하는 것은 소재가 뻣뻣하여 고밀도의 제직이 어려운 압출성형 가공방식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끈을 부드럽게 하여 제직이 쉽고 밀도를 조밀하게 제직할 수 있어 장식효과를 극대화 하고 볼륨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경사의 가열은 도 5에서와 같이 백 롤러(7) 이후부터 바디(9)에 의한 바디침 이후까지만 가열할 수 있는 경사 가열수단(15)을 이용할 수도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가이드롤러(5)부터 바디침 이후 포 가이드 롤러(16) 직전까지 가열할 수 있는 경사 가열수단(15')을 이용할 수도 있고, 바디 바로 앞에 전열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더욱 가열수단(15, 15')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가열함으로써 균일한 포를 제직할 수도 있고, 또한 온도와 장력을 변화시키면서 가열함으로써 압출성형 가공방식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끈을 부분적으로 열을 가하고, 연신을 하면 열을 가한 부분의 플라스틱 끈은 늘어나 가늘게 되고, 열을 가하지 않은 부분은 늘어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부분간 굵기가 다른 플라스틱 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불규칙한 굵기의 플라스틱 끈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포하여 굵기 차에 의한 시각적 효과와 다양한 입체감과 자연미를 갖는 인테리어용 포(17)를 제직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폭이 2~7mm 정도로 좁고, 두께가 0.1~1.0mm 정도로 얇은 플라스틱 끈에서 폭 또는 두께가 불규칙하게 제조하고 꼬임을 가하면 폭이 좁거나 얇은 부분에 꼬임이 몰려 꼬임이 가해지지 않은 부분은 그대로 있고, 꼬임이 가해진 부분은 둥글고 가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불규칙한 플라스틱 끈이 제조되며, 이와 같이 제조된 불규칙한 끈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의하여 입체감과 자연미를 갖는 인테리어용 포(17)를 제직할 수 있다.
상기한 장치나 방법으로 제직한 후에는 포지의 경위사가 교차하는 교착점에 열융착 처리를 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가공하여 경사와 위사가 포 상태에서 미끄러지거나 서로 빠져나오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시킴으로 원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사의 가열은 도3에서와 같이 위사(13)가 공급되는 부분만 가열하는 위사 가열수단(11)과 도 4에서와 같이 위사 권체(12)부터 위사(13) 전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14)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위사 공급 부분만 가열하면 위사(13)의 부드러운 부분이 간헐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장식효과와 볼륨감을 증진할 수 있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가 있으며, 위사 전체를 가열하는 수단은 위사(13)가 고르게 부드럽기 때문에 평탄하고 균일한 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많은 에너지의 소모가 따른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원활한 제직을 위하여 제직 전 공정에 가열을 할 수도 있지만, 이는 경·위사를 부분적으로 가열하는 수단과 효과에 큰 차이가 없으며, 많은 에너지만 소모하기 때문에 제품의 단가 상승 요인만 더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중에 제직 후 포 가이드 롤러(16)를 거쳐 권취할 때 하나의 포 가이드 롤러를 이용해 점착시트(20)를 공급하면서 포와 함께 벽지 권체(19)에 권취하면 벽지용 포를 한 공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며, 용도에 따라 편면 점착시트 또는 양면 점착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점착시트의 두께에 따라 벽지의 볼륨감과 쿠션을 다르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바닥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포(17)의 제직이 완료된 후 그 포(17)에 합성수지를 침지하고, 고착 가공을 시행하여 바닥재를 제조하거나, 다만 바닥재 판의 유연성이나 강도나 투명도 등의 용도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을 압착하는 등의 통상의 방법을 따라 행하며, 강화 유리 또는 플라스틱 판 사이에 상기한 포를 넣고 접착하여 투명한 장식용 판을 제조할 수도 있으며, 우레탄이나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탄성소재의 수지 끈을 사용하여 제조된 포의 경우에는 부드러운 탄성수지를 사용하여 판을 제조함으로써 부드러운 탄성체의 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재의 하부에 이면지가 부착된 점착제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의 제조에서 플라스틱 끈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용 포(17)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포의 제조에서 플라스틱 봉, 관, 필름, 강모, 피복, 이형 등의 압출 끈 및 섬유사와 교직 또는 배열 제포하여 인테리어용 포를 제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크릴 2: 권체
3: 경사 가이드 4: 경사
5: 가이드 롤러 6: 인취 실린더
7: 백 롤러 8: 종광
9: 바디 10: 헤드
11: 부분 위사 가열수단 12: 위사 권체
13: 위사 14: 전 위사 가열수단
15, 15': 경사 가열수단 16: 포 가이드
17: 포 18: 포 권체
19: 벽지 권체 20: 점착 시트

Claims (18)

  1.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경사용 플라스틱 끈을 감은 실패(이하, 권체(捲體)라 함)를 경사 본수(本數)와 같은 수의 권체(2)를 거는 장치(이하, 크릴(Creel))에 꽂고, 상기 크릴(1)에 꽂은 권체(2)가 회전하면서 풀려나온 경사(4)용 플라스틱 끈이 가이드(3)와 가이드 롤러(5) 및 인취 실린더(6)를 거쳐 역직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백 롤러(7), 종광(8) 및 바디(9)에 설계된 폭과 밀도로 끼워 경사 준비를 할 수 있는 경사 준비 장치와,
    역직기에서 제직을 위한 위사용 플라스틱 끈으로 된 위사(13)를 감은 위사 권체(12)를 준비하여 위사(13)를 공급할 수 있도록 헤드(10)를 설치하고, 위사(13)를 공급할 때에 위사를 가열할 수 있도록 위사가열 수단(11, 14)을 갖추는 위사 공급 준비 장치 및,
    상기 준비된 역직기를 이용하여 제직할 때 경사(4)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경사 가열장치(15, 15')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인취 실린더(6)는 원활한 경사공급을 위하여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인취 실린더(6)의 가열수단은 전열이나 스팀 또는 열풍가열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장치.
  4. 경사용 플라스틱 끈을 감은 권체(捲體)(2)를 경사 본수(本數)와 같은 수를 권체(2)를 크릴(Creel)(1)에 꽂고, 크릴(1)에 꽂은 권체(2)가 회전하면서 풀려나온 경사용 플라스틱 끈으로 된 경사(4)가 인취 실린더(6)를 거쳐 역직기에 공급되도록 하여 종광(8) 및 바디(9)에 설계된 폭과 밀도로 끼우는 경사 준비 단계;
    역직기에서 제직을 위한 플라스틱 끈으로 된 위사(13)를 감은 위사 권체(12)를 준비하고 상기 위사(13)를 공급하기 위한 헤드(10)와 위사 공급 시에 위사(13)를 가열할 수 있도록 위사가열 수단(11, 14)을 갖추는 위사 공급 준비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역직기를 이용하여 가열에 의하여 부드러워진 경사(4)와 위사(13)로 제직하여 포 가이드 롤러(16)를 거쳐 포 권취롤러(18)에 포를 권취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경사 준비단계에서 경사를 부드럽게 하여 제직을 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경사(4)에 경사 가열수단(15, 15')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경사 가열수단은 백 롤러(7) 이후부터 바디(9)에 의한 바디침 이후까지만 가열할 수 있는 경사 가열수단(15)을 설치하거나 또는 가이드롤러(5)부터 바디침 이후 포 가이드 롤러(16) 직전까지 가열할 수 있는 경사 가열수단(15')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위사의 가열은 위사(13)가 공급되는 부분만 가열하는 위사 가열수단(11)이나 또는 위사 권체(12)부터 위사(13) 전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14) 중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8. 제4항,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위사의 가열수단(11, 14, 15, 15')은 일정한 온도와 장력을 유지하면서 가열함으로써 균일한 포를 제직하거나 또는 온도와 장력을 변화시키면서 가열함으로써 부분 연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체감과 자연미를 갖는 인테리어용 포(17)를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9.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나 방법으로 제직한 후에는 포지의 경위사가 교차하는 교착점에서 열융착 처리를 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가공하여 경사와 위사가 포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착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
  10. 제 9항의 인테리어용 포는 비치 의자용 포지나 햇빛 가리개용 포지로 사용하거나 벽지, 블라인드, 롤 커튼, 버티컬 및 바닥재, 사무실 가리개, 내·외벽 장식재, 탁자의 상재, 각종 생활용기 또는 가전용기, 다용도 판재 중 어느 하나의 용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
  11. 제 4항, 제 5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를 이용하여 벽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직 후 포 가이드 롤러(16)를 거쳐 포(17)를 권취할 때 하나의 포 가이드 롤러를 이용해 점착시트(20)를 공급하면서 포와 함께 벽지 권체(19)에 권취함으로 벽지를 한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터리어용 포를 이용한 벽지의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인테리어용 포(17)는 온도와 장력을 변화시키면서 가열함으로써 압출성형 가공방식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끈을 부분적으로 열을 가하고, 연신을 하여 열을 가한 부분의 플라스틱 끈은 늘어나 가늘게 되고, 열을 가하지 않은 부분은 늘어나지 않은 상태가 되어 부분 간 굵기가 다른 플라스틱 끈을 이용하여 제포하여 굵기 차에 의한 입체감과 자연미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
  13. 제 3항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직한 후에는 포지의 경위사가 교차하는 교착점에서 열융착 처리를 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가공하여 경사와 위사가 포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착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
  14. 제 6항의 방법으로 제직한 후에는 포지의 경위사가 교차하는 교착점에서 열융착 처리를 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가공하여 경사와 위사가 포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착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
  15. 제 7항의 방법으로 제직한 후에는 포지의 경위사가 교차하는 교착점에서 열융착 처리를 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가공하여 경사와 위사가 포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착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
  16. 제 6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포를 이용하여 벽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직후 포 가이드 롤러(16)를 거쳐 포(17)를 권취할 때 하나의 포 가이드 롤러를 이용해 점착시트(20)를 공급하면서 포와 함께 벽지 권체(19)에 권취함으로 벽지를 한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터리어용 포를 이용한 벽지의 제조방법.
  17. 제 8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포를 이용하여 벽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직후 포 가이드 롤러(16)를 거쳐 포(17)를 권취할 때 하나의 포 가이드 롤러를 이용해 점착시트(20)를 공급하면서 포와 함께 벽지 권체(19)에 권취함으로 벽지를 한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터리어용 포를 이용한 벽지의 제조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인테리어용 포(17)는 온도와 장력을 변화시키면서 가열함으로써 압출성형 가공방식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끈을 부분적으로 열을 가하고, 연신을 하여 열을 가한 부분의 플라스틱 끈은 늘어나 가늘게 되고, 열을 가하지 않은 부분은 늘어나지 않은 상태가 되어 부분 간 굵기가 다른 플라스틱 끈을 이용하여 제포하여 굵기 차에 의한 입체감과 자연미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
KR1020120032931A 2012-03-30 2012-03-30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136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931A KR101366157B1 (ko) 2012-03-30 2012-03-30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931A KR101366157B1 (ko) 2012-03-30 2012-03-30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735A KR20130110735A (ko) 2013-10-10
KR101366157B1 true KR101366157B1 (ko) 2014-02-24

Family

ID=4963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931A KR101366157B1 (ko) 2012-03-30 2012-03-30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899B1 (ko) * 2021-10-27 2022-05-18 문용주 섬유 스트랩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6190B2 (ja) * 1994-03-29 1997-08-25 株式会社サン・エム商会 合成樹脂製格子状織物の織成装置
JP2002249984A (ja) 2001-02-23 2002-09-06 Mitsubishi Rayon Co Ltd 補強繊維布帛巻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製造装置
JP2004052132A (ja) 2002-07-17 2004-02-19 Mitsubishi Rayon Co Ltd 強化繊維織物の製造方法
KR20090045436A (ko) * 2007-11-02 2009-05-08 (주)풍전티.티 플라스틱 코팅사 제조방법 및 패션성이 높은 그 직물지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6190B2 (ja) * 1994-03-29 1997-08-25 株式会社サン・エム商会 合成樹脂製格子状織物の織成装置
JP2002249984A (ja) 2001-02-23 2002-09-06 Mitsubishi Rayon Co Ltd 補強繊維布帛巻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製造装置
JP2004052132A (ja) 2002-07-17 2004-02-19 Mitsubishi Rayon Co Ltd 強化繊維織物の製造方法
KR20090045436A (ko) * 2007-11-02 2009-05-08 (주)풍전티.티 플라스틱 코팅사 제조방법 및 패션성이 높은 그 직물지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735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9522A (zh) 一种纬填芯三层结构装饰织物及其生产工艺
KR101606846B1 (ko)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원사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용 직물의 제조방법
US20080096450A1 (en) Allergen barrier fabric
CN101994165A (zh) 一种高强度、环保型的特斯林绞丝
US6716774B2 (en) Knitted fabric for insect screening
CN110359166B (zh) 一种剪绒弹力面料及制作工艺
KR101366157B1 (ko) 플라스틱 압출성형 끈을 이용한 인테리어용 포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N208917437U (zh) 一种纱架式经编间隔网布
WO1994026963A1 (en) Belt used as rope
US3461025A (en) Decorative fiber glass product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20070281158A1 (en) UV and flame resistant textile polymer yarn
CN104562380B (zh) 具有三层立体效果的机织面料及其生产方法
KR20080101964A (ko) 합성수지재인 경사 공급장치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CN101255671A (zh) 一种再生纤维素纤维的环保型墙纸
KR102433196B1 (ko) 어플리케이션 선별용 실,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9655B1 (ko) 문발용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CN1342226A (zh) 一种纺织织物工艺
CN108977979A (zh) 一种马赛克布及其制造工艺
CN210454038U (zh) 一种带有纱层的绣花窗帘布
KR102641317B1 (ko) 천연가죽 방적사를 포함하는 스웨이드 원단
CN100420779C (zh) 一种适于作为装饰贴面的竹布及其制造工艺
CN220517716U (zh) 一种抑菌织带
CN218020583U (zh) 高强度透气梭织面料
CN219727522U (zh) 一种抗撕裂窗帘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