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218B1 -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218B1
KR101945218B1 KR1020170157856A KR20170157856A KR101945218B1 KR 101945218 B1 KR101945218 B1 KR 101945218B1 KR 1020170157856 A KR1020170157856 A KR 1020170157856A KR 20170157856 A KR20170157856 A KR 20170157856A KR 101945218 B1 KR101945218 B1 KR 101945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line
screen
power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17015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woven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는,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창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개폐 가능하게 수용 또는 지지하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설치된 하우징; 및 상기 스크린에 퀼팅(quilting)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발열하는 탄소발열사가 미감연출을 위한 패턴으로 형성된 발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Blind using carbon heat-radiating fiber}
본 발명은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이나 사무실의 창문에는 내부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채광량의 조절을 위해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종래의 블라인드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광투과율을 갖는 하나의 롤 스크린이 하나의 권취봉에 감겨 빛을 차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블라인드는 상부에 고정된 권취봉에 롤 스크린이 감겨 올라가는 구조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블라인드는 태양광을 활용하여 겨울철 실내에 난방장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롤 블라인드에 면상발열체를 도포 또는 부착시키는 태양광 발전을 활용한 롤블라인드 난방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태양광을 활용하여 실내 난방을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지만, 롤블라인드의 스크린이 대부분 직물 재질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스크린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면상발열체를 균일하게 도포하거나 부착하여 효율적인 발열성능을 구현할 수 없기 때문에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에 면상발열체를 도포하여 이 필름을 다시 스크린의 표면에 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2011-0097119호(공고일자 2011.08.3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전도체선을 탄소 성분의 발열제가 감싸며 형성되어 전원 공급을 통해 발열할 수 있는 탄소발열사가 직물 재질의 스크린에 일정한 패턴으로 퀼팅됨으로써, 스크린에 다양한 무늬를 연출하여 심미감이 우수함은 물론, 효과적으로 발열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는,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창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개폐 가능하게 수용 또는 지지하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설치된 하우징; 및 상기 스크린에 퀼팅(quilting)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발열하는 탄소발열사가 미감연출을 위한 패턴으로 형성된 발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크린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필름 형태의 솔라셀(solar cell)이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솔라셀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부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탄소발열사는 상기 전원부 또는 축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발열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전원부 또는 축전부로부터 상기 발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발열부 및 솔라셀이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탄소발열사는, 상기 전원부 또는 축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양극과 음극의 전류가 각각 흐르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 1 전도체선과 제 2 전도체선; 상기 제 1 전도체선과 제 2 전도체선의 주변부를 감싸며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도체선 및 제 2 전도체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양극과 음극의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의 표면에 코팅 형성되며, 절연 재질로 마련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전도체선과 제 2 전도체선은 알루미늄선 또는 니크롬선으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상기 발열층은, 상기 제 1 전도체선과 제 2 전도체선을 통해 발열할 수 있도록 탄소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열제; 및 상기 제 1 전도체선과 제 2 전도체선의 주변부를 감싸며 형성될 때에 그 성형성 및 유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마련되는 성형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절연층은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전도체선을 탄소 성분의 발열제가 감싸며 형성되어 전원 공급을 통해 발열할 수 있는 탄소발열사가 직물 재질의 스크린에 일정한 패턴으로 퀼팅됨으로써 스크린에 다양한 무늬를 연출하여 심미감이 우수함은 물론, 효과적으로 발열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의 발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의 탄소발열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의 발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의 탄소발열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10)에 대해 설명하면,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10)는 스크린(100), 하우징(200) 및 발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100)은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상승 및 하강(승강)이 가능하면서 창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크린(100)은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창을 통해 들어오는 태양광의 투과량을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지는 직물(원단)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10)가 설치된 구성이다.
여기서, 전원부(21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우징(200)에 내장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크린(100)은 상기 하우징(200)에 감기면서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하우징(200)으로부터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는 승강(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롤스크린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창을 통해 들어오는 태양광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린(100)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기 위한 필름 형태의 솔라셀(400)(solar cell)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200)에는 솔라셀(400)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할 수 있도록 축전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축전부(220)는 전원부(210)와 마찬가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우징(200)에 내장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3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00)에 퀼팅(quilting)되어 상기 전원부(210) 또는 축전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탄소발열사(310)가 미감연출을 위한 패턴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200)에는 상기 전원부(210) 또는 축전부(220)로부터 상기 발열부(3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30)가 내장 설치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230)는 전원부(210)로부터 발열부(300)에 전력이 공급될 경우, 축전부(220)로부터 발열부(30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킨다. 또한, 컨트롤러(230)는 전원부(210)를 통해 발열부(300)로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축전부(220)로부터 발열부(300)로 전력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발열부(300)는 컨트롤러(230)를 통해 평상시에 축전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발열이 이루어지며, 축전부(220)에 축전된 전력이 부족할 경우에도, 전원부(21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발열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스크린(1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부(300) 및 솔라셀(400)이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100)이 하강되어 있을 경우, 솔라셀(400)을 통해서 태양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됨에 따라 축전부(220)에서 전기에너지의 축전이 이루어지면서, 발열부(300)를 통한 발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탄소발열사(310)는 퀼팅 장비를 이용하여 실시하기에 따라 스크린(100)에 다양한 패턴으로 퀼팅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210) 또는 축전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발열할 수 있도록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도체선(311), 제 2 전도체선(312), 발열층(313) 및 절연층(3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은 상기 전원부(210) 또는 축전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양극과 음극의 전류가 각각 흐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발열층(313)의 내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전도체선(311)은 양극의 전류가 흐르도록 마련되며, 제 2 전도체선(312)은 음극의 전류가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은 전류가 잘 흐르도록 니켈과 크롬의 합금선인 니크롬선 또는 알루미늄선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층(313)은 상기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의 주변부를 감싸며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도체선(311) 및 제 2 전도체선(312)으로부터 전달되는 양극과 음극의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구성이다.
즉, 발열층(313)에는 제 1 중공(H1) 및 제 2 중공(H2)이 형성되어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 각각 삽입되어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의 주변부를 모두 감싸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발열층(313)은 전류가 흐르는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의 주변부를 모두 감싸면서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발열층(313)은 일정한 저항을 가지는 저항체로 마련되어 전기 저항으로 발열이 될 수 있으며, 발열제(314) 및 성형제(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제(314)는 상기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을 통한 전기 저항에 의해 발열할 수 있도록 탄소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성형제(315)는 상기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의 주변부를 감싸며 형성될 때에 그 성형성 및 유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성형제(315)는 일정 온도에서 용융되어 발열제(314)와 융합 또는 중합될 수 있으며, 상온에서 일정한 강도를 발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일정한 인장력을 가하더라도 끊어지지 않고, 외력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층(313) 내의 제 1 전도체선(311)과 제 2 전도체선(312) 역시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연층(316)은 상기 발열층(313)의 표면에 코팅 형성되는 구성으로, 절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316)은 상기 발열층(313), 제 1 전도체선(311) 및 제 2 전도체선(31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면서, 절연성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10)는 미감연출을 위한 패턴을 가지는 탄소발열사(310)가 스크린(100)에 퀼팅되어 마련되기 때문에 실시하기에 따라 스크린(100)에 다양한 무늬를 연출할 수 있어 블라인드로서 심미감이 우수함은 물론, 뛰어난 발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100 : 스크린 200 : 하우징
210 : 전원부 220 : 축전부
230 : 컨트롤러
300 : 발열부 310 : 탄소발열사
311 : 제 1 전도체선 312 : 제 2 전도체선
313 : 발열층 314 : 발열제
315 : 성형제 316 : 절연층
400 : 솔라셀
H1 : 제 1 중공 H2 : 제 2 중공

Claims (8)

  1.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창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개폐 가능하게 수용 또는 지지하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설치된 하우징; 및
    상기 스크린에 퀼팅(quilting)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발열하는 탄소발열사가 미감연출을 위한 패턴으로 형성된 발열부;
    상기 스크린에 필름 형태로 마련되어 수집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solar cell);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솔라셀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시키는 축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발열사는 전원부 또는 축전부에서 공급되는 양극과 음극의 전류가 각각 흐르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 1,2전도체선과 상기 제 1,2전도체선의 주변부를 감싸서 상기 제 1,2전도체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양극과 음극의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의 표면에 코팅되는 절연 재질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 및 솔라셀은 스크린에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며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전원부 또는 축전부로부터 상기 발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체선과 제 2 전도체선은 알루미늄선 또는 니크롬선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제 1 전도체선과 제 2 전도체선을 통해 발열할 수 있도록 탄소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열제; 및
    상기 제 1 전도체선과 제 2 전도체선의 주변부를 감싸며 형성될 때에 그 성형성 및 유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마련되는 성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20170157856A 2017-11-24 2017-11-24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1945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856A KR101945218B1 (ko) 2017-11-24 2017-11-24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856A KR101945218B1 (ko) 2017-11-24 2017-11-24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218B1 true KR101945218B1 (ko) 2019-02-07

Family

ID=6536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856A KR101945218B1 (ko) 2017-11-24 2017-11-24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82B1 (ko) * 2019-05-21 2020-02-26 주식회사 나들 발열 블라인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458B1 (ko) * 2012-09-28 2014-02-19 주식회사 유엠에스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458B1 (ko) * 2012-09-28 2014-02-19 주식회사 유엠에스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82B1 (ko) * 2019-05-21 2020-02-26 주식회사 나들 발열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218B1 (ko) 탄소발열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US201902504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integrated power source
US10087680B1 (en) Battery-powered window covering
KR20210056166A (ko) 탄소 온열매트
US20180291676A1 (en) Window Covering with Hybrid Shade-Battery
JP2019522888A (ja) 発熱体
CN108915184A (zh) 一种电加热墙纸
ES2664815T3 (es) Procedimiento para crear un solapamiento por soldadura de láminas
KR101604379B1 (ko) 면상 발열체가 구비된 창문형 블라인드
CN214007031U (zh) 窗帘以及智能窗帘系统
CN206100485U (zh) 硅胶碳纤维发热线
JP2010169319A (ja) 携帯暖房装置
CN113585947A (zh) 一种新型太阳能窗帘
KR20180044549A (ko) 의료용 복사열 매트
CN210727397U (zh) 一种组合型枕头
KR100739835B1 (ko) 침구류용 발열선
KR200320681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보온주머니
KR200308911Y1 (ko) 난방겸용 액자
CN110504736A (zh) 光伏充电器、光伏充电器的生产方法和光伏充电器的用途
KR20200071474A (ko) 히팅 케이블
CN208689995U (zh) 一种室外光电混合线缆
JP2013159048A (ja) インパルス式ヒートシーラー
CN209472773U (zh) 一种电热板
CN209757371U (zh) 一种具有调温功能的自行车折叠车把
KR200240309Y1 (ko) 온실용 열선내장 보온커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