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223B1 - 발열 롤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발열 롤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223B1
KR102393223B1 KR1020190145622A KR20190145622A KR102393223B1 KR 102393223 B1 KR102393223 B1 KR 102393223B1 KR 1020190145622 A KR1020190145622 A KR 1020190145622A KR 20190145622 A KR20190145622 A KR 20190145622A KR 102393223 B1 KR102393223 B1 KR 10239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ollow rod
case
wir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316A (ko
Inventor
김원경
류재국
석재수
민병일
김숭휘
Original Assignee
(주) 아산디씨티
주식회사에이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산디씨티, 주식회사에이씨디 filed Critical (주) 아산디씨티
Priority to KR102019014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2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2Apparatus for binding bouquets or wre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는 도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 스크린; 상기 발열 스크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 스크린을 권취하며, 상기 도선이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중공 로드; 상기 중공 로드의 단부에 배치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중공 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전선이 결합되는 고정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도선이 결합되는 회전부는 상기 중공 로드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대회전되는 슬립링; 상기 연결 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캡모듈; 및 상기 캡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열 롤블라인드{roll blind capable of generating heat}
본 발명은 발열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인테리어를 유지하면서 보조 난방 기능을 갖는 발열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롤블라인드는 창문에 설치되어 상부의 로드에 천을 감기거나 풀리게 하여 차양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기존 롤블라인드는 이렇게 해를 가리거나 실내를 이부에 노출시키지 않는 용도로 사용되며, 천에 그림이나 무늬 등을 부여하여 인테리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롤블라인드는 최근에 천의 원단에 발열 섬유를 첨가하여 발열 원단으로 제직하여 보조 난방 장치로서도 일부 활용되고 있다. 특히, 통유리 또는 통창으로 되어 있는 거실이나 방의 경우, 겨울철의 열전도가 발생하여 찬공기가 발생하며, 이 찬공기가 실내에서 대류되어 실내에 외풍이 발생되는데, 발열 기능이 있는 롤블라인드를 통유리 또는 통창에 설치하게 되면 찬공기의 발생이 적어져 외풍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발열 기능을 갖는 롤블라인드는 발열 원단에 전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전원 공급장치가 발열 원단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발열 원단의 상부는 로드에 결합되어 로드를 따라 감기고 펴지므로 전원 공급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워, 발열 원단의 하부에 전원 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에 전원 공급장치가 구비된 롤블라인드는 롤블라인드의 하부에 전원 공급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장치를 실내 콘센트에 연결시키는 전기선도 실내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에 노출된 전원 공급장치 및 전기선이 인테리어를 훼손하며, 발열 원단이 로드에 감기거나 풀릴 때에도 발열 원단과 함께 승하강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된다.
그러므로, 롤블라인드의 본래 기능인 인테리어를 유지하면서 보조 난방 기능을 갖는 발열 롤블라인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테리어를 유지하면서 보조 난방 기능을 갖는 발열 롤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는 도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 스크린; 상기 발열 스크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 스크린을 권취하며, 상기 도선이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중공 로드; 상기 중공 로드의 단부에 배치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중공 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전선이 결합되는 고정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도선이 결합되는 회전부는 상기 중공 로드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대회전되는 슬립링; 상기 연결 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캡모듈; 및 상기 캡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열 스크린은 몸체를 형성하는 직물부; 및 상기 직물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소섬유; 를 포함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탄소섬유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중공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 로드와 함께 회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도선이 결합되고, 전기가 연통되는 브러쉬가 구비되는 브러쉬 블록;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케이스에 상대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에 상대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에 접촉되어 상기 브러쉬와 전기가 연통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전선이 구비되며, 상기 캡모듈에 결합되는 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모듈은,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관통홈이 형성된 캡바디; 상기 캡바디 내부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ㄱ"자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감겨지는 리브; 및 상기 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이 결합되는 제어기판; 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열 롤블라인드에 따르면, 발열 스크린(1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되므로, 창호(C)를 통해 발생하는 외풍을 저감시켜 보조 난방 기능을 갖을 수 있다.
또한, 발열 스크린(10)의 상부에 구비된 중공 로드(30)에 슬립링(60)이 구비되고, 슬립링(60)에 결합된 도선(11)을 통해 전원을 발열 스크린(10)으로 공급하여, 전원 공급부(40) 및 전기선(E)을 발열 스크린(10)의 하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상부에 위치되게 하며, 발열 스크린(10)의 권취 또는 인출 시 슬립링(60)에 의해 도선(11)이 꼬이지 않게 되고, 인테리어를 훼손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크린(1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가 창호에 설치된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6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크린(1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가 창호에 설치된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롤블라인드는 도선(11)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 스크린(10), 발열 스크린(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발열 스크린(10)을 권취하며, 도선(11)이 관통되는 중공(h)이 형성된 중공 로드(30), 중공 로드(30)의 단부에 배치되는 연결 브라켓(70), 연결 브라켓(70)과 중공 로드(30) 사이에 구비되어, 전선(80)이 결합되는 고정부(66)는 연결 브라켓(70)에 결합되며, 도선(11)이 결합되는 회전부(61)는 중공 로드(30)와 함께 회전되고 고정부(66)에 상대회전되는 슬립링(60), 연결 브라켓(70)에 구비되어 고정부(66)에 결합되는 캡모듈(50), 및 캡모듈(50)에 구비되어 전선(8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0)를 포함한다.
발열 스크린(10)은 섬유로 제직(製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열 스크린(10)은 전기가 연통되는 도선(11)이 구비될 수 있다. 발열 스크린(10)은 도선(11)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크린(10)은 몸체를 형성하는 직물부(13), 및 직물부(13)의 폭방향(W)으로 배치되는 탄소섬유(17)를 포함한다.
직물부(13)는 발열 스크린(10)의 몸체를 형성한다. 직물부(13)는 섬유로 제직(製織)될 수 있다. 직물부(13)는 위사(15) 및 경사(16)로 직조되어 사각형 형태로 제직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물부(13)의 단변을 폭방향(W)으로 정의하고, 직물부(13)의 장변을 길이방향(L)으로 정의한다.
탄소섬유(17)는 직물부(13)의 폭방향(W)으로 배치된다. 탄소섬유(17)는 위사(15)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소섬유(17)는 직물부(13)를 폭방향(W)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탄소섬유(17)는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선(11)은 직물부(13)의 길이방향(L)으로 배치된다. 도선(11)은 경사(16)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있다. 도선(11)은 폭방향(W)을 기준으로 직물부(13)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선(11)의 일측은 직물부(13)로부터 돌출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것과 같이, 직물부(13)에서 돌출된 도선(11)은 중공 로드(30)를 관통하여 슬립링(60)에 연결된다.
도선(11)은 탄소섬유(17)의 양측에 결합된다. 이 경우, 도선(11)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탄소섬유(17)로 전원이 공급되어 탄소섬유(17)가 발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 스크린(10)이 발열된다.
프레임(20)은 창호(C)의 인접주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창이나 문을 가리킨다. 전원 공급부(40)는 건물에 구비된 실내 콘센트(T)에 결합된다. 프레임(20)은 도 5와 같이 창호(C)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외관을 형성한다. 프레임(20)은 폭방향(W)으로 길게 형성된다. 프레임(20)은 건물에 결합되어 발열 롤블라인드를 고정한다. 프레임(20)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연결 브라켓(70)이 구비될 수 있다.
중공 로드(30)는 프레임(20)에 수평하게 구비된다. 중공 로드(3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축은 중공 로드(30)의 회전축이다
중공 로드(30)는 발열 스크린(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중공 로드(30)에는 발열 스크린(10)이 결합된다. 이 경우, 중공 로드(30)에는 발열 스크린(10)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홈(31)이 중공 로드(30)의 길이방향(L)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중공 로드(30)에는 발열 스크린(10)이 권취된다(winding). 중공 로드(30)가 회전 시 발열 스크린(10)은 중공 로드(30)에 권취(winding) 또는 인출된다(rewinding).
중공 로드(30)에는 도선홈(33)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도선홈(33)에는 도선(11)이 인입된다. 중공 로드(30)에는 중공(h)(hollow)이 형성된다. 중공 로드(30)의 양측 단부는 개구되게 형성된다.
중공(h)에는 도선(11)이 관통된다. 이 경우, 도선(11)은 중공 로드(30)의 도선홈(33)에 인입된 후 중공(h)을 관통하여 중공 로드(30)의 개구된 일측 단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70)은 프레임(20)에 구비된다. 연결 브라켓(70)은 프레임(2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70)은 중공 로드(30)의 일측 단부 및/또는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 로드(30)는 연결 브라켓(70)에 대하여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슬립링(60)은 연결 브라켓(70)과 중공 로드(30)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60)은 고정부(66) 및 회전부(61)를 포함하며, 전선(80)이 결합되는 고정부(66)는 연결 브라켓(70)에 결합되며, 도선(11)이 결합되는 회전부(61)는 중공 로드(30)와 함께 회전되고 고정부(66)에 상대회전된다.
고정부(66)는 연결 브라켓(70)에 결합된다. 고정부(66)는 연결 브라켓(70)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66)는 후술하는 중공 로드(30)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고 정위치된다. 고정부(66)에는 전선(80)이 결합된다. 전선(80)은 후술하는 전원 공급부(4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회전부(61)는 중공 로드(30)에 결합된다. 회전부(61)는 중공 로드(30)와 함께 회전된다. 회전부(61)에는 도선(11)이 결합된다. 이 경우, 중공 로드(30)의 일측 단부로 배출된 도선(11)은 회전부(61)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61)는 고정부(66)에 상대회전된다. 이 경우, 중공 로드(30)가 회전 시 고정부(66)는 정위치되고, 회전부(61)는 고정부(66)에 상대회전된다.
이에 따라, 중공 로드(30)가 회전 시 회전부(61)도 함께 회전되며, 도선(11)도 회전부(61)와 함께 회전된다. 이 경우, 중공 로드(30)가 회전되어도, 도선(11)이 함께 회전되어 도선(11)이 꼬이지 않게 된다.
고정부(66)와 회전부(61)는 전기가 연통된다. 전선(80)에 공급된 전원은 고정부(66)를 통해 회전부(61)로 공급되며, 최종적으로 도선(11)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은 슬립링(60)을 통해 도선(11)에 공급될 수 있다.
캡모듈(50)은 연결 브라켓(70)에 구비된다. 캡모듈(50)은 연결 브라켓(7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66)는 연결 브라켓(70)은 관통하여, 캡모듈(50)에 결합된다.
캡모듈(50)에는 전원 공급부(40)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40)는 전선(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40)는 실내 콘센트(T)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40)는 전기선(E)으로 실내 콘센트(T)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반적인 롤블라인드는 로드가 발열 원단을 권취하거나 인출시키기 위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므로, 로드에 전원 공급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발열 원단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선이 꼬이게 되어 도선의파손 및 도선과 전원 공급장치 간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롤블라인드는 발열 원단의 상부에 구비된 로드에 전원 공급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워, 발열 원단의 하부에 전원 공급장치를 설치한다. 이 경우, 전원 공급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장치를 실내 콘센트(T)에 연결시키는 전기선(E)도 실내에 노출되어 있어, 인테리어를 훼손하게 된다.
특히, 발열 원단을 로드에 귄취 또는 인출 시 실내에 노출된 전기선(E)이 전원 공급장치를 따라 승하강되므로, 미관을 상당히 해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열 롤블라인드는 발열 스크린(10)의 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설치하여 전기선(E)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인테리어의 훼손을 방지하고, 발열 스크린(10)의 권취 또는 인출 시 도선(11)이 꼬이지 않게 한다.
즉, 발열 스크린(10)의 상부에 구비된 중공 로드(30)에 슬립링(60)이 구비되고, 슬립링(60)에 결합된 도선(11)을 통해 전원을 발열 스크린(10)으로 공급하여, 전원 공급부(40) 및 전기선(E)을 발열 스크린(10)의 하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상부에 위치되게 하며, 발열 스크린(10)의 권취 또는 인출 시 슬립링(60)에 의해 도선(11)이 꼬이지 않게 한다.
다시 말해서, 발열 스크린(10)의 권취 또는 인출을 위해 중공 로드(30)가 회전되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부(66)에 전기가 연통된 회전부(61)가 고정부(66)에 대해 상대회전되므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회전부(61)가 도선(11) 및 중공 로드(30)와 함께 회전되어, 도선(11)이 꼬이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40)에서 연장된 전기선(E)은 발열 스크린(10)의 권취 또는 인출과 무관하게 도 5와 같이 발열 스크린(10)의 상부에 일정한 길이로 유지되어, 인테리어를 훼손하지 않게 된다.
특히, 도 5와 같이 실내 콘센트(T)가 창호(C)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 전원 공급부(40)에서 연장된 전기선(E)이 창호(C)의 상부에 설치된 실내 콘센트(T)에 결합되므로, 전기선(E)의 노출이 최소한으로 되어 인테리어를 훼손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발열 스크린(1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되므로, 창호(C)를 통해 발생하는 외풍을 저감시켜 보조 난방 기능을 갖을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6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61)는 중공 로드(30)에 결합되어 중공 로드(30)와 함께 회전되는 케이스(62), 케이스(62)에 고정 구비되며 도선(11)이 결합되고 전기가 연통되는 브러쉬(64)가 구비되는 브러쉬 블록(63), 및 케이스(62)에 구비되고 고정부(66)를 케이스(62)에 상대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65a, 65b)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6)는 케이스(62)에 상대회전되게 구비되며 브러쉬(64)에 접촉되어 브러쉬(64)와 전기가 연통되는 샤프트(67), 및 샤프트(67)에 구비되고 전선(80)이 구비되며 캡모듈(50)에 결합되는 연결부(68)를 포함한다.
케이스(62)는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62)는 중공 로드(30)에 결합된다. 케이스(62)는 중공 로드(30)의 개구된 일측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62)는 중공 로드(30)에 결합되어, 중공 로드(30)와 함께 회전된다.
브러쉬 블록(63)은 케이스(62)에 구비된다. 브러쉬 블록(63)은 케이스(62)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브러쉬 블록(63)에는 도선(11)이 결합된다. 브러쉬 블록(63)은 도선(11)과 전기가 연통된다.
브러쉬 블록(63)에는 브러쉬(64)가 구비된다. 브러쉬(64)는 브러쉬 블록(63)과 전기가 연통된다. 브러쉬(64)는 후술하는 고정부(66)와 전기가 연통된다. 브러쉬 블록(63)에는 하나 이상의 브러쉬(64)가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65a, 65b)은 케이스(62)에 구비된다. 베어링(65a, 65b)은 고정부(66)를 지지한다. 이 경우, 베어링(65a, 65b)은 고정부(66)가 케이스(62)에 상대회전되도록 지지한다. 베어링(65a, 65b)은 복수개 구비되어, 고정부(66)를 복수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샤프트(67)는 케이스(62)에 구비된다. 샤프트(67)는 케이스(62)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67)는 케이스(62)에 상대회전된다. 이 경우, 케이스(62)가 회전 시 샤프트는 정위치된다.
샤프트(67)는 케이스(62)에 상대회전되도록 베어링(65a, 65b)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67)는 일측이 제1베어링(65a)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제2베어링(65b)에 지지되어, 샤프트(67)가 케이스(62)에 상대회전되게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67)는 브러쉬(64)에 접촉된다. 브러쉬(64)는 샤프트(67)가 케이스(62)에 상대회전 시에도 샤프트(67)와 접촉된다. 샤프트(67)는 브러쉬(64)와 전기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67)에 공급된 전원은 샤프트(67)가 케이스(62)에 상대회전시에도 브러쉬(64)를 통해 브러쉬 블록(63)을 거쳐 도선(11)으로 공급된다.
연결부(68)는 샤프트(67)에 구비된다. 연결부(68)는 샤프트(67)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연결부(68)는 샤프트(67)와 전기가 연통된다. 연결부(68)에는 전선(80)이 구비된다. 전선(80)은 전원 공급부(40)에 연결된다. 연결부(68)는 캡모듈(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67)가 케이스(62)에 상대회전시에도 전선(80)으로 공급된 전원이 연결부(68), 샤프트(67), 브러쉬(64), 브러쉬 블록(63)을 거쳐 도선(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모듈(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모듈(50)은 연결부(68)가 결합되는 관통홈(54)이 형성된 캡바디(51), 캡바디(51) 내부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ㄱ”자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전선(80)이 감겨지는 리브(53), 및 캡바디(51)에 구비되어, 전선(80)이 결합되는 제어기판(55)을 포함한다.
캡바디(51)는 외관을 형성한다. 캡바디(51)에는 관통홈(54)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관통홈(54)에는 연결부(68)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리브(53)는 캡바디(51) 내부에 구비된다. 리브(53)는 돌출되게 구비된다. 리브(53)는 "ㄱ"자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브(53)의 외면에는 전선(80)이 감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캡바디(51)의 내부에서 전선(80)이 리브(53)에 감겨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판(55)은 캡바디(51)에 구비된다. 이 경우, 제어기판(55)은 캡바디(51)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부(57)에 고정될 수 있다. 제어기판(55)은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제어기판(55)의 일측에는 전선(80)이 결합된다. 제어기판(55)의 또 다른 일측에는 전원 공급부(4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실내 콘센트(T)에서 공급된 전원이 제어기판(55)을 통해 전선(8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발열 스크린 20 : 프레임
30 : 중공 로드 40 : 전원 공급부

Claims (5)

  1. 도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 스크린; 상기 발열 스크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 스크린을 권취하며, 상기 도선이 인입되는 도선홈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선이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중공 로드;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중공 로드의 단부에 배치되는 연결 브라켓; 전선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중공 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도선이 결합되며, 상기 중공 로드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대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캡모듈; 및 상기 캡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중공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 로드와 함께 회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도선이 결합되고, 전기가 연통되는 브러쉬가 구비되는 브러쉬 블록;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케이스에 상대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에 상대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에 접촉되어 상기 브러쉬와 전기가 연통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전선이 구비되며, 상기 캡모듈에 결합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캡모듈은,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관통홈이 형성된 캡바디; 상기 캡바디 내부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ㄱ"자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외면에 상기 전선이 감겨지는 리브; 및 상기 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이 결합되는 제어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중공 로드의 상기 도선홈에 인입된 후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 로드의 개구된 일측 단부로 배출되어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발열 롤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스크린은,
    몸체를 형성하는 직물부; 및
    상기 직물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소섬유; 를 포함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탄소섬유의 양측에 결합되는 발열 롤블라인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45622A 2019-11-14 2019-11-14 발열 롤블라인드 KR10239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22A KR102393223B1 (ko) 2019-11-14 2019-11-14 발열 롤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22A KR102393223B1 (ko) 2019-11-14 2019-11-14 발열 롤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316A KR20210058316A (ko) 2021-05-24
KR102393223B1 true KR102393223B1 (ko) 2022-05-02

Family

ID=7615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622A KR102393223B1 (ko) 2019-11-14 2019-11-14 발열 롤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2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89Y1 (ko) * 2006-05-30 2006-08-08 강제원 슬립링
KR101363458B1 (ko) * 2012-09-28 2014-02-19 주식회사 유엠에스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KR101525449B1 (ko) * 2013-12-04 2015-06-03 이상미 냉난방 커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256A (ko) * 2004-07-01 2006-01-09 유근호 다기능 전동 롤 스크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89Y1 (ko) * 2006-05-30 2006-08-08 강제원 슬립링
KR101363458B1 (ko) * 2012-09-28 2014-02-19 주식회사 유엠에스 롤 스크린용 발열 원단,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 롤 스크린
KR101525449B1 (ko) * 2013-12-04 2015-06-03 이상미 냉난방 커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316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1528U (ja) 電動ロールスクリーン省エネ補助装置
KR20180000898A (ko)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KR20090055464A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KR101380233B1 (ko) 전동 롤 블라인드
US10087680B1 (en) Battery-powered window covering
KR102393223B1 (ko) 발열 롤블라인드
KR100905803B1 (ko)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PL360870A1 (pl) Urządzenie do zasłaniania
EP3656965B1 (en) Fabric sunblind system for curtain wall constructions
KR101315272B1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US10273747B2 (en) Window covering with hybrid shade-battery
KR101604379B1 (ko) 면상 발열체가 구비된 창문형 블라인드
KR101896736B1 (ko) 결로방지 롤 블라인드 창호 시스템
CN207245495U (zh) 一种外遮阳一体化窗
JP2001090451A (ja) 採光調節装置
KR20180115197A (ko) 출몰식 난방장치
KR101055218B1 (ko) 다기능 블라인드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20150101188A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동식 블라인드
KR20170087709A (ko) 풍력발전 기능을 갖는 온열 블라인드 장치
IT201800020488A1 (it)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il controllo di una installazione di copertura avvolgibile
CN114224158B (zh) 一种多功能窗帘
KR102368763B1 (ko)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CN209817893U (zh) 一种建筑用的带有外遮阳卷帘的节能窗
CN115832891B (zh) 一种防咬的中压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