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995B1 -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995B1
KR101362995B1 KR1020130144884A KR20130144884A KR101362995B1 KR 101362995 B1 KR101362995 B1 KR 101362995B1 KR 1020130144884 A KR1020130144884 A KR 1020130144884A KR 20130144884 A KR20130144884 A KR 20130144884A KR 101362995 B1 KR101362995 B1 KR 10136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hinge
open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김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진 filed Critical 김수진
Priority to KR102013014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을 담은 봉안함을 수납하는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자형 봉안단의 개구된 전방에 내외부문짝을 이중으로 설치하되, 문틀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내부문짝의 양측을 내부문짝홀더로서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면서도 봉안단본체에 대한 우수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하고, 외부문짝은 90도로 열린 상태에서는 고정힌지의 힌지돌출부에 가동힌지의 받침부가 1차로 받쳐져 걸림과 아울러, 외부문짝의 내측 하단부가 문틀의 하부돌출부에 2차로 걸리게 되어 90도로 열려진 외부문짝이 하측으로 꺽이거나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사각상자형으로 형성되며 전방 외측에 전면테(11)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봉안단본체(10)와, 봉안단본체(10)의 개구된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문짝(30)과, 내부문짝(30) 외측의 봉안단본체(10) 전방에 가동힌지(47) 및 고정힌지(24)에 의해 홈바도어 형태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외부문짝(40)을 포함하는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안단본체(10)의 전방측 돌출단부(13)에 패킹(12)이 끼움 설치되고,
패킹(12)이 끼워진 돌출단부(13) 외측에는 상하부에 상하부돌출부(21,22)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90도로 구부려지며 구부려지는 단부에 걸림부(23a)를 구비한 내부문짝홀더(2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사각테형의 문틀(20)이 전면테(11)의 전면에 나사에 의해 설치되고,
봉안단본체(10)의 전방에는 유리창(32)이 설치된 사각테형의 프레임(31) 내측변 후방에 봉안단본체(10)의 내측으로 끼움되는 끼움부(33)가 후방으로 돌출된 내부문짝(30)을 설치하되, 이 내부문짝(30)의 프레임(31) 후면이 패킹(12)과 문틀(2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프레임(31)의 양측 수직부를 양측 내부문짝홀더(23)가 감싼 뒤에 걸림부(23a)에 걸리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힌지(24)는 문틀(20)의 전면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문틀(20)에 나사로 설치되는 설치부(27)의 하단부 외측에 힌지핀(25)이 수평 설치된 힌지돌출부(26)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동힌지(47)는 외부문짝(40)의 후면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핀(25)이 끼움되는 힌지구멍(45)을 형성한 수직부(47a)의 내외측 하부에 외부문짝(40)에 나사로 설치되는 설치부(46)와, 고정힌지(24)의 힌지돌출부(26) 하단수평부가 걸리는 받침부(44)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hermetic type charnel case}
본 발명은 유골을 담은 봉안함을 수납하는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자형 봉안단의 개구된 전방에 내외부문짝을 이중으로 설치하되, 문틀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내부문짝의 양측을 내부문짝홀더로서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면서도 봉안단본체에 대한 우수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하고, 외부문짝은 90도로 열린 상태에서는 고정힌지의 힌지돌출부에 가동힌지의 받침부가 1차로 받쳐져 걸림과 아울러, 외부문짝의 내측 하단부가 문틀의 하부돌출부에 2차로 걸리게 되어 90도로 열려진 외부문짝이 하측으로 꺽이거나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발명은 특허등록 제10-1184682호(발명의 명칭 :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로 등록되어 특허공보에 의해 그 기술내용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개구면을 갖고 후면이 막힌 라이너함몸체와, 상기 라이너함몸체의 전,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전, 후면프레임이 형성된 라이너함을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하여 상하 좌우로 인접되게 적층 조립하여 봉안단을 구성하도록 된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면에는 개구면을 개폐하는 속뚜껑과 이 속뚜껑의 외측을 커버하는 마감덮개를 이중으로 배치할 수 있는 도어프레임이 전면프레임의 사방 테두리면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밀착 대응되게 장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속뚜껑을 제1잠금수단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고정도어프레임과, 상기 고정도어프레임의 전면에 대향 배치되어 마감덮개를 장착하는 외곽틀 기능을 가지면서 홈바도어 형태로 수평지게 힌지 회동됨에 따라 개방되는 회동도어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도어프레임과 회동도어프레임이 서로 맞닿는 양측면 하단부에는 단차면 형태로 힌지장착부가 형성되고, 이 힌지장착부에 힌지 회동을 위한 힌지회동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도어프레임과 회동도어프레임의 상단변에는 상호 끼움 삽입에 의한 체결을 통해 개폐 가능한 끼움편과 고정블록이 각각 대향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라이너함(수납함)의 개구면에 속뚜껑과 마감덮개가 이중구조로 배치될 수 있도록 구현함과 동시에, 외측의 마감덮개가 홈바도어 형태로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점에서는 본 발명과 공통점이 있으나, 본 발명과 종래발명은 전체적으로 그들의 구성이 상이하고, 종래발명은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 제10-1184682호(발명의 명칭 :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자형 봉안단의 개구된 전방에 내외부문짝을 이중으로 설치하되, 문틀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내부문짝의 양측을 내부문짝홀더로서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면서도 봉안단본체에 대한 우수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하고, 외부문짝은 90도로 열린 상태에서는 고정힌지의 힌지돌출부에 가동힌지의 받침부가 1차로 받쳐져 걸림과 아울러, 외부문짝의 내측 하단부가 문틀의 하부돌출부에 2차로 걸리게 되어 90도로 열려진 외부문짝이 하측으로 꺽이거나 처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사각상자형으로 형성되며 전방 외측에 전면테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봉안단본체와, 봉안단본체의 개구된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문짝과, 내부문짝 외측의 봉안단본체 전방에 가동힌지 및 고정힌지에 의해 홈바도어 형태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외부문짝을 포함하는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안단본체의 전방측 돌출단부에 패킹이 끼움 설치되고, 패킹이 끼워진 돌출단부 외측에는 상하부에 상하부돌출부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90도로 구부려지며 구부려지는 단부에 걸림부를 구비한 내부문짝홀더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사각테형의 문틀이 전면테의 전면에 나사에 의해 설치되고, 봉안단본체의 전방에는 유리창이 설치된 사각테형의 프레임 내측변 후방에 봉안단본체의 내측으로 끼움되는 끼움부가 후방으로 돌출된 내부문짝을 설치하되, 이 내부문짝의 프레임 후면이 패킹과 문틀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양측 수직부를 양측 내부문짝홀더가 감싼 뒤에 걸림부에 걸리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힌지는 문틀의 전면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문틀에 나사로 설치되는 설치부의 하단부 외측에 힌지핀이 수평 설치된 힌지돌출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동힌지는 외부문짝의 후면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핀이 끼움되는 힌지구멍을 형성한 수직부의 내외측 하부에 외부문짝에 나사로 설치되는 설치부와, 고정힌지의 힌지돌출부 하단수평부가 걸리는 받침부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는, 외부문짝이 이중으로 받쳐짐에 따라 수평으로 개방된 외부문짝이 하부로 꺽이거나 아래로 처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와, 내부문짝을 완전 밀봉시키게 되어 유골의 부패를 막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봉안단이 결합 설치된 봉안단 결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시시도.
도 3의 (가)(나)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종단면도로서, 외부문짝의 내측 하단부가 문틀의 하부돌출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단면도로서, 내부문짝의 양측이 내부문짝홀더에 의해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힌지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고정힌지의 힌지돌출부에 가동힌지의 받침부가 받쳐져서 외부문짝이 수평상태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용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동힌지와 고정힌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외부문짝이 문틀에 자석으로 결합되는 예와, 외부문짝이 문틀에 끼움돌기에 의해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사각상자형으로 형성되며 전방 외측의 사방에 전면테(11)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봉안단본체(10)와, 봉안단본체(10)의 개구된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문짝(30)과, 내부문짝(30) 외측의 봉안단본체(10) 전방에 가동힌지(47) 및 고정힌지(24)에 의해 홈바도어 형태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외부문짝(40)을 포함하는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봉안단(100)은 다수개가 바둑판 형태로 연결 설치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봉안단 결합체(1)를 구성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봉안단본체(10)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단부(13)에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테형으로 형성되는 패킹(12)이 끼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패킹(12)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ㄷ"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 패킹(12)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돌출단부(13)의 전방과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었을 때, 패킹(12)의 전면과 내측면이 내부문짝(30)의 프레임(31)과 밀착됨에 따라 봉안단본체(10)의 내부를 밀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패킹(12)이 끼워진 돌출단부(13) 외측에는 상하부에 상하부돌출부(21,22)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90도로 구부려지며 구부려지는 구부림부(23c) 단부에 걸림부(23a)를 구비한 내부문짝홀더(2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사각테형의 문틀(20)이 전면테(11)의 전면에 나사에 의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봉안단본체(10)의 전방에는 유리창(32)이 설치되는 사각테형의 프레임(31) 내측변 후방에 봉안단본체(10)의 내측으로 끼움되는 끼움부(33)가 후방으로 돌출된 내부문짝(30)을 설치하되, 이 내부문짝(30)의 프레임(31) 후면이 패킹(12)과 문틀(2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프레임(31)의 양측 수직부를 양측 내부문짝홀더(23)가 감싼 뒤에 걸림부(23a)에 걸리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내부문짝홀더(23)는 밀폐용기의 본체와 뚜껑을 개폐시키기 위해서 뚜껑에 형성되는 잠금부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며, 90도로 구부려지는 부분은 그 부분의 안쪽에 절첩선을 형성한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내부문짝홀더(23)의 90도로 구부려지는 구부림부(23c)에는 나사구멍(23b)이 형성되고, 그 나사구멍에 대응되는 내부문짝(30)의 프레임(31)에는 나사구멍(23b)에 대응하는 또 다른 나사구멍(31a)이 형성되어 내부문짝홀더(23)의 구부림부(23c)와 프레임(31)을 나사로 설치할 수 있다.
도 2, 3 및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힌지(24)는 문틀(20)의 전면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문틀(20)에 나사로 설치되는 설치부(27)의 하단부 외측에 힌지핀(25)이 수평 설치된 힌지돌출부(26)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힌지(47)는 외부문짝(40)의 후면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핀(25)이 끼움되는 힌지구멍(45)을 형성한 수직부(47a)의 내외측 하부에 외부문짝(40)에 나사로 설치되는 설치부(46)와, 고정힌지(24)의 힌지돌출부(26) 하단수평부가 걸리는 받침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힌지(47)가 설치되는 외부문짝(40)의 후면에는 가동힌지(47)의 힌지구멍(45)과 일치하는 힌지구멍을 형성한 힌지부(4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힌지부(43)가 추가되는 만큼 힌지핀(25)을 지지하는 면적이 커져서 고정힌지(24)와 가동힌지(47)를 포함하는 힌지수단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외부문짝(40)이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힌지(24)의 힌지돌출부(26)가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그렇게 돌출된 힌지핀(25)에 가동힌지(47)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는데, 가동힌지(47)가 외부문짝(40)의 후면에 설치됨에 따라 문틀(20)과 외부문짝(40)은 간격을 둔 상태로 힌지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외부문짝(40)이 90도로 개방되어 수평상태일 때, 외부문짝(40)의 후면 하단부가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하부돌출부(22)의 하부 저면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안단(100)에 설치되는 외부문짝(40)은 사각테형의 프레임(41)에 유리창(42)을 설치한 경우이며, 이때, 가동힌지(47)가 설치되는 프레임(41)의 후면 하측에는 돌출부가 없이 평판상태로 형성하며, 외부문짝(40)과 문틀(20)의 상부에 나사구멍(14a,21a)을 형성하여 나사로 체결한다.
도 7은 외부문짝(40)을 석재나 타일로 제작한 다른 예로서 도 7의 (가)에 도시된 이실시예는 외부문짝(40)의 후면에 금속조각편(48a)을 설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상부돌출부(21)에는 자석(21b)을 설치하며, 도 7의 (나)에 도시된 삼실시예는 외부문짝(40)의 후면에 끼움돌기(48b)를 설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상부돌출부(21)에는 끼움홈(21c)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봉안단(1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가 바둑판 형태로 설치되어 봉안단 결합체(1)를 구성한다.
이들 봉안단(100)에 유골을 담은 봉안함(2)을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문짝(40)과 내부문짝(30)을 열고 봉안단(100)의 내부공간에 봉안함(2)을 삽입시킨 뒤에 내부문짝(30)과 외부문짝(40)을 닫는데, 이와 같이 내부문짝(30)과 외부문짝(40)을 개폐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봉안단(100)의 봉안단본체(1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문짝(40)의 상부에 체결된 나사(48)를 풀게 되면, 외부문짝(4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도 3의 (가)와 같이 가동힌지(47)와 고정힌지(24)에 의해 외부문짝(40)을 90도로 힌지식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렇게 외부문짝(40)을 위에서 아래로 90도 만큼 회전시켜서 개방할 때,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문짝(40)과 함께 수직하게 세워져 있던 가동힌지(47)가 힌지핀(25)을 중심으로 90도만큼 회전하다가 가동힌지(47)의 받침부(44)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가 되며, 그 수평한 받침부(44)가 문틀(20)에 설치된 고정힌지(24)의 힌지돌출부(26) 하단부에 접촉하며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힌지(47)와 고정힌지(24)가 힌지핀(25)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그 하측의 수평상태로 고정된 힌지돌출부(26)의 하단에 평평한 받침부(44)가 걸림에 따라 가동힌지(47)를 포함한 외부문짝(40)은 수평상태에서 하측으로 더 내려가지 않고 정지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틀(20)과 외부문짝(40)이 가동힌지(47)와 고정힌지(24)에 의해 간격을 두고 있으며, 이들 가동힌지(47)와 고정힌지(24)가 외부문짝(40)과 문틀(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문틀(20)의 하부에 하부돌출부(22)가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문짝(40)의 하측 후면이 하부돌출부(22)의 저면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문짝(40)을 열어젖혔을 때, 양측 가동힌지(47)의 받침부(44)가 그에 대응되는 고정힌지(24)의 힌지돌출부(26)에 걸리게 되고, 그와 더불어 외부문짝(40)의 하측 후면이 하부돌출부(22)의 저면에 걸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3곳이 이중으로 걸리게 되어 외부문짝(40)가 수평상태에서 하측으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견고하게 수평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내부문짝(30)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틀(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내부문짝(30)의 프레임(31) 양측을 감싸고 있는 내부문짝홀더(23)를 해제하게 되는데, 이때는 내부문짝홀더(23)의 구부림부(23c)에 체결한 나사를 풀어서 제거한 뒤에 구부림부(23c)를 수직하게 제키게 되면, 프레임(31)의 전방측 단턱부분에 걸려 있던 걸림부(23a)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그 다음에 공지된 별도의 유리 흡착기를 내부문짝(30)에 설치된 유리창(32)에 흡착시킨 상태에서 내부문짝(30)을 전방측으로 당기게 되면, 봉안단본체(10)의 내부로 기워져 있던 끼움부(33)가 봉안단본체(10)의 내부에서 빠져나와 내부문짝(30)을 봉안단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분리시킨 내부문짝(30)은 먼저 수평하게 열어놓은 외부문짝(40)의 상면에 얹은 뒤에 봉안단본체(10)의 전방이 개구된 공간으로 문틀(20)을 삽입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7의 (가)(나)에 도시된 경우의 설명인데, 이 경우는 자석(21b)는 별도의 나사분해과정이 필요치 않고 외부문짝(40)을 힌지식으로 제키기만 하면 외부문짝(40)이 열리게 되고, 끼움돌기(48b)가 설치된 경우에도 외부문짝(40)을 힌지식으로 당기기만 하면 끼움돌기(48b)가 상부돌출부(21)에 형성된 끼움홈(21c)에서 끼움돌기(48b)가 빠지면서 외부문짝(40)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다음은 개방하였던 외부문짝(40)와 내부문짝(30)을 닫을 때에 대한 설명인데, 이 경우는 상기 개방할 때와 반대로 닫으면 되는 것이며, 내부문짝(30)이 내부문짝홀더(23)에 의해 긴밀하게 결합되고, 내부문짝(30)의 후면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킹(12)과 밀착하게 되어 봉안단본체(10)의 내부는 완전 밀봉되게 된다.
위와 같이 봉안단본체(10)의 내부는 완전 밀봉됨에 따라 봉안함(2)에 대한 항습효과가 증대되게 되어 그 내부에 담겨진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문짝(40)을 90도로 열어 젖힌 뒤에 그 외부문짝(40)의 상면에 내부문짝(30)과 봉안함(2)을 차례로 올려놓은 상태로 예(禮)을 올릴 수 있는 것이다.
1 : 봉안단 결합체 2 : 봉안함 10 : 봉안단본체
11 : 전면테 12 : 패킹 13 : 돌출단부
20 : 문틀 21 : 상부돌출부 22 : 하부돌출부
23 : 내부문짝홀더 24 : 고정힌지 25 : 힌지핀
26 : 힌지돌출부 27 : 설치부 30 : 내부문짝
31 : 프레임 32 : 유리창 33 : 끼움부
40 : 외부문짝 41 : 프레임 42 : 유리창
43 : 힌지부 44 : 받침부 45 : 힌지구멍
46 : 설치부 47 : 가동힌지 48 : 나사
100 : 봉안단

Claims (3)

  1. 전면이 개방된 사각상자형으로 형성되며 전방 외측에 전면테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봉안단본체와, 봉안단본체의 개구된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문짝과, 내부문짝 외측의 봉안단본체 전방에 가동힌지 및 고정힌지에 의해 홈바도어 형태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외부문짝을 포함하는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안단본체의 전방측 돌출단부에 패킹이 끼움 설치되고,
    패킹이 끼워진 돌출단부 외측에는 상하부에 상하부돌출부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90도로 구부려지며 구부려지는 단부에 걸림부를 구비한 내부문짝홀더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사각테형의 문틀이 전면테의 전면에 나사에 의해 설치되고,
    봉안단본체의 전방에는 유리창이 설치된 사각테형의 프레임 내측변 후방에 봉안단본체의 내측으로 끼움되는 끼움부가 후방으로 돌출된 내부문짝을 설치하되, 이 내부문짝의 프레임 후면이 패킹과 문틀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양측 수직부를 양측 내부문짝홀더가 감싼 뒤에 걸림부에 걸리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힌지는 문틀의 전면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문틀에 나사로 설치되는 설치부의 하단부 외측에 힌지핀이 수평 설치된 힌지돌출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동힌지는 외부문짝의 후면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핀이 끼움되는 힌지구멍을 형성한 수직부의 내외측 하부에 외부문짝에 나사로 설치되는 설치부와, 고정힌지의 힌지돌출부 하단수평부가 걸리는 받침부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문짝홀더의 90도로 구부려지는 구부림부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그 나사구멍에 대응되는 내부문짝의 프레임에는 또 다른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내부문짝홀더의 구부림부와 프레임을 나사로 설치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부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이 나사구멍에 대응하는 외부문짝에는 또 다른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외부문짝의 상부가 상부돌출부에 나사로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KR1020130144884A 2013-11-26 2013-11-26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KR101362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884A KR101362995B1 (ko) 2013-11-26 2013-11-26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884A KR101362995B1 (ko) 2013-11-26 2013-11-26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995B1 true KR101362995B1 (ko) 2014-02-17

Family

ID=5027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884A KR101362995B1 (ko) 2013-11-26 2013-11-26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9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28B1 (ko) * 2016-05-25 2016-10-20 이재근 봉안단의 라이너함
KR101850938B1 (ko) * 2016-07-18 2018-04-23 참아름 주식회사 봉안단 도어 고정부재
KR101850940B1 (ko) * 2016-07-18 2018-04-23 참아름 주식회사 개폐가 용이한 봉안단
KR101956700B1 (ko) * 2018-11-02 2019-03-13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용 창문 구조
KR20210112866A (ko) * 2020-03-06 2021-09-15 김형석 납골함 보관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10B1 (ko) 2007-02-08 2007-06-04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납골함의 밀폐구조
KR101184682B1 (ko) 2011-12-15 2012-09-24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
KR101253458B1 (ko) 2012-08-27 2013-04-10 이순호 밀폐형 봉안함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10B1 (ko) 2007-02-08 2007-06-04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납골함의 밀폐구조
KR101184682B1 (ko) 2011-12-15 2012-09-24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봉안단의 라이너함 개폐구조
KR101253458B1 (ko) 2012-08-27 2013-04-10 이순호 밀폐형 봉안함 보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28B1 (ko) * 2016-05-25 2016-10-20 이재근 봉안단의 라이너함
KR101850938B1 (ko) * 2016-07-18 2018-04-23 참아름 주식회사 봉안단 도어 고정부재
KR101850940B1 (ko) * 2016-07-18 2018-04-23 참아름 주식회사 개폐가 용이한 봉안단
KR101956700B1 (ko) * 2018-11-02 2019-03-13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용 창문 구조
KR20210112866A (ko) * 2020-03-06 2021-09-15 김형석 납골함 보관 구조체
KR102317024B1 (ko) * 2020-03-06 2021-10-22 김형석 납골함 보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995B1 (ko) 밀폐형 봉안단의 개폐장치
JP3655863B2 (ja) 保管庫、特に器具保管庫
FI126193B (fi) Kotelo sähköasennuksia varten
JP2019112874A (ja) 建具
JP5651841B2 (ja) 表示装置収納用箱の施錠構造
JP2018123489A (ja) 建具
JP2019127697A (ja) 建具
JP6010512B2 (ja) 窓ユニット
JP2018135724A (ja) 開閉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TWM612129U (zh) 隱藏式電動橫拉窗
JP2008220565A (ja) 郵便受け箱
JPH10190252A (ja) ラックマウント型電子機器の収納箱
JP6385731B2 (ja) 揺動型ドア装置
JP2007224621A (ja) 間仕切り壁の収納装置
JP6043520B2 (ja) 配線装置、および配線構造
JP2018152490A (ja) キャビネット
KR101395937B1 (ko) 사물함용 연결형 경첩
JP2014185821A (ja) ケーシング
JP6014855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における扉の反転構造
KR100438196B1 (ko)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JP6659327B2 (ja) 建具
JP4464690B2 (ja) 物品収納組立体
JPH033744Y2 (ko)
KR200372432Y1 (ko) 단자함의 개폐문 안착구조
JP2016003544A (ja) 揺動型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