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196B1 -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196B1
KR100438196B1 KR10-2002-0038886A KR20020038886A KR100438196B1 KR 100438196 B1 KR100438196 B1 KR 100438196B1 KR 20020038886 A KR20020038886 A KR 20020038886A KR 100438196 B1 KR100438196 B1 KR 10043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opening
right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722A (ko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김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진 filed Critical 김수진
Priority to KR10-2002-003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1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납골함을 수납하는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수납함의 문틀이 인접한 문틀의 일측과 측방으로 겹쳐지게 결합되고, 문틀의 전방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개폐문이 문틀 전방에서 문틀을 커버하도록 설치함으로서, 다수의 납골수납함이 연결되어 결합되는 납골함 안치단의 전체 폭이 축소되어 안치실의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납골수납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에 개폐문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문틀의 후방에 함체형의 수납함체가 설치된 다수의 납골수납함이 받침대의 상단에 상측과 좌우로 연접 및 적층되게 설치된 납골함안치단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후방에 수납함체 끼움테가 돌출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의 좌측수직부의 전면에는 날개부가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좌우측수직부 사이의 상단과 하단에 수평 설치되는 상하단수평부의 전면에는 문상하단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문하단지지부의 전면 하단에는 커버부가 하향 형성되고, 상기 우측수직부 전방의 문상하단지지부에는 핀구멍이 형성되어 개폐문을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힌지핀이 각각 삽입되고, 문상하단지지부의 후면에는 수납함체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며, 날개부와 우측수직부에는 측방으로 인접한 또 다른 문틀과 나사로 결합시킬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문상하단지지부에는 상하로 인접한 또 다른 문틀과 나사로 결합시킬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우측수직부 전방측의 문상단지지부를 절단하여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개폐문에 돌출된 힌지핀이 삽입되는 핀구멍을 형성한 폐쇄구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Structure of charnel house}
본 발명은 다수의 납골함을 수납하는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수납함의 문틀이 인접한 문틀의 일측과 측방으로 겹쳐지게 결합되고, 문틀의 전방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개폐문이 문틀 전방에서 문틀을 커버하도록 설치함으로서, 다수의 납골수납함이 연결되어 결합되는 납골함 안치단의 전체폭이 축소되어 안치실의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납골수납함을 설치하여 다량의 납골함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납골 안치단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30706호(명칭:납골 안치단의 결합구조)로 선출원된 바 있으며, 이 선출원건은 그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바와 같이 중간격벽을 중심으로 전후에 납골함 수납실을 형성하여 양측에 문틀에 힌지시킨 개폐문을 고정설치한 납골함 수납함체를 상하 좌우로 연접 및 적층하여서 되는 납골 안치단에 있어서, 소망하는 수량의 납골함 수납함체를 연접시킨 문틀의 상하단에 장식용 호상부를 전면에 형성시킨 횡간을 내측의 안내홈에 문틀이 삽지되도록 다수개의 납골함 수납함체를 연접 설치하여 문틀의 상면과 횡간을 보울트로서 체결고정하는 방법으로 소망하는 다수층을 적층 형성하고, 개폐문의 힌지부 상하에 힌지축을 돌설시켜 이를 문틀에 형성한 절결부에 끼운 상태에서 캡을 요철부의 계합으로 끼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출원건은 납골안치단을 견고하게 구성하고 수납함체의 개폐문의 힌지구조를 개량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납골안치단은 개폐문의 사방 외측에 문틀이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문틀의 폭만큼 납골안치단의 전체 폭과 높이가 커지게 되는데, 이는 다수개의 납골함 수납함체(본 발명에서는 납골수납함이라 칭함)를 상하좌우로 연접 설치하는 것이므로 납골함 수납함체가 연결되는 숫자만큼 납골안치단의 전체 폭과 높이가 커지게 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납골안치단의 전체 폭과 높이가 커지게 되면, 납골함 안치실의 한정된 공간에 안치하는 납골함 수납함체의 안치숫자가 적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납골수납함의 문틀이 인접한 문틀의 일측과 측방으로 겹쳐지게 결합되고, 문틀의 전방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개폐문이 문틀 전방에서 문틀을 커버하도록 설치함으로서, 다수의 납골수납함이 연결되어 결합되는 납골함안치단의 전체폭이 축소되어 안치실의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납골수납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 개폐문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문틀의 후방에 함체형의 수납함체가 설치된 다수의 납골수납함이 받침대의 상단에 상측과 좌우로 연접 및 적층되게 설치된 납골함안치단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후방에 수납함체 끼움테가 돌출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의 좌측수직부의 전면에는 날개부가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좌우측수직부 사이의 상단과 하단에 수평 설치되는 상하단수평부의 전면에는 문상하단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문하단지지부의 전면 하단에는 커버부가 하향 형성되고, 상기 우측수직부 전방의 문상하단지지부에는 핀구멍이 형성되어 개폐문을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힌지핀이 각각 삽입되고, 문상하단지지부의 후면에는 수납함체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며, 날개부와 우측수직부에는 측방으로 인접한 또 다른 문틀과 나사로 결합시킬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문상하단지지부에는 상하로 인접한 또 다른 문틀과 나사로 결합시킬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우측수직부 전방측의 문상단지지부를 절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개폐문에 돌출된 힌지핀이 삽입되는 핀구멍을 형성한 폐쇄구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사시도.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및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상하로 적층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문이 설치된 문틀이 상하로 적층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측방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문 2 : 문틀 3 : 수납함체
4 : 납골수납함 5 : 받침대 6 : 납골함안치단
7 : 수납함체 끼움테 8 : 좌측수직부 9 : 우측수직부
10 : 날개부 11 : 상단수평부 12 : 하단수평부
13 : 문하단지지부 14 : 커버부 15 : 문상단지지부
16 : 힌지핀 17 : 수납함체 고정부 18 : 체결구멍
19 : 체결구멍 20 : 개구부 21 : 걸림턱부
22 : 걸림홈 23 : 걸림부 24 : 삽입부
25 : 폐쇄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납골함안치단의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및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상하로 적층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문이 설치된 문틀이 상하로 적층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측방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골함안치단(6)은 사각테형상의 문틀(2)의 전방에 개폐문(1)이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고, 상기 문틀(2)의 후방에 전방이 개방된 함체형의 수납함체(3)가 설치된 다수의 납골수납함(4)이 받침대(5)의 상단에 상측과 좌우로 연접 및 적층되게 설치되며, 상하좌우로 서로 인접한 다수의 납골수납함(4)은 나사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문틀(2)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테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문틀(2)의 후방에는 전방이 개방된 사각함체형의 수납함체(3)가 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사각 테두리형으로 수납함체 끼움테(7)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7)의 좌측수직부(8)의 전면에는 인접한 또 다른 문틀(2)의 우측수직부(9) 전면에 겹쳐서 나사로 결합될 날개부(10)가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수직부(8,9) 사이의 하단에 수평 설치되는 하단수평부(12)의 전면에는 상면이 하단수평부(12)와 동일한 높이면을 유지하면서 전면이 좌우측수직부(8,9)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하단부는 하단수평부(12) 보다 낮게 하향 돌출되는 문하단지지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문하단지지부(13)의 전면하단에는 적층되는 연결부를 커버하는 커버부(14)가 하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수직부(8,9) 사이의 상단에 수평 설치되는 상단수평부(11)의 전면에는 저면이 상단수평부(11)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면을 유지하면서 전면이 좌우측수직부(8,9)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단부는 상단수평부(11) 보다 높게 상향 돌출되는 문상단지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수직부(9) 전방의 문하단지지부(13)와 문상단지지부(15)에는 핀구멍(1a)이 형성되어 개폐문(1)을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힌지핀(16)이 각각 삽입되고, 문하단지지부(13)의 후면과 문상단지지부(15)의 후면에는 각각이 대응하는 하단수평부(12) 및 상단수평부(11)와 간격을 두고 수납함체 고정부(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날개부(10)와 우측수직부(9)에는 측방으로 인접한 또 다른 문틀(2)과 나사로 결합시킬 체결구멍(18)이 형성되고, 문하단지지부(13)와 문상단지지부(15)에는 상하로 인접한 또 다른 문틀(2)과 나사로 결합시킬 체결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우측수직부(9) 전방측의 문상단지지부(15)를 절단하여 개구부(20)를 형성하고, 개구부(20)의 단부 일측에 걸림턱부(21)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걸림홈(22)을 형성한 뒤에 상기 개구부(20)에는 걸림턱부(21)에 걸리는 걸림부(2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홈(22)에 끼워지는 삽입부(24)를 형성한 폐쇄구(25)를 설치하며, 상기 걸림턱부(21)와 걸림부(23)에는 체결구멍(19)이 형성되고 폐쇄구(25)의 우측 우측수직부(9) 전방측에는 개폐문(1)에 상향 설치된 힌지핀(16)을 삽입시키는 핀구멍(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문틀(2)은 상하좌우로 다수개가 밀접하게 결합되므로 문틀(2)의 상하좌우 사방이 모두 연결부가 되는데, 제일 먼저 각각의 문틀(2) 후방에 사각함체형의 수납함체(3)를 조립시킨다.
상기 각각의 문틀(2)은 도 2의 (나)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함체(3)의 개구된 전방이 외측으로 삽입될 사각테 형태의 수납함체 끼움테(7)가 형성되어서 수납함체(3)를 후방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수납함체 끼움테(7)의 상하부에는 문상단지지부(15)와 문하단지지부(13)가 각각 위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그 각각의 문상단지지부(15)와 문하단지지부(13)의 후면에 수납함체(3)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납함체 고정부(17)가 설치되어서 수납함체(3)의 고정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수납함체 고정부(17)에 수납함체(3)을 고정 결합시키는 것은 나사로서 결합시키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렇게 각각의 문틀(2)의 후방에 수납함체(3)를 설치한 뒤에는 납골함안치단(6)의 하단 받침대(5)의 상면에 문틀(2)을 수직으로 세운 뒤에 하단수평부(12)의 전방으로 연장된 문하단지지부(13)의 체결구멍(19)으로 나사를 삽입시켜 문틀(2)의 하단부를 받침대(5)의 상면에 도 3에서와 같이 고정 설치한다.
그 뒤 받침대(5)의 상단에 설치된 문틀(2)의 측방에 또 다른 문틀(2)을 설치하는데, 이 때는 도 5에서와 같이 도 5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문틀(2)이 받침대(5)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보고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문틀(2)의 우측에 또 다른 문틀(2)을 갖다 대면, 도면상 우측 문틀(2)의 날개부(10)가 좌측 문틀(2)의 우측수직부(9) 전면을 커버하면서 좌측 문틀(2)의 문하단지지부(13) 우측단부와 우측 문틀(2)의 문하단지지부(13) 좌측단부가 꼭 들어 맞게 된다.
이상태에서 우측 문틀(2)의 날개부(10)에 형성된 체결구멍(18)으로 나사를 삽입시켜 체결하면 우측 문틀(2)의 좌측수직부(8) 선단에 측방으로 돌출된 날개부(10)가 좌측 문틀(2)의 우측수직부(9)를 덮어 씌워진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우측 문틀(2)와 좌측 문틀(2)을 서로 연결시키게 되면 우측 문틀(2)의 좌측수직부(8) 외측과 좌측 문틀(2)의 우측수직부(9) 외측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틈새(c)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 틈새(c)는 인접한 수납함체(3)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2개의 수납함체(3)의 살 두께 만큼의 간격이 마련되도록 되어 수납함체(3)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문틀(2)을 측방으로 연결시킨 뒤에는 각각의 문틀(2) 전면에 개폐문(1)을 가져다 대어 맞추면서 핀구멍(1a)으로 힌지핀(16)을 삽입시켜서 문틀(2)에 개폐문(1)을 힌지식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개폐문(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틀(2)의 전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좌측수직부(8)와 우측수직부(9)를 합친 두께 만큼의 폭이 축소되어 개폐문(1)의 전면 폭(b1)이 문틀(2)의 내부 폭(b2) 보다 넓어서 다수의 문틀(2)을 측방으로 연결시킨 전체폭이 축소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문틀(2)의 내부폭(b2)은 납골함이 출입가능한 치수가 확보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다수개의 문틀(2)을 측방으로 연결한 뒤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먼저 설치된 문틀(2)들의 상단에 또 다른 문틀(2)을 설치하는데, 이때는 먼저 설치되었던 문틀(2)의 상단에 또 다른 문틀(2)을 적층시켜 도 3, 4에서와 같이 상단 문틀(2)의 문하단지지부(13)가 하단 문틀(2)의 문상단지지부(15)에 얹혀지게 하면, 상단 문틀(2)의 문하단지지부(13)의 전면에 하향 설치된 커버부(14)가 하단 문틀(2)의 문상단지지부(15)를 커버하여 연결부가 미려해 보일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이미 설치된 하단 문틀(2)의 상부 또 다른 문틀(2)을 얹혀 놓은 뒤에는 상단 문틀(2)의 문하단지지부(13)와 하단 문틀(2)의 문상단지지부(15)를 나사결합으로서 결합시켜 상측으로의 결합이 가능한 것이며, 이처럼 이미 설치된 문틀(2)의 상부에 한단의 문틀(2)을 설치한 뒤에는 위의 조립과 동일하게 각각의 문틀(2)에 개폐문(1)을 힌지식으로 힌지핀(16)을 이용하여 적층 설치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그리고 측방으로 다수의 문틀(2)을 조립 설치하여 목적하는 단수 만큼 모두 결합이 되면 최상단에 상부몰딩(5a)을 결합하여 납골함안치단(6)에 대한 조립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이 다른 실시예는 이제까지 설명한 일실시예와 대부분이 동일하나, 다른실시예에서는 상기 우측수직부(9) 전방측의 문상단지지부(15)을 절단하여 개구부(20)를 형성한 뒤에 그 개구부(20)에 개폐문(1)의 상단을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폐쇄구(25)가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구조가 상이하므로 그 달라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다른 실시예의 문틀(2)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문(1)의 힌지결합부에 힌지핀(16)이 고정식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힌지핀(16)이 개폐문(1)의 상하에 돌출되게 설치된 경우에 개폐문(1)의 전체높이가 상하측의 돌출된 힌지핀(16)의 높이로 하여금 높아져 문틀(2)이 사각테형으로 고정된 경우라면 힌지핀(16)이 상하로 돌출되게 설치된 개폐문(1)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문틀(2)의 일측상부를 절개한 것이다.
이러한 문틀(2)에 힌지핀(16)이 고정되게 돌출된 개폐문(1)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문틀(2)의 개구부(20)에서 폐쇄구(25)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힌지핀(16)이 상하로 고정되게 돌출된 개폐문(1)의 하측 힌지핀(16)을 문하단지지부(13)에 형성된 핀구멍(1a)에 삽입시킨 뒤에, 개폐문(1)의 상측에 돌출된 힌지핀(16)에 폐쇄구(25)의 핀구멍(1a)을 끼워서 이 폐쇄구(25)를 개구부(20)로 삽입시키면서 일측 걸림부(23)가 개구부(20)의 걸림턱부(21)에 얹혀지게 하고, 폐쇄구(25)의 삽입부(24)는 개구부(20)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홈(22)에 끼워서 폐쇄구(25)가 문틀(2)의 개구부(20)에 끼워지게 하면 개구부(20)를 형성한 문틀(2)에 상하에 힌지핀(16)이 돌출되게 고정된 개폐문(1)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다른 실시예에서 폐쇄구(25)의 체결구멍(19)과 걸림턱부(21)에 형성된 체결구멍(19)은 서로 일치하여 그 상측에 설치되는 문틀(2)과 나사로서 고정 설치하여 견고하게 개폐문(1)을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는, 납골수납함의 문틀이 인접한 문틀의 일측과 측방으로 겹쳐지게 결합되고, 문틀의 전방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개폐문이 문틀 전방에서 문틀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다수의 납골수납함이 연결되어 결합되는 납골함 안치단의 전체폭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어 안치실의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납골수납함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방에 개폐문(1)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문틀(2)의 후방에 함체형의 수납함체(3)가 설치된 다수의 납골수납함(4)이 받침대(5)의 상단에 상측과 좌우로 연접 및 적층되게 설치된 납골함안치단(6)에 있어서,
    상기 문틀(2)은 사각함체형의 수납함체(3)가 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사각 테두리형으로 수납함체 끼움테(7)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7)의 좌측수직부(8)의 전면에는 인접한 또 다른 문틀(2)의 우측수직부(9) 전면에 겹쳐서 나사로 결합될 날개부(10)가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수직부(8,9) 사이의 하단에 수평 설치되는 하단수평부(12)의 전면에는 상면이 하단수평부(12)와 동일한 높이면을 유지하면서 전면이 좌우측수직부(8,9)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하단부는 하단수평부(12) 보다 낮게 하향 돌출되는 문하단지지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문하단지지부(13)의 전면 하단에는 커버부(14)가 하향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수직부(8,9) 사이의 상단에 수평 설치되는 상단수평부(11)의 전면에는 저면이 상단수평부(11)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면을 유지하면서 전면이 좌우측수직부(8,9)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단부는 상단수평부(11) 보다 높게 상향 돌출되는 문상단지지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우측수직부(9) 전방의 문하단지지부(13)와 문상단지지부(15)에는 핀구멍(1a)이 형성되어 개폐문(1)을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힌지핀(16)이 각각 삽입되고, 문하단지지부(13)의 후면과 문상단지지부(15)의 후면에는 각각이 대응하는 하단수평부(12) 및 상단수평부(11)와 간격을 두고 수납함체 고정부(17)가 형성되며,
    날개부(10)와 우측수직부(9)에는 측방으로 인접한 또 다른 문틀(2)과 나사로 결합시킬 체결구멍(18)이 형성되고, 문하단지지부(13)와 문상단지지부(15)에는 상하로 인접한 또 다른 문틀(2)과 나사로 결합시킬 체결구멍(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수직부(9) 전방측의 문상단지지부(15)을 절단하여 개구부(20)를 형성하고, 개구부(20)의 단부 일측에 걸림턱부(21)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걸림홈(22)을 형성한 뒤에 상기 개구부(20)에는 걸림턱부(21)에 걸리는 걸림부(2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홈(22)에 끼워지는 삽입부(24)를 형성한 폐쇄구(25)를 설치하며, 상기 걸림턱부(21)와 걸림부(23)에는 체결구멍(19)이 형성되고 폐쇄구(25)의 우측 우측수직부(9) 전방측에는 개폐문(1)에 상향 설치된 힌지핀(16)을 삽입시키는 핀구멍(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KR10-2002-0038886A 2002-07-05 2002-07-05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KR10043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886A KR100438196B1 (ko) 2002-07-05 2002-07-05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886A KR100438196B1 (ko) 2002-07-05 2002-07-05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722A KR20020064722A (ko) 2002-08-09
KR100438196B1 true KR100438196B1 (ko) 2004-07-01

Family

ID=2772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886A KR100438196B1 (ko) 2002-07-05 2002-07-05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1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207A (ja) * 1989-06-19 1991-01-30 Kokuyo Co Ltd 展示ケース
KR940001218U (ko) * 1992-06-16 1994-01-03 심오식 납골함 보관장치
KR950030644U (ko) * 1994-04-22 1995-11-20 심오식 납골함 안치구조
JPH0842190A (ja) * 1994-07-31 1996-02-13 Fujitac:Kk 骨壺用厨子
KR960011347U (ko) * 1994-09-02 1996-04-15 염규철 아파트식 분묘
KR19990040546U (ko) * 1999-06-01 1999-12-06 배승환 납골안치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207A (ja) * 1989-06-19 1991-01-30 Kokuyo Co Ltd 展示ケース
KR940001218U (ko) * 1992-06-16 1994-01-03 심오식 납골함 보관장치
KR950030644U (ko) * 1994-04-22 1995-11-20 심오식 납골함 안치구조
JPH0842190A (ja) * 1994-07-31 1996-02-13 Fujitac:Kk 骨壺用厨子
KR960011347U (ko) * 1994-09-02 1996-04-15 염규철 아파트식 분묘
KR19990040546U (ko) * 1999-06-01 1999-12-06 배승환 납골안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722A (ko) 200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0942B1 (en) Modular separating box for light guides and a system of modular separating boxes for light guides
JP3655863B2 (ja) 保管庫、特に器具保管庫
US4572593A (en) Display case
KR100847095B1 (ko) 납골함안치단의 납골함수납함
KR100438196B1 (ko)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KR200459125Y1 (ko)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KR200182879Y1 (ko) 납골 안치단의 조립구조
KR100392812B1 (ko)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KR102377976B1 (ko) 이중구조의 봉안함을 갖는 봉안안치단
JP2934846B2 (ja) ラックマウント型電子機器の収納箱
KR20120019824A (ko) 납골안치단
KR19980065262U (ko) 납골안치단의 조립구조
JP3591276B2 (ja) 分電盤
KR100429775B1 (ko) 납골함 안치단
JP4304686B2 (ja) 遊技機
KR102409365B1 (ko) 유골함 안치단의 여닫이문 조립구조
KR102400762B1 (ko) 조립식 보관함
CN219713776U (zh) 一种冰箱
KR20040002174A (ko) 김치냉장고
CN219713777U (zh) 一种冰箱
JPH0970108A (ja) 分電盤
KR20090126606A (ko) R앵글을 이용한 전기배전함
KR200211943Y1 (ko) 장농
JPH0423195Y2 (ko)
JP3704847B2 (ja) ブラインド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