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812B1 -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812B1
KR100392812B1 KR10-2002-0043528A KR20020043528A KR100392812B1 KR 100392812 B1 KR100392812 B1 KR 100392812B1 KR 20020043528 A KR20020043528 A KR 20020043528A KR 100392812 B1 KR100392812 B1 KR 10039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rame
door
ope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752A (ko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김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진 filed Critical 김수진
Priority to KR10-2002-004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81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납골함을 수납하는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수납함의 문틀이 인접한 문틀과 측방으로 걸림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문틀의 일측방과 하단에 인접한 문틀과 결합시 연결부를 커버하는 커버대를 문틀과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서, 다수의 문틀이 측방으로 결합될 때 나사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하로 연결할 때만 나사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상기 커버대가 문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종래와 같은 장식판과 횡간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필요한 공정이 소요되지 아니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에 개폐문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문틀의 후방에 함체형의 수납함체가 설치된 다수의 납골수납함이 받침대의 상단에 상측과 좌우로 연접 및 적층되게 설치된 납골함안치단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후방에 수납함체 끼움테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의 후방 외측에는 수납함체 끼움테를 감싸는 "ㄷ"형 외부테가 수납함체 끼움테와 틈새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외부테의 상단수평부 상부에는 상측으로 적층되는 또 다른 문틀의 하단과 나사 결합될 상단결합대가 형성되고, 외부테의 좌측수직부 외측에는 후방에 수납함체의 살두께 만큼의 단턱부를 형성하며 전방에는 전방걸림홈이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의 우측수직부 외측에는 인접한 문틀의 전방걸림홈과 걸릴 후방걸림홈이 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문틀 전방의 우측수직부 외측과 하단수평부 하단에는 측방과 하측에 연결되는 또 다른 문틀과의 연결부를 덮어 커버하는 측방 및 하단커버대가 형성되며, 상기 문틀의 좌측수직부 내측에는 개폐문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수평부와 상단결합대의 각각의 우측에는 개폐문을 힌지핀으로 힌지식으로 설치할 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Structure of charnel house}
본 발명은 다수의 납골함을 수납하는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수납함의 문틀이 인접한 문틀과 측방으로 걸림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문틀의 일측방과 하단에 인접한 문틀과 결합시 연결부를 커버하는 커버대를 문틀과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서, 다수의 문틀이 측방으로 결합될 때 나사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하로 연결할 때만 나사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상기 커버대가 문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종래와 같은 장식판과 횡간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필요한 공정이 소요되지 아니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납골 안치단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30706호(명칭:납골 안치단의 결합구조)로 선출원된 바 있으며, 이 선출원건은 그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바와 같이 중간격벽을 중심으로 전후에 납골함 수납실을 형성하여 양측에 문틀에 힌지시킨 개폐문을 고정설치한 납골함 수납함체를 상하 좌우로 연접 및 적층하여서 되는납골 안치단에 있어서, 소망하는 수량의 납골함 수납함체를 연접시킨 문틀의 상하단에 장식용 호상부를 전면에 형성시킨 횡간을 내측의 안내홈에 문틀이 삽지되도록 다수개의 납골함 수납함체를 연접 설치하여 문틀의 상면과 횡간을 보울트로서 체결 고정하는 방법으로 소망하는 다수층을 적층 형성하고, 개폐문의 힌지부 상하에 힌지축을 돌설시켜 이를 문틀에 형성한 절결부에 끼운 상태에서 캡을 요철부의 계합으로 끼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출원건은 납골안치단을 견고하게 구성하고 수납함체의 개폐문의 힌지구조를 개량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납골안치단은 받침대 역할을 하는 기대의 상면에 납골안치단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의 횡간을 고정 설치한 뒤에 그 횡간의 상면에 다수의 문틀을 측방으로 연접하여 나사로서 고정시키면서 한 단을 설치하며, 이렇게 하단을 설치한 뒤에는 또 다른 횡간의 먼저 설치하였던 다수의 문틀의 상면에 설치하고, 그 횡간에 다수의 문틀을 연접하여 나사로서 고정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목적하는 폭과 높이의 납골함안치단을 조립하며, 각각의 문틀의 연결되는 수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장식판을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납골안치단은 문틀의 수평방향으로는 횡간이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는 다수의 장식판이 별도로 소요되므로 그 것들을 설치하기 위한 조립작업이 그 만큼 더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납골수납함의 문틀이 인접한 문틀과 측방으로 걸림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문틀의 일측방과 하단에는 인접한 문틀과 결합시 연결부를 커버하는 커버대를 문틀과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서, 다수의 문틀이 측방으로 결합될 때 나사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하로 연결할 때만 나사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문틀을 사방으로 연결시키기만 하면 문틀의 일측방과 하방에 일체로 형성된 커버대가 문틀의 연결부를 자동으로 커버하므로 종래와 같은 장식판과 횡간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필요한 공정이 소요되지 아니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 개폐문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문틀의 후방에 함체형의 수납함체가 설치된 다수의 납골수납함이 받침대의 상단에 상측과 좌우로 연접 및 적층되게 설치된 납골함안치단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후방에 수납함체 끼움테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의 후방 외측에는 수납함체 끼움테를 감싸는 "ㄷ"형 외부테가 수납함체 끼움테와 틈새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외부테의 상단수평부 상부에는 상측으로 적층되는 또 다른 문틀의 하단과 나사 결합될 상단결합대가 형성되고, 외부테의 좌측수직부 외측에는 후방에 수납함체의 살두께 만큼의 단턱부를 형성하며 전방에는 전방걸림홈이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의 우측수직부 외측에는 인접한 문틀의 전방걸림홈과 걸릴 후방걸림홈이 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문틀 전방의 우측수직부 외측과 하단수평부 하단에는 측방과 하측에 연결되는 또 다른 문틀과의 연결부를 덮어 커버하는 측방 및 하단커버대가 형성되며, 상기 문틀의 좌측수직부 내측에는 개폐문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수평부와 상단결합대의 각각의 우측에는 개폐문을 힌지핀으로 힌지식으로 설치할 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사시도.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문틀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및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틀을 상하좌우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문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문틀의 배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문틀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문 2 : 문틀 3 : 수납함체
4 : 납골수납함 5 : 받침대 6 : 납골함안치단
7 : 수납함체 끼움테 8 : 외부테 9 : 절개부
10 : 우측수직부 11 : 슬라이드홈 12 : 슬라이드돌기
13 : 단턱부 14 :돌출부 15 : 핀구멍
16 : 폐쇄구 17 : 상단수평부 18 : 상단결합대
19 : 좌측수직부 20 : 단턱부 21 : 전방걸림홈
22 : 후방걸림홈 23 : 측방커버대 24 : 하단커버대
25 : 하단수평부 26 : 좌측수직부 27 : 걸림턱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문틀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및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틀을 상하좌우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 및 도 5은 도 3의 A-A선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골함안치단(6)은 전방에 개폐문(1)이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고 사각함체형으로 설치된 다수의 납골수납함(4)이 받침대(5)의 상단에 상측과 좌우로 연접 및 적층되게 설치된다.
상기 납골수납함(4)은 사각테두리형상의 문틀(2)과, 문틀(2)에 힌지식으로 개폐문(1)과, 문틀(2)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방이 개방된 사각함체형의 수납함체(3)로 이루어진다.
상기 문틀(2)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테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문틀(2)의 후방에는 전방이 개방된 사각함체형의 수납함체(3)가 외측으로끼워져 결합되는 사각 테두리형으로 수납함체 끼움테(7)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7)의 후방 외측에는 수납함체 끼움테(7)의 우측(도면의 후방에서 보면 좌측임)을 제외한 상부와 좌측과 하부를 감싸는 "ㄷ"형 외부테(8)가 수납함체 끼움테(7)와 틈새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틈새는 수납함체(3)의 살두께 만큼의 간격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테(8)의 상단수평부(17) 상부에는 상측으로 적층되는 또 다른 문틀(2)의 하단과 나사 결합될 상단결합대(18)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부테(8)의 좌측수직부(19) 외측에는 후방에 또 다른 수납함체(3)의 살두께 만큼의 단턱부(20)를 형성하고 전방에는 상하 전길이에 걸쳐 전방걸림홈(21)이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7)의 우측수직부(10) 외측에는 인접한 문틀(2)의 전방걸림홈(21)과 걸릴 후방걸림홈(22)이 후방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문틀(2)의 전방 우측수직부(10) 외측에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또 다른 문틀(2)과의 연결부를 덮어 커버하는 측방커버대(23)가 상하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문틀(2)의 하단수평부(25) 하단에는 하측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또 다른 문틀(2)과의 연결부를 덮어 커버하는 하단커버대(24)가 좌우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문틀(2)의 좌측수직부(26) 내측에는 개폐문(1)이 걸리는 걸림턱(27)이 형성되며, 하단수평부(25)와 상단결합대(18)의 각각의 우측에는 개폐문(1)을 힌지핀으로 힌지식으로 설치할 핀구멍(1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문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7은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문틀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문틀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문틀의 다른 실시예는 문틀(2)의 후방에 개구부(9)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9)에 폐쇄구(16)가 삽입설치된 구성만 상이하고 나머지의 모든 구성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설명은 생략하고 달라진 부분에 대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7)의 후방의 우측(도면의 후방에서 보면 좌측임) 상부를 절단하여 절개부(9)를 형성하면서 절개부(9) 우측의 우측수직부(10)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부(9)에는 상기 슬라이드홈(11)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12)가 하측에 돌출되고 상부에는 수납함체(3)의 살두께 만큼의 단턱부(13)가 형성되게 돌출부(14)를 형성되며 돌출부(14)의 일측에 개폐문(1)의 힌지핀이 끼워질 핀구멍(15)을 형성한 폐쇄구(16)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28"은 외부테(8)의 상하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수납함체(3)를 고정시키는 나사체결구멍이고, "29"는 상하로 적층되는 문틀(2)을 나사로 체결 고정하게 하는 나사체결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문(1)을 문틀(2)의 전방측에서 문틀의 수납끼움테(7) 내부로 삽입시키면 개폐문(1)의 좌측 후방이 걸림턱(27)에 걸려서 더 이상 후방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정위치를 잡게 되고, 이상태에서 상하측 핀구멍(15a)으로 힌지핀을 삽입시켜서 개폐문(1)의 상하측 핀구멍에 끼워지게 하여 개폐문을 문틀에 힌지식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문틀(2)에 개폐문(1)을 설치한 뒤에는 문틀(2) 후방에 수납함체(3)를 삽입시키는데, 이때는 수납함체(3)의 개구된 전방을 문틀(2) 후방의 수납함체 끼움테(7)의 외측으로 끼워 넣으며 나사체결구멍(28)로 나사를 체결시켜서 든든하게 단턱부(20)의 후방에 수납함체(3)를 설치한다.
그 뒤, 받침대(5)의 상단에 다수의 문틀(2)을 측방으로 연결시키면서 설치하는데, 이때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일측 문틀(2)의 전방걸림홈(21)과 타측 문틀(2)의 후방걸림홈(22)을 끼우면 측방으로 연속해서 문틀(2)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소망하는 숫자로 문틀(2)을 측방으로 연결한 뒤에는 문틀(2)의 하측에 형성된 나사체결구멍(29)으로 나사를 체결하여 각각의 문틀(2)을 받침대(5)상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다수개의 문틀(2)을 받침대(5) 상면에 측방으로 연결한 뒤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먼저 설치된 문틀(2)들의 상단에 또 다른 문틀(2)을 설치하는데, 이때는 먼저 설치되었던 문틀(2)의 상단에 또 다른 문틀(2)을 적층시키면서 측방으로 서로의 전방걸림홈(21)과 인접한 문틀(2)의 후방걸림홈(22)이 서로 걸리게 측방으로 연결한 뒤에 문틀(2)의 하측 체결구멍(29)으로 나사를 삽입시키면서 먼저 설치하였던 문틀(2)의 상단과 나사로서 결합시킨다.
위에서와 같이 각각의 문틀(2)을 측방과 상하로 적층시킬 때 문틀(2)의 하단과 측방에 하단커버대(24)와 측방커버대(23)가 하측과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서 서로 연결하는 문틀(2)의 연결부를 커버하여 연결부가 미려해 보일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그리고 측방으로 다수의 문틀(2)을 조립 설치하여 목적하는 단수 만큼 모두 결합이 되면 최상단에 상부몰딩(5a)을 결합하여 납골함안치단(6)에 대한 조립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문틀(2)의 힌지핀이 설치된 반대측 좌측수직부(26)에 걸림턱(27)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개폐문(1)이 문틀(2)의 후방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문틀에서는 개폐문을 설치하는 것이 일실시예와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하므로, 다른 실시예에서 문틀에 개폐문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만 별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틀(2)의 후방 절개부(9)에서 폐쇄구(16)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문틀(2)의 후방 절개부(9)가 형성된 쪽으로 개폐문(1)을 세워서 전방측으로 삽입시키면서 개폐문(1)의 하측에 하향 돌출된 힌지핀을 문틀(2)의 하측 핀구멍(15a)에 삽입시킨다.
이때 개폐문(1)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힌지핀을 하측 핀구멍(15a)에 삽입시킬 때 전방측을 경사지게 세우면서 삽입시켜야 하며, 하측 힌지핀을 하측 핀구멍(15a)에 삽입시킨 뒤에는 개폐문(1)의 상부 힌지핀에 폐쇄구(16)의 핀구멍(15)을 삽입시켜 개폐문(1)의 상부 힌지핀에 폐쇄구(16)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문(1)을 문틀(2)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것은 문틀(2)의 내부 높이보다 개폐문(1)의 높이를 5∼6mm 작게 형성하면서 힌지핀의 길이도 문틀(2)의 내부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짧게 하여 개폐문(1)을 문틀(2)의 내부에서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와 같이 개폐문(1)의 상부 힌지핀에 폐쇄구(16)를 삽입시킨 뒤에는 개폐문(1)을 바로 세운상태에서 폐쇄구(16)의 슬라이드돌기(12)가 우측수직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1)으로 삽입시키면서 절개부(9)로 폐쇄구(16)를 삽입시키면, 폐쇄구(16)의 두께가 우측수직부(10)의 상면 및 수납함체 끼움테(7)의 상단부수평부와 그 상단의 상단수평부(17) 저면 사이에 꼭 들어맞아 폐쇄구(16)가 절개부(9)에 고정되게 되고 개폐문(1)을 문틀(2)의 내부에 힌지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는, 납골수납함의 문틀이 인접한 문틀과 측방으로 걸림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문틀의 일측방과 하단에 인접한 문틀과 결합시 연결부를 커버하는 커버대를 문틀과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서, 다수의 문틀이 측방으로 결합될 때 나사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하로 연결할 때만 나사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상기 커버대가 문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종래와 같은 장식판과 횡간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필요한 공정이 소요되지 아니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방에 개폐문(1)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문틀(2)의 후방에 함체형의 수납함체(3)가 설치된 다수의 납골수납함(4)이 받침대(5)의 상단에 상측과 좌우로 연접 및 적층되게 설치된 납골함안치단(6)에 있어서,
    상기 문틀(2)은 수납함체(3)가 외측으로 끼워지는 수납함체 끼움테(7)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7)의 후방 외측에는 수납함체 끼움테(7)를 감싸는 "ㄷ"형 외부테(8)가 수납함체 끼움테(7)와 틈새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외부테(8)의 상단수평부(17) 상부에는 상측으로 적층되는 또 다른 문틀(2)의 하단과 나사 결합될 상단결합대(18)가 형성되고, 외부테(8)의 좌측수직부(19) 외측에는 후방에 수납함체(3)의 살두께 만큼의 단턱부(20)를 형성하며 전방에는 전방걸림홈(21)이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7)의 우측수직부(10) 외측에는 인접한 문틀(2)의 전방걸림홈(21)과 걸릴 후방걸림홈(22)이 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문틀(2)의 전방 우측수직부(10)의 측방과 하단수평부(25)의 하단에는 측방과 하측에 연결되는 또 다른 문틀(2)과의 연결부를 덮어 커버하는 측방커버대(23)와 하단커버대(2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문틀(2)의 좌측수직부(26) 내측에는 개폐문(1)이 걸리는 걸림턱(27)이 형성되며, 하단수평부(25)와 상단결합대(18)의 각각의 우측에는 개폐문(1)을 힌지핀으로 힌지식으로 설치할 핀구멍(1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체 끼움테(7)의 후방의 우측 상부에 절개부(9)가 형성되고 절개부(9) 우측의 우측수직부(10) 상면에는 슬라이드홈(11)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9)에는 상기 슬라이드홈(11)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돌기(12)가 하측에 돌출되고 상부에는 수납함체(3)의 살두께 만큼의 단턱부(13)가 형성되게 돌출부(14)가 형성되며 돌출부(14)의 일측에 개폐문(1)의 힌지핀이 끼워질 핀구멍(15)을 형성한 폐쇄구(16)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KR10-2002-0043528A 2002-07-24 2002-07-24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KR100392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528A KR100392812B1 (ko) 2002-07-24 2002-07-24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528A KR100392812B1 (ko) 2002-07-24 2002-07-24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752A KR20020064752A (ko) 2002-08-09
KR100392812B1 true KR100392812B1 (ko) 2003-07-28

Family

ID=2772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528A KR100392812B1 (ko) 2002-07-24 2002-07-24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1727B (zh) * 2014-08-15 2016-07-20 江西仙廷精藏设备有限公司 骨灰盒存放设备的机械传动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752A (ko) 200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8504U (ja) ゲーム機のフレーム構造
US20020088188A1 (en) Modular partition
CA2129560C (en) Furnace door attachment
WO2022206114A1 (zh) 一种车门拉手盒结构
KR100392812B1 (ko)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US7453047B2 (en) Cable duct
KR101875895B1 (ko) 간편한 조립구조 및 이중 밀폐기능을 갖춘 납골안치단
KR100847095B1 (ko) 납골함안치단의 납골함수납함
JPH09511898A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
KR100438196B1 (ko)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KR200387441Y1 (ko) 방음판 고정용 프레임
CN209068718U (zh) 一种空调装饰条装配结构及空调器
KR20120019824A (ko) 납골안치단
JP3591276B2 (ja) 分電盤
JP2001258109A (ja) フレーム構造を備えた配電盤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ケーブル通路
CN214564525U (zh) 车门拉手盒结构
KR200289547Y1 (ko) 천정등의 측면장식판 고정장치
KR200148758Y1 (ko) 창문용 호차의 이탈방지커버
JPH0970108A (ja) 分電盤
CN218633031U (zh) 一种户外电控柜
CN219713776U (zh) 一种冰箱
JPH1080332A (ja) 断熱箱体の仕切構造
JPH034118Y2 (ko)
KR20040010471A (ko) 납골함 안치단
KR200312040Y1 (ko) 씨디장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