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286B1 - 공구 교환 장치와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 - Google Patents

공구 교환 장치와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286B1
KR101361286B1 KR1020120026467A KR20120026467A KR101361286B1 KR 101361286 B1 KR101361286 B1 KR 101361286B1 KR 1020120026467 A KR1020120026467 A KR 1020120026467A KR 20120026467 A KR20120026467 A KR 20120026467A KR 101361286 B1 KR101361286 B1 KR 10136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olumn
magazine
spindle head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028A (ko
Inventor
노부아끼 이시바시
겐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06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the tool being inserted in a tool holder directly from a storage device (without transfer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23Q3/1575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the storage means rotating or circulat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spindle
    • B23Q3/15766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the storage means rotating or circulat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spindle the axis of the stored tools being arranged perpendicularly to the rotating or circulating plane of the stor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공작 기계의 주축과 공구 매거진 사이에서 공구를 교환하는 공구 교환 장치와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공구 교환 장치는 공구 홀더를 보유 지지하는 그립 아암을 복수 구비하는 환 형상의 공구 매거진을 갖는다. 공구 매거진은, 주축을 구비하는 주축 헤드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럼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컬럼에 지지되어 있다. 공구 교환 장치는, 공구 매거진을 설치한 상태의 컬럼의 무게 중심 위치를, 공구 매거진을 설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의 컬럼의 무게 중심 위치에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컬럼의 중량의 밸런스의 치우침을 억제하고, 컬럼의 이동에 의한 위치 결정 제어의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한다.

Description

공구 교환 장치와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 {TOOL CHANG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INCLUDING TOOL CHANGING DEVICE}
본 발명은 공작 기계의 주축과 공구 매거진 사이에서 공구를 교환하는 공구 교환 장치와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는 워크의 가공 형상 등에 따라, 밀링 커터 가공, 나사 절삭 가공 등의 여러 가지 가공을 단일 장치에서 행한다. 공작 기계는, 드릴, 엔드밀, 탭 등의 복수의 공구를 보유 지지하는 공구 매거진과 ATC(공구 교환 장치)를 갖는다. ATC는 상기 공구 매거진과 주축 사이에서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한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소63-312038호 공보 참조).
종래의 공구 교환 장치는 공구 매거진을 베이스에 인접해서 설치하고 있다. 공구 교환 장치는 공구 매거진의 고정 위치까지 주축 헤드를 지지하는 컬럼이 이동해서 공구를 교환한다.
종래의 공작 기계는 컬럼이 이동하는 동작이 필요하므로, 공구 교환에 필요로 하는 시간(공구 교환 시간)이 증대한다.
공구 매거진을 컬럼에 설치하는 공구 교환 장치는 공구 교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공구 매거진은 복수의 공구를 보유 지지하므로 중량은 커진다. 전술한 경우, 공구 매거진의 컬럼에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는, 컬럼의 중량 밸런스가 나빠진다. 그러므로, 컬럼의 위치 결정 제어의 정밀도는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럼의 위치 결정 제어의 정밀도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공구 교환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다.
기술 방안 1의 공구 교환 장치는, 공작 기계의 베이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컬럼과, 상기 컬럼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주축 헤드와, 상기 주축 헤드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주축과, 상기 공구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 복수의 그립 아암과, 외주에 상기 복수의 그립 아암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컬럼이 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매거진 본체를 구비하여, 상기 매거진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그립 아암의 상기 파지부가 파지하는 상기 공구를 상기 주축의 하단부에 장착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공작 기계의 공구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본체는, 상기 컬럼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 형상의 매거진 본체는, 컬럼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컬럼에 지지되어 있다. 공구 교환 장치는, 공구 매거진을 설치한 상태의 컬럼의 무게 중심 위치를, 공구 매거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컬럼의 무게 중심 위치에 근접시킬 수 있다. 공구 교환 장치는 공구 매거진을 컬럼에 설치함으로써 컬럼의 중량의 밸런스의 치우침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공구 교환 장치는 컬럼의 이동에 의한 위치 결정 제어의 정밀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기술 방안 2의 공구 교환 장치의 상기 주축 헤드는, 상기 컬럼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컬럼에 고정한 상기 매거진 본체의 내측을 승강 가능하게 상기 컬럼에 설치하고 있다.
환 형상의 매거진 본체는 컬럼에 설치한 주축 헤드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컬럼에 지지되므로, 공구 교환 장치는 매거진 본체의 외주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많은 공구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기술 방안 3의 공구 교환 장치의 상기 매거진 본체는, 상기 축선이 연직선에 대하여 상기 주축 헤드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컬럼에 고정되어 있다.
매거진 본체의 회전 축선은 연직선에 대하여 주축 헤드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컬럼은 매거진 본체를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하고 있다. 그립 아암을 통하여 매거진 본체에 보유 지지된 공구는, 주축에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 수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이다. 매거진 본체의 회전 축선을 연직선에 대하여 주축 헤드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그립 아암이 파지하는 공구의 선단은, 매거진 본체의 외주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그립 아암은, 공구의 파지 위치가 매거진 본체의 외주의 연직 방향 하방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공구 교환 장치는, 더욱 많은 공구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기술 방안 4의 상기 복수의 그립 아암은,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매거진 본체의 외주의 연직 방향 하방에 위치한다.
복수의 그립 아암은 파지부가 매거진 본체의 외주의 연직 방향 하방에 위치하므로, 그립 아암의 매거진 본체에의 각각의 설치 위치 간격은 넓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공구 교환 장치는, 더욱 많은 공구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기술 방안 5의 상기 매거진 본체의 상기 축선의 연직선에 대한 상기 주축 헤드측으로의 경사각은 20° 내지 50°이다.
경사진 상태에서 컬럼이 지지한 매거진 본체는, 더욱 많은 공구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경사각이 지나치게 커지면, 컬럼의 중량 밸런스는 치우치는 경우가 있다. 공구 교환 장치는 컬럼의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고, 또한 많은 공구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매거진 본체의 회전 축선의 연직선에 대한 경사각은 20° 내지 50°이면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이다.
기술 방안 6의 공작 기계는, 기술 방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한다.
컬럼에의 설치 위치를 고려한 공구 교환 장치를 채용하므로, 공작 기계는 컬럼의 중량 밸런스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고, 고정밀도로 컬럼의 위치 결정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공작 기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공작 기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공작 기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주축 헤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그립 아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변형예의 공작 기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공구 교환 장치를 구성하는 공구 매거진과 그립 아암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7의 (b)는 그 상면도이다.
도 8의 (a)는 변형예의 공구 교환 장치를 구성하는 공구 매거진과 그립 아암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8의 (b)는 그 상면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공구 교환 장치(10)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 2의 좌측, 우측, 표면측, 배면측, 상측, 하측은 각각 공작 기계(12)의 좌측 방향, 우측 방향, 전방, 후방, 상방, 하방이다. 공작 기계(12)의 좌우 방향, 전후 방향, 상하 방향은 각각 X 방향, Y 방향, Z 방향이다.
공작 기계(12)는, 바닥면에 설치한 베이스(20)와, 베이스(20) 위에 Y 방향 이동 장치(22)를 개재해서 설치한 이동대(24)와, 이동대(24) 위에 X 방향 이동 장치(26)를 개재해서 설치한 컬럼(28)과, 컬럼(28)의 전방면에 Z 방향 이동 장치(30)를 개재해서 설치한 주축 헤드(32)를 구비하고 있다.
Y 방향 이동 장치(22)는, 베이스(20)의 상면에 Y 방향으로 연장되는 1대의 Y 방향 가이드 레일(34)과, 이동대(24)의 하면에 1대의 Y 방향 가이드 레일(34)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설치한 복수의 Y 방향 미끄럼 이동 부재(36)를 구비한다. Y 방향 이동 장치(22)는, Y 방향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해, 이동대(24)를 Y 방향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한다.
X 방향 이동 장치(26)는, 이동대(24)의 상면에 X 방향으로 연장되는 1대의 X 방향 가이드 레일(38)과, 컬럼(28)의 하면에 1대의 X 방향 가이드 레일(38)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설치한 복수의 X 방향 미끄럼 이동 부재(40)를 구비한다. X 방향 이동 장치(26)는, X 방향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해, 컬럼(28)을 X 방향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한다.
Z 방향 이동 장치(30)는, 컬럼(28)의 전방면에 Z 방향으로 연장되는 1대의 Z 방향 가이드 레일(42)과, 주축 헤드(32)의 후방면에 1대의 Z 방향 가이드 레일(42)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설치한 복수의 Z 방향 미끄럼 이동 부재(44)를 구비한다. Z 방향 이동 장치(30)는 Z 방향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해, 주축 헤드(32)를 Z 방향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한다.
3개의 이동 장치(22, 26, 30)는 X, Y, Z 방향의 각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주축 헤드(32)는 베이스(20) 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 헤드(32)는 전방측의 내부에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46)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주축(46)은 하단부에 공구(51)를 장착한 공구 홀더(50)를 탈착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주축(46)은 중공 형상이다. 주축(46)은 중공 형상의 내주의 하단부에, 하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구멍(48)을 나타내고 있다. 테이퍼 구멍(48)은 공구 홀더(50)의 상방에 형성한 테이퍼 장착부(52)를 장착 가능하다.
주축(46)은 내부, 또한 테이퍼 구멍(48)의 상방에 드로우 바(54)를 구비한다. 드로우 바(54)는 주축(46)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클램프 스프링(56)은 드로우 바(54)의 주위에 배치한다. 클램프 스프링(56)은 탄성력에 기초하여 드로우 바(54)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콜렛척(58)은 드로우 바(5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콜렛척(58)은 공구 홀더(50)의 테이퍼 장착부(52)를 주축(46)의 테이퍼 구멍(48)에 장착했을 때, 테이퍼 장착부(5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풀 스터드(60)를 끼움 지지한다.
가압 기구(도시 생략)는 드로우 바(54)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고, 드로우 바(54)를 하방으로 가압 가능하다. 가압 기구는, 드로우 바(54)를 클램프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하방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콜렛척(58)은 풀 스터드(60)의 끼움 지지를 해제한다. 콜렛척(58)이 풀 스터드(60)의 끼움 지지를 해제함으로써, 공구 홀더(50)는 주축(46)으로부터 벗어난다.
주축(46)은 주축 헤드(32)의 상단부에 설치한 주축 모터(62)에 접속되어 있다. 주축(46)은 주축 모터(62)의 구동에 의해 축심 주위로 회전한다. 주축(46)은 하단부에 공구 홀더(50)를 장착한 상태에서 축심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베이스(20) 상에 고정한 워크(도시 생략)에 대하여 가공을 행한다. 워크는, 베이스(20) 전방에 배치한 1대의 테이블 지지대(64)에 지지하는 테이블(도시 생략) 상에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 교환 장치(10)는 공구 홀더(50)를 보유 지지하는 환 형상의 공구 매거진(75)과, 공구 매거진(75)을 회전 구동시키는 매거진 모터(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공구 매거진(75)은 공구 홀더(50)를 파지하는 복수(예를 들어, 23개)의 그립 아암(70: 도 5 참조)과, 복수의 그립 아암(70)을 등간격으로 보유 지지하는 환 형상의 보유 지지 체인(72)과, 보유 지지 체인(72)을 보유 지지하는 환 형상의 체인 케이스(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환 형상의 체인 케이스는 보유 지지 체인(72)이 컬럼(28)과 주축 헤드(3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한다. 체인 케이스는 컬럼(28)에 고정한다. 주축 헤드(32)는 환 형상의 공구 매거진(75)의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보유 지지 체인(72)은 체인 케이스에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 체인(72)의 축심(7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축심(74)은 연직선(76: 도 3 참조)에 대하여 주축 헤드(32) 측으로 30° 경사져 있다. 즉, 보유 지지 체인(72)은 수평면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도 3에서) 30° 경사져 있다. 매거진 모터는 보유 지지 체인(72)을 회전 구동한다. 공구 교환 장치(10)는 매거진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보유 지지 체인(72)에 보유 지지한 복수의 그립 아암(70) 내의 임의의 것을 주축(46)의 하방의 공구 교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아암(70)은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된 아암 본체(80)와, 아암 본체(80)의 일단부에 연속하고, 또한 공구 홀더(50)를 파지하는 Y자형의 파지부(82)를 구비한다. 파지부(82)는 공구 홀더(50)의 외경부에 형성된 홈부(도시 생략)를 파지한다. 보유 지지 체인(72)은 지지 축(84)을 통하여 그립 아암(70)을 요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그립 아암(70)은 아암 본체(80)의 지지 축(84) 근방에 캠 팔로워(86)를 설치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팔로워(86)는 주축 헤드(32)의 전방면 하단부에 설치한 캠면(88)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공구 교환 위치에 위치 결정한 그립 아암(70)의 캠 팔로워(86)는 주축 헤드(32)의 Z 방향의 승강 이동에 수반하여, 캠면(88)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상기 미끄럼 이동에 의해, 공구 교환 위치의 그립 아암(70)은 지지 축(84)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상세하게는, 캠면(88)은 하방을 향할수록 주축 헤드(32)의 전방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많아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주축 헤드(32)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캠 팔로워(86)가 미끄럼 이동하는 캠면(88)의 돌출량은 많아진다. 주축 헤드(32)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캠면(88)은 캠 팔로워(86)를 캠면(88)을 따라 주축 헤드(32)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므로, 그립 아암(70)은 지지 축(84)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파지부(82)는 주축 헤드(32)에 접근한다. 파지부(82)는 주축(46)이 장착하는 공구 홀더(50)를 파지한다. 주축(46)은 전술한 가압 기구에 의해 공구 홀더(50)의 장착을 해제한다. 그 후, 주축 헤드(32)가 가장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그립 아암(70)의 파지부(82)는 주축(46)의 하단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그립 아암(70)의 파지부(82)는 주축(46)에 장착되어 있는 공구 홀더(50)를 파지할 수 있다.
주축 헤드(3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캠 팔로워(86)가 미끄럼 이동하고 있는 캠면(88)의 돌출량은 적어진다. 그러므로, 캠면(88)은 캠 팔로워(86)를 주축 헤드(3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그립 아암(70)은 지지 축(84)을 중심으로 요동해서 파지부(82)가 주축 헤드(32)로부터 이격되어 간다. 주축(46)은 그립 아암(70)이 파지하는 공구 홀더(50)를 장착한다. 파지부(82)는 공구 홀더(50)의 파지를 해제한다. 주축 헤드(32)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그립 아암(70)은 주축 헤드(32) 등과 간섭하지 않는다.
전술한 구조에 의해, 공구 교환 장치(10)는 공구 매거진(75)과 주축(46) 사이에서 공구 홀더(50)를 교환할 수 있다. 공구 교환 장치(10)는 공구 매거진(75)을 컬럼(28)에 설치하므로 공구 교환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으로 공구 홀더(50)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공구 홀더(50)를 보유 지지하는 공구 매거진(75)은, 보유 지지 체인(72)이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체인(72)은 컬럼(28), 주축 헤드(3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컬럼(28)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공구 교환 장치(10)는 공구 매거진(75)을 설치한 상태의 컬럼(28)의 무게 중심 위치를, 공구 매거진(75)이 설치되어 있는 않은 상태의 컬럼(28)의 무게 중심 위치에 근접시킬 수 있다. 공구 교환 장치(10)는 컬럼(28)에 공구 매거진(75)을 설치했으므로 컬럼(28)의 중량 밸런스의 치우침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공구 교환 장치(10)는 컬럼 이동형 공작 기계(12)에 설치했을 때의 컬럼(28)의 이동에 의한 위치 결정 제어의 정밀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공구 교환 장치(10)는 보유 지지 체인(72)을 컬럼(28)에 설치한 주축 헤드(3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공구 교환 장치(10)는 보유 지지 체인(72)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그립 아암(70)은 다수 설치 가능하게 되고, 많은 공구 홀더(50)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공구 매거진(75)은 보유 지지 체인(72)을 수평면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도 3에 있어서) 30° 경사진 상태에서 컬럼(28)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공구 매거진을 수평 상태로 컬럼에 설치해도 좋다.
도 6을 참조하여 변형예의 공구 교환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변형예의 공구 교환 장치(100)를 구비한 공작 기계(102)는 상기 공작 기계(12)와 비교해서 공구 매거진(104)을 제외하고, 상기 공작 기계(12)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므로, 공구 교환 장치(100)의 설명은 공구 매거진(104)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해서 설명을 간략화한다.
공구 교환 장치(100)는 공구 매거진(104)을 구비한다. 공구 매거진(104)은 공구 홀더(50)를 파지하는 복수(예를 들어, 22개)의 그립 아암(70)과, 복수의 그립 아암(70)을 등간격으로 보유 지지하는 환 형상의 보유 지지 체인(106)과, 보유 지지 체인(106)을 보유 지지하는 환 형상의 체인 케이스(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보유 지지 체인(106)은 체인 케이스에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 체인(106)의 축심(10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환 형상의 체인 케이스는 보유 지지 체인(106)이 컬럼(28), 주축 헤드(3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한다. 체인 케이스는 컬럼(28)에 고정한다. 보유 지지 체인(106)의 축심(108)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보유 지지 체인(106)은 수평 상태로 된다.
공구 매거진(104)의 보유 지지 체인(106)은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체인(106)은 컬럼(28), 주축 헤드(3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컬럼(28)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공구 교환 장치(100)는 컬럼(28)의 중량의 밸런스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단, 공구 교환 장치(10)의 공구 매거진(75)이 보유 지지 가능한 공구 홀더(50) 수는 공구 교환 장치(100)의 공구 매거진(104)이 보유 지지 가능한 공구 홀더(50) 수보다도 많다.
제1 실시 형태의 공구 매거진(75)은 보유 지지 체인(72)이 수평면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도 3에서) 30° 경사진 상태에서 컬럼(28)에 설치되어 있다. 공구 매거진(75)은 공구 교환 위치에 있어서 공구(51)가 수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립 아암(70)을 보유 지지 체인(72)에 설치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체인(72)이 경사져 있으므로, 공구(51)의 선단은 보유 지지 체인(72)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그립 아암(70)의 파지부(82)의 위치는 상면에서 볼 때 보유 지지 체인(72)의 위치와 대략 일치한다(도 7의 (b) 참조). 즉, 그립 아암(70)은 파지부(82)의 위치가 보유 지지 체인(72)의 외주의 연직 방향 하방에 위치한다.  변형예의 공구 매거진(104)은 보유 지지 체인(106)을 수평하게 컬럼(28)에 설치하고 있다. 공구 매거진(104)은 공구 교환 위치에서 공구(51)가 수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그립 아암(70)을 보유 지지 체인(106)에 설치한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아암(70)은 공구(51)가 보유 지지 체인(106)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파지하므로, 그립 아암(70)의 파지부(82)의 위치는 상면에서 볼 때 보유 지지 체인(106)보다 내측에 위치한다(도 8의 (b) 참조).  공구 매거진(104)의 파지부(82)의 위치는 보유 지지 체인(106)보다 내측에 위치하므로, 각각의 파지부(82)가 간섭하지 않도록 보유 지지 체인(106)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설치 위치의 간격을 넓게 해야 한다. 공구 매거진(75)의 파지부(82)의 위치는 보유 지지 체인(72)의 외주의 연직 방향 하방에 위치하므로, 상기 설치 위치의 간격은 공구 매거진(104)보다도 좁다. 그러므로, 공구 매거진(75)은 보유 지지 체인(72)에 더욱 많은 그립 아암(70)을 설치할 수 있다. 공구 매거진(75)은 23개의 공구 홀더(50)를 보유 지지할 수 있고, 공구 매거진(104)은 22개의 공구 홀더(50)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 7의 (b),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 매거진(75)은 변형예의 공구 매거진(104)보다 작지만, 공구 매거진(75)은 변형예의 공구 매거진(104)보다 많은 공구 홀더(50)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공구 교환 장치(10)는 공구 매거진(75)을 경사지게 해서 컬럼(28)에 설치함으로써,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많은 공구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매거진 본체로서 보유 지지 체인(72, 106)을 채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매거진 본체로서 원환 형상의 부재를 채용해도 좋다. 매거진 본체는, 원환 형상의 부재를 축심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보유 지지 체인(72, 106)은 고무 체인, 금속 체인 등, 다양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 체인을 채용할 수 있다.
보유 지지 체인(72)은 축선(74)의 연직선(76)으로부터 주축 헤드(32) 측으로의 경사각이 30°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 각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떤 경사각으로 설정해도 좋다. 경사 각도는 클수록, 90°까지의 범위에서 클수록, 많은 공구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단, 경사각이 지나치게 커지면, 공구 매거진(75)을 지지하는 컬럼의 중량의 밸런스에 치우침이 발생하므로, 경사각은 20° 내지 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경사각은 30° 내지 4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6)

  1. 공작 기계의 베이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컬럼과,
    상기 컬럼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주축 헤드와,
    상기 주축 헤드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공구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주축과,
    상기 공구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 복수의 그립 아암과,
    외주에 상기 복수의 그립 아암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컬럼이 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매거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그립 아암의 상기 파지부가 파지하는 상기 공구를 상기 주축의 하단부에 장착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공작 기계의 공구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본체는, 상기 컬럼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매거진 본체는, 상기 축선이 연직선에 대하여 상기 주축 헤드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컬럼에 고정한, 공구 교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헤드는, 상기 컬럼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컬럼에 고정한 상기 매거진 본체의 내측을 승강 가능하게, 상기 컬럼에 설치한, 공구 교환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상태의 상기 매거진 본체에 설치한 상기 복수의 그립 아암은,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매거진 본체의 외주의 연직 방향 하방에 위치하는, 공구 교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본체의 상기 축선의 연직선에 대한 상기 주축 헤드측으로의 경사각이, 20° 내지 50°인, 공구 교환 장치.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
KR1020120026467A 2011-03-31 2012-03-15 공구 교환 장치와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 KR101361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7364A JP5429221B2 (ja) 2011-03-31 2011-03-31 工具交換装置、及び工具交換装置を備える工作機械
JPJP-P-2011-077364 2011-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028A KR20120112028A (ko) 2012-10-11
KR101361286B1 true KR101361286B1 (ko) 2014-02-11

Family

ID=4595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467A KR101361286B1 (ko) 2011-03-31 2012-03-15 공구 교환 장치와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505304B1 (ko)
JP (1) JP5429221B2 (ko)
KR (1) KR101361286B1 (ko)
CN (1) CN1027290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93B1 (ko) 2016-04-28 2016-07-13 황금옥 오토 툴링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350B (zh) * 2012-11-09 2015-04-08 安徽池州家用机床股份有限公司 自动更换刀具装置
JP6476537B2 (ja) * 2013-08-26 2019-03-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及び工具ホルダ
CN104802011B (zh) * 2014-01-28 2017-04-12 邱菩宣 链式刀库
EP3135428B1 (en) * 2014-09-05 2018-10-24 Yamazaki Mazak Corporation Tool magazine and tool exchange device
CN106112636B (zh) * 2016-07-21 2018-09-04 芜湖东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换刀装置、换刀方法及具有该换刀装置的机床
JP2018205891A (ja) * 2017-05-31 2018-1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と装着判定方法
JP6828641B2 (ja) * 2017-08-31 2021-02-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と装着判定基準設定方法
CN107695758B (zh) * 2017-09-22 2023-12-22 天津众达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倾斜式圆盘刀库
WO2020090052A1 (ja) * 2018-10-31 2020-05-07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工具搬送装置
CN109848286A (zh) * 2019-04-09 2019-06-07 张家港润盛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铝片材弧形孔的快速冲压装置
TWI716887B (zh) * 2019-05-28 2021-01-21 陳君杰 換刀單元及具有該換刀單元之換刀裝置
TWI708658B (zh) * 2019-08-01 2020-11-01 新代科技股份有限公司 自動換刀系統及其控制方法
US20220250199A1 (en) * 2019-09-30 2022-08-11 Mori Machinery Corporation Tool magazine
CN110974360B (zh) * 2019-12-19 2020-1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手术刀的刀头更换装置
CN111203742B (zh) 2020-02-04 2021-11-09 科德数控股份有限公司 一种斜角摆头插补换刀机构和方法
CN111360572B (zh) * 2020-03-31 2021-11-19 新代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刀库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15488386B (zh) * 2022-10-22 2023-06-27 嘉兴市宏丰机械有限公司 一种阀体的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4222A (en) 1961-07-24 1965-03-23 Kearney & Trecker Corp Tool changing machine tool
JPS5639848A (en) * 1962-08-30 1981-04-15 Kearney & Trecker Corp Exchanging mechanism for tool for machine tool
JPS5851045A (ja) * 1981-08-13 1983-03-25 Om Seisakusho:Kk 工作機械の工具交換装置
JPS6179538A (ja) * 1984-09-26 1986-04-23 Fanuc Ltd 立型マシニングセンタの自動工具交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4147A (en) * 1959-07-30 1963-01-22 Gen Electric Material working machine with multiple tool holder
US3286344A (en) * 1965-03-01 1966-11-22 Kearney & Trecker Corp Machine tool with a tool changer
JPS4939983Y1 (ko) * 1968-04-10 1974-11-02
FR2067577A5 (ko) * 1969-11-07 1971-08-20 Guillemin Sergeot Pegord
GB1364645A (en) * 1970-08-28 1974-08-29 Olivetti & Co Spa Machine tool with automatic toolchange
JPS499780A (ko) * 1972-05-26 1974-01-28
US4238034A (en) * 1979-04-16 1980-12-09 Kearney & Trecker Corporation Automatic tool changer for machine tool
JPS63312038A (ja) 1987-06-16 1988-12-20 Fanuc Ltd 工具交換装置を有するコラム移動型工作機械
JP3559110B2 (ja) * 1995-07-28 2004-08-25 ザ・パック株式会社 合成樹脂フィルムがラミネートされた立体紙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4926039B2 (ja) * 2005-02-07 2012-05-09 株式会社 ナノ 工具自動交換装置、その工具交換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工作機械
JP4962069B2 (ja) * 2007-03-20 2012-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工具交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4222A (en) 1961-07-24 1965-03-23 Kearney & Trecker Corp Tool changing machine tool
JPS5639848A (en) * 1962-08-30 1981-04-15 Kearney & Trecker Corp Exchanging mechanism for tool for machine tool
JPS5851045A (ja) * 1981-08-13 1983-03-25 Om Seisakusho:Kk 工作機械の工具交換装置
JPS6179538A (ja) * 1984-09-26 1986-04-23 Fanuc Ltd 立型マシニングセンタの自動工具交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93B1 (ko) 2016-04-28 2016-07-13 황금옥 오토 툴링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29221B2 (ja) 2014-02-26
EP2505304A1 (en) 2012-10-03
CN102729085A (zh) 2012-10-17
CN102729085B (zh) 2015-01-07
EP2505304B1 (en) 2013-10-23
JP2012210680A (ja) 2012-11-01
KR20120112028A (ko)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286B1 (ko) 공구 교환 장치와 공구 교환 장치를 구비하는 공작 기계
EP2671674B1 (en) Machine tool
JP5497582B2 (ja) 横型マシニングセンタ
EP2992996B1 (en) Machine tool
JP5523640B1 (ja) 立形マシニングセンタの5面加工用アングルツールホルダの自動工具交換装置
JP2013248709A (ja) マシニングセンタ
KR20180022132A (ko) 드릴 가공 장치
JP4769285B2 (ja) 工具折損検出装置
CN113412175A (zh) 机床的刀库
JP6650290B2 (ja) 工作機械
JP2018034259A (ja) 工作機械
JP5327476B2 (ja) 工作機械
JP5149031B2 (ja) 工作機械
JP5567733B1 (ja) 立形マシニングセンタの5面加工用アングルツールホルダの自動工具交換装置
JP2012210681A (ja) 工作機械
JP6415952B2 (ja) 工作機械
JP3875615B2 (ja) 工作機械
JP3233444U (ja) 工具マガジン及び工作機械
JP6729329B2 (ja) 工作機械
JP6760183B2 (ja) 把持アーム及び工作機械
JP2023051256A (ja) 工具マガジン
JP2013202698A (ja) 工具交換装置
JP2013208668A (ja) 工作機械の工具交換装置
JP2003170323A (ja) 工作機械の工具交換装置
JP2015042429A (ja) 工作機械及び工具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