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770B1 -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 및 앵귤러 핀을 가진 이중사출금형 - Google Patents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 및 앵귤러 핀을 가진 이중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770B1
KR101360770B1 KR1020130038534A KR20130038534A KR101360770B1 KR 101360770 B1 KR101360770 B1 KR 101360770B1 KR 1020130038534 A KR1020130038534 A KR 1020130038534A KR 20130038534 A KR20130038534 A KR 20130038534A KR 101360770 B1 KR101360770 B1 KR 10136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imary
product
sliding core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테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3003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441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 B29C2045/163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the first injected part and the movable mould part being movable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사출금형의 하부금형 내에, 전진 및 후퇴 가능한 슬라이딩 코어를 설치하여, 1차 제품을 사출성형할 때에는 슬라이딩 코어를 후퇴시켜 금형 내의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한 부분을 이용하여 1차 제품이 성형되는 1차 캐비티를 형성하고, 2차 제품을 사출성형 할 때에는 슬라이딩 코어를 전진시켜 2차 제품이 성형되는 2차 캐비티를 형성하며, 이 슬라이딩 코어를 작동시키는 앵귤러 핀을 가지는 이중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은, 1차측 노즐이 구비된 1차측 상부금형과, 2차측 노즐이 구비된 2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포함하며, 하부금형에는 슬라이딩 코어가 포함되어,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폐될 시에는, 하부금형의 슬라이딩 코어가 후퇴하여, 1차측 상부금형이 하부금형과 형폐되어, 1차 제품이 형성되는 1차 캐비티를 형성하며, 하부금형이 다시 2차측 상부금형과 형폐될 시에는, 하부금형의 슬라이딩 코어가 원위치 되어, 2차 제품이 성형되는 2차 캐비티를 형성하며, 1차측 상부금형의 하부에는 앵귤러 핀이 고정 장착되어,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폐 시에는 앵귤러 핀에 의해 슬라이딩 코어가 후퇴하고,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개 시에는 앵귤러 핀에 의해 슬라이딩 코어가 하부금형의 캐비티 측에 완전 밀착되며, 2차측 상부금형의 하부에는 캠 코어가 고정 장착되어, 2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폐 시에는 캠 코어에 의해 슬라이딩 코어가 2차 제품의 성형면의 위치에 고정되어, 2차 제품의 사출성형 시 슬라이딩 코어가 밀리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 및 앵귤러 핀을 가진 이중사출금형 {A DOUBLE INJECTION MOULD HAVING ANGULAR PINS AND SLIDING CORES FOR REINFORCING STRUCTURAL WEAK PARTS IN A MOULD}
본 발명은 1차 제품을 사출성형한 다음, 1차 제품상에 2차 제품을 사출성형하는 이중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금형 내에 전진 및 후퇴 가능한 슬라이딩 코어를 설치하여, 1차 제품을 사출성형할 때에는 슬라이딩 코어를 후퇴시켜 금형 내의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한 부분을 이용하여 1차 제품이 성형되는 1차 캐비티를 형성하고, 2차 제품을 사출성형 할 때에는 슬라이딩 코어를 전진시켜 2차 제품이 성형되는 2차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슬라이딩 코어를 작동시키는 앵귤러 핀을 가지는 이중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제품 형상을 지닌 금형 내의 캐비티(cavity) 내에 적정한 온도로 용융된 수지를 적정 압력과 속도로 사출 및 충진시킨 다음에, 일정한 시간을 두고 충진된 수지가 냉각 고화되면, 금형을 형개하여 성형된 제품을 취출한다.
이때 수지의 종류가 서로 다르거나 색상이 서로 다른 부분들로 이루어진 복합제품을 사출성형하기 위해서는 이중사출금형을 많이 사용하며, 이중사출금형에는 턴테이블 타입(turn-table type), 로터리 타입(rotary type), 다이 슬라이드 인젝션(die slide injection type, DSI type)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도 1에는 이중사출성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턴테이블 타입의 이중사출금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 타입의 이중사출금형은, 1차측에는 1차측 노즐(11)이 구비된 1차측 상부금형(10), 2차측에는 2차측 노즐(21)이 구비된 2차측 상부금형(20)을 포함하고, 1차측 상부금형(10) 및 2차측 상부금형(20) 사이에는, 1차측 하부금형(31) 및 2차측 하부금형(32)으로 이루어진 하부금형(3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1차측 하부금형(31) 및 2차측 하부금형(32)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턴 테이블에 의해 180 도 회전될 수 있다.
이리하여, (가)도에서와 같이, 1차측 용융수지가 1차측 노즐(11)을 통해, 1차측 상부금형(10) 및 1차측 하부금형(31) 사이의 1차 캐비티 내로 사출되어 1차 제품이 성형되고, (나)도에서와 같이, 상기 1차측 상부금형(10) 및 1차측 하부금형(31)이 형개되면, 1차 성형된 제품이 1차측 하부금형(31)에 부착된 채로, 하부금형(30)이 턴 테이블에 의해 180 도 회전한다. 그 다음, (다)도에서와 같이, 1차측 하부금형(31)은 2차측 상부금형(20)과 밀착 형폐되어, 2차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2차 캐비티를 형성한다. 2차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상기 1차측의 용융수지와 물성이나 색상이 상이한 2차측 용융수지가 2차측 노즐(21)을 통해 2차측 상부금형(20) 및 1차측 하부금형(31) 사이의 2차 캐비티 내로 사출되어 2차 제품이 성형되며, 이와 동시에 1차측 금형에서는, 1차측 용융수지가 1차측 노즐(11)을 통해, 1차측 상부금형(10) 및 180 도 회전한 2차측 하부금형(32) 사이에 형성된 1차 캐비티 내로 사출되어 1차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 (라)도에서와 같이, 다시 금형들이 형개되어 2차측 금형 쪽에서는, 1차 제품 및 2차 제품이 일체화되어 완성된 제품이 취출되고, 하부금형(30)이 다시 턴 테이블에 의해 180 도 회전되어, 전술한 프로세스를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중사출금형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단기간 내에 많은 양의 제품을 균일한 품질로 생산할 수 있으며,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금형의 형합면은, 사출성형 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서로 접하여, 성형제품이 성형되는 영역을 설정해 주는데, 이러한 형합면의 형합면적 및 형합각도는 수지의 종류, 사출성형 조건, 사출기 톤(ton) 수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인 사출금형에 있어서는, 필요한 만큼의 형합면적 및 형합각도의 설정이 가능하지만,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는, 1차 제품이 2차 제품과 접하는 접합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1차 사출 시에는 금형의 형합면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2차 사출 시에는 2차 제품이 성형되는 성형면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제약조건이 따른다. 이러한 제약조건으로 인해, 이중사출금형에서 충분한 형합면적 및 형합각도를 확보하지 못한 채로 금형이 제작되어, 제품의 양산 시 제품의 품질불량을 초래하고, 구조적으로 취약한 금형 형합면의 마모, 변형, 파손 등으로 인해 심각한 비용 증가 및 생산성 저하 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내용은 턴테이블 타입의 이중사출금형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로터리 타입, 다이 슬라이드 인젝션 타입 등의 여타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출원번호 제10-2012-0018887호를 2012년 2월 24일자로 출원한 바 있는데, 상기 출원의 경우, 1차측 상부금형에는 캠 코어가 설치되어 이를 이용하여 하부금형에 설치된 슬라이딩 코어를 후퇴시켜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폐시키는데, 2차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이들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개시키면, 슬라이딩 코어는 단지 스프링의 힘에 의해 원위치, 즉 하부금형과 밀착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코어와 하부금형 접촉면 사이에 사출물의 플래시(flash)와 같은 이물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슬라이딩 코어가 완전히 전진하지 못하여 2차 제품을 성형하는 2차 캐비티의 성형면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해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제품 및 2차 제품의 접합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충분한 형합면적 및 형합각도를 가지는 금형의 형합면을 설계할 수 있고, 1차 제품 및 2차 제품의 접합면의 형상 때문에 금형 내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생기더라도 이를 구조적으로 충분히 보강할 수 있으며, 1차 제품을 사출성형한 뒤에, 슬라이딩 코어와 하부금형 접촉면 사이에 사출물의 플래시(flash) 등과 같은 이물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슬라이딩 코어가 완전히 전진할 수 있는 이중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코어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켜, 슬라이딩 코어가 후퇴한 뒤의 빈 공간을 크게 함으로써 이 공간에 삽입될 상부금형의 보강부재를 키워 보강부재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이중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은, 1차측 노즐이 구비된 1차측 상부금형과, 2차측 노즐이 구비된 2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이 1차측 상부금형과 형폐되어 1차 제품을 성형하고, 다시 상기 하부금형이 2차측 상부금형과 형폐되어 2차 제품을 성형하는 이중사출금형으로서, 상기 하부금형에는 슬라이딩 코어가 포함되어, 상기 1차측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이 형폐될 시에는, 상기 하부금형의 슬라이딩 코어가 후퇴하여, 상기 1차측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과 형폐되어, 1차 제품이 형성되는 1차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금형이 다시 상기 2차측 상부금형과 형폐될 시에는, 상기 하부금형의 슬라이딩 코어가 원위치 되어, 2차 제품이 성형되는 2차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1차측 상부금형의 하부에는 앵귤러 핀이 고정 장착되어, 상기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폐 시에는 상기 앵귤러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후퇴하고, 상기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개 시에는 상기 앵귤러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상기 하부금형의 캐비티 측에 완전 밀착되며, 상기 2차측 상부금형의 하부에는 캠 코어가 고정 장착되어, 상기 2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폐 시에는 상기 캠 코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2차 제품의 성형면의 위치에 고정되어, 2차 제품의 사출성형 시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밀리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금형과 형합면을 이루는 1차측 상부금형의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보강되고, 상기 1차측 상부금형의 보강된 부분이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후퇴된 후의 공간부분에 삽입되어 1차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코어에는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캐비티 쪽으로 편향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코어에는 앵귤러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앵귤러 핀이 상기 앵귤러 핀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후퇴시키고, 상기 앵귤러 핀이 상기 앵귤러 핀홀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하부금형의 캐비티 측에 완전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귤러 핀은 상부 수직부 및 하부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귤러 핀홀은 상기 상부 수직부와 접하는 면과 상기 하부 경사부와 접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귤러 핀의 단면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에서는, 1차 제품 및 2차 제품의 접합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충분한 형합면적 및 형합각도를 가지는 금형의 형합면을 설계할 수 있고, 1차 제품 및 2차 제품의 접합면의 형상 때문에 금형 내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생기더라도 이를 구조적으로 충분히 보강할 수 있으며, 1차 제품을 사출성형한 뒤에, 슬라이딩 코어와 하부금형 접촉면 사이에 사출물의 플래시(flash) 등과 같은 이물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1차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형개할 때 슬라이딩 코어가 하부금형의 캐비티 측으로 완전히 전진시켜, 2차 제품을 성형 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차 상부금형의 앵귤러 핀의 길이 및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슬라이딩 코어가 후퇴하는 거리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슬라이딩 코어의 후퇴에 따라 발생하는 빈 공간을 더 크게 할 수 있어서, 이 공간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구조적 강도 및 안정성을 더욱 키울 수 있다.
도 1은, 이중사출성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턴테이블 타입의 이중사출금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성형된 완성제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완성제품 중 1차 제품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1차 제품을 성형하는, 하부금형과 1차측 상부금형의 구조적 취약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1차 제품을 성형하는, 슬라이딩 코어를 지닌 하부금형과 1차측 상부금형의 구조적 취약 부분을 보강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1차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폐되면서 슬라이딩 코어가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2차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2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폐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을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일 예로서,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성형제작된 완성제품이 도시되어 있는데, (나)도는 (가)도의 제품을 뒤집어놓은 상태이다. 도 3에는 도 2의 완성제품 중 1차 제품(1) 부분만 도시되어 있는데, 1차 제품(1)에 단이 진 부분(1a)이 있고, 2차 제품(도 2의 2)에도 단이 진 부분(도 2의 2a)이 있으며, 2차 제품(2)의 단이 진 부분(2a)을 포함하여 1차 제품(1)의 좌우 측면에 접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1차 제품(1)과 2차 제품(2)은 물성이나 색상이 서로 다른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제품(1)이 1차측 금형, 즉 1차측 상부금형(10) 및 1차측 하부금형(31) 사이에서 성형된 다음에, 상기 1차측 하부금형(31)이 180 도 회전하여 2차측 상부금형(20)과 형폐되어 2차 제품(2)이 성형된다. 이때 2차 제품(2)은 1차 제품(1)의 측면에 접하여 연이어 성형되어야 한다. 즉 1차측 하부금형(31)에는, 2차측 상부금형(20)과 형폐되어 2차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해 1차 제품(1)의 측면이 연장되는 형태의 2차 캐비티(C2)(도 7 참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1차 제품(1)의 측면 방향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져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1차 제품(1)이 도시되어 있는데, 1차측 금형, 즉 1차측 상부금형(10)과 1차측 하부금형(31) 사이에서 1차 제품(1)이 성형되려면, 1차 제품(1)이 성형되는 1차 캐비티(C1)(도 6 참조)에 있어서, 1차 제품(1)의 단이 진 부분(1a)을 포함한 측면(1b)이 1차측 상부금형(10)에 의해 밀폐되어야 한다. 즉 1차 제품(1)의 단이 진 부분(1a)을 포함한 측면(1b)이 형합면이 되어야 한다. 한편, 2차 제품(2)을 사출성형하기 위해, 1차측 하부금형(31)이 1차 제품(1)을 부착한 채로 180 도 회전하여 2차측 상부금형(20)과 형폐되면, 상기 1차 제품(1)의 단이 진 부분(1a)을 포함한 측면(1b)은 2차 제품(2)이 접하여 연이어 성형될 수 있도록 2차 제품(2)의 성형면이 되어야 한다.
도 4는 1차 제품(1)을 성형하기 위한, 하부금형(31, 32)과 1차측 상부금형(10)의 구조적 취약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인데, (가)도에는 하부금형(31, 32)에 1차 제품(1)이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1차 제품(1)의 단이 진 부분(1a)을 포함한 측면(1b)이 2차 제품(2)과 접하기 위해서, 즉 2차 제품(2)의 성형면이 되기 위해서, 하부금형(31, 32)에는 제품의 단이 진 부분(1a)을 성형하기 위해, 1차 제품 측면(1b)의 단면을 따라 이어지는 단이 진 부분(31a, 32a)이 형성되어야 하고, 1차 제품(1)이 성형되기 위해 1차 제품(1)의 단이 진 부분(1a)을 포함한 측면(1b)은 형합면으로서, 1차측 상부금형(10)에 의해 밀폐되어야 한다. 1차 제품(1)의 단이 진 부분(1a)을 포함한 측면(1b)을 밀폐하기 위한 1차측 상부금형(10)의 구조 일부가 (나)도에 도시되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31, 32)의 단이 진 부분(31a, 32a)에 삽입되어 1차 제품(1)의 단이 진 부분(1a)을 포함한 측면(1b)을 밀폐하기 위해서는 1차측 상부금형(10)에 단이 진 돌출부(10a)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돌출부(10a)는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될 수가 있으며, 제품의 품질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여기서 실제로는, 도면상 (나)도의 빗금 친 측면(10b)이, (가)도의 빗금 친 측면(1b)의 반대쪽 측면((가)도에는 보여지지 않음)에 밀착하는 것임을 이해해주길 바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금형(31, 32)에 슬라이딩 코어(40)가 장착된 이중사출금형이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가)도는 슬라이딩 코어(40)가 하부금형(31, 32)과 함께 2차 제품(2)의 성형면을 이루는 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나)도는 이 슬라이딩 코어(40)가 제 위치에서 뒤로 이동 후퇴된 상태를 보여주고, (다)도는, 1차측 상부금형(10)이 하부금형(31, 32)과 형폐되어, 1차 제품(1)이 성형되는 1차 캐비티(C1)를 형성하는 1차측 상부금형(10)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31, 32)에 슬라이딩 코어(40)가 장착되어, 하부금형(31, 32)의 단이 진 부분(31a, 32a)에 있어서, 2차 제품(2)을 사출할 때에는 1차 제품(1)이 성형되는 1차 캐비티(도 6의 C1)와 2차 제품(2)이 성형되는 2차 캐비티(도 7의 C2)(도면상 슬라이딩 코어(40)의 상하부)를 슬라이딩 코어(40)가 연결하면서, 2차 제품(2)의 성형면을 형성한다. 그러나 1차 제품(1)을 사출성형할 때에는 슬라이딩 코어(40)가 상기 (가)도의 위치에서 (나)도에서와 같이 뒤로 이동 후퇴하고, 이 슬라이딩 코어(40)가 이동하고 난 뒤의 빈 공간(41)에, (다)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차측 상부금형(10)의 돌출부(10d)가 삽입되어, 도면상 빗금 친 측면(10c)이 하부금형(31, 32)과 형합면을 이루어 1차 캐비티(C1)의 측면을 밀폐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4의 (나)도에 참조부호 10a로 표시된 바와 같은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도 5의 참조부호 10d로 표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보강할 수 있다.
도 6은 1차 제품(1)을 성형하기 위해, 1차측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1, 32)이 형폐 또는 형개되면서 슬라이딩 코어(40)가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인데, 형폐 시에는 (가)-(나)-(다)순으로 금형이 이동하며, 형개 시에는 (다)-(나)-(가)순으로 금형이 이동한다. 먼저 (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코어(40)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42)에 의해 도면상 좌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2)은 여타의 탄성체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1차측 상부금형(10)의 하부에는 앵귤러 핀(50)이 고정 장착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귤러 핀(50)은 금형의 형폐/형개 방향에 대해 평행한 상부의 수직부(51) 및 이 수직부(51)에 대해 경사진 하부의 경사부(5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의 경사부(52)는 제1경사면(52a) 및 제2경사면(52b)을 지닐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코어(40)에는 앵귤러 핀(50)이 삽입될 수 있는 앵귤러 핀홀(43)이 형성되고, 앵귤러 핀홀(43)에는 제1면(43a), 제2면(43b), 제3면(43c)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의 간결성을 위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참조부호를 (가)도에만 대표적으로 표기하였다.
이리하여 (나)도에서와 같이 1차측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1, 32)의 형폐가 진행되면서, 1차측 상부금형(10)에 장착된 앵귤러 핀(50)이 슬라이딩 코어(40)에 형성된 앵귤러 핀홀(43) 내에 삽입되고, 앵귤러 핀(50)의 제1경사면(52a)이 슬라이딩 코어(40)의 제1면(43a)과 접촉하면서, 스프링(42)의 힘을 극복하고 슬라이딩 코어(40)를 도면상 우측으로 후퇴시킨다. 이 후 (다)도에서와 같이 1차측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1, 32)이 완전히 형폐되면, 슬라이딩 코어(40)는 완전히 후퇴하고, 앵귤러 핀(50)의 수직부(51)가 슬라이딩 코어(40)의 제2면(43b)을 가압하여, 슬라이딩 코어(40)가 완전 후퇴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슬라이딩 코어(40)가 후퇴 이동한 빈 공간(41)에는 1차측 상부금형(10)의 구조적으로 안정된 돌출부(10d)가 삽입되어 1차 제품(1)을 성형하는 1차 캐비티(C1)의 형합면을 이루어 1차 제품(1)을 사출성형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코어(40) 하부의 하부금형(31, 32)에는 상기 앵귤러 핀(50)이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공간(4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1차 제품(1)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1차측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1, 32)의 형개가 진행되는데, 이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다)-(나)-(가)순으로 진행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1, 32)의 형개 과정에서, 앵귤러 핀(50)은 앵귤러 핀홀(43)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앵귤러 핀(50) 경사부(52)의 제2경사면(52b)이 앵귤러 핀홀(43)의 제3면(43c)과 접촉 가압하면서 슬라이딩 코어(40)를 캐비티 측으로, 즉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앵귤러 핀(50)이 앵귤러 핀홀(43)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는 시점에 슬라이딩 코어(40)는 캐비티 쪽으로 강한 힘으로 완전히 밀착된다. 이로써, 슬라이딩 코어(40)와 캐비티가 형성되는 하부금형(31, 32)의 접촉면(45) 사이에 사출물의 플래시와 같은 이물이 발생했을 경우라도 슬라이딩 코어(40)가 캐비티 쪽으로 완전히 전진할 수 있어서, 2차 제품(2)을 사출성형할 때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귤러 핀(50)의 단면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 등의 사각형 형태가 바람직한데, 원형 또는 타원형이 될 수도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서 여타의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앵귤러 핀(50)의 길이와 앵귤러 핀 경사부(5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슬라이딩 코어(40)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슬라이딩 코어(40)의 후퇴하는 이동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슬라이딩 코어(40)가 후퇴하고 난 뒤의 빈 공간(41)을 크게 할 수 있어서, 1차측 상부금형(10)의 돌출부(10d)를 좀 더 크게 하여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도 7에는, 1차 제품(1)이 성형 완료된 후, 1차측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1, 32)이 형개되고, 2차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해, 1차 제품(1)이 부착된 하부금형(31, 32)이 2차측 상부금형(20)과 형폐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가)도는 2차측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1, 32)이 형폐되기 직전의 도면이고, (나)도는 2차측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1, 32)이 완전히 형폐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가)도에서 슬라이딩 코어(40)는, 앞에서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1차측 상부금형(10)이 하부금형(31, 32)과 형개되면서 앵귤러 핀(50)에 의해 슬라이딩 코어(40)가 캐비티 측, 즉 도면상 좌측으로 완전 밀착되고, 스프링(42)에 의해 그 밀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차측 상부금형(20)의 하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코어(60)가 고정 장착되고, 캠 코어(60)에는 경사면(60a)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코어(40) 후부에는 상기 경사면(60a)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코어 경사면(40a)이 형성되어 있다, (나)도에서와 같이 2차측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1, 32)이 완전 형폐되면, 캠 코어(60)의 경사면(60a)이 슬라이딩 코어(40)의 경사 면(40a)을 가압하여, 슬라이딩 코어(40)를 캐비티 측, 즉 도면상 좌측으로 밀착 압박함으로써, 2차 제품(2) 사출성형 시 용융수지의 사출압력에 의해 슬라이딩 코어(40)가 2차 제품(2)의 캐비티로부터 밀리지 않게 해준다. 이와 같이 2차 제품(2)의 사출성형이 완료되면, 2차측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1, 32)을 형개하여, 1차 제품(1) 및 2차 제품(2)이 일체화된 완성제품을 취출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주로 턴 테이블 타입의 이중사출금형을 예시로 설명되었지만,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턴테이블 타입의 이중사출금형뿐만 아니라, 로터리 타입, 다이 인젝션 타입 등의 여타의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 내용은 본 발명의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1차 제품 1a : 1차 제품의 단이 진 부분
1b : 1차 제품의 측면 2 : 2차 제품
2a : 2차 제품의 단이 진 부분 10 : 1차측 상부금형
10a : 돌출부 10b : 측면
10c : 측면 10d : 돌출부
11 : 1차측 노즐 20 : 2차측 상부금형
21 : 2차측 노즐 30 : 하부금형
31 : 1차측 하부금형 31a : 1차측 하부금형의 단이 진 부분
32 : 2차측 하부금형 32a : 2차측 하부금형의 단이 진 부분
40 : 슬라이딩 코어 40a : 슬라이딩 코어 경사면
41 : 빈 공간 42 : 스프링
43 : 앵귤러 핀홀 43a : 앵귤러 핀홀 제1면
43b : 앵귤러 핀홀 제2면 43c : 앵귤러 핀홀 제3면
45 : 접촉면 50 : 앵귤러 핀
51 : 앵귤러 핀 수직부 52 : 앵귤러 핀 경사부
52a : 제1경사면 52b : 제2경사면
60 : 캠 코어 60a : 캠 코어 경사면
C1 : 1차 캐비티 C2 : 2차 캐비티

Claims (8)

1차측 노즐이 구비된 1차측 상부금형과, 2차측 노즐이 구비된 2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이 1차측 상부금형과 형폐되어 1차 제품을 성형하고, 다시 상기 하부금형이 2차측 상부금형과 형폐되어 2차 제품을 성형하는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에는 슬라이딩 코어가 포함되어, 상기 1차측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이 형폐될 시에는, 상기 하부금형의 슬라이딩 코어가 후퇴하여, 상기 1차측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과 형폐되어, 1차 제품이 형성되는 1차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금형이 다시 상기 2차측 상부금형과 형폐될 시에는, 상기 하부금형의 슬라이딩 코어가 원위치 되어, 2차 제품이 성형되는 2차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1차측 상부금형의 하부에는 앵귤러 핀이 고정 장착되어, 상기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폐 시에는 상기 앵귤러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후퇴하고, 상기 1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개 시에는 상기 앵귤러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상기 하부금형의 캐비티 측에 완전 밀착되며,
상기 2차측 상부금형의 하부에는 캠 코어가 고정 장착되어, 상기 2차측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형폐 시에는 상기 캠 코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2차 제품의 성형면의 위치에 고정되어, 2차 제품의 사출성형 시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밀리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과 형합면을 이루는 1차측 상부금형의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보강되고, 상기 1차측 상부금형의 보강된 부분이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후퇴된 후의 공간부분에 삽입되어 1차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금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에는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캐비티 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금형.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금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에는 앵귤러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앵귤러 핀이 상기 앵귤러 핀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후퇴시키고, 상기 앵귤러 핀이 상기 앵귤러 핀홀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하부금형의 캐비티 측에 완전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금형.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앵귤러 핀은 상부 수직부 및 하부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귤러 핀홀은 상기 상부 수직부와 접하는 면과 상기 하부 경사부와 접하는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금형.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앵귤러 핀의 단면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금형.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앵귤러 핀의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금형.
KR1020130038534A 2013-04-09 2013-04-09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 및 앵귤러 핀을 가진 이중사출금형 KR10136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534A KR101360770B1 (ko) 2013-04-09 2013-04-09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 및 앵귤러 핀을 가진 이중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534A KR101360770B1 (ko) 2013-04-09 2013-04-09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 및 앵귤러 핀을 가진 이중사출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770B1 true KR101360770B1 (ko) 2014-02-11

Family

ID=5027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534A KR101360770B1 (ko) 2013-04-09 2013-04-09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 및 앵귤러 핀을 가진 이중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265B1 (ko) 2014-11-11 2016-03-17 (주)신영프레시젼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어셈블리
CN114131854A (zh) * 2021-11-25 2022-03-04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双色模一射行位不开模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0610A (ja) * 1994-09-29 1996-04-09 Mitsubishi Materials Corp ケース部材の成形用金型装置
KR20090026979A (ko) * 2007-09-11 2009-03-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스위치 레버 제조용 2단 슬라이드 금형
KR20120099940A (ko) * 2011-03-02 2012-09-12 에이테크솔루션(주) 턴테이블 방식의 이중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램프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0610A (ja) * 1994-09-29 1996-04-09 Mitsubishi Materials Corp ケース部材の成形用金型装置
KR20090026979A (ko) * 2007-09-11 2009-03-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스위치 레버 제조용 2단 슬라이드 금형
KR20120099940A (ko) * 2011-03-02 2012-09-12 에이테크솔루션(주) 턴테이블 방식의 이중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램프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265B1 (ko) 2014-11-11 2016-03-17 (주)신영프레시젼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어셈블리
CN114131854A (zh) * 2021-11-25 2022-03-04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双色模一射行位不开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032B1 (ko)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를 갖는 이중사출금형
KR101144120B1 (ko) 캐비티를 형성하는 무빙 코어를 갖는 사출압축성형용 금형
KR101360770B1 (ko)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 및 앵귤러 핀을 가진 이중사출금형
JP2013141770A (ja) 車両用樹脂製窓パネルの射出成形型
KR20140028956A (ko) 팔레트 제조용 금형장치
CN201881526U (zh) 一种双色模具的浇道结构
KR101456999B1 (ko) 웰드라인 없이 성형제품의 일면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 제어방법
KR200394900Y1 (ko) 니들 게이트를 구비한 사출 금형장치
KR101475152B1 (ko) 사출성형 장치의 노즐
WO2022023395A1 (en) A mold for injection molding
JP2018034451A (ja) 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
JP5760555B2 (ja) アパーチャアレイ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582818B1 (ko) 이중 각도의 언더컷 빼기용 슬라이드코어 구조
JP2003266475A (ja) 複合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及びその金型
CN220447249U (zh) 一种两腔成型的hp-rtm模具
CN113909433B (zh) 一种角件蜡模成型方法及成型模具
KR101602737B1 (ko)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200250822Y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 구조
KR101331614B1 (ko) 강제 취출식 금형장치
KR101171081B1 (ko) 금형용 슬라이드
JP5760554B2 (ja) アパーチャアレイ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EP2505333A1 (en) Injection molding die and resin molded product
KR101380027B1 (ko) 사출금형의 캐비티와 코어의 형합 위치를 설정하는 인로우의 설치구조
JP3745350B2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
KR100581388B1 (ko) 사출성형용 밀폐형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