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443B1 - 계단식 도어 스텝 - Google Patents

계단식 도어 스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443B1
KR101360443B1 KR1020120138818A KR20120138818A KR101360443B1 KR 101360443 B1 KR101360443 B1 KR 101360443B1 KR 1020120138818 A KR1020120138818 A KR 1020120138818A KR 20120138818 A KR20120138818 A KR 20120138818A KR 101360443 B1 KR101360443 B1 KR 10136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guide
guides
bas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호
장선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8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체에 상호 평행하게 마련되며 각각 슬롯이 형성되고 슬롯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가 각각 마련된 복수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마다 대응되게 마련되며, 엇갈리게 연결된 제1링크와 제2링크로 구성되고, 제1링크의 일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제2링크의 일단은 대응되는 베이스의 가이드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부; 상기 링크부마다 대응되게 마련되며, 대응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발판;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에 슬라이딩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가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에서 각각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다른 베이스의 슬롯에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가이드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시 복수의 가이드가 연결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되며 각각의 링크부가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발판이 차량 외측으로 전개되는 계단식 도어 스텝이 소개된다.

Description

계단식 도어 스텝 {STAIRWAY TYPE DOOR STEP}
본 발명은 대형차량에 있어서, 캡 내로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스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트럭은 대량의 화물을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적재함이 마련되고, 운전석이 마련되어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캡이 마련된다.
이러한 캡은 대형 화물차의 경우 크기가 크고 시야확보를 위해 운전석이 높게 위치됨으로써 운전자는 지면에서 캡 내부로 쉽게 탑승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캡 내부로 승하차시 운전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도어의 하측에는 다단으로 형성된 발판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발판의 경우 각 단의 발판이 돌출되는 정도가 모두 같고, 운전석의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마련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탑승시 무게중심이 뒤쪽으로 쏠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미끄러져 넘어지는 경우 낙하에 의해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체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운전자가 손잡이를 잡고 올라갈 수 있도록 설치되었지만, 운전자가 따로 손잡이를 잡아 팔의 힘으로 운전석으로 승차해야 했고, 하차시에는 보통 손잡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단의 발판이 거의 수직으로 마련되는 것이 아닌, 계단식으로 발판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승하차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발판구조가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운전자의 승하차시 수직으로 마련된 발판이 계단식으로 전개되어 운전자에게 승하차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계단식 도어 스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도어 스텝은 차체에 상호 평행하게 마련되며 각각 슬롯이 형성되고 슬롯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가 각각 마련된 복수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마다 대응되게 마련되며, 엇갈리게 연결된 제1링크와 제2링크로 구성되고, 제1링크의 일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제2링크의 일단은 대응되는 베이스의 가이드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부; 상기 링크부마다 대응되게 마련되며, 대응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발판;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에 슬라이딩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가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에서 각각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다른 베이스의 슬롯에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가이드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시 복수의 가이드가 연결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되며 각각의 링크부가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발판이 차량 외측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베이스 중 구동부와 연결된 베이스의 슬롯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축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가이드축을 통해 구동부의 슬라이딩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은 외주면에 나선 돌기가 형성된 스크류 구조이고 가이드는 볼 나사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가이드축이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가이드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되 정역회전이 가능한 회전모터이고, 가이드축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가이드가 가이드축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크부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엇갈리게 연결된 부분에 힌지가 설치됨으로써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상호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크부는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엇갈리는 부분이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로 올라갈수록 발판측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크부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일단에 각각 힌지구조를 통해 차체 또는 대응되는 베이스의 가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판에는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연결된 부분에 각각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링크부의 전개시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타단이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발판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제1링크가 연결된 가이드홈은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제2링크가 연결된 가이드홈은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복수의 가이드 중 최하측에 마련된 베이스의 가이드에 연결되고 최하측의 베이스로부터 최상측의 베이스 순으로 각 연결부의 단부가 최하측 베이스에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동부의 작동시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 순으로 순차적인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복수의 가이드 중 최하측에 마련된 베이스의 가이드에 연결되고 각 연결부의 단부는 바로 하측에 마련된 베이스의 슬롯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부의 작동시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 순으로 순차적인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구동부에 연결된 가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가 마련된 각각의 베이스에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가 구비되고, 구동부에 연결된 가이드의 복원시 나머지 가이드는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가이드를 제외한 다른 가이드에서 연장된 연결부의 단부와 연장된 단부에 대응되는 가이드는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가이드의 복원시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당겨지면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이스는 가이드와 접촉되는 부분에 스프링을 통해 지지되어 노출 및 삽입되는 푸시돌기가 설치되고, 각각의 가이드에는 푸시돌기에 대응되는 돌기홈이 형성됨으로써 가이드의 복원시 가이드의 돌기홈에 푸시돌기가 걸리어 가이드의 복원된 위치가 가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계단식 도어 스텝은 다단으로 마련된 복수의 베이스, 복수의 링크부 및 이를 연결해주는 연결부를 통해 운전자가 승하차를 해야 하는 경우 구동부가 작동됨에 따라 복수의 발판이 계단식으로 전개됨으로써 운전자에게 승하차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계단식 도어 스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도어 스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 스텝의 발판이 전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 스텝의 발판이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 스텝의 구동부를 통해 가이드에 슬라이딩력이 전달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 스텝의 구동부의 슬라이딩력이 전달되어 복수의 가이드가 슬라이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스텝의 탄성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스텝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도어 스텝의 복수의 베이스에 마련된 가이드에서 연장된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식 도어 스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도어 스텝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계단식 도어 스텝은 차체에 상호 평행하게 마련되며 각각 슬롯이 형성되고 슬롯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120)가 각각 마련된 복수의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마다 대응되게 마련되며, 엇갈리게 연결된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로 구성되고, 제1링크(220)의 일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제2링크(240)의 일단은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가이드(120)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부(200); 상기 링크부(200)마다 대응되게 마련되며, 대응되는 제1링크와(220) 제2링크(240)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발판(300); 상기 복수의 가이드(12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120)에 슬라이딩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 및 상기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에서 각각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다른 베이스(100)의 슬롯에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가이드(120)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결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400)의 작동시 복수의 가이드(120)가 연결부(500)에 의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되며 각각의 링크부(200)가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발판(300)이 차량 외측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대형트럭의 발판은 계단식으로 구현하기 위해,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발판 부근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400)에 의해 복수의 베이스(100)에 마련된 가이드(120)가 슬라이딩되고,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서로 엇갈리게 연결되어 폴딩 및 전개되는 링크부(200)를 적용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고,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체에 상호 평행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베이스(100)에는 각각 길이방향의 슬롯이 형성되고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120)가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의 베이스(100)에 형성된 슬롯에는 각각 가이드(120)가 마련되되 가이드(120)에는 링크부(200)의 제2링크(240)가 연결되고,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는 연결부(500)가 구동부(400)와 연결된 가이드(120c) 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베이스(100) 형성되는 슬롯은 길이방향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고, 가이드가 슬롯에 연결됨으로써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1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복수의 링크부(200)는 각각의 베이스(100)마다 대응되게 마련되며, 엇갈리게 연결된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로 구성되되, 제1링크(220)의 일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제2링크(240)의 일단은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가이드(120)에 연결되며 각 링크의 타단은 대응되는 발판(300)에 연결되는 링크부(200)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는 서로 엇갈리는 부분을 기준으로 발판(300)을 향한 링크의 길이와 베이스(100) 측으로 향하는 링크의 길이에 따라 발판(300)이 전개되는 양을 조절하여 복수의 발판(300)이 계단식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은 복수의 베이스(100)에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120) 중 어느 하나에 구동부(400)를 연결하여 슬라이딩력을 제공하면,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가 연결부(500)를 통해 슬라이딩력을 전달받아 각각의 링크부(200)가 전개됨으로써 복수의 발판(300)이 전개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복수의 베이스(100) 중 구동부와 연결된 베이스의 슬롯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축(140)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0)는 가이드축(140)을 통해 구동부(400)의 슬라이딩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40)은 외주면에 나선 돌기가 형성된 스크류 구조이고 가이드(120)는 볼 나사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400)에 의해 가이드축(140)이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12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 스텝의 발판이 전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 스텝의 발판이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가이드축(140)은 링크부(200)의 제2링크(240)의 일단이 연결된 가이드(120)가 베이스(100)의 슬롯을 따라 이동되도록 지지하고 구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슬라이딩력을 가이드(12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가이드축(140)은 외주면에 나선 돌기가 형성된 스크류 구조이고, 가이드(120)는 가이드축(140)을 감싸되 볼 나사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구동부(400)에 의해 가이드축(140)이 회전되면 가이드(120)가 가이드축(140)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120)에 연결된 링크부(200)가 전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00)는 가이드축(140)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되 정역회전이 가능한 회전모터이고, 가이드축(140)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가이드(120)가 가이드축을(140)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판(300)은 차량 외측으로 전개되고 운전자가 차내로 탑승하면 발판(300)이 폴딩되어야 하는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구비하여 일정방향으로 가이드축(140)을 회전시키면 발판(300)이 전개되고, 반대방향으로 가이드축(140)을 회전시키면 발판(300)이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도어를 열었을 경우 모터가 회전됨에 따라 발판(300)이 전개되도록 가이드축(140)을 회전시키고, 반대로 운전자가 도어를 닫았을 경우 모터가 반대로 회전됨으로써 발판(300)이 원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승하차에 따라 유동적으로 발판(300)이 전개 및 폴딩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의 엇갈리게 연결된 부분에 힌지(260)가 설치됨으로써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상호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엇갈리게 연결되고, 각 링크가 상호회전됨에 따라 발판(300)이 폴딩 및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즉, 링크부(200)에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의 엇갈리게 연결된 부분에 힌지(260)를 설치하여 각각의 링크가 연결되도록 하고, 구동부(400)의 슬라이딩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가이드(120)에 의해 각각의 링크(220, 240)가 힌지(260)를 중심으로 상호회전됨으로써 링크부(200)가 전개되는 동작을 구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엇갈리는 부분이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로 올라갈수록 발판(300)측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탑승이 용이하도록 발판(300)을 외측으로 전개되도록 하되, 발판(300)이 계단식으로 전개되도록 하여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렇게, 발판(300)이 계단식으로 전개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최하측의 발판이 가장 많이 전개되도록 하고,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발판의 전개량이 적어짐에 따라 최상측의 발판은 가장 적게 전개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발판(300)이 계단식으로 전개되도록 하기 위해서,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엇갈리는 부분이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로 올라갈수록 발판측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의 일단이 차체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제2링크(240)의 일단이 대응되는 베이스의 가이드에 연결되어 구동부(400)에 의해 가이드(12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전개된다.
이러한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엇갈리는 부분을 기준으로, 베이스(100) 측의 링크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발판(300) 측의 링크길이는 길게 형성한 링크부(200)가 베이스(100) 측의 링크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발판 측의 링크길이를 짧게 형성한 링크부보다 전개량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 또는 제2링크(240)의 일단이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본 발명이 구현하고 하는 링크부의 전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엇갈리는 부분이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로 올라갈수록 발판(300)측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최하측의 링크부가 가장 많이 전개되도록 하고, 최상측의 링크부는 가장 적게 전개되도록 하여 발판(300)이 계단식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의 일단에 각각 힌지구조를 통해 차체 또는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가이드(12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상호회전되어야 하는데,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의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면 각 링크는 가이드(120)의 슬라이딩에 의해 회전되지 못한다.
따라서, 제1링크(220)는 차체에 설치고정하되 힌지구조를 통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제2링크(240)는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가이드(120)에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가이드의 이동시 제2링크(240)의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발판(300)의 전개가 필요한 경우 가이드(120)가 이동됨에 따라 링크부(200)가 회전되어 발판(300)이 차량의 외측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복수의 발판(300)에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연결된 부분에 각각 가이드홈(320)이 형성되고, 링크부(200)의 전개시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의 타단이 가이드홈(32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는 발판(300)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320)이 형성되되 제1링크(220)가 연결된 가이드홈(322)은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제2링크(240)가 연결된 가이드홈(324)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가 차체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제2링크(240)의 일단이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가이드(120)에 연결되기 때문에, 구동부(400)의 슬라이딩력이 제공되면 가이드(120)에 연결된 제2링크(240)의 일단이 슬라이딩되면서 링크부(200)가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링크부(200)의 전개시 제2링크(240)는 일단에 연결된 가이드(120)가 이동됨에 따라 발판(300)을 전방으로 밀어주지만, 제1링크(220)는 일단이 차체에 연결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차체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링크부(200)가 전개됨에 따라 발판(300)에 연결된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발판(300)에는 각 링크에 대응되는 가이드홈(320)을 형성하되, 링크부(200)의 전개시 제1링크(220)가 연결되는 가이드홈(322)은 회전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하고, 제2링크(240)가 연결되는 가이드홈(324)는 발판(300)을 밀어주는데 용이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2 내지 3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부(400)를 통해 슬라이딩력이 전달되면 가이드(120)가 이동되고, 가이드(120)에 연결된 제2링크(240)의 일단이 가이드(120)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링크부(200)의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전개방향으로 상호 회전되고 각 링크가 발판을 밀어주면서 발판이 전개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 스텝의 구동부(400)를 통해 가이드(120)에 슬라이딩력이 전달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 스텝의 구동부(400)의 슬라이딩력이 전달되어 복수의 가이드(120)가 슬라이딩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동부(400)의 슬라이딩력이 전달됨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120)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구동부(400)는 복수의 가이드(120) 중 최하측에 마련된 베이스(100c)의 가이드(120c)에 연결되고 최하측의 베이스(100c)로부터 최상측의 베이스(100a) 순으로 각 연결부(500)의 단부가 최하측의 베이스(100c)에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동부(400)의 작동시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 순으로 순차적인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동부(400)는 최하측에 마련된 베이스(100c)의 가이드(120c)에 연결함으로써 구동부(400)의 작동시 최하측의 가이드(120c)가 가장 먼저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하측의 가이드(120c)에는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에서 연장된 연결부(500)의 단부(520)가 최하측의 가이드(120c)에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가이드(120a, 120b,)와 연결부(500)의 단부(520)는 일정간격을 두어 마련된다. 여기서, 구동부(400)가 작동하면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가 가장 먼저 슬라이딩되고, 가이드(120c)가 슬롯내에 연장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의 연결부(500) 단부(520)를 순차적으로 밀어줌으로써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 순으로 순차적인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단식 도어 스텝의 복수의 베이스에 마련된 가이드에서 연장된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구동부(400)는 복수의 가이드(120) 중 최하측에 마련된 베이스(100c)의 가이드(120c)에 연결되고 각 연결부(500)의 단부(520)는 바로 하측에 마련된 베이스(100)의 슬롯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부(400)의 작동시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 순으로 순차적인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링크부(200)를 순차적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구동부(400)는 최하측에 마련된 베이스(100c)의 가이드(120c)에 연결되고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에서 연장되는 연결부(500)의 단부는 바로 하측에 마련된 베이스의 슬롯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부(400)가 작동하게 되면 구동부(400)가 연결된 최하측의 가이드(120c)가 슬라이딩하면, 바로 상측에 마련된 가이드(120b)에서 연장된 연결부(500)의 단부(520a)를 밀어주고, 연장부(500)를 통해 슬라이딩력을 전달받은 가이드(120b)가 이동하면 최상측에 마련된 가이드(120a)에서 연장된 연결부(500) 단부(520b)를 밀어줌으로써 복수의 링크부(200)는 최하측으로부터 최상측으로 순차적인 전개가 이루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발판(300)의 전개를 순차적으로 전개하지 않고, 모든 발판(300)이 동시에 전개되도록 할 수 있지만, 각각의 가이드(120)의 위치가 조정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500)의 형상도 변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발판(300)이 순차적으로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단순화를 꾀할 수 있고, 고급화로 인해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발판(300)의 순차적 전개구조에 대해서는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스텝의 탄성부(16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120) 중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가 마련된 각각의 베이스에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160)가 구비되고,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의 복원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는 탄성부(16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식 도어스텝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다른 가이드에서 연장된 연결부(500)의 단부와 연장된 단부에 대응되는 가이드는 연결부재(122)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의 복원시 각각의 가이드(120)는 연결부재(122)에 의해 당겨지면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판(300)의 전개상태가 불필요한 경우 폴딩되어야 하는데,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는 구동부(400)의 회전에 따라 전개 및 폴딩될 수 있지만,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는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구동력이 존재하지 않아 원위치로 복원되지 못한다.
따라서,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가 마련된 각각의 베이스(100a, 100b)에는 탄성부(160)를 구비함으로써 발판(300)이 폴딩되어야 하는 경우 각각의 베이스(100a, 100b)에 마련된 가이드(120a, 120b)가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에 의해 밀려있는 상태에서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가 원위치로 복원되면 나머지 가이드(120a, 120b)가 탄성부(16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다른 가이드(120a, 120b)에서 연장된 연결부(500)의 단부와 연결부(500)의 단부에 대응되는 가이드는 연결부재(122)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발판(300)이 폴딩되어야 하는 경우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가 원위치로 복원되면 연결부재(122)를 통해 연결된 연결부(520)를 당기면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8의 구조인 경우 연결부(500)를 통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가이드(120b)는 또 다른 가이드(120a)에서 연장된 연결부(500)의 단부와 연결부재(122)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의 복원시 각각의 가이드(120a, 120b)가 모두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베이스(100)에 마련된 각각의 가이드(1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해 탄성부(160)와 연결부재(122)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를 복원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거나 복잡한 장치 및 구조의 적용없이 간단하게 나머지 가이드를 복원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100)는 가이드(120)와 접촉되는 부분에 스프링을 통해 지지되어 노출 및 삽입되는 푸시돌기(180)가 설치되고, 각각의 가이드(120)에는 푸시돌기(180)에 대응되는 돌기홈이 형성됨으로써 가이드(120)의 복원시 가이드의 돌기홈에 푸시돌기(180)가 걸리어 가이드(100)의 복원된 위치가 가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가이드(120) 중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는 구동부(400)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100c)의 슬롯을 따라 이동되지만, 구동부(400)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가이드(120a, 120b)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기 때문에 각각의 베이스(100a, 100b) 슬롯 내에서 유동되어 발판이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원위치로 복원된 가이드를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베이스(100)에는 가이드(120)와 접촉되는 부분에 스프링을 통해 지지되어 노출 및 삽입되는 푸시돌기(180)를 설치하고, 각각의 가이드(120)에는 푸시돌기(180)에 대응되는 돌기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푸시돌기(180)는 가이드(120)와 접촉되는 부분을 원형으로 형성하여 가이드(120)의 유동에 방해가 되지 않고, 가이드(120)의 이동에 의해 푸시돌기(180)가 쉽게 가압되도록 한다.
이렇게, 복수의 베이스(100)와 각각의 가이드(120)에는 푸시돌기(180) 및 돌기홈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120)의 복원시 가이드의 돌기홈에 푸시돌기(180)가 걸리어 가이드(100)의 복원된 위치가 가고정되도록 하여 필요시에만 발판이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복수의 베이스 120:복수의 가이드
200:복수의 링크부 300:복수의 발판
400:구동부 500:연결부

Claims (14)

  1. 차체에 상호 평행하게 마련되며 각각 슬롯이 형성되고 슬롯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120)가 각각 마련된 복수의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마다 대응되게 마련되며, 엇갈리게 연결된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로 구성되고, 제1링크(220)의 일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제2링크(240)의 일단은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가이드(120)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부(200);
    상기 링크부(200)마다 대응되게 마련되며, 대응되는 제1링크와(220) 제2링크(240)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발판(300);
    상기 복수의 가이드(12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120)에 슬라이딩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 및 상기 구동부(400)의 작동시 복수의 가이드(120)가 연결부(500)에 의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되며 각각의 링크부(200)가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발판(300)이 차량 외측으로 전개되는 계단식 도어 스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100) 중 구동부와 연결된 베이스의 슬롯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축(140)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0)는 가이드축(140)을 통해 구동부(400)의 슬라이딩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140)은 외주면에 나선 돌기가 형성된 스크류 구조이고 가이드(120)는 볼 나사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400)에 의해 가이드축(140)이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120)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가이드축(140)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되 정역회전이 가능한 회전모터이고, 가이드축(14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가이드(120)가 가이드축을(140) 따라 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스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의 엇갈리게 연결된 부분에 힌지(260)가 설치됨으로써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상호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엇갈리는 부분이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로 올라갈수록 발판(300)측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부(200)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의 일단에 각각 힌지구조를 통해 차체 또는 대응되는 베이스(100)의 가이드(12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판(300)에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가 연결된 부분에 각각 가이드홈(320)이 형성되고, 링크부(200)의 전개시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의 타단이 가이드홈(32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는 발판(300)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320)이 형성되되 제1링크(220)가 연결된 가이드홈(322)은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제2링크(240)가 연결된 가이드홈(324)은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복수의 가이드(120) 중 최하측에 마련된 베이스(100c)의 가이드(120c)에 연결되고 최하측의 베이스(100c)로부터 최상측의 베이스(100a) 순으로 각 연결부(500)의 단부가 최하측의 베이스(100c)에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동부(400)의 작동시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 순으로 순차적인 전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복수의 가이드(120) 중 최하측에 마련된 베이스(100c)의 가이드(120c)에 연결되고 각 연결부(500)의 단부는 바로 하측에 마련된 베이스(100)의 슬롯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부(400)의 작동시 최하측의 링크부로부터 최상측의 링크부 순으로 순차적인 전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120) 중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가 마련된 각각의 베이스에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160)가 구비되고,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의 복원시 나머지 가이드(120a, 120b)는 탄성부(16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c)를 제외한 다른 가이드에서 연장된 연결부(500)의 단부와 연장된 단부에 대응되는 가이드는 연결부재(122)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구동부(400)에 연결된 가이드(120)의 복원시 각각의 가이드는 연결부재(122)에 의해 당겨지면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14.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100)는 가이드(120)와 접촉되는 부분에 스프링을 통해 지지되어 노출 및 삽입되는 푸시돌기(180)가 설치되고, 각각의 가이드(120)에는 푸시돌기(180)에 대응되는 돌기홈이 형성됨으로써 가이드(120)의 복원시 가이드의 돌기홈에 푸시돌기(180)가 걸리어 가이드(100)의 복원된 위치가 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도어 스텝.
KR1020120138818A 2012-12-03 2012-12-03 계단식 도어 스텝 KR10136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818A KR101360443B1 (ko) 2012-12-03 2012-12-03 계단식 도어 스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818A KR101360443B1 (ko) 2012-12-03 2012-12-03 계단식 도어 스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443B1 true KR101360443B1 (ko) 2014-02-11

Family

ID=5027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818A KR101360443B1 (ko) 2012-12-03 2012-12-03 계단식 도어 스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4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59U (ko) * 1996-12-20 1998-09-15 박병재 트럭의 도어 연동식 보조스텝 돌출장치
KR19980046734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트럭용 사이드 스탭
KR20020015525A (ko) * 2000-08-22 2002-02-28 소진관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장치
US20090273154A1 (en) 2005-01-21 2009-11-05 Volvo Lastvagnar Ab Step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59U (ko) * 1996-12-20 1998-09-15 박병재 트럭의 도어 연동식 보조스텝 돌출장치
KR19980046734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트럭용 사이드 스탭
KR20020015525A (ko) * 2000-08-22 2002-02-28 소진관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장치
US20090273154A1 (en) 2005-01-21 2009-11-05 Volvo Lastvagnar Ab Step for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062B1 (ko) 레그레스트의 구조
US8141954B2 (en) Switching mechanisms of vehicle seats
CN105228856B (zh) 车辆座椅
US10479250B2 (en) Structure of leg-rest
CN108515884B (zh) 易进入汽车中排座椅
JP6305893B2 (ja) 作業車
KR101360443B1 (ko) 계단식 도어 스텝
CN103158584A (zh) 车辆座椅的步入装置
KR101592758B1 (ko)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JP5161719B2 (ja) 車両用昇降装置
KR101350864B1 (ko)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JP5910816B2 (ja) シート装置
KR102442168B1 (ko)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KR102038933B1 (ko) 차량용 시트
DE10260524B4 (de) Höhenverstellbares Laderaumbodensystem
JP200608780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CN109910932B (zh) 轨道车辆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JP2008049885A (ja) 車両のスロープ装置
KR102460776B1 (ko)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KR102022293B1 (ko) 탑승형 다족 로봇
KR101316532B1 (ko) 차량의 워크인시트
KR100919496B1 (ko) 전동차의 객실 의자
KR20080057623A (ko) 중장비의 탑승용 사다리
KR100607091B1 (ko) 회전간섭 방지기능을 가지는 점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