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177B1 -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177B1
KR101359177B1 KR1020120099438A KR20120099438A KR101359177B1 KR 101359177 B1 KR101359177 B1 KR 101359177B1 KR 1020120099438 A KR1020120099438 A KR 1020120099438A KR 20120099438 A KR20120099438 A KR 20120099438A KR 101359177 B1 KR101359177 B1 KR 10135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mouse
monitors
curs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구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인팅 장치는 복수 개의 모니터들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에 커서를 표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서를 모니터들의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며, 모니터들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로 광을 조사하여 특정 모니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니터로부터 적외선을 수신하여 해당 모니터를 식별함으로써, 광이 조사된 모니터로 커서를 표시하는 마우스; 및 모니터들 각각에 부착되고 고유의 식별코드가 할당되어서, 마우스가 지시하는 것을 감지하여, 식별코드를 적외선 통신을 통해서 마우스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모니터에 커서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 식별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for Controlling Cursor in Multi-Monitor}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개의 모니터를 이용하는 환경에서 마우스 커서와 같은 포인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모니터와 같은 모니터를 이용하는 컴퓨터 사용환경에서 작업자가 하나의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모니터를 제어하는 상황이 흔히 있다. 근래 들어서 모니터의 화면 크기가 커지고 많은 수의 모니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데에 반해서, 다수의 대형 모니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안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이처럼 다수 개의 모니터를 이용하는 컴퓨터 사용환경에서 작업이 중단되어 다시 시작할 경우에, 작업자는 마우스 커서가 어느 모니터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 지 찾기가 난해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마우스를 흔들어서 움직이는 마우스 커서를 찾을 수밖에 없는데, 이때에도 모니터의 개수와 표시되는 화면에 따라서 마우스 커서를 찾는 데에 난해한 점이 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대의 모니터를 이용하는 환경에서 마우스 커서의 제어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인팅 장치는 하나의 컴퓨터 본체에 의해서 제어되는 복수 개의 모니터들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에 커서를 표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마우스 및 상기 모니터들 각각에 부착되는 모니터 식별기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로서, 모니터 식별기는 고유의 모니터 식별코드를 갖고, 마우스에 의해서 선택될 경우에 모니터 식별코드를 광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마우스로 전송하고, 마우스는 모니터 식별기들 중 하나의 모니터 식별기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특정 모니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니터 식별기가 광통신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모니터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해당 모니터를 식별하고, 선택된 모니터 식별기의 모니터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컴퓨터 본체로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이때 광통신 수단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 식별기는 마우스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송신부; 발광다이오드가 조사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광을 감지할 경우에,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서 마우스로 상기 모니터 식별코드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마우스는 모니터 식별기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모니터 식별기의 적외선 송신부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수신부; 모니터들 각각의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서 전송받는 모니터 식별코드를 파악하고, 전송받는 모니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니터 식별기는 모니터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에 의하면, 여러 대의 모니터상에서 마우스 커서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의 모니터로 마우스 커서의 이동을 손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인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인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커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인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인팅 장치는 복수 개의 모니터(11,12,13,14)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서 제어되는 상황에서, 마우스 커서(20)의 이동 및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포인팅 장치는 마우스(100) 및 마우스(100)의 지시방향을 감지하는 모니터 식별기(200)를 포함한다.
마우스(100)는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모니터(11,12,13,14) 중에서 지시하는 방향의 모니터(11,12,13,14)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특정 모니터(11,12,13,14)를 선택한다.
모니터 식별기(200)는 마우스(100)가 조사하는 광을 수광하고, 마우스(100)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모니터(11,12,13,14)에 대한 식별코드를 마우스(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식별코드를 전송받은 마우스(100)는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11,12,13,14)로 마우스 커서(20)를 표시한다.
도 2는 이러한 포인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우스(100)는 마우스 좌/우 버튼(101,102) 및 스크롤 휠(103)과 함께 발광소자(110), 적외선 수신부(120) 및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마우스 좌/우 버튼(101,102)은 마우스 커서(20)가 지시하는 영역에 특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스크롤 휠(103)은 화면의 수직이동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마우스 좌/우 버튼(101,102) 및 스크롤 휠(103)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마우스(100)는 마우스(100)의 일단이 지시하는 방향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모니터(11,12,13,14)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니터(11,12,13,14)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서 마우스(100)의 일단에는 발광소자(110)가 형성된다. 발광소자(110)는 복수 개의 모니터(11,12,13,14)에 배치되는 모니터 식별기(200)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니터 식별기(200)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이하, LED)를 이용할 수 있다. 발광소자(110)로서 LED를 이용하는 것은 LED 광의 직진성이 좋기 때문에, 마우스(100)가 지시하는 모니터(11,12,13,14) 이외에 인접하는 모니터 식별기(200)를 향해서 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발광소자(110)는 발광소자 동작버튼(112)을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10)는 마우스(100)의 평면상에서 일단에 오목하게 파인 홈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우스(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홈은 발광소자(110)가 인접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수신부(120)는 모니터 식별기(200)의 적외선 송신부(220)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적외선 수신부(120)는 모니터 식별기(200)의 적외선 송신부가 모니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전송하는 것을 수신함으로써, 해당 모니터의 식별코드 정보를 제공받는다.
메모리부(130)는 복수 개의 모니터(11,12,13,14)들 각각의 식별코드를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적외선 수신부(120)가 수신하는 적외선 통신 정보에서 식별코드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11,12,13,14)에 커서(20)를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이러한 커서(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컴퓨터 본체(미도시)로 송신하고, 컴퓨터 본체는 마우스(100)의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받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마우스 커서(20)를 표시한다.
모니터 식별기(200)는 복수 개의 모니터(11,12,13,14)에 각각 부착되어서, 마우스(100)의 발광소자(110)가 조사하는 광을 감지함으로써, 마우스(100)가 지시하는 어느 하나의 모니터(11,12,13,14)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마우스(100)에 의해서 특정된 모니터(11,12,13,14)에 부착된 모니터 식별기(200)는 마우스(100)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모니터(11,12,13,14)의 식별코드를 마우스(1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서 모니터 식별기(200)는 수광소자(210), 적외선 송신부(220) 및 신호처리부(230)를 포함한다.
수광소자(210)는 마우스(100)의 발광소자(110)가 조사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수광소자(210)는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였을 경우에 감지신호를 신호처리부(230)에 전달한다.
신호처리부(230)는 수광소자(210)가 광을 수광할 때 전달하는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을 경우에 적외선 송신부(220)를 작동시켜서 모니터 식별기(200)와 마우스(100) 간의 적외선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적외선 송신부(220)는 신호처리부(230)의 제어에 의해서 마우스(100)의 적외선 수신부(120)로 적외선을 송신한다. 이때, 적외선 송신부(220)가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 정보는 해당 모니터(11,12,13,14)의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즉, 각각의 모니터 식별기(200)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할당되고, 적외선 송신부(220)는 해당 모니터 식별기(200)의 식별코드를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마우스(100)로 전송한다.
도 1은 모니터 식별기(200)에서 마우스(100)로 식별코드를 전송하는 수단을 적외선 통신으로 구성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모니터 식별기(200)가 마우스(100)로 식별코드를 전송하는 수단은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커서(20)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특정 모니터를 향해서 광을 조사 : S301 >
먼저, 마우스(100)를 이용하여 특정 모니터(11,12,13,14)를 향해서 광을 조사한다.
특정 모니터(11,12,13,14)는 작업자가 커서(20)가 표시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마우스(100)의 발광소자(110)가 복수 개의 모니터(11,12,13,1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니터(11,12,13,14)를 향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발광소자 동작버튼(112)을 이용하여 발광소자(110)를 발광시킨다.
< 선택된 모니터가 광을 수광 : S303 >
도 1에서와 같이, 제2 모니터(11,12,13,14)를 향해서 마우스(100)를 지시하고 발광소자(110)를 발광시키면, 제2 모니터(11,12,13,14)에 부착된 제2 모니터 식별기(200)의 수광소자(210)는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한다.
< 적외선 통신으로 모니터 식별코드 전송 : S305 >
신호처리부(230)는 수광소자(210)가 광을 수광하는 것을 감지하고, 수광소자(210)가 광을 수광할 때에 마우스(100)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적외선 송신부(220)는 신호처리부(230)의 제어에 따라서 적외선을 송신한다.
이때, 적외선 송신부는 해당 모니터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예컨대, 제2 모니터 식별기(200)의 적외선 송신부(220)는 제2 모니터(11,12,13,14)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적외선으로 송신한다.
< 해당 모니터에 커서(20) 표시 : S307 >
마우스(100)의 적외선 수신부(120)는 모니터 식별기(200)의 적외선 송신부(220)가 송신하는 적외선을 수신하고, 제어부(140)는 적외선 수신부(120)가 전송받는 적외선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서 커서(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도 1의 예시에 있어서, 제2 모니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커서(20)를 제2 모니터(11,12,13,14)에 표시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5)

  1. 하나의 컴퓨터 본체에 의해서 제어되는 복수 개의 모니터들 중 어느 하나의 모니터에 커서를 표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마우스 및 상기 모니터들 각각에 부착되는 모니터 식별기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로서,
    상기 모니터 식별기는
    고유의 모니터 식별코드를 갖고, 상기 마우스에 의해서 선택될 경우에 상기 모니터 식별코드를 광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마우스로 전송하고,
    상기 마우스는,
    상기 모니터 식별기들 중 하나의 모니터 식별기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특정 모니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니터 식별기가 상기 광통신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상기 모니터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해당 모니터를 식별하고, 상기 선택된 모니터 식별기의 모니터에 상기 커서를 표시하도록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를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 수단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를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식별기는
    상기 마우스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송신부;
    상기 마우스가 조사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가 광을 감지할 경우에, 상기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서 상기 마우스로 상기 모니터 식별코드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의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는
    상기 모니터 식별기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모니터 식별기의 적외선 송신부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수신부;
    상기 모니터들 각각의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서 전송받는 상기 모니터 식별코드를 파악하고, 상기 전송받는 모니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모니터에 상기 커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를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식별기는 상기 모니터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를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
KR1020120099438A 2012-09-07 2012-09-07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 KR101359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38A KR101359177B1 (ko) 2012-09-07 2012-09-07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38A KR101359177B1 (ko) 2012-09-07 2012-09-07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177B1 true KR101359177B1 (ko) 2014-02-06

Family

ID=5027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438A KR101359177B1 (ko) 2012-09-07 2012-09-07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17B1 (ko) 2016-03-11 2017-08-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인팅제어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687A (ja) 1999-05-24 2000-11-30 Nec Software Okinawa Ltd カーソル移動システム
KR100280345B1 (ko) 1997-04-10 2001-02-01 포만 제프리 엘 무선 데이타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도킹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3983B1 (ko) 2000-07-13 2006-10-1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지능형 장치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시키는 주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23865A1 (en) 2010-03-15 2011-09-15 Sunrex Technology Corp. Computer input device with bluetooth arrangement for operating computers by switch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345B1 (ko) 1997-04-10 2001-02-01 포만 제프리 엘 무선 데이타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도킹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330687A (ja) 1999-05-24 2000-11-30 Nec Software Okinawa Ltd カーソル移動システム
KR100633983B1 (ko) 2000-07-13 2006-10-1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지능형 장치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시키는 주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23865A1 (en) 2010-03-15 2011-09-15 Sunrex Technology Corp. Computer input device with bluetooth arrangement for operating computers by switc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17B1 (ko) 2016-03-11 2017-08-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인팅제어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7362B2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JP6207762B2 (ja) 近接ベースの照明制御
US8929739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JP6223576B2 (ja) アドレス指定可能な照明のためのタブレットに基づくコミッショニングツール
US10007408B2 (en) Medical control systems
JP6792019B2 (ja) 無線照明制御システム
US10129963B2 (en) Lighting system, lighting devices, and terminal
US20170148116A1 (en) Automated supervision of construction operations in an intelligent workspace
JP2015012538A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
CN108605400A (zh) 一种控制照明设备的方法
KR101359177B1 (ko) 복수 개의 모니터에서 커서 제어를 위한 포인팅 장치
JP2012043227A (ja) 光学式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光学式タッチパネル
KR101937985B1 (ko)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0221752A (zh) 大屏交互系统以及交互方法
US20120274561A1 (en) Operation control system using infrared rays and method thereof
KR20160150380A (ko) 적외선을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로봇 주행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로봇 이동 제어 방법
KR20190124638A (ko) 조명 기구, 단말기, 조명 시스템, 정보 단말, 조명 기구의 페어링 방법 및 프로그램
JP6713130B2 (ja)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制御方法
TWM453922U (zh) 結合紅外線定位之移動監控系統
JP6104102B2 (ja) 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08120A1 (ja) 位置測位システム
JP5870552B2 (ja) 視標呈示装置
KR101642279B1 (ko) 지향성 무선 신호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
KR101304407B1 (ko) 원격 마우스의 레이저 포인팅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016186728A (ja) 非接触型入力システム及び光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