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985B1 -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985B1
KR101937985B1 KR1020180035453A KR20180035453A KR101937985B1 KR 101937985 B1 KR101937985 B1 KR 101937985B1 KR 1020180035453 A KR1020180035453 A KR 1020180035453A KR 20180035453 A KR20180035453 A KR 20180035453A KR 101937985 B1 KR101937985 B1 KR 10193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llumination
module
led ligh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형석
Original Assignee
허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형석 filed Critical 허형석
Priority to KR102018003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05B33/0842
    • H05B37/02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광원을 포함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보드를 포함하는 조명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태그장치로부터 상기 태그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고, 소정의 기준 위치로부터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드 별 혹은 상기 복수의 LED광원 별로 각각의 점등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와 이에 따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Lighting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of indoor lo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명은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인간 활동에 필수적인 기본요소이다. 조명은 대부분 값비싼 에너지인 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단순 조명에서 쾌적한 환경 유지와 다양한 정보전달 수단으로서의 응용 분야가 늘어나고, 사용량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여 빛의 혁명이 시작되고 있는데, 고휘도 LED를 이용한 반도체 조명이 그 주역이다. 반도체기술의 획기적인 발달로 빛의 삼원색인 적색, 녹색, 청색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영역의 빛과 이를 이용하여 백색의 빛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은 짧은 자외선부터, 사람의 시각을 자극시킬 수 있는 파장의 가시광선 그리고 파장이 긴 적외선에 이르는 넓은 파장범위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빛 중을 조명에 사용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가시광선을 만드는 일은 사실상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다. 즉 선사시대의 모닥불에서 등잔불, 가스등 등을 거쳐 현대의 백열전구, 형광등에 이르기까지 끝임 없는 발전을 하여왔다. 그러나 사실상 조명을 위한 인공광원의 효시는 에디슨이 발명한 탄소 필라멘트 백열전구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가 있다. 1940년대 초반 방전에 의해서 생기는 자외선이 칼슘 할로인산 형광체를 여기시켜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키는 형광등의 출현은 가정용, 산업용 조명으로, 매우 중요한 광원으로 주류를 이루게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인공광원의 출현과 더불어 인류의 삶에 많은 변화와 번영을 주었던 시대의 분위기가 1970년대의 오일 쇼크를 정점으로 사회 모든 분야에서 에너지 절약을 강조하게 되었다. 다행히 종래의 단순표시기, 문자판 등에 주로 사용되었던 가시광선 저휘도 LED가 최근 화합물 반도체기술의 발달로 고휘도 적색, 주황, 녹색, 청색 및 백색 LED가 출현됨에 따라 총천연색, 고신뢰성, 저전력소비, 소형화 요구의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백색 LED의 출현은 LED의 조명효율이 백열전구를 능가하여 조명광원으로의 사용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5369호 2015년 08월 21일 공개 (명칭: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 사람들이 위치한 장소에 설치된 조명을 통해 화제 등의 재난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의 색 및 형상을 이용하여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는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광원을 포함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보드를 포함하는 조명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태그장치로부터 상기 태그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고, 소정의 기준 위치로부터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드 별 혹은 상기 복수의 LED광원 별로 각각의 점등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LED광원 중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색을 발광하는 LED광원이 점등되도록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태그장치로부터 태그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사용자의 목적지를 입력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기준 위치로부터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식별자,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의 조명 장치가 안내하는 색의 조명을 점등하도록 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LED광원 중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색을 발광하는 LED광원이 점등되도록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조명 장치가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광원을 포함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보드를 포함하는 조명모듈을 이용하며, 태그장치로부터 상기 태그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고, 스마트센서가 감지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드 별 혹은 상기 복수의 LED광원 별로 각각의 점등 여부를 제어하되, 상기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LED광원 중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색을 발광하는 LED광원이 점등되도록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조명 장치가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광원을 포함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보드를 포함하는 조명모듈을 이용하며, 태그장치로부터 상기 태그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스마트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자,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의 조명 장치가 안내하는 색의 조명을 점등하도록 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LED광원 중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색을 발광하는 LED광원이 점등되도록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등의 재난 사고 발생하였을 시, 재난 상황이 발생한 장소에 LED 조명을 통해 붉은색 계열의 조명을 통해 경고함으로써 사람들은 직관적으로 위험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LED 조명을 통해 각 개인의 실내에서의 이동 경로를 조명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복잡한 실내에서 목적지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조명장치(100), 복수의 스마트센서(200), 태그장치(300) 및 관제서버(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이며, 복수의 색의 조명을 발광하며, 그 조명의 형상을 달리하여 조명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는 관제서버(400)와 통신으로 연결되며, 관제서버(400)의 제어에 따라 색 및 형상을 달리하여 조명할 수 있다.
스마트센서(200)는 감지 범위 내에 이동하는 객체가 있을 때, 이동하는 객체 및 그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센서(200)는 감지 범위 내에 이동하는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를 조명장치(100)로 전달한다.
태그장치(300)는 조명장치(40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태그장치(300)는 조명장치(400)로 태그장치(300)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요청할 수 있다.
관제서버(400)는 게이트웨이(GW)를 통해 복수의 조명장치(400)와 연결되며, 복수의 조명장치(400)와 통신하여 복수의 조명장치(400)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400)는 조명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해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장치(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통신모듈(110), 조명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10)은 태그장치(300) 및 관제서버(4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 태그장치(300)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110)은 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태그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10)은 무선 혹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Tx)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Rx)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모듈(110)은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모듈(120)은 각각이 복수의 LED광원(20: 21, 22, 23)을 포함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보드(10: 11, 12, 13)가 케이스(30)에 장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보드(10: 11, 12, 13)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보드이며, LED광원(20: 21, 22, 23)은 조명용 LED 소자이다. 복수의 LED광원(20: 21, 22, 23)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며, 서로 분리된 복수의 보드(10: 11, 12, 13)를 통해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보드(11)는 제1 색, 예컨대, 자연광을 발광하는 제1 LED광원(21)이 장착될 수 있고, 제2 보드(12)는 제2 색, 예컨대, 붉은색광을 발광하는 제2 LED광원(22)이 장착될 수 있으며, 제3 보드(13)는 제3 색, 예컨대, 초락색광을 발광하는 제3 LED광원(23)이 장착될 수 있다. 조명모듈(120)의 각각의 보드(10: 11, 12, 13)에 장착된 LED광원(20: 21, 22, 23)은 제어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 점멸 혹은 소등된다.
제어모듈(130)은 조명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장치(100)의 조명모듈(120) 및 통신모듈(110)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모듈(130)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3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장치(3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장치(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조명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부(310)는 지향성 안테나(ANT)를 포함하며,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상향으로 전파를 방사한다. 통신부(310)는 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부(310)는 조명장치(100)와의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Tx)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Rx)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유닛(310)은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태그장치(300)에 목적지, 조명색 및 조명 형상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30)에 전달한다. 입력부(320)는 다양한 물리키,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32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3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330)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태그장치(300)의 관성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센서는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s)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330)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자이로 센서(gyroscope) 등의 적어도 하나의 관성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30)는 관성 센서를 통해 태그장치(300)의 이동 속도를 비롯하여 가속도, 변위 등의 관성 정보를 감지하고, 관성 정보를 제어부(340)에 제공한다.
제어부(340)는 태그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34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입력부(320)를 통해 목적지, 조명 색 및 형상을 입력받고, 태그장치(300)의 식별자, 목적지, 조명 색 및 형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4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400)는 통신모듈(110), 저장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통신유닛(410)은 게이트웨이(GW)를 통해 조명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유닛(410)은 제어유닛(450)의 제어에 따라 조명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조명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유닛(410)은 제어유닛(45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 예컨대, 조명 제어 메시지를 조명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유닛(410)은 수신되는 데이터, 예컨대, 위치 정보 등을 제어유닛(4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유닛(420)은 관제서버(4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유닛(450)에 전달한다. 입력유닛(420)은 관제서버(400)를 제어하기 위한 각 종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유닛(430)은 관제서버(4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유닛(430)은 관제서버(4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유닛(43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유닛(440)은 관제서버(4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저장유닛(440)은 실내 전자 지도를 저장한다. 이러한 실내 전자 지도는 실내의 각 방의 위치, 계단, 벽 등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유닛(450)은 관제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관제서버(4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유닛(450)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유닛(450)의 동작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태그장치(300)를 휴대한 사용자가 실내에 진입한 상황을 가정한다.
태그장치(300)의 제어부(340)는 S110 단계에서 센서부(330)를 통해 관성 정보를 수신하여 지표면을 기준으로 상방을 도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40)는 S120 단계에서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안테나(ANT)가 상방을 지향하도록 제어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40)는 S130 단계에서 안테나(ANT)를 상방으로 지향된 상태의 통신부(310)를 통해 태그장치(300)의 식별자를 전송한다.
조명장치(100)는 1 내지 2 미터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조명장치(100)의 설치 간격이 2 미터이내 이므로 조명장치(100)는 마이크로 셀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와 같이 설계가 가능하여 수신기 간격이 10 미터인 경우에 비해 태그장치(300)의 송신 출력을 저전력으로 설계할 수 있다. 더욱이, 안테나(ANT)를 조명장치(100)가 설치된 방향, 즉, 상방만을 지향하면 되기 때문에 전방사를 수행할 필요가 없어 저전력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ANT)를 상방으로 지향된 상태에서 태그장치(300)의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다른 신호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복수의 조명장치(100)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 정밀하게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스마트센서(200)와 하나의 조명장치(100)가 대응하여 연결되며, 조명장치(100)에 접하여 스마트센서(200)가 배치된다. 스마트센서(200)는 감지 범위 내에 이동하는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를 조명장치(100)로 전달한다.
스마트센서(200)의 감지 범위 내에 태그장치(300)를 휴대한 사용자가 진입하면, 조명장치(100)의 제어모듈(130)은 스마트센서(200)를 통해 사용자(객체)를 감지하고, 통신모듈(110)을 통해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100)의 제어모듈(130)은 스마트센서(200)를 통해 객체를 감지하고, 통신모듈(110)을 통해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S140 단계에서 태그장치(30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태그장치(300)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와 다른 태그장치(300)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구분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태그장치(300)의 식별자와, 스마트센서(200)가 장착된 위치인 기준 위치에서 스마트센서(200)가 감지한 객체(사용자)와의 거리인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한다.
관제서버(400)의 제어유닛(450)은 통신유닛(410)을 통해 조명장치(1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S150 단계에서 실내 전자 지도 상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한다. 즉, 스마트센서(200)가 장착된 위치인 기준 위치에서 스마트센서(200)가 감지한 사용자와의 거리를 반영한 사용자의 위치를 태그장치(300)의 식별자에 따라 구분하여 실내 전자 지도 상에 나타내며, 이를 표시유닛(430)을 통해 표시한다. 이에 따라, 관제서버(400)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400)의 제어유닛(450)은 S160 단계에서 사용자 위치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한 조명장치(100)의 제어모듈(130)은 S170 단계에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모듈(120)을 제어하여 서로 분리된 복수의 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LED광원(20)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제어 명령은 예컨대, 사용자 위치에 따라 복수의 조명장치(100) 중 사용자가 감지된 위치의 조명장치(100)를 점등하고, 나머지 조명장치(100)를 소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명 제어 명령은 조명장치(100)의 어느 하나의 보드(10, 예컨대, 11)에 장착된 LED광원(20, 예컨대, 21)을 점등하고, 나머지 보드(10, 예컨대, 12, 13 등)에 장착된 LED광원(20, 예컨대, 22, 23 등)을 소등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조명 제어 명령은 어느 하나의 보드에 장착된 복수의 LED광원(20)을 선택적으로 점등, 점멸 혹은 소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등의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재난 상황을 경고하기 위하여 관제서버(400)는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에 조명 장치(100)의 조명의 색이 경고용 색으로 점등 혹은 점멸되도록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조명장치(100)의 제어모듈(130)은 조명모듈(120)을 제어하여 경고용 색의 LED광원이 점등 혹은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태그장치(300)를 휴대한 사용자가 쇼핑몰 내에서 목적지, 예컨대, 음식점을 찾아가는 상황을 가정한다.
도 5와 마찬가지로, 도 6에서, 태그장치(300)의 제어부(340)는 S210 단계에서 센서부(330)를 통해 관성 정보를 수신하여 지표면을 기준으로 상방을 도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40)는 S220 단계에서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안테나(ANT)가 상방을 지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태그장치(300)를 휴대한 사용자는 입력부(320)를 통해 실내에서 자신이 찾아갈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입력부(320)를 통해 자신을 안내하도록 하는 조명의 색 및 형태를 설정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그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입력부(320)를 통해 목적지 및 조명의 색 및 형태를 입력받고, S230 단계에서 안테나(ANT)를 상방으로 지향된 상태의 통신부(310)를 통해 태그장치(300)의 식별자, 사용자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조명의 색 및 형태를 설정하는 조명 정보를 전송한다. 조명장치(100)의 배치 및 지향성 안테나(ANT)에 따른 저전력 설계 및 간섭 제거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한편, 하나의 스마트센서(200)와 하나의 조명장치(100)가 상호 대응하여 연결되며, 조명장치(100)에 접하여 스마트센서(200)가 배치된다. 스마트센서(200)는 감지 범위 내에 이동하는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를 조명장치(100)로 전달한다.
스마트센서(200)의 감지 범위 내에 태그장치(300)를 휴대한 사용자가 진입하면, 조명장치(100)의 제어모듈(130)은 스마트센서(200)를 통해 사용자(객체)를 감지하고, 통신모듈(110)을 통해 태그장치(30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100)의 제어모듈(130)은 스마트센서(200)를 통해 객체를 감지하고, 통신모듈(110)을 통해 태그장치(300)의 식별자, 목적지 정보 그리고 선택적으로 조명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S240 단계에서 식별자, 목적지 정보 그리고 선택적으로 조명 정보를 관제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태그장치(300)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와 다른 태그장치(300)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구분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태그장치(300)의 식별자와, 스마트센서(200)가 장착된 위치인 기준 위치에서 스마트센서(200)가 감지한 객체(사용자)와의 거리를 반영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관제서버(400)의 제어유닛(450)은 통신유닛(410)을 통해 조명장치(100)로부터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및 조명 정보를 수신하면, S250 단계에서 목적지 안내를 위한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목적지 안내를 위한 조명 제어 명령은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의 조명 장치(100)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색을 점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로 조명 제어 명령은 사용자가 조명 정보를 입력한 경우, 조명 정보에 상응하는 색과 형태로 점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어유닛(450)은 S250 단계에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최단 경로를 도출하고, 최단 경로 상에 위치한 조명 장치(100)를 식별한다.
그런 다음, 관제서버(400)의 제어유닛(450)은 S260 단계에서 통신유닛(410)을 통해 최단 경로 상에 위치한 조명 장치(100)로 앞서 생성된 조명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최단 경로 상에 위치한 조명장치(100)의 제어모듈(130)은 S270 단계에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모듈(120)의 복수의 LED광원(20) 중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색을 발광하는 LED광원(20)을 점등한다. 이러한 조명 제어 명령은 조명장치(100)의 어느 하나의 보드(10, 예컨대, 11)에 장착된 LED광원(20, 예컨대, 21)을 점등하고, 나머지 보드(10, 예컨대, 12, 13 등)에 장착된 LED광원(20, 예컨대, 22, 23 등)을 소등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조명 제어 명령은 사용자가 입력한 조명 정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보드에 장착된 복수의 LED광원(20)을 선택적으로 점등, 점멸 혹은 소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조명장치 110: 통신모듈
120: 조명모듈 130: 제어모듈
200: 스마트센서 300: 태그장치
310: 통신부 320: 입력부
330: 센서부 340: 제어부
400: 관제서버 410: 통신유닛
420: 입력유닛 430: 표시유닛
440: 저장유닛 450: 제어유닛

Claims (6)

  1.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에 있어서,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광원을 포함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보드를 포함하는 조명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안테나(ANT)가 상방을 지향하도록 제어된 태그장치로부터 상기 태그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고, 소정의 기준 위치로부터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드 별 혹은 상기 복수의 LED광원 별로 각각의 점등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에 조명 장치의 조명의 색이 경고용 색으로 점등 혹은 점멸되도록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조명모듈의 복수의 LED광원 중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색을 발광하는 LED광원이 점등되도록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태그장치로부터 태그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사용자의 목적지를 입력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기준 위치로부터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스마트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식별자,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의 조명 장치가 안내하는 색의 조명을 점등하도록 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LED광원 중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색을 발광하는 LED광원이 점등되도록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광원을 포함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보드를 포함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ANT)가 상방을 지향하도록 제어된 태그장치로부터 상기 태그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고, 스마트센서가 감지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에 조명 장치의 조명의 색이 경고용 색으로 점등 혹은 점멸되도록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드 별 혹은 상기 복수의 LED광원 별로 각각의 점등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의 조명모듈의 복수의 LED광원 중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색을 발광하는 LED광원이 점등되도록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안테나(ANT)가 상방을 지향하도록 제어된 태그장치로부터 상기 태그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스마트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의 조명 장치가 안내하는 색의 조명을 점등하도록 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드 별 혹은 상기 복수의 LED광원 별로 각각의 점등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LED광원 중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색을 발광하는 LED광원이 점등되도록 상기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180035453A 2018-03-27 2018-03-27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937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53A KR101937985B1 (ko) 2018-03-27 2018-03-27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53A KR101937985B1 (ko) 2018-03-27 2018-03-27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985B1 true KR101937985B1 (ko) 2019-01-11

Family

ID=6502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453A KR101937985B1 (ko) 2018-03-27 2018-03-27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54B1 (ko) * 2019-03-25 2020-09-08 허형석 스마트 led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KR102161846B1 (ko) * 2019-03-25 2020-10-05 허형석 융복합형 스마트 led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관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9132A (ja) * 2010-05-26 2011-12-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常用照明装置および非常用照明器具
KR101165364B1 (ko) * 2011-09-16 2012-08-2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시설물의 무선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9132A (ja) * 2010-05-26 2011-12-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常用照明装置および非常用照明器具
KR101165364B1 (ko) * 2011-09-16 2012-08-2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시설물의 무선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54B1 (ko) * 2019-03-25 2020-09-08 허형석 스마트 led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KR102161846B1 (ko) * 2019-03-25 2020-10-05 허형석 융복합형 스마트 led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관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7762B2 (ja) 近接ベースの照明制御
KR102152643B1 (ko) 모바일디바이스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EP244943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teraction with controllable lighting networks
KR101676445B1 (ko) 서비스 주문의 개인용 모바일 디바이스 통신 방법
US10816153B2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JP6171512B2 (ja) 照明装置及び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US9453615B2 (en) Sensing type lighting device with electromagnetic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65581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照明制御装置
KR20120110663A (ko) 조명 점등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JP2013257212A (ja) 照明装置、通信装置及び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937985B1 (ko)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180049293A1 (en) Presence request via light adjustment
KR20120081775A (ko)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4272877A (zh) 用于调试网络的节点的方法和设备
KR102161846B1 (ko) 융복합형 스마트 led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관제시스템
JP2008300066A (ja) 非常用照明器具及び非常用照明制御システム
JP6376327B2 (ja) 照明装置及び受信端末
KR102153454B1 (ko) 스마트 led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JP548018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装置
KR20190124638A (ko) 조명 기구, 단말기, 조명 시스템, 정보 단말, 조명 기구의 페어링 방법 및 프로그램
JP6917922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器具、照明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133826A (ko) 가시광 통신 장치 및 이의 가시광 통신 방법
KR102188130B1 (ko) 스마트 조명시스템 및 조명시스템의 id 등록 및 그룹핑 방법
JP6915660B2 (ja) 照明装置、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管理方法
JP7122610B2 (ja) 割り当て方法、照明システム、および割り当て方法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