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145B1 -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 Google Patents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145B1
KR101359145B1 KR1020120022797A KR20120022797A KR101359145B1 KR 101359145 B1 KR101359145 B1 KR 101359145B1 KR 1020120022797 A KR1020120022797 A KR 1020120022797A KR 20120022797 A KR20120022797 A KR 20120022797A KR 101359145 B1 KR101359145 B1 KR 10135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orking fluid
magnesium
heat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785A (ko
Inventor
이인윤
김길영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2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1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16Closures stopper-rod type, i.e. a stopper-rod being positioned downwardly through the vessel and the metal therein, for selective registry with the pouring op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2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4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zinc or cadm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6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 rare earth metal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조로에 장착되고 용선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작동유체를 가열토록 제공되는 작동유체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과 노즐간에 연계되고, 상기 노즐을 예열토록 상기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는 노즐 예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슘 판재 주조롤 전단에 배치된 노즐을 마그네슘 용선의 주조로의 열을 이용하여 사전에 예열하여 노즐 내부에서의 마그네슘 용선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고 주조롤 표면의 마그네슘 판재 융착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Preheater for nozzle}
본 발명은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판재 주조롤 전단에 배치된 노즐을 사전에 예열하여 노즐 내부에서의 마그네슘 용선 유동의 불균일 및 주조롤 표면의 마그네슘 판재 융착현상을 방지토록 구성된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은 밀도가 1.74g/cm3 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든 구조용 금속 중에서 제일 가볍다. 공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그네슘은 주로 알루미늄, 아연, 망간, 희토류 금속 등과 합금으로 하여 강도와 무게의 비가 높은 합금을 만든다.
마그네슘 합금의 용도로는 항공기, 미사일, 기계류, 공구, 재료취급장치, 자동차 부품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우수한 진동 및 충격 흡수성과 전자파 차폐 특성이 인정되어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및 휴대전화의 부품으로 그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마그네슘 합금은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면 모두 원자구조가 조밀육방격자(HCP)를 이루고 있어 압연성이나 성형성이 불량하므로 대부분의 마그네슘 부품들이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높은 불량률과 노동 집약적인 다이캐스팅 제품의 후처리 공정으로 인해서 압연 공정을 통해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소성변형에 필수적인 슬립시스템이 증가하는 온간 영역(약 160∼300℃)과 적절한 압하량 하에서는 압연 가공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공정이 스트립캐스팅이다. 이 공정은 용융된 마그네슘 합금을 펌프를 통해 이송하여 두 개의 롤 사이에 흘려 보냄으로써 롤에 닿는 부분에서 급속한 냉각이 이루어져 바로 판재를 제조할 수 있는 대단히 효과적인 공정이며, 장시간의 연속조업을 통해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코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스트립캐스팅을 한 판재는 최소두께가 약 4 ~ 6mm 정도로서, 실제로 산업현장에서 부품소재로서 응용되기에는 두꺼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립캐스팅으로 생산된 코일은 대부분 온간압연 과정을 거쳐 1mm 이하 두께의 판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는 상기와 같은 마그네슘 판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우선 잉곳(9)을 통해 마그네슘 주괴가 주조로(8)로 투입되고, 주조로(8)에서는 마그네슘 주괴가 다시 용해되여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으로 변형된다.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은 주조로(8)에 장착된 용탕펌프(2)에 의해 노즐(6)까지 연결된 공급라인(3)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라인(3)은 외측으로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의 온도가 하강하지 않도록 가열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은 용융온도를 유지한 채 노즐(6)까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4)를 지난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은 노즐(6)을 통과하여 쌍롤식 주조기(7)를 거쳐 여러 압연과정을 거쳐 원하는 두께의 마그네슘 판재(8)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6)은 주조로(8)에서 용탕펌프(2)에 의해 전달된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의 레벨 및 온도관리 설비인 헤드박스(5, head box)를 거친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을 대기와의 직접접촉을 막아 재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탕유동성 균일화, 응고편차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상,중,하판의 조합형태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는 Al2O3 52%, SiO2 48%로 조성되며, 1760℃의 녹는점를 가지며, 1260℃까지는 안정적으로 열간 주조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치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상기 노즐(6)의 표면에 코팅되어져 있는 보론 나이트라이트(boron nitrite)는 주조준비를 위한 대기 단계에서 장시간 예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에 노출됨에 따라, 그 재질의 특성상 수분흡수 및 온도 하강으로 초기 용융상태의 마그네슘 인입시 손상이 초래된다.
또한, 장시간 예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즐(6)에 고온의 마그네슘이 공급됨에 따라, 노즐의 중앙부(6a)와 양 엣지부(6b)의 온도편차(도 2a 참조)로 인하여 상기 노즐 내에 마그네슘 개재물 생성, 마그네슘 용탕의 불균일한 유동현상(도 2b 참조) 등이 초래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쌍롤 표면에 마그네슘의 융착현상(도 2c 및 도 2d 참조) 및 마그네슘 판재의 품질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마그네슘 판재 주조롤 전단에 배치된 노즐을 마그네슘 용선의 주조로의 열을 이용하여 사전에 예열하여 노즐 내부에서의 마그네슘 용선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고 주조롤 표면의 마그네슘 판재 융착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는 주조로에 장착되고 용선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작동유체를 가열토록 제공되는 작동유체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과 노즐간에 연계되고, 상기 노즐을 예열토록 상기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주조로 상단에 장착되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출입부 및 상기 장치몸체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입부에 의해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는 상기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토록 제공되는 열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입부는 상기 장치몸체의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작동유체 공급탱크와 연결된 유입구 및 상기 장치몸체의 상단에서 유입구 반대측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부와 연결된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장치몸체의 하단에서 열전달률을 향상토록 교차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열전달홈 및 상기 장치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열전달홈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작동유체가 이동하며 열을 전달받는 작동유체 유동라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노즐의 용선 투입구와 연결되되, 상기 노즐에 용선이 투입되기 전 작동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노즐을 예열토록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노즐의 엣지부를 예열토록, 상기 노즐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노즐의 엣지부로 유도하는 작동유체 유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재는 노즐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블럭와 상기 삽입블럭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즐의 내면에 접하면서 작동유체의 흐름을 유도토록 제공되는 유도돌기 및 상기 삽입블럭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블럭의 노즐 투입범위를 제한토록 제공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마그네슘 용선의 주조로의 열을 이용하여 노즐을 예열하므로 별도의 열공급이 필요없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노즐을 사전에 예열함에 따라 노즐의 온도하강으로 인한 노즐 표면의 수분이 흡착되어 발생될 수 있는 노즐 코팅재인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ite)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즐의 엣지부의 예열을 통해 마그네슘 용선이 노즐 내부에서 온도편차로 인해 불균일하게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노즐 내부에서의 마그네슘 용선의 유동이 안정됨에 따라 주조롤 표면에 발생될 수 있는 마그네슘 판재의 지속적인 융착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마그네슘 판재 제작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는 노즐에 마그네슘 용선이 공급됨에 따라 노즐의 중심부와 엣지부간의 온도편차를 나타낸 도이다.
도 2b는 노즐 내부의 온도편차로 인해 노즐의 엣지부에서의 용선의 유동과 노즐의 중심부에서의 용선의 유동의 차이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노즐 내부의 마그네슘 용선의 불균일 유동으로 인해 주조롤 표면에 마그네슘 판재의 융착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마그네슘 판재 제작공정에 본 발명인 노즐 예열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인 가열수단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발명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에 도시된 발명에서 열전달유체가 유동하며 열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도부재가 노즐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b는 노즐에 도 5a의 삽입블럭이 삽입됨에 따라 열전달유체가 노즐의 엣지부로 유동하여 노즐의 엣지부를 예열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노즐의 엣지부가 예열됨에 따라 노즐내에서 마그네슘 용선의 유동이 균일하게 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노즐 예열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마그네슘 판재 주조롤 전단에 배치된 노즐을 마그네슘 용선의 주조로의 열을 이용하여 사전에 예열하여 노즐 내부에서의 마그네슘 용선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고 주조롤 표면의 마그네슘 판재 융착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마그네슘 판재 제작공정에 본 발명인 노즐 예열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조로(50)에 장착되고 용선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작동유체를 가열토록 제공되는 작동유체 가열수단(20) 및 상기 가열수단(20)과 노즐(80)간에 연계되고, 상기 노즐(80)을 예열토록 상기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 공급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조로(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융상태의 마그네슘 주조로로 제공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금속의 용융상태로 이뤄진 용선 등을 사용하는 주조공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주조로(50)의 상단에는 마그네슘 잉곳(ingot) 공급부(53)가 위치한다. 잉곳이란 제련된 금속을 나중에 압연, 단조 등의 가공처리를 하거나 다시 용해할 목적으로 적당한 크기와 형상으로 주조한 금속의 덩어리를 말하며, 주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네슘 잉곳이 사용된다.
상기 마그네슘 잉곳 공급부(53)를 통해 상기 주조로(50) 내부로 마그네슘 잉곳이 투입되고 상기 주조로(50)에서의 별도의 작용을 통해 다시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으로 용해된다.
또한, 상기 주조로(50)의 상단에는 용탕펌프(51)가 배치된다. 상기 용탕펌프(51)는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을 노즐(80)과 연결된 용선공급라인(65)에 공급토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탕펌프(51)의 펌핑 작용을 통해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은 상기 용선 공급라인(65)으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 용선 공급라인(65)의 외측으로는 가열기구(63)가 형성되어 있어 차후 용융상태의 마그네슘 공급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조로(50)의 상단에는 상기 가열수단(20)이 장착된다. 상기 가열수단(20)은 노즐(80)을 예열하는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체는 질소 등의 기타 불활성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외부에 별도로 구성된 작동유체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가열수단(20)측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된다. 물론 작동유체 공급라인(57)상에는 공급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제어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4a 내지 도 4d를 참고하면, 상기 가열수단(20)은 상기 주조로(50) 상단에 장착되는 장치몸체(21)와 상기 장치몸체(21)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출입부(23) 및 상기 장치몸체(21)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입부(23)에 의해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는 상기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토록 제공되는 열전달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입부(23)는 상기 장치몸체(21)의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작동유체 공급탱크(55)와 연결된 유입구(23a) 및 상기 장치몸체(21)의 상단에서 유입구(23a) 반대측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부(40)와 연결된 배출구(2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유체 공급라인(57)은 상기 작동유체 저장탱크와 상기 유입구(23a)간에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상기 가열수단(20)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유입구(23a)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장치몸체(21)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장치몸체(21)의 내부에서 작동유체는 상기 열전달부(25)를 통과하면서 주조로(50)로 존재하는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으로부터 열을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부(25)는 상기 장치몸체(21)의 하단에서 열전달률을 향상토록 교차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열전달홈(25a) 및 상기 장치몸체(21)의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열전달홈(25a)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작동유체가 이동하며 열을 전달받는 작동유체 유동라인(2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25)로 투입된 작동유체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형성된 열전달홈(25a)에 대응하는 작동유체 유동라인(25b)를 따라 S 자를 그리며 상기 배출구(23b)측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열전달홈(25a)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흡수하며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도 4d 참조).
상기 열전달부(25)에서 열을 전달받은 작동유체는 다시 상기 유입구(23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구(23b)를 통해 상기 장치몸체(21)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23b)를 통해 나온 작동유체는 이제 상기 배출구(23b)와 노즐(80)간에 연결된 상기 공급부(40)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40)는 노즐(80)의 용선 투입구에 연결된다. 작동유체는 상기 공급부(40)를 거쳐 용선 투입구를 통해 노즐(80)로 투입되어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을 공급하기 전 노즐(80)을 예열하게 된다. 물론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을 공급하여 주조를 실시하게 된다면 상기 공급부(40)상에 배치된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여 작동유체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부(40) 방향으로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의 흐름을 제한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몸체(21)은 주조로 상단에 용이하게 분리 또는 장착토록 손잡이(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노즐(80)에서 쌍롤식 주조기(70)측을 바라보는 전단에는 상기 노즐(80)의 엣지부를 예열토록, 상기 노즐(80)의 전단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노즐(80)의 엣지부로 유도하는 작동유체 유도부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재(30)는 노즐(80)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블럭(31)과 상기 삽입블럭(31)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즐(80)의 내면에 접하면서 작동유체의 흐름을 유도토록 제공되는 유도돌기(33) 및 상기 삽입블럭(31)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블럭(31)의 노즐(80) 투입범위를 제한토록 제공되는 스토퍼(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고하면, 노즐(80)의 전단에 상기 유도부재(30)가 삽입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즐(80)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의 형태의 삽입블럭(31)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면에는 노즐(80)의 내면에 접촉하여 작동유체의 흐름방향을 유도해주는 유도돌기(33)가 좌,우 양측단부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블럭(31)는 노즐(80)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에는 손잡이(35)가 제공되어 노즐(80) 엣지부의 예열완료 후 간편하게 상기 유도부재(30)를 분리하도록 구현된다.
더하여, 삽입될 경우 상기 삽입블럭(31) 전체가 완전히 노즐(8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도부재(30)의 양측 단부에는 스토퍼(37)가 부착되어 있다.
이제 상기 유도부재(30)가 노즐(80)의 전단에 삽입되고,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공급부(40)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유도부재(30)와 노즐(80)간에 형성된 남은 공간(L)을 타고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80)의 엣지부(A)가 예열되게 된다.
도 5c는 도 5b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노즐(80) 전단의 양측 엣지부(A) 뿐만 아니라 상,하단 엣지부(B)도 예열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은 노즐(80) 예열 과정을 진행한 후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을 공급하여 주조를 실시하기 위해 상기 유도부재(30)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용탕펌프(51)를 구동하여 용선 공급라인(65)으로 용융상태의 마그네슘을 공급하고 이는 헤드박스(61)를 거쳐 노즐(80)로 투입된다.
도 6를 참고하면, 노즐(80)의 엣지부가 사전에 예열됨에 따라 도 2b의 경우와는 달리 노즐(80)의 중앙부(D)뿐만 아니라 양 엣지부(C)도 마그네슘 용선의 흐름이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를 통해 마그네슘 판재 주조롤 전단에 배치된 노즐을 마그네슘 용선의 주조로의 열을 이용하여 사전에 예열하여 노즐 내부에서의 마그네슘 용선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고 주조롤 표면의 마그네슘 판재 융착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노즐 예열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가열수단 21...장치몸체
23...유출입부 25...열전달부
25a...열전달홈 30...유도부재
33...유도돌기 40...작동유체 공급부

Claims (7)

  1. 주조로에 장착되고 용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매개로 노즐 예열용 작동유체를 가열토록 제공되는 작동유체 가열수단(20); 및
    상기 가열수단(20)과 노즐간에 연계되고, 상기 노즐에 가열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 공급부(40);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수단(20)은, 상기 주조로 상단에 장착되는 장치몸체(21);와 상기 장치몸체(21)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유체가 유출입되는 유출입부(23); 및 상기 장치몸체(21)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입부(23)에 의해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는 상기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토록 제공되는 열전달부(25);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부(25)는, 상기 장치몸체(21)의 하단에서 열전달률을 향상토록 교차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열전달홈(25a); 및 상기 장치몸체(21)의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열전달홈(25a)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작동유체가 이동하며 열을 전달받는 작동유체 유동라인(2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부(23)는,
    상기 장치몸체(21)의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작동유체 공급탱크와 연결된 유입구(23a); 및
    상기 장치몸체(21)의 상단에서 유입구(23a) 반대측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부(40)와 연결된 배출구(23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40)는 상기 노즐의 용선 투입구와 연결되되, 상기 노즐에 용선공급 전에 작동유체를 투입하여 상기 노즐을 예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6. 삭제
  7. 주조로에 장착되고 용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매개로 노즐 예열용 작동유체를 가열토록 제공되는 작동유체 가열수단(20);
    상기 가열수단(20)과 노즐간에 연계되고, 상기 노즐에 가열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 공급부(40); 및
    상기 노즐의 엣지부를 예열토록, 상기 노즐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노즐의 엣지부로 유도하는 작동유체 유도부재(30); 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재(30)는, 노즐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삽입블럭(31);과 상기 삽입블럭(31)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즐의 내면에 접하면서 작동유체의 흐름을 유도토록 제공되는 유도돌기(33); 및 상기 삽입블럭(31)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블럭(31)의 노즐 투입범위를 제한토록 제공되는 스토퍼(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KR1020120022797A 2012-03-06 2012-03-06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KR10135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97A KR101359145B1 (ko) 2012-03-06 2012-03-06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97A KR101359145B1 (ko) 2012-03-06 2012-03-06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85A KR20130101785A (ko) 2013-09-16
KR101359145B1 true KR101359145B1 (ko) 2014-02-06

Family

ID=4945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797A KR101359145B1 (ko) 2012-03-06 2012-03-06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845B1 (ko) * 2018-11-29 2020-11-06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 주조용 노즐의 예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180Y1 (ko) * 1992-09-28 1995-04-24 강용구 자동차용 알루미늄 휠 주조기의 용탕 보온로 급기장치용 히터
JPH10118746A (ja) * 1996-10-18 1998-05-12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の予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180Y1 (ko) * 1992-09-28 1995-04-24 강용구 자동차용 알루미늄 휠 주조기의 용탕 보온로 급기장치용 히터
JPH10118746A (ja) * 1996-10-18 1998-05-12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の予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85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566B1 (ko) 금속판의 제조 방법 및 급랭 ?칭 장치
TW299259B (ko)
EP3246112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slab
KR20150009985A (ko) 연속 주조용 주형 및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2596515B1 (ko) 열연 경량 마르텐사이트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3726506B2 (ja) 鋼片の水冷方法
JP6580165B2 (ja) 連続鋳造圧延装置及び連続鋳造圧延方法
KR101359145B1 (ko) 주조용 노즐 예열장치
KR101794783B1 (ko) 스트립 단면에 걸쳐 조절 가능한 재료 특성을 갖는 주조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8515344A (ja) 鋳造圧延設備、および、この鋳造圧延設備の作動のための方法
CN109689247B (zh) 钢的连续铸造方法
KR101482453B1 (ko) 수평식 스트립 캐스팅장치
TWI576181B (zh) 鑄造鋼帶的方法與設備
US201100365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lly Casting Multilayer Metallic Structures
JP2013144308A5 (ko)
KR101207757B1 (ko)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KR102122682B1 (ko) 열간압연용 롤의 제조 장치
CN107252884A (zh) 一种大面积大厚度双金属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WO2020203261A1 (ja) 焼入れ装置及び金属板の製造方法
JPS6149749A (ja) クラツド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KR101879103B1 (ko) 전기강판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066580B1 (ko) 연속주조장치
US201100365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lly Casting Multilayer Metallic Structures
JP4505811B2 (ja) 合金溶湯の鋳造方法
JP5741147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