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757B1 -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757B1
KR101207757B1 KR1020100123093A KR20100123093A KR101207757B1 KR 101207757 B1 KR101207757 B1 KR 101207757B1 KR 1020100123093 A KR1020100123093 A KR 1020100123093A KR 20100123093 A KR20100123093 A KR 20100123093A KR 101207757 B1 KR101207757 B1 KR 101207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olten steel
plate
nozzle uni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702A (ko
Inventor
안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2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7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75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용강을 압연 또는 주조 설비등에 공급토록 하는 용강 노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용강 노즐장치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용강공급 대상설비에 연계되면서 용강을 토출토록 제공되고,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발열되는 발열체가 심어진 제1 노즐부; 및, 상기 제1 노즐부에 조립되면서 제1 노즐부와 협력하여 용강의 유입 및 토출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2 노즐부를 포함하여 그 구성 일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의 승온을 구현하여 적어도, 용강의 노즐 초도 주입시, 용강의 (국부적인) 과냉각을 억제하여, 개재물에 의한 노즐 막힘을 방지하는 한편, 노즐 내부의 중심과 에지부분에서의 용강 온도차를 방지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마이크로 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Nozzle Apparatus for Molten Steel}
본 발명은 압연 또는 주조 설비에 용강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용강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의 승온을 구현하여 적어도, 용강의 노즐 초도 주입시, 용강의 (국부적인) 과냉각을 억제하여, 개재물에 의한 노즐 막힘을 방지하는 한편, 노즐 내부의 중심과 에지부분에서의 용강 온도차를 방지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마이크로 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 간소화를 가능하게 한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 제품(판재, 강판)은 실용 금속 중 비중이 작으면서 주조성, 절삭성, 치수 안정성 및 내구성이 매우 뛰어난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마그네슘을 이용한 관련 제품(합금)은 자동차 부품, 통신부품, 전자부품, 컴퓨터, 휴대용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스포츠 용품의 재료로도 근래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마그네슘 제품은 다이캐스팅(Die-casting), 잉곳 캐스팅(Ingot casting), 칠 캐스팅(Chill casting) 또는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등으로 가공 생산된다.
예를 들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그네슘 제품의 스트립 캐스팅은 주조롤 (또는 압연롤)에 마그네슘 용강을 공급하여 판재, 강판 등으로 생산하는데, 이와 같은 주조롤에 마그네슘 용강을 공급하기 위하여는 한쌍의 주조롤 입측에 연계되는 용강 공급 노즐을 사용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대부분의 용강 노즐은, 주조롤 일측으로 상온에서 배치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용강 예컨대, 700℃ 정도의 마그네슘 용강이 노즐에 초도 공급되는 경우, 노즐의 내부에서 노즐과 접촉하는 부분(노즐 내부의 에지부분)에서는 용강의 온도가 내려가는 과냉각 현상이 발생된다.
결국, 노즐 내부의 중심부분과 에지부분 사이에서 용강의 온도차이가 발생되고, 이와 같은 온도차이는 주조(압연)되는 마그네슘 제품의 조직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또한, 노즐을 미리 승온시킨다 해도, 설비(롤 스탠드)에 설치하는 시간동안 노즐은 자연 냉각되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적어도 노즐에 공급된 용강의 노즐 초도 접촉시 발생하는 (국부적인) 과냉각 문제를 해소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마그네슘 용강 등을 압연롤(주조롤)에 공급하되, 온라인으로 원하는 시점에서 마이크로 파(micro wave)의 인가를 통하여 노즐의 적어도 일부분의 승온을 구현하여, 적어도 노즐에 용강의 초도 유입시, 용강의 과냉각에 따른 온도차를 제거하고, 개재물에 의한 노즐 막힘을 차단하면서, 구조 변경이 적어 구조 간소화를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노즐의 실시간 승온을 구현하여 적어도, 용강이 노즐에 초도 주입되는 경우 용강의 (국부적인) 과냉각에 의한 개재물의 생성을 차단하여 노즐 막힘을 방지하는 한편, 노즐 내부의 중심부분과 에지부분에서의 용강 온도차를 제거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마이크로 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용강공급 대상설비에 연계되면서 용강을 토출토록 제공되고,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발열되는 발열체가 심어진 제1 노즐부와 상기 제1 노즐부에 조립되면서 제1 노즐부와 협력하여 용강의 유입 및 토출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2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강공급 대상설비는 압연롤 또는 주조롤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노즐부는, 롤 스탠드에 한 쌍이 마주하도록 배치된 메인 노즐판들을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메인 노즐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노즐판의 성형시 일체로 심어져 제공되면서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자기 발열되는 발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노즐부는, 메인 노즐판들 사이로 양측에 개재되면서 조립되어 상기 메인 노즐판과 협력하여 용강 유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제공된 보조 노즐판들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노즐판에는 마이크로 파의 발열판 인가를 용이하게 하는 구멍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의 발열판에는 제1 노즐부의 메인 노즐판과의 결합력을 증대토록 메인 노즐판의 성형시 세라믹이 결합되는 결합구멍들이 더 구비된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2 노즐부를 구성하는 노즐판들은 세라믹으로 성형되고, 상기 발열체의 발열판은, 상기 메인 노즐판의 세라믹 성형시 내부에 일체로 심어져 포위되면서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자기 발열되는 실리콘 카바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노즐부가 사이에 조립되는 제1 노즐부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롤 스탠드에 고정되고, 상기 롤 스탠드에 장착된 마그네트 론 또는, 마그네트 론과 연계되는 도파관이 노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 파를 매개로 노즐의 승온(가열 제어)를 실시간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노즐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 변경이 적고, 원하는 시점에서의 노즐 승온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노즐판 성형시 일체로 마이크로 파의 인가를 매개로 발열되는 발열판을 심어서 제작하기 때문에, 노즐 구조의 강도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특히, 용강의 노즐 초도 유입시, 노즐 접촉면(노즐 내부의 에지부분)에서의 용강 온도 저하를 차단하여, 용강의 (국부적인) 과냉각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강의 과냉각으로 발생되는 개재물에 의한 노즐 막힘을 차단하는 한편, 노즐 내부에서 중심부분과 에지부분에서의 용강 온도차에 따른, 제품의 조직 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시키어, 압연 또는 주조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마이크로 파를 원하는 시점에서 인가시키면, 노즐의 승온(가열)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조업 중단이나 휴지 없이 실시간 온도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가 사용되는 압연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장치를 이용한 용강 토출 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50,60,70 단위의 도면부호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마그네슘 괴 등을 용해시키는 도가니(설비)와, 연결관 및, 용강 노즐장치(1)와 도가니 사이에 연계되고 용강(M)을 일시 저장 공급하는 헤드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는 용강공급 대상설비 즉, 압연롤(110) 또는 주조롤에 연계되는데,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압연롤(110)과 본 발명 노즐장치(1)가 연계되는 것으로 일괄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 노즐장치는 주조롤과 기타 용강을 공급하는 대상설비에 연계 사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1)는, 용강공급 대상설비 즉, 롤 스탠드(100)에 제공된 압연롤(110)에 연계되면서 용강을 토출토록 제공되고,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발열되는 발열체(30)가 심어진 제1 노즐부(10) 및, 상기 제1 노즐부에 조립되면서 제1 노즐부와 협력하여 용강의 유입 및 토출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2 노즐부(20)를 포함하여 그 구성 일예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는 제1 노즐부(10)와 제2 노즐부(20)가 서로 조립되어 용강(M) 예컨대, 마그네슘 용강을 압연롤(110)에 토출하여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노즐부(10)와 제2 노즐부(20) 중 적어도 제1 노즐부(10)에 심어지는 발열체(30)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마이크로 파(micro wave)의 인가시 자기 발열되면서, 상기 제1 노즐부(10)와 제1 노즐부(10)에 면접촉하여 밀착 조립되는 제2 노즐부(20)의 승온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노즐의 승온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온에 배치된 노즐장치(1)에 용강이 초도 공급되어도, 용강의 노즐 접촉부분이 국부적으로 과냉각되면서, 노즐 내부의 중심부분과 에지부분(도 5에서 우측 및 좌측의 용강 유동이 통고하는 제2 노즐부(20)의 에지부분)에서의 용강 온도차이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즉,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의 성형시 일체로 심어지는 발열체(30)에, 마이크로 파(micro wave)가 메인 노즐판들을 투과하여 인가되면, 상기 발열체(30)는 자기 발열되어, 이때 발생되는 열 예컨대, 복사열은 제1,2 노즐부(10)(20) 특히, 제2 노즐부(20)의 용강 접촉면인 노즐 내부의 에지부분에 전달되면서 그 부분의 승온으로 용강의 과냉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노즐장치(1)를 이용하여 도가니(70)에서 용강공급 대상설비 즉, 압연롤(110)로의 용강 토출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가니(70)의 본체(72)에 구비된 가열수단(74)(히팅 코일(열선), 유도 가열기 또는, 버너 등)를 통하여 본체에 투입된 피용해물질 예컨대, 마그네슘 괴가 대략 700℃에서 용융되어 마그네슘 용강(M)이 생성되면 가열수단(62)으로 예열되는 연결관(60)을 통하여 헤드부(50)의 본체(52)에 공급되고, 상기 헤드부(50)의 공급관(56)과 연결되고 롤 스탠드(100)에 장착된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를 통하여 용강은 압연롤(110) 사이에서 토출(공급)어 판재 또는 강판으로 압연(또는 주조롤인 경우 주조)된다. 이때, 헤드의 상부에는 가스 처리관(54)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는 압연롤(110)사이에 입측으로 배치되는데, 노즐장치에 결합되는 연결부재(6) 즉, 브라켓트 등이 압연롤(110)이 설치된 롤 스탠드(100)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노즐장치에 인접하여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발열체(30)에 마이크로 파(극 초단파)를 인가하는 알려진 마그네트 론(2)이 배치되거나, 도 1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파를 본 발명 노즐장치에 외부 간섭없이 인가하도록 하는 상기 마그네트 론(2)과 연계된 도파관(4)이 인접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 론(2)의 가동에 따라 마이크로 파가 본 발명 노즐장치 특히, 발열체(30)에 인가되어 자기 발열됨에 따라,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과, 메인 노즐판과 면접촉 밀착된 제2 노즐부(20)의 보조노즐판(22)(24)들도 승온되고, 특히 노즐 내부의 에지부분에서 용강의 노즐 초도 유입시 상온의 노즐과 접촉함에 따른 용강의 과냉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 용강 노즐장치(1)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는 제1,2 노즐부(10)(20)가 서로 조립되면서 선단부의 용강 토출구(12)와 후단부의 용강 유입구(14)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노즐부(10)는, 롤 스탠드(100)에 연결부재(6)를 통하여 한쌍이 (상,하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용강이 토출 및 주입되는 메인 노즐판(16)(18)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노즐부(20)는, 상기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 (18)들 사이로 양측에 개재되면서, 도면에서는 별도의 도면부호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체로 노즐판들의 구멍(미부호-삼각형태로 배열된 구멍)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로 서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조립되고, 예컨대 상기 메인 노즐판과 협력하여 용강의 유입과 토출을 가능토록 노즐 내부에 용강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보조 노즐판(22)(24)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 노즐판(16)(18)들과 보조 노즐판(22)(24)들은 내열소재인 세라믹 계열의 소재로 성형 제공될 수 있고, 볼팅 조립을 위한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은 연결부재(6)(노즐장치를 커버하는 커버체이면서 롤 스탠드에 장착되는 브라켓트 구조물)와 연계되면서 노즐장치의 전체적인 틀(외형)을 형성하는 사각형태로 형성되나, 도 3과 같이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이들 메인 노즐판(16)(18)의 선단부 사이에는 길게 신장된 슬릿 형태의 용강 토출구(12)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노즐판(16)(18)들의 선단부 사이의 갭은 용강 토출구(12)로 제공되고, 이와 같은 용강 토출구(12)는 대략 2mm 정도의 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 노즐장치(1)에서 압연롤 사이로 용강을 토출(공급)하는 용강 토출구(12)는 매우 간격이 작기 때문에, 앞에서 종래문제점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강이 상온에 배치된 노즐에 초도 주입되면, 노즐내부에서 노즐판들과 접촉하는 에지부분에서의 용강 과냉각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용강 과냉각에 따라 발생되는 개재물은 매우 좁은 틈새인 용강 토출구(12)를 막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는, 제1,2 노즐부 중 적어도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에 일체로 심어져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자기 발열되는 발열체(30)로 인하여, 노즐판들을 승온시키기 때문에, 적어도 용강이 노즐 내부로 초도 유입되는 경우, 노즐과 접촉함에 따른 용강의 부분적인 과냉각을 방지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내부의 중심부분과 에지부분에서의 용강 온도차이도 억제하여, 온도차에 의한 제품의 조직 상이함도 방지시키는 것이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에서 상기 제2 노즐부(2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노즐부(10)를 구성하는 (상,하측의) 메인 노즐판(16)(18)사이로 양측에 볼팅시 구멍들을 통하여 체결되어 일체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제2 노즐부(20)의 보조 노즐판(22)(24)들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 형태로서, 보조 노즐판들의 상,하면은 메인 노즐판사이에 긴밀하게 밀착 조립되고, 용강이 직접 접촉되는 내측면은, 도 5와 같이, 용강 유동공간에서 용강 토출구(12)를 형성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연이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사이의 양측에 삼각형태의 제2 노즐부(20)의 보조 노즐판(22)(24)들이 긴밀하게 면접촉하면서 조립되고, 메인 노즐판(16)(18)들 사이로 보조 노즐판(22)(24)들의 두께에 해당하는 공간, 즉 용강이 유입되고 토출되는 용강 유동공간(도 2,4의 10a 참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노즐판(22)(24)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용강 유입구(14)로 형성되어 여기에, 도 1에서 설명한 헤드부(50)의 공급관(56)이 인입되어 용강은 용강 유입구(14)를 통하여 노즐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물론, 용강 토출구(12)는 압연롤에서 압연되는 제품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슬릿 형태로 길게 신장되어 제공되고, 이를 위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노즐부의 메인 노즐판(16)(18)들은 사각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에서, 실질적으로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발열되어 노즐의 승온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발열체(3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노즐판(16)(18)들 모두에, 메인 노즐판의 성형시 일체로 심어져 제공되면서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자기 발열되는 발열판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을 참고로,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 론(2)의 가동시 발생되는 마이크로 파가 인가되면 상기 발열체(30)의 발열판은 자기 발열되어, 이때 발생되는 복사열은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은 물론, 제2 노즐부(20)의 보조 노즐판(22)(24)으로 전달되고, 따라서 노즐 내부의 유동 공간(10a)에서 유동되어 토출되는 용강은 승온되고, 용강의 적어도 국부적인 과냉각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에 일체로 심어지는 상기 발열체(30)의 발열판(32)(34)들은 노즐 내부의 용강 유동공간(10a)에 맞추어 삼각형태가 바람직하고, 그 에지부분은 도 5와 같이, 제2 노즐부(20)의 보조 노즐판(22)(24)들의 용강 접촉면을 따라 대응 위치되도록 하여, 노즐 내부의 에지에서의 용강 과냉각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발열판의 형태는 적어도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에 일체로 심어지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이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메인 노즐판(16)(18)들은 물론, 보조 노즐판(22)(24)들도, 내열소재인 세라믹 재질로 성형될 수 있어, 메인 노즐판의 성형시 상기 발열판(32)(34)들이 내부 중심에 있도록 하면서 성형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예를 들어,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과 제2 노즐부(20)의 보조노즐판(22)(24)들은, Al2O3 및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 재질로 성형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은 보조 노즐판이 겹쳐지는 사각형태의 바디부분의 두께는 상기 발열판이 일체로 심어지는 것이 가능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발열판은 메인 노즐판의 중심으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일체로 세라믹으로 성형시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에서, 상기 발열체(30)의 발열판(32)(34)들은, 마그네트 론의 가동시 발생되는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이를 흡수하여 쉽게 자기 발열되는 소재 예컨대, 실리콘 카바이드(SiC)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 스탠드(100)에 연계되는 마그네트 론(2)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 파가 인가되면 자기 발열되는 실리콘 카바이드는, 발열체로 최적의 재질로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실리콘 카바이드는 밀도가 3.22g/㎤(solid) 정도이다.
따라서, 발열판의 실리콘 카바이드는 공유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인공광물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노즐장치의 크기나 형태에 맞추어 원하는 형태로의 성형(제작)이 가능하고, 높은 경도를 갖고 있어, 내마모성과 경도가 우수하다.
즉, 높은 열전도성과 낮은 열팽창률을 갖기 때문에, 장기간 발열체로 사용하여도 파손율이 적다.
따라서, 극 초단파의 마이크로 파를 인가시키어도 실리콘 카바이드의 발열판들은 자기 발열되고, 이때 발생되는 복사열은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에 1차적으로 전열되고, 그 다음 이들과 면접촉 상태로 긴밀하게 밀착된 보조 노즐판(22)(24)에 전열되고, 특히 용강이 접촉하는 면의 승온으로, 이부분(에지부분)에서의 용강 과냉각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노즐장치의 온도를 용강 예를 들어, 마그네슘 용강인 경우 700℃ 까지 승온기키어, 마그네슘 용강이 초도 유입되는 경우에도, 적어도 노즐과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용강의 과냉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용강이 적어도 국부적으로도 과냉각되지 않기 때문에, 냉각에 따른 개재물의 발생이 방지되고, 따라서 기존과 같은 용강 토출구가 생성된 개재물로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용강이 노즐에 초도 주입된 후 시간이 지나 계속적으로 용강이 노즐 내부에 공급되면, 용강 온도에 의하여 발열체(30)에 마이크로 파를 인가시키지 않아도 노즐부들의 승온은 이루어 질 것이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을 관통하여 열전대 등의 온도센서를 제공하고, 온도센서와 장치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계하고, 상기 장치 제어부를 마그네트 론의 가동부(전원 공급부)에 연계시키면, 마그네트 론의 작동을 제어하여 마이크로 파의 발열체 인가 세기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노즐 내부 또는 용강 토출구에서의 용강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이크로 파의 인가 또는 그 세기 등을 제어하면, 보다 적절한 용강 과냉각 방지와 불필요한 마그네트 론 사용에 따른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더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발열체(30)의 발열판(32)(34)들에는 상기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의 성형시 그 재질인 세라믹의 결합력을 증대토록 하는 결합구멍(40)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메인 노즐판(16)(18)들을 세라믹 재질로 성형하는 경우, 그 내측에 일체로 심어지는 상기 발열판(32)(34)들에 소정 패턴으로 결합구멍(40)들을 형성시키면, 발열판의 일측 및 타측 세라믹이 상기 결합구멍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면서 성형되어 발열판(32)(34)들은 메인 노즐판에서 마이트로 파 인가시 극단의 미세진동이 발생되어도 발열판과 메인 노즐판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것이다.
더하여,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노즐부(20)의 보조 노즐판(22)(24)들에는 도 1과 같이, 노즐장치의 상부측에만 도파관(4)이 연계되어 마이크로 파가 한쪽에서만 인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파가 반대측 예를 들어, 하측 메인 노즐판(18)에 심어진 발열판에 원활하게 인가되도록 하는 구멍(미도시)들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더 바람직하게는, 실제 조업 라인에서는 마이크로 파의 인가에 따른 작업자에 대한 안정 대책이 바람직한데,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도파관(4)이 노즐장치에 근접하게 배치하고, 마이크로 파의 누설을 감지하는 감지설비와 롤 스탠드에 차폐설비를 배치하여 적어도 마그네트 론의 가동시 작업자의 접근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노즐부(10)와 제2 노즐부(20)의 노즐판들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구멍(나사공)(미부호)들이 형성되어 제1 노즐부(10)의 메인 노즐판(16)(18)들과, 제2 노즐부(20)의 보조 노즐판(22)(24)들이 일체로 밀착되면서 긴밀하게 조립된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용강 노즐장치(1)는, 용강이 노즐장치에 초도 투입되는 때에, 적어도 국부적인 과냉각을 차단하여, 용강의 온도 저하에 따른 개재물 생성을 차단하여 노즐 막힘을 방지시키고, 특히 노즐 내부의 중심부분과 에지부분에서의 용강의 온도 차이를 제거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2.... 마그네트 론 4.... 도파관
10.... 제1 노즐부 16,18....메인 노즐판
20.... 제2 노즐부 22,24.... 보조 노즐판
30.... 발열체 32,34.... 발열판
40.... 결합구멍

Claims (6)

  1. 용강공급 대상설비에 연계되면서 용강을 토출토록 제공되고,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발열되는 발열체(30)가 심어진 제1 노즐부(10)와 상기 제1 노즐부에 조립되면서 제1 노즐부와 협력하여 용강의 유입 및 토출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2 노즐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강공급 대상설비는 압연롤 또는 주조롤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노즐부(10)는, 롤 스탠드(100)에 한 쌍이 마주하도록 배치된 메인 노즐판(16)(18)들을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30)는 상기 메인 노즐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노즐판의 성형시 일체로 심어져 제공되면서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자기 발열되는 발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노즐부(20)는, 메인 노즐판들 사이로 양측에 개재되면서 조립되어 상기 메인 노즐판과 협력하여 용강 유입구(14)와 토출구(12)를 형성하도록 제공된 보조 노즐판(22)(24)들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노즐판(22)(24)에는 마이크로 파의 발열판 인가를 용이하게 하는 구멍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30)의 발열판에는 제1 노즐부의 메인 노즐판과의 결합력을 증대토록 메인 노즐판의 성형시 세라믹이 결합되는 결합구멍(40)들이 더 구비된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노즐부를 구성하는 노즐판들은 세라믹으로 성형되고,
    상기 발열체(30)의 발열판은, 상기 메인 노즐판의 세라믹 성형시 내부에 일체로 심어져 포위되면서 마이크로 파의 인가시 자기 발열되는 실리콘 카바이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부가 사이에 조립되는 제1 노즐부는 연결부재(6)를 매개로 롤 스탠드(100)에 고정되고, 상기 롤 스탠드에 장착된 마그네트 론(2) 또는, 마그네트 론과 연계되는 도파관(4)이 노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6. 삭제
KR1020100123093A 2010-12-03 2010-12-03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KR10120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93A KR101207757B1 (ko) 2010-12-03 2010-12-03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93A KR101207757B1 (ko) 2010-12-03 2010-12-03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702A KR20120061702A (ko) 2012-06-13
KR101207757B1 true KR101207757B1 (ko) 2012-12-03

Family

ID=4661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093A KR101207757B1 (ko) 2010-12-03 2010-12-03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810B1 (ko) * 2014-12-10 2016-09-28 주식회사 포스코 트윈롤 커버장치
GB2543517A (en) * 2015-10-20 2017-04-26 Pyrotek Eng Mat Ltd Caster tip for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EP3415252B1 (en) * 2017-06-14 2020-02-19 Hydro Aluminium Rolled Products GmbH Caster tip arrangement for a continuous cas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4100A1 (en) * 1985-12-30 1987-07-16 Ekerot Sven Torbjoern A method for heating primarily nozzle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4415018B2 (ja) * 2004-08-06 2010-02-17 中央精機株式会社 溶湯直接圧延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4100A1 (en) * 1985-12-30 1987-07-16 Ekerot Sven Torbjoern A method for heating primarily nozzle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4415018B2 (ja) * 2004-08-06 2010-02-17 中央精機株式会社 溶湯直接圧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702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757B1 (ko) 마이크로 파를 이용한 용강 노즐장치
CN104972081A (zh) 一种对薄带铸轧布流器和侧封板整体的预热方法及装置
KR101243019B1 (ko) 용강 노즐장치
KR102245010B1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JP4556720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の冷却方法
CA2920671C (en) Distribution device
JP2006205196A (ja) 連続鋳造機用クーリンググリッド設備及び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KR101238891B1 (ko) 트윈롤 주조 시스템용 노즐 장치
JP2008525197A (ja) 電磁気場を利用したマグネシウムビレット又はスラブ連続鋳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3814490B2 (ja) 誘導加熱装置の防熱板および誘導加熱装置
KR101254110B1 (ko) 복층주편 슬라브 연속주조장치
KR20080055417A (ko) 도가니 내에 용해잔탕이 남지 않도록 하는수평연속주조장치
JP7307339B2 (ja) 矩形断面鋼片の圧延方法、連続鋳造圧延設備及び圧延設備
JP2000218345A (ja) 金属を連続鋳造するための漏斗状の鋳込み領域を備えている鋳型の鋳型板
JP5550154B2 (ja) 冷却性能測定装置
KR100711401B1 (ko) 열간 압연기용 압연롤 냉각장치
AU738253B2 (en) Tapping launder for a molten iron
US20130269905A1 (en) Melt charging system for strip casting
KR20110121975A (ko) 전자기 연속 주조용 주형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 연속 주조 장치
JP2004082190A (ja) 連続鋳造装置
KR101075834B1 (ko) 전기로용 보수재 공급장치
CN113015587B (zh) 钢的连续铸造用铸模和钢的连续铸造方法
EP3415252B1 (en) Caster tip arrangement for a continuous caster
KR200437974Y1 (ko) 몰드 냉각장치
KR100939376B1 (ko) 델타 페라이트의 분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