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267B1 -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 Google Patents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267B1
KR101358267B1 KR1020120133565A KR20120133565A KR101358267B1 KR 101358267 B1 KR101358267 B1 KR 101358267B1 KR 1020120133565 A KR1020120133565 A KR 1020120133565A KR 20120133565 A KR20120133565 A KR 20120133565A KR 101358267 B1 KR101358267 B1 KR 10135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connection
height
transfer
lugg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2013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4Lu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Abstract

수하물용 캐로셀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수하물용 캐로셀 구조체는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전달받도록 외측에 상기 벨트컨베이어가 배치되는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에 있어서, 이송 표면을 폐루프로 형성하도록 연속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슬래트 판 및 상기 폐루프를 따라 상기 복수의 슬래트 판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부를 구비하는 케로셀;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전달받은 수하물을 상기 이송 표면의 연결이송부로 이송하는 연결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이송부는 내측 하향으로 최대의 경사구배를 가지고, 상기 연결이송부로부터 상기 폐루프를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은 0%의 경사구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STRUCTURE OF CARROUSEL}
본원은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공항에는 수하물을 운송 처리하는 컨베이어 라인(시설)이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라인의 마지막 단계에 설치되어 수하물을 목적지 별로 분류하거나 수취하는 용도로 일정 공간에서 회전시키는 폐회로(폐루프) 형태의 회전형 컨베이어가 케로셀이다.
도 1은 다른 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가 연결되는 종래의 케로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2는 같은 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가 연결되는 종래의 케로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같은 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가 연결되는 종래의 케로셀의 일부가 X-RAY실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케로셀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로셀(10)이 위치한 층과 다른 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20)가 연장되어 케로셀(10)에 연결되는 경우로서, 케로셀(10)의 내측은 높고 외측은 낮은 형태의 외측 하향 경사를 갖는 경사형 케로셀(10)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경사형 케로셀(10)은 케로셀(10)이 설치된 층보다 상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20)가 연결되는 상층 연결형 케로셀(12)(도 1의 (b) 참조)과, 케로셀(10)이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20)가 연결되는 하층 연결형 케로셀(13)(도 1의 (c) 참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형 케로셀(10)은 외측 하향으로 경사진 연속된 슬래트(slat) 면을 따라 수하물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측에서 외측으로 흐르게 되므로, 여객이 외측에서 수하물을 집는데 있어서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른 하나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로셀(70)이 위치한 층과 같은 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60)가 연장되어 케로셀에 연결되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경사가 없고 편평한 평형(平衡) 케로셀이 이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케로셀(70)과 벨트컨베이어(60)가 같은 층에서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는, 벨트컨베이어(60)에서 진입되는 수하물이 케로셀(70)과 벨트컨베이어(60) 간의 연결 부분에서 케로셀(70)을 따라 회전되어 돌아온 수하물과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이탈되어 바닥으로 떨어지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특히, 공항의 컨베이어 설치 구조와 위치에 따라 케로셀(70)과 연결되는 벨트컨베이어(60)의 연결 부분(접촉 부분)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X-RAY실 내에 있는 경우에는, X-RAY실 내에는 수하물 운송과는 관련없이 수하물 X-RAY 판독 업무만 하는 직원이 근무하고 있어, 수하물이 케로셀(70)이 상술한 바와 같은 충돌 등으로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신속히 처리되지 못하여, 시간이 한참 지체된 다음에서야 여객이 떨어진 수하물을 찾아 가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케로셀(70)과 연결되는 벨트컨베이어(60)의 연결 부분(접촉 부분)이 여객의 시야를 통해 확인 가능한 수하물 수취장에 있는 경우에는, 연결 부분에서 수하물 간의 충돌, 파손, 추락 등의 장면을 화주가 직접 목격하여 민원을 제기하는 등 여객의 공항 이용 측면 및 공항의 운영 측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로셀과 벨트컨베이어가 같은 층에서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벨트컨베이어에서 진입되는 수하물과 케로셀과 벨트컨베이어 간의 연결 부분에서 케로셀을 따라 회전되어 돌아온 수하물이 상호간의 접촉(충돌)에 의해 파손되거나 추락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여객이 수하물을 쉽게 집어들 수 있도록 하는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는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전달받도록 외측에 상기 벨트컨베이어가 배치되는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에 있어서, 이송 표면을 폐루프로 형성하도록 연속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슬래트 판 및 상기 폐루프를 따라 상기 복수의 슬래트 판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부를 구비하는 케로셀;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전달받은 수하물을 상기 이송 표면의 연결이송부로 이송하는 연결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이송부는 내측 하향으로 최대의 경사구배를 가지고, 상기 연결이송부로부터 상기 폐루프를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은 0%의 경사구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연결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전달받는 연결이송부는 내측 하향으로 최대의 경사구배를 가지고, 그로부터 폐루프를 따라 이격된 이송 표면은 편평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벨트컨베이어와 케로셀의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수하물 이탈(추락) 및 케로셀 위에 있는 수하물과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진입되는 수하물 간의 충돌에 의한 파손이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어, 공항 수하물 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하물 처리에 대한 화주들의 민원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다른 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가 연결되는 종래의 케로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같은 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가 연결되는 종래의 케로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같은 층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가 연결되는 종래의 케로셀의 일부가 X-RAY실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의 제1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구현예에 있어서 케로셀의 이송 표면의 내외측 방향(횡 방향) 경사구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의 제1 구현예 이외의 다양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다양한 구현예에 있어서 케로셀의 이송 표면의 내외측 방향(횡 방향) 경사구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의 연결컨베이어의 두 가지 구현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 부분의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나 기술적 사항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수하물의 일반적인 이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서 이동되어 온 수하물은 투입용 컨베이어(30)에 내려지고, 투입용 컨베이어(30) 및 이송용 컨베이어(40)를 통해 이동하여 수하물에 의심되는 내용물이 있는지 미개봉 상태의 화물을 검색하는 X-RAY기(50)를 통과하게 된다. X-RAY기(50) 내부에도 벨트면에 연장된 내부 이송용 벨트가 내장되어 수하물을 운반한다. 다음으로, X-RAY기(50) 후단의 벨트컨베이어(60)로 이송된 후 케로셀(70)로 이송되어 여객이 원하는 수하물을 선별 수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이하 '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는 수하물 이송 및 수취 시스템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수하물 이외의 화물 등의 다양한 물건들의 이송 및 수취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 있어서 수하물이라 함은 사전적인 의미 상의 수하물 뿐만 아니라, 화물 등 이송 및 수취 공정이 필요한 다양한 물건들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은 벨트컨베이어(60)로부터 수하물(900)을 전달받도록 외측에 벨트컨베이어(60)가 배치되는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는 케로셀(100)을 포함한다.
도 4,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케로셀(100)은 이송 표면(150)을 폐루프로 형성하도록 연속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슬래트 판(110) 및 폐루프를 따라 복수의 슬래트 판(110)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부(130)를 포함한다.
도 4,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폐루프 형태의 이송 표면(150)은 후술할 연결컨베이어(200)로부터 수하물(900)을 전달받는 부분인 연결이송부(151)를 가진다. 다시 말해, 연결이송부(151)는 폐루프 형태의 이송 표면(150) 중 벨트컨베이어(60)로부터 수하물(900)을 전달받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이송부(151)는 내측 하향으로 최대의 경사구배를 가진다.
예시적으로 도 4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폐루프는 트랙형으로 형성되고, 연결이송부(151)는 트랙형의 일측 곡선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연결이송부(151)의 형성 위치는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폐루프의 곡선경로나 직선경로 어느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본원이 제안하는 경사구배 측면의 기술적 특징은 동일한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컨베이어(200)는 폐루프의 곡선경로나 직선경로 어디든 수하물을 전달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맞추어 본원의 기술적 사항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결이송부(151)는 수평면과 20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이루는 내측 하향으로의 경사구배를 가질 수 있다. 내측 하향 경사구배가 20도 미만이 되면, 수하물(900)이 경사면을 따라 쉽게 흘러내리지 못하게 되고, 내측 하향 경사구배가 25도보다 크면, 수하물(900)이 경사면을 따라 빠른 속도 너무 쉽게 흘러내리게 될 수 있으므로, 20도 내지 25도 사이의 각도를 갖는 내측 하향 경사구배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이송부(151)로부터 폐루프를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150)은 0%의 경사구배를 가진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거리는, 이송 표면(150) 중 여객(1000)이 수하물(900)을 픽업하는 픽업 구간(800)과 가장 가까운 거리 이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H-h 선 이후부터 픽업 구간(800)이므로, 이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는 C-c 선으로부터 폐루프를 따라 H-h선까지의 거리 이내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즉, C-c선에서 내측 하향으로 최대 경사구배를 가졌던 이송 표면(150)은 h-H선에 도달하기 이전에 그 경사구배가 0%인 편평한 표면이 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 높이는, 연결이송부(151)에서 최대 높이를 가지고, 이후 연결이송부(151)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다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에서는 기준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래트판(110)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 표면(150)의 최내측(a, b, c, d, e)의 높이는 기준높이로서 폐루프의 전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도 5의 (b)에서 level 0)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A, B, C, D, E)의 높이는 연결컨베이어(200)와 대응하는 연결이송부(151)의 최외측(C)이 가장 높게 설정되고, 이를 정점으로 양 옆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며 낮아져 B, D 지점은 기준높이인 a, b, c, d, e 지점의 중간 높이가 될 수 있다. 또한, B, D지점에서 양 옆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A, E 지점은 a, b, c, d, e 지점과 동일하게 기준높이가 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는 복수의 슬래트판(110)을 통해 형성되는 이송 표면(150)의 각 부위별 경사구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각 지점(A 내지 E, a 내지 e)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높이를 갖는 이송 표면(1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슬래트판(110)이 소정의 3차원 궤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슬래트판(110)의 3차원 궤적은 캐리어부(13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c)는 복수의 슬래트판(110)을 통해 형성된 이송 표면(150)의 도 4에 표시된 각 위치별 수평도(경사구배)를 시각적,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5의 (c)의 A 부위는 도 4에서 이송 표면(150)의 외측인 A 지점의 높이를 나타내며 도 5의 (c)의 a 부위는 도 4에서 이송 표면(150)의 내측인 a 지점의 높이를 나타낸다. 이렇게 알파벳의 대문자 및 소문자가 이송 표면(150)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대응되도록 그 높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면, 이송 표면(150)의 외측은 A에서 시작하여 B지점을 지나 C지점에서 최대 높이를 가졌다가, 다시 D를 지나 E지점에 도달하면서 기준높이로 낮아지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외측 A 내지 E 지점에 각각 대응되는 내측 a 내지 e 지점은 기준높이를 높이 변화없이 계속적으로 유지함을 나타낸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이송 표면(150) 외측의 A~E 지점까지의 상승과 하강을 통한 케로셀(100)의 내외측 경사구조로 인해, 먼저 인입되어 회전하던 제1 수하물(900a)은 A-a선 및 B-b선을 통과하면서 내측 하향 경사를 따라 이송 표면(150)의 내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게 되고, 제2 수하물(900b)이 새롭게 인입되는 연결이송부(151), 즉 C-c선에서 제1 수하물(900a)은 이송 표면(150)의 내측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제2 수하물(900b)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사구조를 통해, 수하물(900)끼리의 충돌로 의한 파손 또는 바닥으로의 이탈(추락)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단면이 연결컨베이어(200)와 연결되는 연결이송부(151) 부분으로, 가장 높은 경사구배(경사도)를 갖는 도 4의 C-c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원의 다른 구현예로서,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 높이는, 연결이송부(151)에서 최대 높이를 가지고, 이후 연결이송부(151)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다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150)에서 최소 높이를 가지며, 이후 미리 설정된 거리에 가까워질수록 높아져,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150)에서는 기준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 높이의 변화에 따라, 연결이송부(151)는 내측 하향으로 최대의 경사구배를 가지고,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150)은 외측 하향으로 최대의 경사구배를 가지다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150)에서는 경사구배 0%의 수평면이 유지될 수 있다.
복수의 슬래트판(110)을 통해 형성된 이송 표면(150)의 최내측(a, b, c, d, e, f, g, h) 높이는 기준높이인 Level 0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바(도 7의 (b) 및 (c) 참조),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 높이(도 7의 (a) 참조)에 따라 경사구배가 정해지게 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 높이가 가장 높은 C지점(Level 10)에서 내측 하향으로 최대 경사구배(정 경사구배)가 형성된다.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 높이는 C 지점을 지나 점진적으로 낮아지다가, F 지점에서는 level -10으로서 기준높이인 Level 0보다 더 낮은 높이가 되면서 내측 하향이 아닌 외측 하향으로의 최대 경사구배(역 경사구배)를 갖게 된다.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 높이는 이러한F 지점을 지나 다시 점진적으로 높아지다가, H 지점에서는 기준높이인 Level 0으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도 6은, 도 7에 나타난 각 외측 지점(A, B, C, D,E, F, G, H) 및 각 내측 지점(a, b, c, d, e, f, g, h)의 레벨(높이)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 표면(150)의 경사구배를 따라 수하물이 이동되는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A지점에서 제1 수하물(900a)이 외측에 있다가 B지점을 지나면서 외측이 높아지는 경사도에 의해 C지점에서 완전히 내측으로 쏠리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컨베이어(200)로부터 제2 수하물(900b)이 인입되더라도 제1 수하물(900a)은 이미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내측 위치(c)에 있게 된다. 또한, C-c선을 지나면서는 점점 외측이 낮아지다가 외측이 가장 낮아지는 F지점에서 수하물은 다시 바깥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수하물(900)을 수취하는 사람이 잡기 편하도록 바깥으로 이동시켜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측 하향으로의 정 경사구배 형성 후 반대로 외측 하향으로 역 경사구배 구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정 경사구배 구간에서 수하물(900) 간의 충돌 방지를 위해 이송 표면(15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갔던 수하물(900)이 역 경사구배(외측 하향 경사구배) 구간에서 다시 외측으로 밀려나오게 되므로, H-h선 이후의 픽업구간(800)에서 여객(100)이 보다 수월하게 수하물(900)을 픽업(수취)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7의 (c)가 나타내는 바를 부연 설명하면, 도 7의 (c)는 도 6의 이송 표면(150)의 외측의 각 지점별 외측(A, B, C, D, E, F, G, H)에 대응되는 내측(a, b, c, d, e, f, g, h)의 지점별 위치를 시각적,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내측의 각 지점(a, b, c, d, e, f, g, h)은 기준높이인 Level 0를 전구간에서 변함없이 유지하는 반면, 외측의 각 지점(A, B, C, D, E, F, G, H)은 Level 0인 A지점을 시작으로 Level 10의 C지점을 정점으로 하향하여 D와 E지점을 지나 Level -10 최저점인 F 지점을 지나면서 다시 상향하여 G지점을 거쳐 기준높이인 H지점으로 복귀한다. 즉, 도 7의 (c)를 통하여 도 7의 (b)를 통해 파악하였던 정 경사구배 및 역 경사구배를 재차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이러한 정 경사구배 및 역 경사구배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 높이는, 연결이송부(151)(C)에서 최대 높이(이송 표면(150)의 최외측의 높이들 중 최대 높이)를 가지고, 이후 연결이송부(151)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다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150)(F)에서 최소 높이(이송 표면(150)의 최외측의 높이들 중 최대 높이)를 가지며, 이후 미리 설정된 거리에 가까워질수록 높아져,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150)(G)에서는 기준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이송 표면(150)의 최내측 높이는,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150)(f)에서 최대 높이(이송 표면(150)의 최내측의 높이들 중 최대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는 도 6의 E지점에서 Level 0로 복귀한 후에는 수하물(900)이 다시 바깥쪽으로 내보내지도록 E지점 이후부터는 이송 표면(150)이 외측 하향으로 경사(역 경사)지게 하여 C 지점과는 반대로 오히려 외측이 가장 낮은 F지점과 내측이 상향지게 올라간 가장 높은 지점인 f지점을 통해 역 경사지게 하였다가, 다시 반대로 움직여 G-g선에서는 G 지점과 이에 대응되는 g 지점 모두 기준높이로 돌아오는 정 경사구배 및 역 경사구배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픽업 구간(800)과는 달리, 이러한 구현예에서는 G-g 선 이후부터가 픽업 구간(800)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8의 (b)는 복수의 슬래트판(110)을 통해 형성되는 이송 표면(150)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정 경사구배 및 역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8의 (b)를 참조하면, 이송 표면(150)의 최외측 높이는, 연결이송부(151)(C)에서 최대 높이(이송 표면(150)의 최외측의 높이들 중 최대 높이)를 가지고, 이후 연결이송부(151)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다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150)(F)에서 최소 높이(이송 표면(150)의 최외측의 높이들 중 최대 높이)를 가지며, 이후 미리 설정된 거리에 가까워질수록 높아져,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150)(G)에서는 기준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이송 표면(150)의 최내측 높이는, 연결이송부(151)에서 최소 높이를 가지고, 이후 연결이송부(151)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다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150)에서 최대 높이를 가지며, 이후 미리 설정된 거리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져,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150)에서는 기준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이송부(151)는 수평면과 20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이루는 내측 하향으로의 경사구배를 가지고, 반대로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150)은 수평면과 20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이루는 외측 하향으로의 경사구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캐리어부(130)가 폐루프의 경로를 따라 이송 표면(150)의 내외측 방향 경사구배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슬래트판(110)이 폐루프의 경로를 따라(도 10에서 보았을 때 전후방향) 연속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캐리어부(130)는 이러한 슬래트판(110)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캐리어부(130)는 폐루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133)이 형성된 프레임(131)을 포함하고, 복수의 슬래트 판(110)의 하측에는 하나 이상의 레일(133)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롤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캐리어부(130)는 그 상부에 슬래트판(110)을 부착하며, 이러한 슬래트판(110)의 하부 양 옆에 사이드롤러(113b)를 부착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이드롤러(113b)에 대응하도록 프레임(131)에 사이드레일(133b)이 부착됨으로써, 사이드롤러(113b)의 높이방향(도 10에서 보았을 때 1시 및 7시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레일(133b)의 궤적을 따라 사이드롤러(113b)가 롤링 이동하면서 슬래트판(110)을 이동시켜 폐루프 형태의 이송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래트판(110)의 하부 중앙에는 폭 방향(도 10에서 보았을 때 4시 및 10시 방향)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센터롤러(11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터롤러(113a)는 캐리어부(130)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센터레일(133a)의 궤적을 따라 높이방향(도 10에서 보았을 때 1시 및 7시 방향)으로는 접촉이나 간섭 없이 공간을 유지하며 폭 방향으로 센터레일(133a)과 접하여 롤링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레일(133)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롤러(113)를 통해, 레일(133)을 통해 형성된 궤적을 따라 복수의 슬래트판(110)이 이동하면서 폐루프 상에서 수하물을 운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궤적의 구현을 위해 레일(133)의 형성 높이가 폐루프를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여야 할 것이므로, 이러한 레일(133)의 배치를 위해 내부에 보강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캐리어부(130)는 레일(133)을 통해 복수의 슬래트판(110) 상에 형성된 이송 표면(151)의 내측 및 외측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131) 하부의 내측 및 외측에 폐루프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가능받침(13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케로셀(100)을 설치할 때 일정 길이의 프레임(131)을 연속하여 먼저 설치하고 레일(133), 보강프레임 등의 조립부품을 설치하게 되는데, 프레임(131)의 배치에 의한 수평도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높이조절가능받침(137)을 통해 그 높이를 조정해줄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가능받침(137)은 케로셀(100)의 운영 중 진동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바닥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10을 참조하면, 캐리어부(130)는 이송 표면(150) 중 내측 하향으로의 경사구배를 갖는 이송 표면(150)의 내측에 수하물(900)의 추락 방지를 위한 가이드 패널(135)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내측 하향으로의 경사구배를 갖는 이송 표면(150)의 내측이라 함은, 도 4 및 도 6에서 보았을 때 b~d 지점 사이의 구간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테면, b~d 지점 사이의 구간에 15~30cm 정도 높이의 가이드 패널(135)을 설치함으로써, 연결컨베이어(200)로부터 인입되어 이송 표면(150)의 내측으로 미끄러지는 수하물(900)이 케로셀(100)의 안쪽(폐루프의 내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는 연결컨베이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컨베이어(200)는 벨트컨베이어(60)로부터 전달받은 수하물(900)을 이송 표면(150)의 연결이송부(151)로 이송한다.
다시 말해, 연결컨베이어(200)는 수하물(900)을 케로셀에 운반하기 위한 벨트컨베이어(60)에 추가로 설치되는 컨베이어로서, 케로셀(100)과는 완전히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각자의 벨트 구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하물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는 정도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연결컨베이어(200)는 X-RAY기(50)를 통과한 후 벨트컨베이어(60)를 지난 수하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벨트컨베이어(60)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건물공간이 협소하여 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가 설치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벨트컨베이어(60)의 설치를 생략하고 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의 연결컨베이어(200)를 바로 X-RAY기(50)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컨베이어(200)는, 벨트컨베이어(60)로부터 수하물(900)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벨트컨베이어(60)의 후단 이하의 높이를 갖는 전단 및 연결이송부(151) 상에 수하물(900)을 이송할 수 있도록 연결이송부(151)의 최외측 이상의 높이를 갖는 후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하물(900)을 전달하는 쪽 높이보다 수하물(900)을 전달받는 쪽 높이가 높게 되면, 수하물(900)이 이러한 높이 차에 의해 형성되는 턱에 걸려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컨베이어(200)는 벨트컨베이어(60)의 후단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전단을 가지고, 연결이송부(151)의 최외측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는 후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 9의 (a)를 참조하면, 연결이송부(151)외 최외측의 높이는 벨트컨베이어(60)의 후단보다 높고, 연결컨베이어(200)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상향 경사진 표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연결컨베이어(200)의 후단 끝까지 상향 경사진 표면이 연장되어 형성된다면, 연결컨베이어(200)로부터 케로셀(100)로 수하물(900)이 진입할 때 수하물(900)과 연결컨베이어(200) 사이의 접촉 및 수하물(900)과 케로셀(100) 사이의 접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어, 일정한 접촉면에 의한 마찰력 작용을 통한 안정적인 수하물(900)의 이송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컨베이어(200)의 후단 부분에는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수하물(900)의 평균적인 크기를 고려하여 1m 내외 정도)만큼 수평부를 형성함으로써, 수하물(900)이 연결컨베이어(200)로부터 케로셀(100)로 진입할 때 일정한 접촉면 및 이를 통한 일정한 마찰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도 9의 (b)를 참조하면, 연결컨베이어(200)는 후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벨트컨베이어(60)로부터 수하물(900)을 전달받는 상향 경사부(210); 및 후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향 경사부(210)로부터 수하물(900)을 전달받아 연결이송부(151)상으로 이송시키는 하향 경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컨베이어(200)는 케로셀(100) 측(구체적으로, 연결이송부(151))으로 수하물이 더 전달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상향 경사부(210)의 후단에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부(2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하향 경사부(230)의 수하물 이송 속도는 상향 경사부(210)의 수하물 이송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 속도 차이를 통해, 연결이송부(151)의 경사면 상에 전달된 수하물(900)이 내측으로 보다 쉽게 밀려들어갈 수 있어 연결이송부(151)의 외측에 수하물(900)이 정체되지 않으므로, 수하물(900) 간의 충돌이 보다 쉽게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속도가 빠른 하향 경사부(230)를 설치하게 되면,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수하물(900)이 더 쉽게 안쪽으로 밀리는 효과가 있으므로, 연결이송부(151)의 경사구배를 좀 더 완만하게 설정할 수 있는 여유가 확보된다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로셀 110: 복수의 슬래트 판
113: 롤러 113a: 센터롤러
113b: 사이드롤러 130: 캐리어부
131: 프레임 133: 레일
133a: 센터레일 133b: 사이드레일
135: 가이드 패널 137: 높이조절가능 받침
150: 이송 표면 151: 연결이송부
200: 연결컨베이어 210: 상향 경사부
230: 하향 경사부 60: 벨트컨베이어
800: 픽업 구간 900: 수하물
900a: 제1 수하물 900b: 제2 수하물
1000: 여객

Claims (18)

  1.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전달받도록 외측에 상기 벨트컨베이어가 배치되는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에 있어서,
    이송 표면을 폐루프로 형성하도록 연속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슬래트 판 및 상기 폐루프를 따라 상기 복수의 슬래트 판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부를 구비하는 케로셀;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전달받은 수하물을 상기 이송 표면의 연결이송부로 이송하는 연결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이송부는 내측 하향으로 최대의 경사구배를 가지고,
    상기 연결이송부로부터 상기 폐루프를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은 0%의 경사구배를 가지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상기 이송 표면 중 여객이 수하물을 픽업하는 픽업 구간과 가장 가까운 거리 이내인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표면의 최외측 높이는, 상기 연결이송부에서 최대 높이를 가지고, 이후 상기 연결이송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다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에서는 기준높이를 유지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이송부는 수평면과 20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이루는 내측 하향으로의 경사구배를 가지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표면의 최외측 높이는, 상기 연결이송부에서 최대 높이를 가지고, 이후 상기 연결이송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다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에서 최소 높이를 가지며, 이후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에 가까워질수록 높아져,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에서는 기준높이를 유지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표면의 최내측 높이는, 상기 연결이송부에서 최소 높이를 가지고, 이후 상기 연결이송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다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에서 최대 높이를 가지며, 이후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져,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이송 표면에서는 기준높이를 유지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이송부는 내측 하향으로 최대의 경사구배를 가지고,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은 외측 하향으로 최대의 경사구배를 가지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이송부는 수평면과 20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이루는 내측 하향으로의 경사구배를 가지고,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된 이송 표면은 수평면과 20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이루는 외측 하향으로의 경사구배를 가지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는 트랙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이송부는 상기 트랙형의 일측 곡선부 중간에 형성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컨베이어는,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후단 이하의 높이를 갖는 전단 및 상기 연결이송부 상에 수하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이송부의 최외측 이상의 높이를 갖는 후단을 구비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이송부외 최외측의 높이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후단보다 높고,
    상기 연결컨베이어는 상기 전단에서 상기 후단으로 상향 경사진 표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컨베이어는
    상기 후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전달받는 상향 경사부; 및
    상기 후단 방향으로 수평한 면을 갖고, 상기 상향 경사부로부터 수하물을 전달받아 상기 연결이송부 상으로 이송시키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컨베이어는
    상기 후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전달받는 상향 경사부; 및
    상기 후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상향 경사부로부터 수하물을 전달받아 상기 연결이송부 상으로 이송시키는 하향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경사부의 수하물 이송 속도는 상기 상향 경사부의 수하물 이송 속도보다 빠른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는 상기 폐루프의 경로를 따라 상기 이송 표면의 내외측 방향 경사구배를 조절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는 상기 폐루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래트 판의 하측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일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는 상기 레일을 통해 형성된 상기 이송 표면의 내측 및 외측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하부의 내측 및 외측에 상기 폐루프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가능받침을 포함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는 상기 이송 표면 중 내측 하향으로의 경사구배를 갖는 이송 표면의 내측에 수하물의 추락 방지를 위한 가이드 패널을 구비하는 것인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KR1020120133565A 2012-11-23 2012-11-23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KR101358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65A KR101358267B1 (ko) 2012-11-23 2012-11-23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65A KR101358267B1 (ko) 2012-11-23 2012-11-23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267B1 true KR101358267B1 (ko) 2014-02-07

Family

ID=5026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565A KR101358267B1 (ko) 2012-11-23 2012-11-23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2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425B1 (ko) * 2015-04-29 2016-02-12 한국공항공사 이중경사형 케로셀
KR101659068B1 (ko) * 2015-12-30 2016-09-23 한국공항공사 케로셀의 화물 충격방지부
KR101735667B1 (ko) 2015-09-21 2017-05-15 인천국제공항공사 수하물 이송용 컨베이어 캐로셀
KR101804067B1 (ko) 2016-08-31 2017-12-04 현대로템 주식회사 멀티 섹션 캐로셀
CN110641906A (zh) * 2019-09-25 2020-01-03 侯志川 一种旅客下楼梯用行李输送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523A (ja) * 1993-01-20 1994-08-09 Murata Mach Ltd コンベア装置
KR19990087333A (ko) * 1996-02-27 1999-12-27 섹스톤 매튜 지오프리 하이브리드 폐 루프 컨베이어
JP2001146376A (ja) 1999-11-19 2001-05-29 Nkk Corp コンベヤ装置
KR20100036694A (ko) * 2008-09-30 2010-04-08 한국공항공사 스케일컨베이어보다 긴 수하물의 무게측정이 용이한 스케일컨베이어의 구조 및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523A (ja) * 1993-01-20 1994-08-09 Murata Mach Ltd コンベア装置
KR19990087333A (ko) * 1996-02-27 1999-12-27 섹스톤 매튜 지오프리 하이브리드 폐 루프 컨베이어
JP2001146376A (ja) 1999-11-19 2001-05-29 Nkk Corp コンベヤ装置
KR20100036694A (ko) * 2008-09-30 2010-04-08 한국공항공사 스케일컨베이어보다 긴 수하물의 무게측정이 용이한 스케일컨베이어의 구조 및 제어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425B1 (ko) * 2015-04-29 2016-02-12 한국공항공사 이중경사형 케로셀
WO2016175410A1 (ko) * 2015-04-29 2016-11-03 한국공항공사 이중경사형 케로셀
CN107531421A (zh) * 2015-04-29 2018-01-02 韩国机场公司 双斜面转盘传送带
JP2018513081A (ja) * 2015-04-29 2018-05-24 コリア エアポーツ コーポレーション 二重傾斜型カルーセル
EP3290343A4 (en) * 2015-04-29 2018-12-12 Korea Airports Corporation Dual-sloping carousel
US10183763B2 (en) 2015-04-29 2019-01-22 Korea Airports Corporation Dual-sloping carousel
KR101735667B1 (ko) 2015-09-21 2017-05-15 인천국제공항공사 수하물 이송용 컨베이어 캐로셀
KR101659068B1 (ko) * 2015-12-30 2016-09-23 한국공항공사 케로셀의 화물 충격방지부
KR101804067B1 (ko) 2016-08-31 2017-12-04 현대로템 주식회사 멀티 섹션 캐로셀
CN110641906A (zh) * 2019-09-25 2020-01-03 侯志川 一种旅客下楼梯用行李输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267B1 (ko) 수하물용 케로셀 구조체
US11225380B2 (en) Conveyor system for the transport of packaged food products
KR101664238B1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시스템에서의 물품의 일시 보관 방법
TWI733928B (zh) 物品搬送設備
JP6333394B2 (ja) 固い小包および小さい小包の大きなバッグのためのシンギュレータコンベアシステム
US20230099127A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eival system comprising a relay module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 system
US9694974B2 (en) Item storage, dispensing, and receiving system, apparatus, methods, and applications
US10112783B2 (en) Transfer device for product carriers with holding means
KR101591425B1 (ko) 이중경사형 케로셀
JP2007153614A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方法
US20140039669A1 (en) Method of transporting and sorting and system for exercising the method
CN108569529B (zh) 用于运输货物部件的输送系统和方法
US3735853A (en) System for distributing pieces of load such as baggage, parcels etc.
US20140356111A1 (en) Method of handling objects in an airport and handling system
US9365364B1 (en) Controlled acceleration and transfer of items via a rotating platform
ES2634295T3 (es) Carro de ayuda para el traslado de correos para una máquina de clasificación postal e instalación de clasificación postal
CN102939187A (zh) 整备车
CN104249921A (zh) 用于孤立负载物品的设备
US11332309B2 (en) Overhead type transport apparatus
US293898A (en) Automatic carrier system
US20200290819A1 (en) Method for unloading an item for transport from a transport bag
JPH02255418A (ja) 連続昇降搬送装置および連続昇降搬送装置への搬送ボックス受渡し方法
KR101996667B1 (ko)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CN212069547U (zh) 低控制难度物品分拣系统
CA3220133A1 (en) Tapering of a conveyor flow of piece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