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044B1 -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044B1
KR101358044B1 KR1020120014804A KR20120014804A KR101358044B1 KR 101358044 B1 KR101358044 B1 KR 101358044B1 KR 1020120014804 A KR1020120014804 A KR 1020120014804A KR 20120014804 A KR20120014804 A KR 20120014804A KR 101358044 B1 KR101358044 B1 KR 101358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pring
support
fastening
fixing
suppo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315A (ko
Inventor
유원선
이민영
허진관
Original Assignee
(주) 주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주은산업 filed Critical (주) 주은산업
Priority to KR102012001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0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 B61L3/08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 B61L3/1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using magnetic or electrostatic induction; using radio waves
    • B61L3/126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 B61L3/08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 B61L3/1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using magnetic or electrostatic induction; using radio waves
    • B61L3/121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using magnetic or electrostatic induction; using radio waves using magnetic in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레일을 지지하는 침목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철도레일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체결공과 곡선의 지지면을 갖는 홀딩부 및 상기 체결공에 끼움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철도레일을 가압,고정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에 양단부가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침목에 지지되게 배치되어 지상정보 송신용 발리스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침목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리스가 상면부 중앙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양단부에는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의 저면에는 입구에 인입경사부를 갖는 한쌍의 슬릿부가 형성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끼움돌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압,고정되며, 양측에 상기 홀딩부에 끼움되는 걸림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패널의 중앙 부분에는 발리스를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확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확장부에는 다수의 설치공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의 저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완충돌부가 더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어 원가가 절감되고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시간이 단축되며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 BALISE HOLDING DEVICE FOR AUTOMATIC TRAIN PROTECTION }
본 발명은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패널의 양측에 체결장치를 설치한 후 침목에 설치되어 철도레일을 고정시키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압착고정됨으로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어 원가가 절감되고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시간이 단축되며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차의 안전 운행을 위한 열차자동제어장치는 제어 중심이 지상 신호기에 있는 지상신호방식과 차량에 있는 차상신호방식으로 분류되는데, 상기 지상신호방식에는 ATS 설비가 대표적이며, 차상신호방식의 경우에는 차상신호의 송수신방식, 부가기능 등에 따라 여러 형태가 있으나, ATP 또는 ATC 설비가 대표적이다.
ATS(Automatic Train Stop)장치는 신호기의 제한속도를 초과하여 운전시 선행열차와의 추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열차의 속도를 감속 또는 제동시키는 장치이다.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장치는 선로에 설치된 지상자인 발리스(이하, Balise라 함)를 이용하여 열차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아 선행열차의 위치에 따른 후속열차의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로, 기존의 지상신호 시스템을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두거나 혹은 지상신호기를 이용하면서 차상신호 시스템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리스는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침목들 중 하나에 설치되는데 침목의 고정패널을 볼트체결한 후 그 고정패널에 발리스를 나사 또는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발리스는 송수신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침목에 설치되는데, 열차의 반복적인 통행에 따른 진동이 레일을 통해 침목에 전달되면서 볼트가 느슨해 지거나 풀려 발리스 및 발리스를 지지하는 고정패널이 침목에서 분리되어 파손되거나 통행중인 열차에 걸림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패널의 양단부에 끼움돌부를 형성한 후 체결장치를 설치하여 침목에 설치되어 철도레일을 고정시키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압착고정됨으로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어 원가가 절감되고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시간이 단축되며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결장치에 지지유닛이 더 설치되어 열차통행에 따른 진동을 완충함과 아울러 지지패널에 직접전달되는 방지하게 되는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철도레일을 지지하는 침목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철도레일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체결공과 곡선의 지지면을 갖는 홀딩부 및 상기 체결공에 끼움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철도레일을 가압,고정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에 양단부가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침목에 지지되게 배치되어 지상정보 송신용 발리스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침목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리스가 상면부 중앙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양단부에는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의 저면에는 입구에 인입경사부를 갖는 한쌍의 슬릿부가 형성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끼움돌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압,고정되며, 양측에 상기 홀딩부에 끼움되는 걸림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패널의 중앙 부분에는 발리스를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확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확장부에는 다수의 설치공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의 저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완충돌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지지패널의 끼움돌부에 끼움되고, 상기 슬릿부에 끼움되도록 절곡된 구조의 고정편이 내측 저면에 형성되며 일단부 상측에는 곡선지게 압착패널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과 상기 홀딩부의 지지면 사이에 개재된 후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압,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장치에는 지지유닛이 더 체결되되,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체결장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끼움돌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의 양측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의 내측면과 맞닿게 배치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의 하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지지날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홀딩부를 가압하도록 가압장치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는 지지패널의 양단부에 끼움돌부를 형성한 후 체결장치를 설치하여 침목에 설치되어 철도레일을 고정시키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압착고정됨으로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어 원가가 절감되고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시간이 단축되며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장치에 지지유닛이 더 설치되어 열차통행에 따른 진동을 완충함과 아울러 지지패널에 직접전달되는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패널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패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체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체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패널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패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지지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체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에 있어, 체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10)(이하 발리스 고정장치)는 한쌍의 철도레일(100)을 지지함과 아울러 연결하는 침목(200)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고정부(500)에 양단부가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침목(200)에 지지되게 배치되어 지상정보 송신용 발리스(600)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침목에 볼트체결되고, 관통되게 체결공(310)이 형성되고 상부에 곡선의 지지면(320)을 갖는 홀딩부(300)와 상기 체결공(310)에 끼움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철도레일을 가압,고정시키는 탄성스프링(4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발리스 고정장치는(10)는 지지패널(20)과 체결장치(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침목(200)은 목재 또는 석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딩부(30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관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침목(200)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볼트(앵커볼트)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패널(20)은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목(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리스(600)가 상면부 중앙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지지패널(20)의 양단부에는 끼움돌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21)의 저면에는 입구에 인입경사부(211a)를 갖는 한쌍의 슬릿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경사부(211a)는 슬릿부(211)에 끼움되는 후술될 고정편(31)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릿부(211)의 입구에 형성되어 입구를 확장시킴과 아울러 상기 고정편(31)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패널(20)의 중앙 부분에는 발리스(600)가 배치되도록 확장부(22)가 마련되며, 상기 확장부(22)에는 상기 발리스(600)가 볼트체결되도록 다수의 설치공(22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확장부(22)의 저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완충돌부(22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완충돌부(22)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고, 단면이 반원형인 형상으로 형성시켜 상기 확장부(22)의 저면에 접착 또는 융착고정시키게 되며, 다르게는 하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확장부(22)와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장치(30)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패널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20)의 끼움돌부(21)에 끼움되고 상기 탄성스프링(400)의 탄성에 의해 가압,고정되어, 상기 지지패널(20)을 침목(200)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체결장치(30)는 상기 지지패널(20)의 끼움돌부(21)에 끼움되고, 상기 슬릿부(211)에 끼움되도록 절곡된 구조의 고정편(31)이 내측 저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장치(30)의 일단부 상측에는 곡선지게 압착패널(32)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400)과 상기 홀딩부(300)의 지지면(320) 사이에 개재됨으로서 상기 탄성스프링(400)의 탄성에 의해 가압,고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장치(30)는 양측에 걸림편(33)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300)의 양측이 상기 걸림편(33)에 걸림되게 상기 체결장치(30)의 일단부가 상기 홀딩부(300)에 끼움되어 열차통행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체결장치(30)가 홀딩부(300)에서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릿부(211)에 체결되는 고정편(31) 및 상기 끼움돌부(21)에 체결되는 체결장치(30)는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지지패널(20)에 설치된 체결장치(30)는 용접 또는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장치(30)에는 지지유닛(50)이 더 체결되되, 상기 지지유닛(50)은 상기 체결장치(3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끼움돌부(21)의 단부를 지지하는 격벽부(51)와 상기 격벽부(51)의 양측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33)의 내측면과 맞닿게 배치되는 압착부(52)와 상기 압착부(52)의 하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지지날개(5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유닛(50)은 상기 체결장치(30)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격벽부(51)가 상기 홀딩부(300)와 접촉되어 열차통행에 따른 상기 홀딩부(30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진동이 상기 끼움돌부(21)로 직접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착부(52)에 상기 홀딩부(300)가 끼움됨으로서, 진동을 재차 완충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압축부(52)에 형성된 지지날개(53)에 의해 상기 침목(200)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상기 발리스 고정장치(10)가 진동에 의해 이동하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날개(53)의 저면에는 다수의 마찰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날개(53)에 볼트체결하여 상기 침목(200)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지지패널(20)의 끼움돌부(21)에 상기 체결장치(30)를 끼운 다음 침목(200)의 상부에 배치시키되, 홀딩부(300)에 형성되는 지지면(320)에 체결장치(30)의 압착패널(32)이 면접촉하도록 배치시키게 된다.
이후, 홀딩부(300)의 체결공(310)에 상기 탄성스프링(400)의 일측을 끼운 다음 탄성스프링(400)의 타측으로 철도레일(100)의 날개부를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철도레일(100)을 침목(200)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침목(200)에 발리스 고정장치(10)를 고정시키게 됨으로서, 상기 발리스 고정장치(10)를 침목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을 위한 수단이 불필요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상기 체결장치(30)에 지지유닛(50)이 더 설치하여 열차통행에 따른 진동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발리스 고정장치(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홀딩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직접 지지패널(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침목(200)에 고정된 지지패널(20)의 설치공(221)에 발리스(600)를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에서는 지지패널(20)에 지지유닛(50)이 구비된 체결장치(30)를 고정시킨 후 탄성스프링(400)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격벽부(51)에는 상기 홀딩부(300)를 가압하도록 가압장치(60)가 더 마련된다.
상기 가압장치(60)는 상기 격벽부(51)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61)과 상기 탄성스프링(61)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61)의 탄성에 의해 상기 홀딩부(300)를 가압하는 가압패널(62)이 마련되고, 상기 홀딩부(300)와 맞닿는 가압패널(62)의 전면부(621)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체결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61)은 상기 격벽부(51)와 상기 가압패널(62)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10 : 발리스 고정장치 20 : 지지패널
30 : 체결장치 40 : 지지유닛
21 : 끼움돌부 211 : 슬릿부
211a : 인입경사부 22 : 확장부
221 : 설치공 222 : 완충돌부
31 : 고정편 32 : 압착패널
33 : 걸림편 41 : 격벽부
42 : 압착부 43 : 지지날개
51 : 탄성스프링 52 : 가압패널
521 : 전면부 100 : 철도레일
200 : 침목 300 : 홀딩부
310 : 체결공 320 : 지지면
400 : 탄성스프링 500 : 고정부
600 : 발리스

Claims (4)

  1. 철도레일을 지지하는 침목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철도레일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체결공과 곡선의 지지면을 갖는 홀딩부 및 상기 체결공에 끼움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철도레일을 가압,고정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에 양단부가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침목에 지지되게 배치되어 지상정보 송신용 발리스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침목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리스가 상면부 중앙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양단부에는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의 저면에는 입구에 인입경사부를 갖는 한쌍의 슬릿부가 형성된 지지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의 끼움돌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압,고정되며, 양측에 상기 홀딩부에 끼움되는 걸림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패널의 중앙 부분에는 발리스를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확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확장부에는 다수의 설치공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의 저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완충돌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지지패널의 끼움돌부에 끼움되고, 상기 슬릿부에 끼움되도록 절곡된 구조의 고정편이 내측 저면에 형성되며 일단부 상측에는 곡선지게 압착패널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과 상기 홀딩부의 지지면 사이에 개재된 후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압,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에는 지지유닛이 더 체결되되,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체결장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끼움돌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의 양측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의 내측면과 맞닿게 배치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의 하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지지날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홀딩부를 가압하도록 가압장치가 더 마련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격벽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홀딩부를 가압하는 가압패널이 마련되고, 상기 홀딩부와 맞닿는 가압패널의 전면부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체결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KR1020120014804A 2012-02-14 2012-02-14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KR101358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04A KR101358044B1 (ko) 2012-02-14 2012-02-14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04A KR101358044B1 (ko) 2012-02-14 2012-02-14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315A KR20130093315A (ko) 2013-08-22
KR101358044B1 true KR101358044B1 (ko) 2014-02-05

Family

ID=4921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804A KR101358044B1 (ko) 2012-02-14 2012-02-14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0246A1 (de) 2017-07-31 2019-02-15 Gifas Electric Ges M B H Schutzvorrichtung
EP3539842A1 (de) * 2018-03-16 2019-09-18 Siemens Schweiz AG System zur longitudinalen und transversalen befestigung einer balise in einem dreischienengleis
PL427024A1 (pl) * 2018-09-17 2020-03-23 Przedsiębiorstwo Handlowo-Usługowe Ktk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Listwa montażowa do mocowania elementów na szynach torów, sposób montażu i zastosowani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935A (ja) 2001-05-10 2002-11-19 East Japan Railway Co 地上子取付金具
KR20070013856A (ko) * 2005-07-27 2007-01-31 주식회사 경인기술 철도 시설물의 시공 방법 및 장치
JP2008001259A (ja) 2006-06-23 2008-01-10 West Japan Railway Co 可搬型ats地上子
KR20100091381A (ko) * 2009-02-10 2010-08-19 한국철도공사 콘크리트 침목용 베이스플레이트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935A (ja) 2001-05-10 2002-11-19 East Japan Railway Co 地上子取付金具
KR20070013856A (ko) * 2005-07-27 2007-01-31 주식회사 경인기술 철도 시설물의 시공 방법 및 장치
JP2008001259A (ja) 2006-06-23 2008-01-10 West Japan Railway Co 可搬型ats地上子
KR20100091381A (ko) * 2009-02-10 2010-08-19 한국철도공사 콘크리트 침목용 베이스플레이트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315A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529B1 (ko) 철도차량용 배장기
KR101358044B1 (ko)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KR101273202B1 (ko) 철도 침목용 발리스 고정장치
JP2011525948A (ja) 線路のまくら木へのレール固定装置
KR100588257B1 (ko) 교량용 차량 방호책 장치 및 시공방법
KR20140143246A (ko)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의 설치구조
KR101252695B1 (ko)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KR200473880Y1 (ko) 레일체결장치
KR20130003736U (ko)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KR100619545B1 (ko)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KR20120016818A (ko) 모노레일 차량 시스템
KR101835101B1 (ko)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KR100660007B1 (ko) 철도 레일 고정 구조
CN106364447A (zh) 安全带高度调节器
KR101061078B1 (ko) 콘크리트 궤도 분기기용 탄성패드
KR20160030670A (ko)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KR100587652B1 (ko) 소음 및 충격 흡수 수단이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
KR100662877B1 (ko) 철도레일 종점부 탈선방지시설
KR101866953B1 (ko) 차상신호시스템용 발리스 고정장치
KR101961617B1 (ko) 다목적 발리스 취부대
KR101497331B1 (ko) 풀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난간
KR100682763B1 (ko) 선로분기 시스템
KR20170075480A (ko)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KR101825398B1 (ko)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CN110846946A (zh) 一种轨道对接接头固定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