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398B1 -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398B1
KR101825398B1 KR1020160082048A KR20160082048A KR101825398B1 KR 101825398 B1 KR101825398 B1 KR 101825398B1 KR 1020160082048 A KR1020160082048 A KR 1020160082048A KR 20160082048 A KR20160082048 A KR 20160082048A KR 101825398 B1 KR101825398 B1 KR 10182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ounting bracket
bracket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975A (ko
Inventor
최일윤
이찬우
김순희
임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82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3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8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Abstract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는: 레일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빔과, 한 쌍의 측면빔을 연결하며 탄성 재질로 성형되는 이음부재와, 이음부재와 이격되며 장착장비가 고정되는 장착브라켓 및 장착브라켓과 이음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FRAME DEVICE FOR TRAIN}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부재 간에 향상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프레임은 철도차량에서 스프링 하중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품으로 차량의 안전운행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프레임은 주로 지지하는 하중의 크기와 운행시 발생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강도가 큰 철강소재를 이용하여 용접 구조의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철도차량의 프레임에는 계측장비를 포함한 다양한 장착장비들이 설치되어 프레임과 함께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다.
종래에는 프레임 본체와 장착장비가 설치된 브라켓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0899539호(2009.05.20 공개, 발명의 명칭: 고속철도차량의 계측장치 탑재용 프레임)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부재 간에 향상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는: 레일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빔과, 한 쌍의 측면빔을 연결하며 탄성 재질로 성형되는 이음부재와, 이음부재와 이격되며 장착장비가 고정되는 장착브라켓 및 장착브라켓과 이음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음부재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빔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브라켓은 이음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장착브라켓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가 연결되며, 장착브라켓의 타측에는 장착장비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연결부는, 이음부재에 고정되는 제1장착부재와, 장착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장착부재 및 제1장착부재와 제2장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장착부재와 장착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이 적층되는 진동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브라켓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장착고정부와, 장착고정부의 양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컬럼부재와, 컬럼부재를 덮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컬럼부재의 사이에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와, 설치공간부를 통과하여 이음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및 장착브라켓을 관통하여 장착고정부와 컬럼부재와 커버부재를 차례로 관통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고정부는, 장착브라켓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이 적층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진동저감부 및 제1진동저감부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고정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브라켓은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측은 이음부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는, 제1연결부가 탄성을 갖는 이음부재와 장착장비가 설치된 장착브라켓을 연결하므로 별도의 진동저감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장착장비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안정적인 설치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와 장착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부로 고정브라켓이 설치되므로, 체결부의 고정시 이음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체결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므로 향상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와 고정브라켓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커버부재와 장착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와 고정브라켓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커버부재와 장착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1)는, 측면빔(10)과 이음부재(20)와 장착브라켓(30)과 제1연결부(40)와 진동흡수부(50)와 제2연결부(60)와 장착고정부(70)와 컬럼부재(80)와 커버부재(90)와 고정브라켓(100)과 체결부(11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빔(10)은 레일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한 쌍의 측면빔(10)은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설치된다. 측면빔(10)은 철도차량의 하부에 고정되어 철도차량과 함께 이동한다.
이음부재(20)는 한 쌍의 측면빔(10)을 연결하며 탄성 재질로 성형된다. 이음부재(20)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이음부재(20)의 양측은 측면빔(10)에 고정된다. 이음부재(20)의 내측에는 전선이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20)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빔(10)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된다.
한 쌍의 측면빔(1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된 이음부재(20)의 상측에는 돌출지지부재(22)가 구비된다. 돌출지지부재(22)는 이음부재(2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므로, 제1연결부(4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장착브라켓(30)은 이음부재(20)와 이격되며, 장착장비(35)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30)은 이음부재(20)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장착브라켓(30)의 일측(도 2기준 상측)에는 제1연결부(40)가 연결되며, 장착브라켓(30)의 타측(도 2기준 하측)에는 장착장비(35)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30)은 이음부재(20)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장착브라켓(30)의 하측에는 계측장비와 같은 장착장비(35)가 고정된다. 장착브라켓(3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음부재(2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연결부(40)는 장착브라켓(30)과 이음부재(2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40)는 제1장착부재(42)와 제2장착부재(45)와 연결편(47)을 포함한다.
제1장착부재(42)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이음부재(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장착부재(42)는 금속편 형상이며, 이음부재(20)의 돌출지지부재(22) 상측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제1장착부재(42)의 내측에는 제1체결볼트(48)가 설치되기 위한 제1설치홀부(43)가 형성된다. 제1설치홀부(43)는 제1장착부재(42)의 내측에 복수로 구비되며, 제1설치홀부(43)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설치홀부(43)의 장공은 제1장착부재(4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체결볼트(48)의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체결볼트(48)는 제1장착부재(42)의 제1설치홀부(43)를 관통하여 돌출지지부재(22)에 고정된다.
제2장착부재(45)도 제1장착부재(42)와 같은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장착브라켓(30)의 상측에 고정된다. 제2장착부재(45)도 금속편 형상이며, 장착브라켓(30)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2장착부재(45)의 내측에는 제2체결볼트(49)가 설치되기 위한 제2설치홀부(46)가 형성된다. 제2설치홀부(46)는 제2장착부재(45)의 내측에 복수로 구비되며, 제2설치홀부(46)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설치홀부(46)의 장공은 제2장착부재(45)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체결볼트(49)의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설치홀부(46)는 제1설치홀부(4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제1연결부(40)의 설치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워질 수 있다. 제2체결볼트(49)는 제2장착부재(45)의 제2설치홀부(46)와 장착브라켓(30)과 진동흡수부(5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연결편(47)은 제1장착부재(42)와 제2장착부재(45)를 연결하며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40)의 전체적인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는 이음부재(20)와 장착브라켓(30)을 연결하므로 진동감쇄를 위한 별도의 고무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상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진동흡수부(50)는 제2장착부재(45)와 장착브라켓(30)의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이 적층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50)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며, 복수의 판이 적층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다. 이러한 진동흡수부(50)는 진동흡수몸체(52)와 가이드홀(54)을 포함한다.
진동흡수몸체(52)는 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이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 진동흡수몸체(52)는 제2장착부재(45)의 제2설치홀부(46)와 연통되는 위치에 가이드홀(54)이 구비되므로 제2설치홀부(46)와 가이드홀(54)을 관통하는 제2체결볼트(49)의 설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60)는 이음부재(20)와 장착브라켓(30)을 연결하며 제1연결부(40)와 함께 상하 진동을 감쇄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60)는 베이스부재(62)와 제2연결몸체(64)와 연결볼트(66)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62)는 장착브라켓(30)의 상측에 고정되며, 제2연결몸체(64)는 이음부재(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연결몸체(64)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개구된다. 제2연결몸체(64)의 개구된 부분은 연결볼트(66)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베이스부재(62)는 장착브라켓(30)의 상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제2체결볼트(49)가 장착브라켓(30)과 베이스부재(62)를 관통하여 너트에 고정되므로, 장착브라켓(30)의 상측에 베이스부재(62)가 고정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고정부(70)는 장착브라켓(30)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고정부(70)는 제1진동저감부(72)와 장착고정몸체부(74)를 포함한다.
제1진동저감부(72)는 장착브라켓(30)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이 적층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판이 적층된 갯수를 조절하여 제1진동저감부(7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진동저감부(72)는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이 적층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진동저감부(72)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며, 복수의 판이 적층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진동저감부(72)는 사각형 형상의 판이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거나 금속과 같은 재질로 성형될 수도 있다.
장착고정몸체부(74)는 제1진동저감부(72)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진동저감부(72)는 장착브라켓(30)의 상측에 적층되며, 제1진동저감부(72)의 상측에는 장착고정몸체부(74)가 적층된다.
컬럼부재(80)는 설치공간부(86)를 사이에 두고 장착고정부(70)의 양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컬럼부재(80)는 장착고정부(70)의 상측에 설정된 두께 만큼 돌출되며, 한 쌍의 컬럼부재(80)의 사이에는 고정브라켓(100)이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럼부재(80)는 컬럼몸체(82)와 제2진동저감부(84)를 포함한다.
컬럼몸체(82)의 하측에 제2진동저감부(84)가 위치하며, 제2진동저감부(84)는 장착고정몸체부(74)의 상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제2진동저감부(84)는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이 적층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판이 적층된 갯수를 조절하여 제2진동저감부(84)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진동저감부(84)는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이 적층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진동저감부(84)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며, 복수의 판이 적층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진동저감부(84)는 사각형 형상의 판이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거나 금속과 같은 재질로 성형될 수도 있다.
컬럼몸체(82)는 제2진동저감부(84)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진동저감부(84)와 같이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재(90)는 컬럼부재(80)를 덮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컬럼부재(80)의 사이에 설치공간부(86)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90)는 사각형의 판넬 형상이며, 컬럼부재(80)의 상측에 적층되므로, 한 쌍의 컬럼부재(80)의 사이에는 고정브라켓(100)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부(86)가 형성된다.
고정브라켓(100)은 설치공간부(86)를 통과하여 이음부재(2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100)은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브라켓(100)의 양측은 이음부재(20)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100)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브라켓(100)의 상단이 탄성을 갖는 이음부재(20)에 연결되므로, 커버부재(90)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형성한다.
체결부(110)는 장착브라켓(30)을 관통하여 장착고정부(70)와 컬럼부재(80)와 커버부재(90)를 차례로 관통하여 장착브라켓(30)에 장착고정부(70)와 컬럼부재(80)와 커버부재(90)를 고정시키는 체결력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10)는 체결볼트(112)와 체결너트(114)를 포함한다.
체결볼트(112)는 장착브라켓(30)의 하측에 머리가 걸리며, 체결볼트(112)의 몸체는 장착브라켓(30)을 관통하여 장착브라켓(3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체결볼트(112)는 제1진동저감부(72)와 장착고정몸체부(74)와 제2진동저감부(84)와 컬럼부재(80)와 커버부재(90)가 차례로 통과한 후 체결너트(114)에 체결된다.
따라서 체결볼트(112)와 체결너트(114)의 체결력에 의해 체결너트(114)의 고정이 1차 이루어지며, 이음부재(20)에 의해 고정브라켓(100)이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탄성에 의해 커버부재(90)가 상측으로 가압되며 체결너트(114)를 가압하므로 체결너트(114)의 고정이 2차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연결부(40)의 제1장착부재(42)가 탄성을 갖는 이음부재(20)의 돌출지지부재(22)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며, 제1연결부(40)의 제2장착부재(45)가 진동흡수부(50)를 사이에 두고 장착브라켓(30)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을 갖는 이음부재(20)에 의해 장착브라켓(30)으로 전달되는 상하 진동이 저감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60)도 탄성을 갖는 이음부재(20)와 장착브라켓(30)을 연결하므로 장착브라켓(30)으로 전달되는 상하 진동을 저감시킨다.
한편, 체결부(110)의 고정으로 커버부재(90)가 상측으로 당겨지는 가압력이 형성되므로, 체결너트(114)가 체결볼트(112)에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체결너트(114)의 고정이 1차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음부재(20)와 연결된 고정브라켓(10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려 하는 가압력이 커버부재(90)에 전달되며, 커버부재(90)가 체결너트(114)를 상측으로 가압하므로 체결너트(114)의 고정이 2차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중풀림 방지구조를 제공하므로 이음부재(20)의 하측에 장착브라켓(30)이 고정되며,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장착브라켓(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연결부(40)가 탄성을 갖는 이음부재(20)와 장착장비(35)가 설치된 장착브라켓(30)을 연결하므로 별도의 진동저감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장착장비(35)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안정적인 설치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90)와 장착고정부(70)의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부(86)로 고정브라켓(100)이 설치되므로, 체결부(110)의 고정시 이음부재(20)의 탄성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체결너트(114)의 풀림이 방지되므로 향상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10: 측면빔 20: 이음부재
22: 돌출지지부재 30: 장착브라켓
35: 장착장비 40: 제1연결부
42: 제1장착부재 43: 제1설치홀부
48: 제1체결볼트 45: 제2장착부재
46: 제2설치홀부 49: 제2체결볼트
47: 연결편 50: 진동흡수부
52: 진동흡수몸체 54: 가이드홀
60: 제2연결부 62: 베이스부재
64: 제2연결몸체 66: 연결볼트
70: 장착고정부 72: 제1진동저감부
74: 장착고정몸체부 80: 컬럼부재
82: 컬럼몸체 84: 제2진동저감부
86: 설치공간부 90: 커버부재
100: 고정브라켓 110: 체결부
112: 체결볼트 114: 체결너트

Claims (8)

  1. 레일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빔;
    한 쌍의 상기 측면빔을 연결하며, 탄성 재질로 성형되는 이음부재;
    상기 이음부재와 이격되며, 장착장비가 고정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과 상기 이음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브라켓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장착고정부;
    상기 장착고정부의 양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컬럼부재;
    상기 컬럼부재를 덮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상기 컬럼부재의 사이에 설치공간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
    상기 설치공간부를 통과하여 상기 이음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고정부와 상기 컬럼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차례로 관통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는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빔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이음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장착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제1연결부가 연결되며, 상기 장착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장착장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이음부재에 고정되는 제1장착부재;
    상기 장착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장착부재; 및
    상기 제1장착부재와 상기 제2장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이 적층되는 진동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고정부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판이 적층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진동저감부; 및
    상기 제1진동저감부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고정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측은 상기 이음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KR1020160082048A 2016-06-29 2016-06-29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KR10182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048A KR101825398B1 (ko) 2016-06-29 2016-06-29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048A KR101825398B1 (ko) 2016-06-29 2016-06-29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75A KR20180002975A (ko) 2018-01-09
KR101825398B1 true KR101825398B1 (ko) 2018-02-09

Family

ID=6100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048A KR101825398B1 (ko) 2016-06-29 2016-06-29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6828B (zh) * 2020-09-09 2021-11-23 中车大同电力机车有限公司 转向架及具有其的机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583B1 (ko) * 2014-02-21 2015-08-31 현대로템 주식회사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583B1 (ko) * 2014-02-21 2015-08-31 현대로템 주식회사 하부기기 장착용 브래킷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75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4154C2 (ru) Пол грузового отсека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пола и участок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полом
KR20100045800A (ko)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GB2450399A (en) Vibration damping support brace for vehicle dashboard
JP6523426B2 (ja) 取付金具、取付ユニット、及び鉄道車両
JP2007284153A (ja) エレベータの防振構造
JP5781684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取付装置
CN110341733B (zh) 一种轨道车辆用地板减震结构及轨道车辆
US5823287A (en) Mounting assembly for a transmission cross member of a motor vehicle
US8016342B2 (en) Vibration dampener with floating positive mechanical connection
KR20080068333A (ko) 와이어 블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조향컬럼
KR20140055232A (ko) 철도차량용 배장기
KR101825398B1 (ko)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KR101871681B1 (ko) 차량 구속 장치
TW202039352A (zh) 電梯車廂及具備該車廂的電梯
RU25143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крепления переднего крыла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KR20120002132A (ko) 자동차의 프론트사이드멤버와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CN103568806B (zh) 一种盒式限位发动机悬置总成
US20120234618A1 (en) Vibration isolator device
JP5730415B2 (ja) 鉄道車両
WO2015045097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
WO2011134252A1 (zh) 顶盖骨架安装结构以及汽车
DE19544030C2 (de) Schienenfahrzeug mit einem Wagenkasten
WO2013157134A1 (ja) 乗り物用座席
KR102494600B1 (ko)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
KR101358044B1 (ko)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