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968B1 - 쓴메밀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쓴메밀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968B1
KR101357968B1 KR1020110010430A KR20110010430A KR101357968B1 KR 101357968 B1 KR101357968 B1 KR 101357968B1 KR 1020110010430 A KR1020110010430 A KR 1020110010430A KR 20110010430 A KR20110010430 A KR 20110010430A KR 101357968 B1 KR101357968 B1 KR 10135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ter buckwheat
composition
toothpaste composition
buckwheat powd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868A (ko
Inventor
손을택
Original Assignee
손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을택 filed Critical 손을택
Priority to KR102011001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9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쓴메밀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을 주원료물질로 하고, 습윤제, 기포제, 향료제, 감미제를 조성물질로 사용하여 입안에서 혐기성균 번식을 억제하여 치석생성 예방 및 입 냄새를 방지하고, 염증을 예방하여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며, 청결감을 주는 쓴메밀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쓴메밀 치약 조성물 {omitted}
본 발명은 쓴메밀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 조성물의 조성은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감미, 방부, 기타 조정제 등의 물질을 혼합하여 조성시키며, 연마제로는 실리카·탄산칼슘·피로인산칼슘·인산일수소칼슘·알루미나·중탄산나트륨, 습윤제로는 솔비톨·글리세린·폴리에치렌글리콜, 기포제로는 소디움라우릴설페이드·소디움라우릴사르코시네이트·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카라기난·폴리아크릴레이트, 감미제로는 사카린·아스팜탄·스테비오사이드,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기타 조정제로서는 불화나트륨·불화인산나트륨·아연염·비타민류·소금·트리클로산·트라넥사믹산·스트론티움클로라이트·광물질, 식물추출물질 등 여러 종류의 원료물질 중에서 선택하여 조성하고 있다.
그런데, 위에서 보는 다양한 원료물질에는 비소, 납 등, 피해야 할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이 치약 조성물 조성에 사용됨으로써, 입안의 점막을 자극하고, 물집을 발생시키며, 또는 불소화합물에 의한 치아 손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보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치약 조성물의 품질 향상을 위해, 식품이면서 산화물질 등 특수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을 조성물의 원료물질로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연마제·결합제·약효제·색소제의 사용을 생략시킨다.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에 의해서 입안의 혐기성균의 번식 억제·치석생성 예방·입 냄새 방지·잇몸 염증 예방과 함께 입안의 청결감을 주게 하는 쓴메밀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마·결합·약효 작용을 하면서 색소를 가진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을 주 원료물질로 하여 습윤제·기포제·향료 및 감미제를 사용하여 쓴메밀 치약 조성물을 조성한다.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에는 연마 작용을 하는 칼슘 등 광물질· 결합 작용을 하는 전분·약효 작용을 하는 항산화 물질 바이오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함유되어 있다.
본 쓴메밀 치약 조성물 조성에서는 조성에 사용되는 물질을 가온하지 않고 상온에서 교반에 의해 조성된다.
본 치약 조성물은 혐기성 세균 번식을 억제하여 치석생성 예방 및 입안의 냄새를 방지하고, 입안 염증을 예방하여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며, 사용 후 청결감과 상쾌한 느낌을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쓴메밀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조성에 사용되는 주원료물질은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이 되며,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에 습윤제·기포제·향료 및 감미제가 사용되어 쓴메밀 치약 조성물이 조성된다.
본 발명은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을 사용함으로써, 연마제·결합제·약효제·색소제의 사용을 생략하고, 원료물질에 함유된 광물질 봉쇄작용을 하는 피로인산 계통의 물질 함유를 방지하게 된다.
위에서 치약 조성물 조성에 사용되는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의 사용량은 중량 비율로 20% 내지 60% 이내서 조정된다.
위에서,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은 2200m 이상의 고원지대에서 재배되는 식품으로서 중국 서부 내륙의 고원지대에서 주로 생산되고, 미세한 분말로 제분되어 식용에 이용되며, 이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은 수입에 의해서 공급된다.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은 약한 산성식품의 황녹색의 식품으로서, 52%의 전분·6.8%의 지방(불포화지방)·2.2%의 섬유질, 5.3% - 7.4%의 루틴(Rutin)·퀘르세틴(Quercetin) 복합체로 된 바이오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기타 광물질·필수 아미노산·비타민B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은 칼슘(108ppm), 아연(40ppm), 셀렌(0.12ppm), 철(0.12ppm), 마그네슘(0,5%), 망간(29ppm) 등 유기성 광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연마제는 불필요하다.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은 52%의 전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조성물 조성에서 가온하지 않고 조성함으로 결합제의 작용을 하게 되어 별도의 결합제는 불필요하다.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은 5.3%- 7.4%의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함유하여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한편, 모세혈관의 수축작용을 행하고 혈압 조절과 세포에 영양 공급을 활발히 하여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약효제는 불필요하다.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은 고유의 황녹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색소제는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습윤제로서 글리셀린(85%)을 사용하며, 사용량은 조성물 중량 대비 10% - 50% 범위 내에서 조정하여 함유시키고, 습윤제는 건조, 고화 방지, 치약의 윤기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르비톨, 자일리톨 등에서 선택적으로 대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포제로는 지방산에스텔을 사용하며, 중량 비율로 1.0 % 내지 3.0% 이내에서 조정되고, 기포제는 세정을 도우며, 약효성 침투를 신속하게 하고 입안에 이물질 제거 작용을 행한다.
위에서, 기포제는 라우필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에서 선택적으로 대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향료로서 페퍼먼트 오일을 사용하며, 사용량은 치약 조성물 중량 비율로 0.1% 내지 1.0% 이내에서 조정되고, 향의 질을 바꾸기 위해서는 스피어먼트 오일, 세이지, 메틸살리실레이트, 과일추출물 등에서 선택하여 대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감미제로서 사카린나트륨을 사용하며, 사용량은 치약 조성물의 중량 비율로 0.01% 내지 0.1% 이 내에서 조정되며, 상온의 물에 용해시켜 사용된다.
위와 같이 각 원료물질의 사용량에 따라 조성물의 유연성 및 교반 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 조성물질을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조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쓴메밀 치약 조성물 조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쓴메밀 치약 조성물 조성을 위해서,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을 미리 정한 양을 계량하여 교반장치에 투입한다.
그리고, 습윤제인 글리셀린은 미리 정한 양을 계량하여 별도의 교반장치에 투입한다.
한편, 감미제로서 사카린나트륨을 미리 정한 양을 계량하여 미리 정하는 양의 상온의 물에 용해시켜 글리셀린이 투입된 교반장치에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하여 혼합시킨다.
혼합된 글리셀린·사카린나트륨 혼합물을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이 투입된 교반장치에 투입하여 30분간 교반 한 후, 미리 정한 양을 계량한 향료제 페퍼먼트 오일을 주입하여 10분간 교반하여 쓴메밀 치약 조성물을 조성시킨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서 쓴메밀 치약 조성물은 조성된다.

Claims (1)

  1. 연마, 결합, 약효 작용을 하면서 색소를 가진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을 주원료 물질로 하고, 쓴메밀분(bitter buckwheat powder) 중량 대비 60% 에, 습윤제 중량 대비 35.9% 내지 38,89% 와, 기포제 중량대비 1.0% 내지 3.0% 와, 감미제 중량 대비 0.01% 내지 0.1% 를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고, 향료제 중량 대비 0.1% 내지 1.0% 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쓴메밀 치약 조성물.
KR1020110010430A 2011-02-07 2011-02-07 쓴메밀 치약 조성물 KR10135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430A KR101357968B1 (ko) 2011-02-07 2011-02-07 쓴메밀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430A KR101357968B1 (ko) 2011-02-07 2011-02-07 쓴메밀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868A KR20110023868A (ko) 2011-03-08
KR101357968B1 true KR101357968B1 (ko) 2014-02-04

Family

ID=4393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430A KR101357968B1 (ko) 2011-02-07 2011-02-07 쓴메밀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567A1 (ko) * 2017-02-20 2018-08-23 최미경 옥 성분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321A (ja) * 1998-01-30 1999-08-10 Sanpo Seiyaku Kk 歯磨組成物
KR20050085036A (ko) * 2002-11-19 2005-08-29 쇼와 야쿠힝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치석 및 우식부 용해제
KR20060040326A (ko) * 2004-11-05 2006-05-10 김무겸 쌀겨 혼합조성물
KR20070086482A (ko) * 2004-11-29 2007-08-27 알로에콥, 인크 식품 혼합물의 건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321A (ja) * 1998-01-30 1999-08-10 Sanpo Seiyaku Kk 歯磨組成物
KR20050085036A (ko) * 2002-11-19 2005-08-29 쇼와 야쿠힝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치석 및 우식부 용해제
KR20060040326A (ko) * 2004-11-05 2006-05-10 김무겸 쌀겨 혼합조성물
KR20070086482A (ko) * 2004-11-29 2007-08-27 알로에콥, 인크 식품 혼합물의 건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567A1 (ko) * 2017-02-20 2018-08-23 최미경 옥 성분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868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2761B (zh) 抗氧化洁齿剂组合物
JP5722211B2 (ja) ゲル網状組織を含む口腔用組成物の製造方法
JP5806732B2 (ja) 微生物の増殖に対して耐性な口腔ケア組成物
CN105616319B (zh) 一种牙膏及其制备方法
AU2010354716A1 (en) Oral care compositions resistant to microbial growth
CN101801334B (zh) 口腔用组合物以及提高口腔用组合物的收敛性的方法
KR101733916B1 (ko) 천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치약 및 그 제조방법
KR101357968B1 (ko) 쓴메밀 치약 조성물
JP2011105650A (ja) ゲル状口腔用組成物
JP5493730B2 (ja) 歯磨組成物
CN103596543A (zh) 口腔护理组合物
RU2356541C2 (ru) Жевательная резинка для повторной минерализации зубной эмали
CN103550123A (zh) 一种含田七总皂苷、皂角提取物和龟甲提取物的中药牙膏
CN105125417A (zh) 无氟、无色素、无糖精钠微泡型可食性儿童牙膏及制备方法
JP2019099502A (ja) 口腔用組成物製造方法
KR102026659B1 (ko)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항균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894004B2 (en) Composition
CN105726402B (zh) 龙须藤提取物在制备口腔护理品中的应用
KR101818530B1 (ko) 천연 한방 물질을 사용한 치약 조성물
JP5716649B2 (ja) 歯磨剤組成物
JP5470838B2 (ja) 歯磨製剤
CN108078846A (zh) 一种口腔湿巾
JP2015127310A (ja) 口腔用組成物
CN106333875A (zh) 一种洗牙液
RO122121B1 (ro) Pastă de dinţ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