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983B1 -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 Google Patents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983B1
KR101356983B1 KR1020120125153A KR20120125153A KR101356983B1 KR 101356983 B1 KR101356983 B1 KR 101356983B1 KR 1020120125153 A KR1020120125153 A KR 1020120125153A KR 20120125153 A KR20120125153 A KR 20120125153A KR 101356983 B1 KR101356983 B1 KR 10135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titch
sliding
crystal
bu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913A (ko
Inventor
마사키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5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7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stitch-length regul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면서 소형으로 하여 캐리지에 대한 탑재 스페이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캠플레이트(21)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브릿지캠(23)의 경사면과 평행한 제1장홈(37) 및 제2장홈(38)과, 최고높이의 제2버트(14)에 결합하는 제1스티치 결정캠면(35)을 구비하는 제1캠(31)을 제1장홈(37)을 따라 이동시키고 또한 중간높이의 제2버트(14)에 결합하는 제2스티치 결정캠면(34)을 구비하는 제2캠(32)을 제2장홈(38)을 따라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1스티치 결정캠면(35)과 제2스티치 결정캠면(34)을 균일 또는 단차 모양으로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캠(44)과, 제어캠(44)을 구동하는 스텝핑 모터(4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 WITH SECOND STITCH CAM DEVICE}
본 발명은, 캐리지(carriage)의 동일 편성코스에 있어서 크기가 서로 다른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second stitch cam device)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버트(butt)에 관하여 프레서(presser)에 의한 가압작용을 받지 않는 상태가 최고높이, 프레서에 의하여 가압되어 대략 반 정도 가라앉혀진 상태가 중간높이, 프레서에 의한 가압을 받고 있는 상태가 제로높이로 하는 것으로 한다. 캠이나 프레서에 관하여 니들베드(needle bed)에 접근할수록 캠 표면의 높이는 높은 것으로 하고, 최고높이의 캠은 중간높이 및 최고높이의 버트의 양방에 결합할 수 있고, 중간높이의 캠은 최고높이의 버트와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을 선행(先行), 후방측을 후행(後行)이라고 한다. 또한 편침의 진퇴방향에 관해서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측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캠의 각 부를 나타낼 때에 캠의 전방측은 니들베드갭에 가까운 측, 후방측은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먼 측을 나타낸다. 또한 상하방향의 높이라는 것은, 도면(지면(紙面))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높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종래로부터, 횡편기에서의 캐리지의 1회의 트래버스(traverse)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일 편성코스 내에 있어서 크기가 서로 다른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는,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플레이트(cam plate)에 설치된 브릿지캠(bridge cam)의 경사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제1캠 및 제2캠을 구비한다. 또한 제1캠에, 최고높이의 버트에 결합되는 큰 사이즈의 스티치 형성용의 제1스티치 결정캠면을 형성하는 한편, 제2캠에, 중간높이의 버트에 결합되는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 형성용의 제2스티치 결정캠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편침본체와 연동하는 니들잭(needle jack)의 버트가 캠면에 작용하여 후방으로 인입됨으로써 편침의 훅(hook)에 의하여 편사를 인입하여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 때에 제1스티치 결정캠면과 제2스티치 결정캠면에 단차(段差)를 생기게 함으로써 캐리지의 동일 편성코스에서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와 큰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016031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제1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驅動源)과, 제2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에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에서는, 좌우 각 1개씩의 제1캠과 제2캠이 필요하기 때문에 합계 4개의 구동원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의 대형화가 부정되지 않아, 캐리지에 큰 탑재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면서 소형으로 하여 캐리지에 대한 탑재 스페이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캠플레이트(cam plate)에 설치된 브릿지캠(bridge cam)의 경사면과 평행한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캐리지(carriage)에 설치된 프레서(presser)의 가압작용에 의하여 니들베드(needle bed)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를 최고높이(full height)와 중간높이(hlaf height)와는 다른 높이로 설정하여 편침의 진퇴조작용으로 하는 버트(butt)가 결합하는 제1캠 및 제2캠을 구비하고, 상기 제1캠에, 최고높이의 버트에 결합하는 큰 사이즈의 스티치 형성용의 제1스티치 결정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2캠에, 중간높이의 버트에 결합하는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 형성용의 제2스티치 결정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티치 결정캠면과 상기 제2스티치 결정캠면에 단차(段差)를 생기게 하여, 캐리지의 동일 편성코스에 의하여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와 큰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second stitch cam device)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를 전제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캠 및 제2캠을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스티치 결정캠면과 상기 제2스티치 결정캠면을 균일 또는 단차 모양으로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캠(制御cam)과, 상기 제어캠을 회전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驅動手段)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캠에, 제1슬라이딩 부재(第一sliding 部材)를 통한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캠을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캠 슬라이딩면(第一cam sliding 面)과 제2슬라이딩 부재를 통한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2캠을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캠 슬라이딩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캠의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캠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캠 슬라이딩면의 상호 간격을,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유단계(有段階) 또는 무단계(無段階)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캠에, 상기 제1캠 슬라이딩면을 외주측에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2캠 슬라이딩면을 내주측에 구비하여 원환(圓環) 형상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부(sliding部)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그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축과 상기 제1캠 슬라이딩면 및 상기 제2캠 슬라이딩면의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부재 중에서 일방(一方)의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캠에 지지되어 있는 한편, 타방(他方)의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캠에 길이방향 중도부가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또한 일단(一端)이 상기 제2캠에 지지된 암(arm)의 타단(他端)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여기에서 원환 형상이라는 것은,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원환 형상뿐만 아니라, 대락 원환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부재로서, 롤러(roller)를 적용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에 의하면,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어캠을 회전시키면, 제1슬라이딩면에 대하여 제1슬라이딩 부재를 통하여 슬라이딩 하는 제1캠과 제2슬라이딩면에 대하여 제2슬라이딩 부재를 통하여 슬라이딩 하는 제2캠이 각각 브릿지캠의 경사면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최고높이 및 중간높이의 버트의 인하량을 변화시킨다. 이 때에 제어캠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유단계 또는 무단계로 다르게 되도록 한 제1캠 슬라이딩면과 제2캠 슬라이딩면의 상호간격에 따라 제1스티치 결정캠면과 제2스티치 결정캠면이 균일 또는 단차 모양으로 변경되어, 최고높이의 버트의 편침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와 중간높이의 버트의 편침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의 상호 사이즈를 대소(大小)가 되도록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에서는 2개의 구동원에 의하여 완료되어,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의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어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의 소형화도 가능하게 되어, 캐리지에 대한 탑재 스페이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어캠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위치와 축과의 거리가 변화되고, 그 양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1캠 및 제2캠이 각각 브릿지캠의 경사면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최고높이 및 중간높이의 버트의 인하량을 변화시킨다. 이 때에 제1캠 슬라이딩면과 제2캠 슬라이딩면의 상호간격에 따라 제1스티치 결정캠면과 제2스티치 결정캠면이 균일 또는 단차 모양으로 변경되어, 최고높이의 버트의 편침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와 중간높이의 버트의 편침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와의 상호 사이즈를 대소(大小)가 되도록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어캠에, 제1스티치 결정캠면 및 제2스티치 결정캠면을 내외주측에 구비하는 슬라이딩부를 볼록하게 형성 또는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최고높이 및 중간높이의 버트의 인하량의 변화와, 제1스티치 결정캠면 및 제2스티치 결정캠면의 변경이 간단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암을 통하여 타방의 슬라이딩 부재를 제1캠에 지지함으로써 제1캠과 타방의 슬라이딩 부재가 암에 의하여 이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로서 롤러를 적용함으로써 제1 및 제2캠 슬라이딩면에 대한 슬라이딩을 원활 또한 스무스 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에 사용되는 편침의 측면도이다.
도2는,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캐리지가 주행할 때에 있어서의 캠유닛을 편침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에 있어서 일방의 세컨드 스티치캠을 편침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세컨드 스티치캠의 각 구성요건을 편침측에서 (a)∼(d)의 순서로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5는, 도3의 세컨드 스티치캠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3의 세컨드 스티치캠을 캐리지의 주행방향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이다.
도7은, 단차량을 생기게 하지 않고 제2버트의 인하량을 변화시킨 변천상태를 나타내는 일방의 세컨드 스티치캠의 저면도이다.
도8은, 단차량(S1)을 생기게 하여 제2버트의 인하량을 변화시킨 변천상태를 나타내는 일방의 세컨드 스티치캠의 저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second stitch cam device)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편침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편침(1)은, 편침본체(11)가 그 꼬리부분에서 니들잭(needle jack)(12)과 일체화 되어 있다. 이 편침(1)의 진퇴조작은, 니들잭(12)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1버트(first butt)(13) 및 제2버트(second butt)(14)가 캠유닛(cam unit)(2)(도2에 나타낸다)에 설치된 캠과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니들잭(12)의 뒷부분에 형성된 암(arm)(15)은, 제2버트(14)를 상방(캠유닛(2)측)으로 가압하여 니들홈의 외부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캐리지에 설치된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select needle actuator)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하방으로 병렬되는 실렉터(selector)에 의하여 선침(選針)된 후에, 상기 실렉터에 연동되는 실렉트잭(select jack)을 서로 다른 2개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들의 위치관계에 의하여 실렉트잭의 버트에 대하여 프레서(presser)가 작용하여 중간높이의 버트가, 프레서가 작용하지 않고 최고높이의 버트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 편침본체(11)와의 연결부의 근방에 형성된 제1버트(13)는, 프레서의 가압작용에 관계없이 항상 니들홈 외부로 돌출된 위치를 유지한다.
도2는, 지면(紙面)의 좌측방향으로 캐리지가 주행할 때에 있어서의 캠유닛(2)을 편침(1)측에서 본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2에 있어서, 캠유닛(2)은, 캐리지에 설치되고 캠플레이트(cam plate)(21)의 중심선(X)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설치된다. 캠유닛(2)은, 캠플레이트(21)의 중앙에 니들 레이징캠(needle raising cam)(22)을 배치하고, 그 전방(편침(1)의 진퇴방향 선행측)에 브릿지캠(bridge cam)(23)을, 그 좌우 양측에 니들잭(12)의 제2버트(14)의 경로(24)를 통하여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25)의 세컨드 스티치캠(25a, 25b)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세컨드 스티치캠(25a, 25b)은, 브릿지캠(23)의 경사면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26은 니들 레이징캠(22)의 내측에 설치된 트랜스퍼 리시빙 캠(trans receiving cam)이다. 브릿지캠(23)의 전방에는 트랜스퍼캠(transfer cam)(28)이 설치되어 있다. 트랜스퍼캠(28)은, 트랜스퍼 출몰캠(transfer 出沒cam)(28a)과, 트랜스퍼 가이드캠(transfer guide cam)(28b)을 구비하고 있다.
도3은 도2의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25)에 있어서 일방(一方)의 세컨드 스티치캠(25a)을 하방(편침(1)측)에서 본 저면도, 도4는 도3의 세컨드 스티치캠(25a)의 각 구성요건을 하방으로부터 (a)∼(d)의 순서로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이 도4의 (a)에서는 캠플레이트(21) 상의 제1캠 및 제2캠을 나타내고, (b)에서는 제1캠 및 제2캠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제1가압판(第一加壓板) 및 제2가압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c)에서는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암을 나타내고, (d)에서는 암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제어캠(制御cam) 및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5는 도3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6은 도3의 세컨드 스티치캠(25a)을 캐리지의 주행방향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세컨드 스티치캠(25a, 25b)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일방의 세컨드 스티치캠(25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세컨드 스티치캠(25a)은, 제1캠(31), 제2캠(32) 및 암(33)을 구비하고 있다. 제1캠(31)에는, 최고높이의 제2버트(14)에 결합하여 중간높이의 제2버트(14)의 편침(1)보다 큰 스티치를 형성하는 제1스티치 결정캠면(3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캠(32)에는, 중간높이의 제2버트(14)에 결합하는 제2스티치 결정캠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캠플레이트(21)에는, 브릿지캠(23)의 경사면과 평행한 제1장홈(第一長groove)(37) 및 제2장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장홈(37) 및 제2장홈(38)에는 지지블록(支持block)(37a, 38a)(도5에 나타낸다)이 슬라이딩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장홈(37)의 지지블록(37a)은, 제1캠(31)과, 이 제1캠(31)을 캠플레이트(21)의 이면측으로부터 슬라이딩 하도록 지지하는 제1가압판(41)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볼트(40)에 의하여 3자가 일체로 고정되어, 제1캠(31)을 제1장홈(37)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장홈(38)의 지지블록(38a)은, 제2캠(32)과, 이 제2캠(32)을 캠플레이트(21)의 이면측으로부터 슬라이딩 하도록 지지하는 제2가압판(42)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볼트(40)에 의하여 3자가 일체로 고정되어, 제2캠(32)을 제2장홈(38)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암(33)은, 제1가압판(41)의 앞부분 우측단(右側端)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축(軸)(43)에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부가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암(33)의 일단(一端)(도3 및 도4에서는 우단(右端))에는 롤러(roller)(49)가 지지되고, 이 롤러(49)가 제2가압판(42)의 전단부(前端部)에 형성된 오목부(42a) 내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또한 세컨드 스티치캠(25a)은, 암(33)의 이면측(상방)에 제어캠(4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캠(44)은, 원형 모양의 플레이트(45)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암(33)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대략 환형(環形) 모양의 슬라이딩부(46)와, 플레이트(45)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축으로서의 보스부(boss部)(47)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부(46)는, 그 원주방향의 기준위치(도3에 있어서 후술하는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에 의하여 협지(挾持)된 위치)를 경계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되도록 한 2종류의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를 구비하고, 제2두께부(46b)의 두께가 제1두께부(46a)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보스부(47)의 중심에는, 예를 들면 구동수단으로서의 정역회전(正逆回轉)이 가능한 스텝핑 모터(48)의 출력축(出力軸)(48a)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 구동수단은 스텝핑 모터(48)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보모터 등 다른 모터이더라도 좋다.
슬라이딩부(46)의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는, 내외방향으로부터 제1 및 제2슬라이딩 부재로서의 1쌍의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의 외주측에 슬라이딩 하는 외측 롤러(52)는, 제1가압판(41)의 전단부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의 내주측에 슬라이딩 하는 내측 롤러(51)는, 암(33)의 타단(他端)(도3 및 도4에서는 좌단(左端))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45)에는, 슬라이딩부(46)의 기준위치를 센서(50)에 의하여 검출하는 검출편(檢出片)(45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두께부(46b)의 두께는, 제1두께부(46a)에 대하여 슬라이딩부(46)의 내주측을 직경이 작아지게 함으로써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두께부(46b)에서는, 외측 롤러(52)에 대한 내측 롤러(51)의 이간량(離間量)이, 제2두께부(46b)가 제1두께부(46a)보다 두껍기 때문에 증대되어 있다.
제1가압판(41)의 뒷부분 우측단 위치에는 훅(53)이 고정되고, 이 훅(53)과 암(33)의 일단의 사이에는, 1쌍의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를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의 내외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5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에 가압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하여 암(33)을 통하여 내측 롤러(51)가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의 내주측으로 가압됨과 아울러, 그 반력(反力)을 받은 제1가압판(41)의 후방으로의 인하력(引下力)에 의하여 외측 롤러(52)가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의 외주측으로 가압된다. 또한 슬라이딩부(46)의 외주측은, 제1캠(31)을 외측 롤러(52)를 통한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장홈(37)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캠 슬라이딩면(462)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슬라이딩부(46)의 내주측은, 제2캠(32)을 내측 롤러(51) 및 암(33)을 통한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2장홈(38)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캠 슬라이딩면(461)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2종류의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의 두께에 따라 1쌍의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가 밀착상태로 추종(追從)하여,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에 의한 협지오차를 제거함으로써 제1스티치 결정캠면(35)과 제2스티치 결정캠면(34)을 균일상태 또는 단차상태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의 제1캠 슬라이딩면(462) 및 제2캠 슬라이딩면(461)에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를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캠 슬라이딩면(462, 461)에 대한 슬라이딩을 원활하고 또한 스무스 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세컨드 스티치캠(25a)에 의한 실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7은, 단차량을 생기게 하지 않고 제2버트(14)의 인하량(引下量)을 변화시킨 변천상태를 나타내는 일방의 세컨드 스티치캠(25a)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7의 (a)에 나타나 있는 기준위치로부터 스텝핑 모터(48)를 정회전(도7의 (a)에서는 지면에서 우회전)시키면, 도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두께부(46a)를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에 의하여 협지한 상태에서 제어캠(44)이 마찬가지로 정회전(도7의(b)에서는 지면에서 우회전)한다. 이에 따라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 사이의 제1두께부(46a)와 보스부(47)의 중심과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제1캠(31)이 후퇴이동함과 아울러, 제2캠(32)이 암(33)을 통하여 후퇴이동하여 제2버트(14)의 인하량이 2mm로 변경된다. 이 때에 제1두께부(46a)의 반경방향의 두께는,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에 의하여 끼워져 있었을 때에 제1캠(31)의 제1스티치 결정캠면(35)과 제2캠(32)의 제2스티치 결정캠면(34)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균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7의 (b)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부터 스텝핑 모터(48)를 더 정회전시켜서, 도7의 (c) 및 (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두께부(46a)를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에 의하여 협지한 상태에서 제어캠(44)을 마찬가지로 정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 사이의 제1두께부(46a)와 보스부(47)의 중심과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더 감소하여 제1캠(31) 및 제2캠(32)이 후퇴이동함으로써, 도7의 (c)에서는 제2버트(14)의 인하량이 4mm로 변경되고, 도7의 (d)에서는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가 제1두께부(46a)의 종단위치에 위치가 부여되어 제2버트(14)의 인하량이 6mm로 변경된다.
도8은, 단차량(S1)을 생기게 하여 제2버트(14)의 인하량을 변화시킨 변천상태를 나타내는 일방의 세컨드 스티치캠(25a)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8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준위치로부터 스텝핑 모터(48)를 역회전(도8의 (a)에서는 지면에서 좌회전)시켜서 제2두께부(46b)의 제1캠 슬라이딩면(462)과 제2캠 슬라이딩면(461)을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에 의하여 내외로부터 협지하여 둔다. 이 때에 내주측의 직경 축소에 의하여 제1두께부(46a)보다 두꺼워지는 제2두께부(46b)에 의하여 내측 롤러(51)가 후방으로 내려간다. 이 때문에 암(33) 및 제2가압판(42)을 통하여 제2캠(32)이 제1캠(31)보다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캠(31)의 제1스티치 결정캠면(35)과 제2캠(32)의 제2스티치 결정캠면(34)에 단차량(S1)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고높이의 제2버트(14)의 편침(1)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와 중간높이의 제2버트(14)의 편침(1)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와의 상호 사이즈를 대소(大小)가 되도록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텝핑 모터(48)를 더 역회전시키고 제어캠(44)을 마찬가지로 역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 사이의 제2두께부(46b)와 보스부(47)의 중심과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제1캠(31)이 후퇴이동함과 아울러, 제2캠(32)이 암(33)을 통하여 후퇴이동하여 제1스티치 결정캠면(35)과 제2스티치 결정캠면(34)에 단차량(S1)을 생기게 한 상태에서 제2버트(14)의 인하량이 2mm로 변경된다.
그 후에 도8의 (b)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부터 스텝핑 모터(48)를 더 역회전시켜서, 도8의 (c) 및 (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두께부(46b)를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에 의하여 협지한 상태에서 제어캠(44)을 소정의 반대회전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 사이의 제2두께부(46b)와 보스부(47)의 중심과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더 감소하고, 스티치 결정캠면(35, 34) 상호간의 사이에 단차량(S1)을 생기게 한 상태에서 제1캠(31) 및 제2캠(32)이 후퇴이동한다. 이 때에 도8의 (c)에서는 제2버트(14)의 인하량이 4mm로 변경되고, 도8의 (d)에서는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가 제2두께부(46b)의 종단위치에 위치가 부여되어 제2버트(14)의 인하량이 6mm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어캠(44)의 회전에 따라 최고높이 및 중간높이의 제2버트(14)의 인하량을 변화시킴과 아울러, 제1스티치 결정캠면(35)과 제2스티치 결정캠면(34)에 단차량(S1)을 생기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25)에서는, 좌우의 세컨드 스티치캠(25a, 25b)이 각각 2개의 스텝핑 모터(48)에 의하여 완료되어,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25)의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어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25)의 소형화도 가능하게 되어, 캐리지에 대한 탑재 스페이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트(45)의 보스부(47)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어캠(44)에, 제1 및 제2캠 슬라이딩면(462, 461)을 내외주측에 구비하는 슬라이딩부(46)를 형성함으로써 최고높이 및 중간높이의 제2버트(14)의 인하량의 변화와, 제1스티치 결정캠면(35)과 제2스티치 결정캠면(34)과의 단차량의 변경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암(33)을 통하여 내측 롤러(51)를 제2가압판(42)(제2캠(32))에 지지함으로써 제2캠(32)과 내측 롤러(51)가 암(33)에 의하여 이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기에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캠(44)의 플레이트(45)에 대략 환형 모양의 슬라이딩부(46)를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하였지만, 플레이트에 대략 환형 모양의 슬라이딩부를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고, 이 슬라이딩부의 외주측에 제1캠 슬라이딩면이, 내주측에 제2캠 슬라이딩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의 슬라이딩부 내에 내측 및 외측 롤러가 각각 수용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를 가압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의 제1 및 제2캠 슬라이딩면(462, 461)에 슬라이딩 시켰지만, 제1 및 제2두께부의 제1캠 슬라이딩면 및 제2캠 슬라이딩면을 따라 내측 및 외측 롤러를 각각 슬라이딩 시키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부의 내주측 및 외주측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벽에 의하여 내측 및 외측 롤러를 안내하는 내주측 홈 및 외주측 홈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플레이트의 상하 양면에 대략 환형 모양의 슬라이딩부를 각각 오목하게 형성하고, 그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부의 홈의 내주측 및 외주측의 일방에 제1캠 슬라이딩면이,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부의 홈의 내주측 및 외주측의 타방에 제2캠 슬라이딩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에 제어캠의 회전에 따라 각각 내측 및 외측 롤러가 내주측 홈측의 제2캠 슬라이딩면 및 외주측 홈측의 제1캠 슬라이딩면으로 전동(轉動)된다. 이들의 경우에는, 내측 및 외측 롤러를 제1 및 제2두께부의 제1캠 슬라이딩면과 제2캠 슬라이딩면에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이 불필요하게 되어, 세컨드 스티치캠의 구조의 간소화 및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두께가 서로 다른 2종류의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에 의하여 단차량(S1)을 생기게 하거나 또는 생기지 않게 하였지만, 2종류의 두께부에 의하여 서로 다른 단차량을 생기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의 두께를 3단계 이상으로 다르게 되도록 한 3종류 이상의 두께부나 원주방향으로 반경방향의 두께를 무단계로 다르게 되도록 한 두께부를 슬라이딩부에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부(46)의 제1 및 제2두께부(46a, 46b)의 제1캠 슬라이딩면(462) 및 제2캠 슬라이딩면(461)에 내측 및 외측 롤러(51, 52)를 슬라이딩 시켰지만, 내측 및 외측 롤러를 대신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는 원기둥 또는 구체(球體) 등의 슬라이딩 부재를 제1 및 제2캠 슬라이딩면에 슬라이딩 시켜도 좋다.
14 : 제2버트
21 : 캠플레이트
23 : 브릿지캠
25 :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
25a, 25b : 세컨드 스티치캠
31 : 제1캠
32 : 제2캠
33 : 암
34 : 제2스티치 결정캠면
35 : 제1스티치 결정캠면
44 : 제어캠
46 : 슬라이딩부
461 : 제2캠 슬라이딩면
462 : 제1캠 슬라이딩면
47 : 축
48 : 스텝핑 모터
51 : 내측 롤러
52 : 외측 롤러

Claims (3)

  1. 캠플레이트(cam plate)에 설치된 브릿지캠(bridge cam)의 경사면과 평행한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캐리지(carriage)에 설치된 프레서(presser)의 가압작용에 의하여 니들베드(needle bed)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를 최고높이(full height)와 중간높이(hlaf height)와는 다른 높이로 설정하여 편침의 진퇴조작용으로 하는 버트(butt)가 결합하는 제1캠 및 제2캠을 구비하고, 상기 제1캠에, 최고높이의 버트에 결합하는 큰 사이즈의 스티치 형성용의 제1스티치 결정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2캠에, 중간높이의 버트에 결합하는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 형성용의 제2스티치 결정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티치 결정캠면과 상기 제2스티치 결정캠면에 단차(段差)를 생기게 하여, 캐리지의 동일 편성코스에 의하여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와 큰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second stitch cam device)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상기 제1캠 및 제2캠을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스티치 결정캠면과 상기 제2스티치 결정캠면을 균일 또는 단차 모양으로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캠(制御cam)과,
    상기 제어캠을 회전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驅動手段)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캠이, 제1슬라이딩 부재(第一sliding 部材)를 통한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캠을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캠 슬라이딩면(第一cam sliding 面)과 제2슬라이딩 부재를 통한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2캠을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캠 슬라이딩면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어캠의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캠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캠 슬라이딩면의 상호 간격을,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유단계(有段階) 또는 무단계(無段階)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캠은, 상기 제1캠 슬라이딩면을 외주측에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2캠 슬라이딩면을 내주측에 구비하여 원환(圓環) 형상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부(sliding部)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그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축과 상기 제1캠 슬라이딩면 및 상기 제2캠 슬라이딩면의 거리가 변경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부재 중에서 일방(一方)의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캠에 지지되어 있는 한편, 타방(他方)의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캠에 길이방향 중도부가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또한 일단(一端)이 상기 제2캠에 지지된 암(arm)의 타단(他端)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부재로서는 롤러(roller)가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KR1020120125153A 2011-11-17 2012-11-07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KR101356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1540 2011-11-17
JP2011251540A JP2013108184A (ja) 2011-11-17 2011-11-17 度違い装置を備えた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913A KR20130054913A (ko) 2013-05-27
KR101356983B1 true KR101356983B1 (ko) 2014-01-29

Family

ID=4722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153A KR101356983B1 (ko) 2011-11-17 2012-11-07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594672B1 (ko)
JP (1) JP2013108184A (ko)
KR (1) KR101356983B1 (ko)
CN (1) CN1031225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2413B (zh) * 2013-10-21 2017-02-22 中山市西区山海机械加工厂 一种带有能编织易断毛线的三角底板的电脑横机
CN104499177B (zh) * 2014-11-29 2017-01-04 经纬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纱线密度松紧程度的控制方法
CN104862873B (zh) * 2015-05-18 2017-06-23 桐乡市强隆机械有限公司 带有双电机归位的双系统全电机横机底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0888A1 (en) 1980-09-30 1982-09-29 Shima Idea Center Co., Ltd.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altering wale length
EP0698679A1 (en) 1994-08-24 1996-02-28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cam and cam apparatus
US6240749B1 (en) 1999-03-27 2001-06-05 H. Stoll Gmbh & Co. Flat knitting machine
EP1356050A2 (en) * 2001-01-29 2003-10-29 Anticancer, Inc. Fluorescent protei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48358A (fr) * 1966-05-09 1967-12-15 Dubied & Cie Sa E Procédé de tricotage sur machine rectiligne, d'articles avec motifs fantaisie, ou avec diminutions, obtenus tous les deux par report de mailles,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JPS59219979A (ja) 1983-05-30 1984-12-11 Hitachi Ltd レ−ザ光源装置
JP3505291B2 (ja) * 1995-09-19 2004-03-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度山制御装置
CN100400732C (zh) * 2002-08-06 2008-07-09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具有可调密度变化机构的织机
JP2010090488A (ja) * 2008-10-03 2010-04-22 Shima Seiki Mfg Ltd 編地編成用カム装置
CN201665749U (zh) * 2010-03-27 2010-12-08 钱福海 密度三角调节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0888A1 (en) 1980-09-30 1982-09-29 Shima Idea Center Co., Ltd.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altering wale length
EP0698679A1 (en) 1994-08-24 1996-02-28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cam and cam apparatus
US6240749B1 (en) 1999-03-27 2001-06-05 H. Stoll Gmbh & Co. Flat knitting machine
EP1356050A2 (en) * 2001-01-29 2003-10-29 Anticancer, Inc. Fluorescent prote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4672B1 (en) 2015-09-16
CN103122552A (zh) 2013-05-29
KR20130054913A (ko) 2013-05-27
JP2013108184A (ja) 2013-06-06
CN103122552B (zh) 2014-10-08
EP2594672A1 (en)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983B1 (ko) 세컨드 스티치캠 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CN103596710B (zh) 用于加工工件,尤其是金属板的压力机形式的机床
CN102619031B (zh) 缝纫机的车缝方向定位装置
CN101460266A (zh) 在无级变速器的推带的横向元件上形成倾斜区域的方法
KR200469927Y1 (ko)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CN103683746B (zh) 异形定子插纸机
KR101537941B1 (ko) 횡편기
CN109834510A (zh) 转盘的分度驱动装置
JP6215884B2 (ja) 加工ユニットおよび加工装置
CN109807218A (zh) 一种多工位旋压机
CN102311015A (zh) 织袜机的导纱板调整装置
EP2392710B1 (en) Flat knitting machine
CN203754973U (zh) 缝纫机
TW201311957A (zh) 橫式編織機針床架構
US8215131B2 (en) Knitting element comprising rotor and knitting machine
CN101474751B (zh) 改进的附加轴夹持机构
EP3705613B1 (en) Flat knitting machine yarn feeder with variable yarn feeding positions
JP2012082531A (ja) 選針装置
US20200270792A1 (en) Flat knitting machine mangling device with position varying with gap size
KR101250773B1 (ko) 정밀한 곡선 성형이 가능한 멀티 포밍기
JP6713069B1 (ja) 歯口隙間の大きさに従って押圧位置が変更する横編機用編地押圧装置
US11421354B2 (en) Flat knitting machine yarn feeder with variable yarn feeding positions
CN103801876B (zh) 弹片导向式夹紧机构
CN218015351U (zh) 一种冲压线零件自动翻转机构
CN216371131U (zh) 汽车天窗轨道支架的机加工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