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27Y1 -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27Y1
KR200469927Y1 KR2020120006116U KR20120006116U KR200469927Y1 KR 200469927 Y1 KR200469927 Y1 KR 200469927Y1 KR 2020120006116 U KR2020120006116 U KR 2020120006116U KR 20120006116 U KR20120006116 U KR 20120006116U KR 200469927 Y1 KR200469927 Y1 KR 200469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ack gear
long
movable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533U (ko
Inventor
다쿠야 미야이
히로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015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5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모터의 회전을 장척부재의 출몰방향의 동작으로 변환하는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셋업 캠용 제어바(31) 또는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에 따라 제1 및 제2작동부재(19, 20)를 통하여 셋업 캠 및 탄성레이징 캠(12)을 앞쪽 캐리지(1F)의 외측에서부터 작동시키는 가동캠 작동장치(X)에, 스텝핑 모터(35)의 축(351)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36)와, 앞쪽 캐리지(1F)의 주행방향으로 연장되고 피니언 기어(36)에 맞물리는 래크 기어(37)와, 래크 기어(37)와 각 제어바(31, 32)를 연결하는 조인트부(38)를 설치한다. 조인트부(38)에, 래크 기어(37)에 설치한 축부(40)와, 각 제어바(31, 32)의 타단에 설치되고 또한 각 제어바(31, 32)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시에 당해 각 제어바(31, 32)의 출몰방향으로 축부(40)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장공(382, 39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DEVICE FOR DRIVING A MOVABLE CAM IN A FLAT KNITTING MACHINE}
본 고안은, 캐리지(carriage)에 설치되어서 니들베드(needle bed)의 편침(編針)의 구동(驅動)을 위해 제공되는 셋업 캠(Set-up cam; 편침을 상승시키는 캠의 일종), 센터 캠(center cam), 탄성레이징 캠(彈性 raising cam), 또는 스티치 캠(stitch cam) 등의 가동캠(可動cam)을, 작동부재(作動部材)를 통하여 작동시키도록 한 횡편기(橫編機)의 가동캠 작동장치(可動cam 作動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장갑이나 양말 등의 통상의 편성포(編成布)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의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되고 있다. 이 횡편기는, 한 쌍의 니들베드가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각 니들베드의 상방(上方)에는, 당해 각 니들베드의 장변방향(長邊方向)으로 왕복주행하는 캐리지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각 캐리지에는, 각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형성된 니들홈 내를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이동이 가능한 편침의 구동을 위해 제공되는 가동캠이 탑재된다. 이 가동캠으로는, 각 캐리지의 왕복주행시에 사용되는 셋업 캠, 센터 캠, 탄성레이징 캠, 또는 스티치 캠 등이 있다.
또한 각 캐리지에는, 가동캠을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가동캠의 작동은,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캠 작동장치(9)에 의하여 캐리지의 외측에서부터 작동부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가동캠 작동장치(9)는, 캐리지의 외측을 당해 캐리지의 주행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guide 部材)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부재를 따라 연장되고 작동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는 장척부재(長尺部材)(91)를 구비하고, 이 장척부재(91)를 작동부재에 대하여 출몰방향(出沒方向)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작동부재를 통하여 가동캠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동캠 작동장치(9)는, 모터의 축(9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편심 캠(偏芯 cam)(92)과, 이 편심 캠(92)에 형성되고 장척부재(91)보다 돌출한 결합핀(93)을 슬라이딩 안내하도록 축(90) 부근을 기단(基端)으로 하여 선단측(先端側)이 나선형 모양으로 직경이 커지는 나선홈(94)을 구비하고 있다. 축(90)의 선단은, 장척부재(91)의 일단(一端)에 있어서 작동부재 측을 향하여 경사방향(도14에서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된 안내홈(95)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편심 캠(92)을 축(90) 주위로 회전시켜서, 나선홈(94) 내를 슬라이딩하는 결합핀(93)과 안내홈(95) 내를 이동하는 축(90)과의 거리를 변경하고, 당해 축(90)의 선단을 안내홈(95)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장척부재(91)를 작동부재에 대하여 출몰방향으로 동작시키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3-185161호 공보
상기 종래의 것은, 장척부재(91)를 작동부재에 대하여 출몰 동작시키는 상태에서, 편심 캠(92)의 축(90) 주위의 회전에 의하여 나선홈(94) 내를 슬라이딩하는 결합핀(93)과 축(90)과의 거리를 변경하여 당해 축(90)의 선단을 안내홈(95) 내에서 이동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모터의 회전을 장척부재(91)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으로 변환하는 가동캠 작동장치(9)의 구조가 복잡한 것으로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터의 회전을 장척부재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으로 변환하는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는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서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장변방향(長邊方向)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상기 니들베드의 편침(編針)의 구동(驅動)에 제공되는 가동캠(可動cam)과, 이 가동캠에 대한 출몰동작(出沒動作)에 의하여 당해 가동캠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作動部材)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캐리지의 외측을 당해 캐리지의 주행방향(走行方向)으로 연장한 가이드 부재(guide 部材)에, 이 가이드 부재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는 장척부재(長尺部材)를 지지함과 아울러 이 장척부재에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지지축(支持軸)을 따라 상기 장척부재를 당해 장척부재의 장변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작동부재에 대한 출몰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홈(案內溝)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에 의하여 안내되는 상기 장척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를 통하여 상기 가동캠을 상기 캐리지의 외측에서부터 작동시키도록 하는 횡편기(橫編機)의 가동캠 작동장치(可動cam 作動裝置)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캐리지의 주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래크 기어(rack gear)와, 상기 래크 기어와 상기 장척부재를 연결하는 조인트부(joint部)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부에, 상기 래크 기어 및 상기 장척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축부(軸部)와,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의한 상기 장척부재의 동작시에 당해 장척부재의 출몰방향으로 상기 축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장공(長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장척부재를 복수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부에, 상기 래크 기어의 좌우 양측방으로 돌출한 축부와, 상기 각 장척부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장척부재의 동작시에 출몰방향으로 상기 축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장공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장척부재를, 각각의 장공을 상기 축부에 대하여 그 축선방향의 양측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래크 기어의 좌우 양측방에 배치하고 있어도 좋다. 한편, 래크 기어의 좌우 양측방이라 함은, 복수의 장척부재가 배열되는 배열방향을 말한다.
또한 상기 각 장척부재의 안내홈에, 각각 해당하는 상기 각 가동캠의 작동량에 따른 상기 각 장척부재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을 지지한 상태에서 당해 각 장척부재의 진퇴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축을 진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홈을 연속하도록 형성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각 가동캠으로서, 셋업 캠 또는 센터 캠과 탄성레이징 캠을 적용하고 있어도 좋다.
본 고안에 관한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에 의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래크 기어를 장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이동에 따라 장척부재를 조인트부의 장공 내에서의 축부의 이동에 의하여 안내홈을 따라 출몰방향으로 동작시켜서, 작동부재를 통하여 가동캠을 작동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가동캠 작동장치의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장척부재를 래크 기어의 좌우 양측방에 배치함으로써 래크 기어의 좌우 양측방에 작용하는 각 장척부재로부터의 부하가 균형을 이루고, 래크 기어의 장변방향으로의 이동력이 그 좌우 양측방의 각 장척부재에 대하여 흔들림 없이 전달되어, 래크 기어의 장변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르는 각 장척부재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가동캠의 작동을 단일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각각 작동부재를 통하여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척부재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을 지지한 상태에서 지지축(支持軸)을 진퇴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지지홈을 안내홈에 연속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각각 작동 타이밍이 상이한 각 가동캠의 작동이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이미 작동이 완료하고 있는 가동캠의 작동량을 지지홈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셋업 캠 또는 센터 캠과 탄성레이징 캠을 각 가동캠으로서 적용함으로써 서로 작동 타이밍이 상이한 셋업 캠 또는 센터 캠과 탄성레이징 캠을 단일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각각 작동부재를 통하여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도1은, (a)는 뒤쪽 캐리지의 각 캠을 뒤쪽 니들베드측에서 본 저면도이며, (b)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앞쪽 캐리지의 각 캠을 앞쪽 니들베드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2는 도1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앞쪽 캐리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앞쪽 캐리지를 앞쪽 니들베드와 함께 절단한 종단 측면도이다.
도4는 도2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앞쪽 캐리지의 제1작동부재를 작동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제1작동부재를 비작동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6은 도5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제1작동부재를 옆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7은 도2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앞쪽 캐리지의 제2작동부재를 비작동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8은 도7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제2작동부재를 작동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9는 도8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제2작동부재를 옆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10은 도7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제2작동부재를 옆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11은 도2의 가동캠 작동장치 및 앞쪽 캐리지의 정면도이다.
도12는 도2의 가동캠 작동장치의 확대도이다.
도13은 도11의 조인트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14는 종래의 예에 관한 가동캠 작동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횡편기(橫編機)의 가동캠 작동장치(可動cam 作動裝置)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횡편기는, 장갑이나 양말 등의 통상의 편성포(編成布)의 편성에 제공된다.
도1의 (a)는 뒤쪽 캐리지의 각 캠을 뒤쪽 니들베드측에서 본 저면도이며, (b)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앞쪽 캐리지의 각 캠을 앞쪽 니들베드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2는 가동캠 작동장치 및 앞쪽 캐리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3은 가동캠 작동장치 및 앞쪽 캐리지를 앞쪽 니들베드와 함께 절단한 종단 측면도이다.
도1~도3에 있어서, 본 고안의 가동캠 작동장치(X)는, 앞쪽 니들베드(10F)의 상방을 그 장변방향(長邊方向)을 따라 왕복이동 하는 앞쪽 캐리지(1F)에 탑재된 가동캠으로서의 셋업 캠(Set-up cam)(11), 탄성레이징 캠(彈性 raising cam)(12), 센터 캠(center cam)(13), 스티치 캠(stitch cam)(14), 니들레이징 캠(needle raising cam)(15), 프레셔 캠(pressor cam)(16)을 앞쪽 캐리지(1F)의 외측부터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또, 앞쪽 캐리지(1F)에는, 니들가이드 캠(needle guide cam)(17) 및 브릿지 캠(bridge cam)(18)도 탑재되어 있다.
또한 도1의 (a)에 나타낸 뒤쪽 캐리지(1B)는, 도시되지 않은 뒤쪽 니들베드의 상방을 그 장변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고, 가동캠으로서의 탄성레이징 캠(12), 센터 캠(13), 스티치 캠(14), 니들레이징 캠(15), 프레셔 캠(16)을 탑재하고 있다. 또, 뒤쪽 캐리지(1B)에도, 니들가이드 캠(17) 및 브릿지 캠(18)이 탑재된다.
여기서 앞쪽 캐리지(1F)의 각 캠(11~18)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각 캠(11~18)은, 앞쪽 니들베드(10F)와 대향하는 바닥판(100F)의 앞쪽 니들베드 측면(도1에서는 전방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각 캠(11~18) 중에서, 셋업 캠(11), 탄성레이징 캠(12) 및 센터 캠(13)은, 각각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의 2개 위치로 절환될 수 있다. 또한 스티치 캠(14)은, 소망하는 스티치 눈에 대응하는 작동위치로 제3작동부재(21)에 의하여 조정된다.
앞쪽 캐리지(1F)는, 각 캠(11, 12, 14, 15)을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도록 당해 각 캠(11, 12, 14, 15)에 대하여 출몰동작(出沒動作)하는 제1~제3작동부재(19, 20, 21)(도2에서는 셋업 캠(11), 탄성레이징 캠(12) 및 스티치 캠(14)을 작동시키는 경우만 나타낸다)를 구비하고 있다. 셋업 캠(11)은, 손가락 선단(또는 발가락 선단)의 편성시 및 손가락 연결부(또는 발가락 연결부)의 편성시에 제1작동부재(19)에 의하여 작동위치로 절환된다. 탄성레이징 캠(12)은, 탄성편성 시에 작동위치로, 비탄성편성 시에는 비작동위치로 각각 제2작동부재(20)에 의하여 절환된다. 또, 도3에 있어서 S는 앞쪽 니들베드(10F)에 복수개 나란하게 설치된 편침으로서의 래치바늘이다.
도4는 가동캠 작동장치(X) 및 앞쪽 캐리지(1F)의 제1작동부재(19)를 작동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5는 가동캠 작동장치(X) 및 제1작동부재(19)를 비작동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6은 가동캠 작동장치(X) 및 제1작동부재(19)를 비작동상태에서 옆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4~도6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작동부재(19)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역 J자모양을 나타내고, 그 기단(基端)에 있어서 대략 직선모양으로 연장된 기단부(基端部)(191)의 대략 중간위치가 앞쪽 캐리지(1F)의 바닥판(100F)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이 제1작동부재(19)의 기단부(191)의 대략 중간위치에서부터 연장되는 본체부(192)의 선단에는, 셋업 캠(11)을 작동위치(도4에 나타낸 위치)에서부터 비작동위치(도5 및 도6에 나타낸 위치)로 작동시킬 때에 셋업 캠(11)에 설치된 롤러(111)에 대한 결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19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191)의 일단(도4 및 도5에서는 왼쪽단)에는, 후술하는 셋업 캠용 제어바(31)의 돌출 단면(突出 端面)(31a)을 전동(轉動)하는 롤러 베어링(194)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작동부재(19)는, 본체부(192)의 도중위치와 바닥판(100F) 사이에 설치된 가압 스프링(195)에 의하여 롤러 베어링(194)을 항상 셋업 캠용 제어바(31)의 돌출 단면(31a) 측으로 가압하도록, 기단부(191)의 대략 중간위치의 피벗 지지점 주위에 힘을 받고 있다.
도7은 가동캠 작동장치(X) 및 앞쪽 캐리지(1F)의 제2작동부재(20)를 비작동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8은 가동캠 작동장치(X) 및 제2작동부재(20)를 작동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9는 가동캠 작동장치(X) 및 제2작동부재(20)를 작동상태에서 옆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10은 가동캠 작동장치(X) 및 제2작동부재(20)를 비작동상태에서 옆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7~도10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작동부재(20)는, 앞쪽 캐리지(1F)의 바닥판(100F)에 설치된 지지프레임 부재(205)와, 이 지지프레임 부재(205)와 바닥판(100F) 사이에 지지되고, 탄성레이징 캠(12)에 대하여 출몰가능한 출몰부재(20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출몰부재(206)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I자모양을 나타내고, 그 일단(도7 및 도8에서는 상단)에는, 탄성레이징 캠(12)을 작동위치(도8 및 도9에 나타낸 위치)에서부터 비작동위치(도7 및 도10에 나타낸 위치)로 작동시킬 때에 탄성레이징 캠(12)에 설치된 롤러(121)에 대한 결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2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몰부재(206)의 타단(도7 및 도8에서는 하단)에는, 후술하는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돌출 단면(32a)을 전동하는 롤러 베어링(202)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출몰부재(206)는, 그 일단과 지지프레임 부재(205)의 타단부(도7 및 도8에서는 하단부) 사이에 설치된 가압 스프링(203)에 의하여 롤러 베어링(202)을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돌출 단면(32a) 측으로 항상 가압하도록 힘을 받고 있다.
제3작동부재(21)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캠(14)에 설치되고 또한 앞쪽 캐리지(1F)의 바닥판(100F)을 경사방향으로 연장된 홈(10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211)와, 이 이동부재(211)의 일단(도2에서는 하단)에 타단(도2에서는 상단)이 피벗 지지된 대략 L자모양의 지지부재(2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부재(213)는, 후술하는 스티치 캠용 제어바(33)의 돌출 단면(33a) 방향(도2에서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의 끝단에서부터 굴곡하여 일단(도2에서는 왼쪽단)을 제1작동부재(19)의 기단부(191) 방향(도2에서는 좌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지지부재(213)의 일단은, 제1작동부재(19)의 기단부의 대략 중간위치와 함께 앞쪽 캐리지(1F)의 바닥판(100F)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213)의 굴곡부에는, 후술하는 스티치 캠용 제어바(33)의 돌출 단면(33a)을 전동(轉動)하는 롤러 베어링(212)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211)는, 그 타단과 홈(101)의 일단측(도2에서는 하단측)의 측방위치 사이에 설치된 가압 스프링(214)에 의하여 홈(101)의 일단측에 힘을 받아서, 지지부재(213)를 통하여 롤러 베어링(212)을 스티치 캠용 제어바(33)의 돌출 단면(33a) 측으로 항상 가압하도록 힘을 받고 있다.
도11은 가동캠 작동장치(X) 및 앞쪽 캐리지(1F)의 정면도이다. 이 도11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캠 작동장치(X)는, 앞쪽 캐리지(1F)의 주행방향(走行方向)으로 연장되고, 각 작동부재(19~21)의 롤러 베어링(194, 202, 212)에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장판(長板) 모양의 장척부재로서의 셋업 캠용 제어바(31),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 및 스티치 캠용 제어바(3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어바(31~33)는, 각 작동부재(19~21)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재시켜서 셋업 캠(11), 탄성레이징 캠(12) 및 스티치 캠(14)을 작동시키도록 당해 작동부재(19~21)의 롤러 베어링(194, 202, 212)에 대하여 출몰동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각 제어바(31~33)는, 횡편기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서 앞쪽 캐리지(1F)의 주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34)의 오목모양홈(341) 내에 각각 지지되고, 각각의 오목모양홈(341) 내에서의 출몰동작이 양측방으로부터 가이드 되어 있다.
도12는 가동캠 작동장치(X)의 확대도이다.
이 도12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캠 작동장치(X)의 케이스(X1)는, 가이드부재(34)의 일단(도12에서는 왼쪽단)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스(X1)의 바닥부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모터로서의 스텝핑 모터(35)가 고정 설치되고, 이 스텝핑 모터(35)로부터 케이스(X1) 내로 돌출하는 축(351)의 선단에 피니언 기어(pinion gear)(36)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X1) 내에는, 앞쪽 캐리지(1F)의 주행방향으로 연장된 래크 기어(rack gear)(37)가 설치되고, 이 래크 기어(37)가 피니언 기어(36)에 맞물려 있다. 래크 기어(37)의 장변방향의 중앙부보다도 일단측(도12에서는 오른쪽단측)으로 치우친 부분과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타단(도12에서는 왼쪽단)과의 사이에는, 조인트부(joint 部)(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인트부(38)는, 래크 기어(37)의 장변방향 중앙부보다도 일단측으로 치우친 부분과,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타단을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동캠 작동장치(X)를 구성하는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 가이드부재(34), 스텝핑 모터(35), 피니언 기어(36), 래크 기어(37) 및 조인트부(38)에 의하여 각 작동부재(19, 20)를 통하여 셋업 캠(11) 및 탄성레이징 캠(12)의 작동이 앞쪽 캐리지(1F)의 외측에서부터 수행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13은 조인트부(38) 부근의 확대도이다.
이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38)는, 래크 기어(37)의 장변방향 중앙부보다도 일단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설치된 축부(40)와,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고 당해 각 제어바(31, 32)의 출몰방향(도13에서는 지면(紙面) 전방의 속방향)으로 연장된 장공(長孔)(382, 392)을 구비하고 있다. 축부(40)는, 기단(도13에서는 상단)에 머리부(400)를 구비하고, 래크 기어(37)에 대하여 그 좌우 양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그 축선방향 양측방보다 기단부(401) 및 선단부(402)가 각각 돌출하고 있다. 이 축부(40)의 기단부(401) 및 선단부(402)에는, 각각 래크 기어(37) 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스페이서(spacer)(403) 및 베어링(bearing)(404)이 삽입되어 있다. 스페이서(403)에는 베어링(404) 측으로 돌출한 볼록부(405)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405)가 베어링(404)의 인너 레이스(inner race; 안쪽바퀴)에 대하여 접하고 있다. 축부(40)의 선단에는, 내경의 지름이 확대된 테이퍼부(406a)를 구비하는 스페이서(406)가 외측에 끼워지고, 축부(40)의 선단을 코킹 구(caulking 具)(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선단면에서부터 코킹하여 소성변형(塑性變形) 시킴으로써 스페이서(406)의 테이퍼부(taper 部)(406a)에 충전(充塡)하여, 당해 스페이서(406)를 축부(40)의 선단에 고정하고 있다.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장공(392)은 축부(40)의 기단부(401)에 대하여 베어링(404)이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 한편, 셋업 캠용 제어바(31)의 장공(382)은 축부(40)의 선단부(402)에 대하여 베어링(404)이 삽입되어 통하고 있으며, 양쪽 제어바(31, 32)가 래크 기어(37)의 일단측의 좌우 양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래크 기어(37)의 좌우 양측방에 작용하는 각 제어바(31, 32)로부터의 부하가 균형을 이루어, 래크 기어(37)의 진퇴방향으로의 이동력이 그 좌우 양측방의 각 제어바(31, 32)에 대하여 흔들림 없이 전달되어서, 래크 기어(37)의 진퇴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르는 각 제어바(31, 32)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조인트부(38)는, 피니언 기어(36)의 회전에 따라 래크 기어(37)가 진퇴이동하면,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장공(382, 392) 내에서의 축부(40)가 진퇴방향으로의 이동량이 허용됨이 없이, 당해 축부(40)를 통하여 각 제어바(31, 32)에 전달되어, 당해 각 제어바(31, 32)를 진퇴이동 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조인트부(38)는, 각 제어바(31, 32)의 출몰동작 시에 축부(40)를 장공(382, 392) 내에서 출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공(382, 392)내에서 축부(40)의 출몰방향으로의 이동량이 허용되어, 축부(40)의 출몰방향으로의 이동이 각 제어바(31, 32)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4)에는, 각 오목모양홈(341) 내를 각각 관통하는 지지축(34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4, 도5, 도7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에는, 양쪽 제어바(31, 32)의 진퇴이동에 따라 당해 양쪽 제어바(31, 32)를 제1 및 제2작동부재(19, 20)에 대하여 출몰동작 시키도록 지지축(342)을 안내하는 안내홈(311, 3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안내홈(311, 321)은, 각 제어바(31, 32)의 복수의 장소(예를 들면 2군데)에 형성되고, 각각 일단측(도4, 도5, 도7 및 도8에서는 우측)으로 감에 따라 돌출 단면(31a, 32a) 측과는 반대측(도4, 도5, 도7 및 도8에서는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스텝핑 모터(35)의 구동에 의한 피니언 기어(36)의 회전에 따라 래크 기어(37)를 진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이동에 따라 지지축(342)을 안내홈(311, 321)으로 안내시킴과 아울러,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를 조인트부(38)의 장공(382, 392) 내에서의 축부(40)의 이동에 의하여 당해 안내홈(311, 321)을 따라 출몰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작동부재(19, 20)를 통하여 셋업 캠(11) 및 탄성레이징 캠(12)을 작동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가동캠 작동장치(X)의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안내홈(311, 321)은, 셋업 캠(11) 및 탄성레이징 캠(12)의 서로 다른 작동 타이밍에 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작동 타이밍이 다른 셋업 캠(11) 및 탄성레이징 캠(12)의 작동을 단일의 스텝핑 모터(35)로부터의 회전에 의하여 각각 제어바(31, 32), 및 제1 및 제2작동부재(19, 20)를 통하여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각 안내홈(311, 321)의 양단에는,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돌출 단면(31a, 32a)에 따라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홈(312, 322)이 각각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홈(312, 322)은, 각각 해당하는 셋업 캠(11) 및 탄성레이징 캠(12)의 작동량에 따른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을 지지한 상태에서 지지축(342)을 진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 셋업 캠(11) 및 탄성레이징 캠(12)의 작동 타이밍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작동 타이밍이 다른 셋업 캠(11) 및 탄성레이징 캠(12)의 쌍방의 작동이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이미 작동이 완료하고 있는 셋업 캠(11) 또는 탄성레이징 캠(12)의 작동량을 지지홈(312, 322)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X1)에는, 피니언 기어(36)의 회전에 따라 진퇴이동하는 래크 기어(37)의 배측면(背側面)(도12에서는 상면)을 전동에 의하여 안내하는 안내 롤러(案內 roller)(41)와, 래크 기어(37)의 톱니측면(도12에서는 하면)을 슬라이딩에 의하여 안내하는 안내면(421)을 구비하는 래크기어 안내부재(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4)의 오목모양홈(341) 상호간의 사이에는, 당해 양 오목모양홈(341) 상호간을 구획하는 벽(343)을 절제(切除)하여 래크 기어(37)의 일단측을 안내하는 안내면(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면(45)에는, 래크 기어(37)의 일단측이 슬라이딩 하고 있다. 또한 래크 기어(37)의 선단측에 대응하는 케이스(X1)의 대응위치에는, 래크 기어(37)의 선단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센서(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센서(43)는, 래크 기어(37)의 선단이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있다.
한편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캠용 제어바(33)의 타단(도2에서는 오른쪽단)은, 도시되지 않은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스티치캠 작동장치는, 가동캠 작동장치(X)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며, 스티치 캠용 제어바(33)의 타단에 형성된 장공(도시하지 않음)과 래크 기어에 대하여 그 좌우 양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부를 구비한 조인트부에 의하여 스티치 캠용 제어바(33)의 타단과 래크 기어의 일단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스티치 캠용 제어바(33)에는, 이 제어바(33)의 진퇴이동에 따라 당해 제어바(33)를 제3작동부재(21)에 대하여 출몰동작 시키도록 지지축(342)을 안내하는 안내홈(3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331)은, 제어바(33)의 복수의 장소(예를 들면 2군데)에 형성되고, 각각 일단측(도2에서는 좌측)으로 감에 따라 제3작동부재(21) 측(도2에서는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스티치캠 작동장치에 있어서도, 제3작동부재(21)를 통한 스티치 캠(14)의 작동이 앞쪽 캐리지(1F)의 외측에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래크 기어(37)에 조인트부(38)를 통하여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타단을 연결했지만, 작동부재를 통하여 센터 캠을 작동시키는 센터 캠용 제어바와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가 래크 기어에 조인트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래크 기어에 조인트부를 통하여 3개 이상의 제어바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좋고, 이 경우에는 복수의 제어바가 3개이면, 축부의 기단부 또는 선단부의 일방에 2개의 제어바가, 타방에 1개의 제어바가 각각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되어, 2개의 제어바 끼리의 사이가 스페이서에 의하여 확보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40)를 래크 기어(37)에, 장공(382, 392)을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타단에 각각 형성했지만, 축부를 각 제어바에, 장공을 래크 기어에 각각 형성하여 조인트부가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장공 내에서의 각 제어바의 축부의 출몰방향으로의 이동 타이밍이 상이한 것을 감안하여 축부가 타(他) 제어바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도록, 래크 기어의 길이를 길게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복수의 제어바가 래크 기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당해 각 제어바의 축부의 길이를 변경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셋업 캠용 제어바(31) 및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32)의 타단을 조인트부(38)를 통하여 래크 기어(37)에 연결했지만, 단일 제어바가 조인트부를 통하여 래크 기어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좋은 것은 당연하다.
1F : 앞쪽 캐리지 1B : 뒤쪽 캐리지
10F : 앞쪽 니들베드 11 : 셋업 캠
12 : 탄성레이징 캠 13 : 센터 캠
14 : 스티치 캠 19 : 제1작동부재
20 : 제2작동부재 21 : 제3작동부재
31 : 셋업 캠용 제어바 311 : 안내홈
312 : 지지홈 32 :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
321 : 안내홈 322 : 지지홈
33 : 스티치 캠용 제어바 34 : 가이드부재
342 : 지축 35 : 스텝핑 모터
351 : 축 36 : 피니언 기어
37 : 래크 기어 38 : 조인트부
382 : 셋업 캠용 제어바의 장공 392 : 탄성레이징 캠용 제어바의 장공
40 : 축부 S : 래치바늘 X : 가동캠 작동장치

Claims (4)

  1. 니들베드(needle bed)의 장변방향(長邊方向)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상기 니들베드의 편침(編針)의 구동(驅動)에 제공되는 가동캠(可動cam)과, 이 가동캠에 대한 출몰동작(出沒動作)에 의하여 당해 가동캠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作動部材)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캐리지의 외측을 당해 캐리지의 주행방향(走行方向)으로 연장한 가이드 부재(guide 部材)에, 이 가이드 부재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는 장척부재(長尺部材)를 지지함과 아울러 이 장척부재에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지지축(支持軸)을 따라 상기 장척부재를 당해 장척부재의 장변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작동부재에 대한 출몰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홈(案內溝)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에 의하여 안내되는 상기 장척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를 통하여 상기 가동캠을 상기 캐리지의 외측에서부터 작동시키도록 하는
    횡편기(橫編機)의 가동캠 작동장치(可動cam 作動裝置)로서,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캐리지의 주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래크 기어(rack gear)와,
    상기 래크 기어와 상기 장척부재를 연결하는 조인트부(joint部)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래크 기어 및 상기 장척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축부(軸部)와,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의한 상기 장척부재의 동작시에 당해 장척부재의 출몰방향으로 상기 축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장공(長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부재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래크 기어의 좌우 양측방으로 돌출한 축부와, 상기 각 장척부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장척부재의 동작시에 출몰방향으로 상기 축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장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장척부재는, 각각의 장공을 상기 축부에 대하여 그 축선방향의 양측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래크 기어의 좌우 양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척부재의 안내홈에는, 각각 해당하는 상기 각 가동캠의 작동량에 따른 상기 각 장척부재의 출몰방향으로의 동작을 지지한 상태에서 당해 각 장척부재의 진퇴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축을 진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홈이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동캠으로서, 셋업 캠(Set-up cam) 또는 센터 캠(center cam)과 탄성레이징 캠(彈性 raising cam)이 적용되어 있는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KR2020120006116U 2011-08-26 2012-07-12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KR2004699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5164A JP2013044077A (ja) 2011-08-26 2011-08-26 横編機の可動カム作動装置
JPJP-P-2011-185164 2011-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33U KR20130001533U (ko) 2013-03-06
KR200469927Y1 true KR200469927Y1 (ko) 2013-11-13

Family

ID=4798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116U KR200469927Y1 (ko) 2011-08-26 2012-07-12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044077A (ko)
KR (1) KR200469927Y1 (ko)
CN (1) CN20284971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6782B (zh) * 2018-06-29 2024-04-26 杭州高腾机电科技有限公司绍兴分公司 一种手套机编织装置
KR102226578B1 (ko) 2018-07-13 2021-03-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CN109162012B (zh) * 2018-09-11 2024-04-26 杭州高腾机电科技有限公司绍兴分公司 一种手套机小机头编织装置
CN109355792B (zh) * 2018-12-20 2023-09-15 宁波博日机械有限公司 双系统横机底板及传动方法
CN109518351A (zh) * 2019-01-29 2019-03-26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三位一体电机控制山板
JP7252147B2 (ja) 2020-01-10 2023-04-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手袋編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344B1 (ko) * 1991-11-27 1993-10-16 오홍주 자동 인타샤(Intaisia) 횡편기
KR940001742Y1 (ko) * 1992-01-27 1994-03-24 정서연 횡편기에 있어서의 선침장치
JPH111852A (ja) * 1997-04-15 1999-01-0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糸供給機構
KR100622783B1 (ko) 2004-05-04 2006-09-14 주식회사 동성정밀 장갑편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344B1 (ko) * 1991-11-27 1993-10-16 오홍주 자동 인타샤(Intaisia) 횡편기
KR940001742Y1 (ko) * 1992-01-27 1994-03-24 정서연 횡편기에 있어서의 선침장치
JPH111852A (ja) * 1997-04-15 1999-01-0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糸供給機構
KR100622783B1 (ko) 2004-05-04 2006-09-14 주식회사 동성정밀 장갑편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44077A (ja) 2013-03-04
KR20130001533U (ko) 2013-03-06
CN202849713U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927Y1 (ko) 횡편기의 가동캠 작동장치
TWI591225B (zh) 用於進送線至針織機之織針的裝置(一)
EP1972708B1 (en) Carriage mountable unit of weft knitting machine
ITBS20130150A1 (it) Macchina tessile circolare con meccanismo di innesto e sgancio del platorello del gruppo platò
JP2602156B2 (ja) 横編機の編地プレッサー
JP2010252905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に備えられた背揉み装置及びこの背揉み装置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110822043A (zh) 一种椅架及其齿条组件
CN110859729A (zh) 一种椅架
CN100404232C (zh) 注塑机的注射装置
CN105970511A (zh) 一种绣花机用压脚驱动机构
CN110840135A (zh) 一种椅子
CN103522079A (zh) 双弹簧预紧柔性解耦直线电机定位平台
CN203096368U (zh) 一种缝纫机的x向送料结构
CN102397920A (zh) 冲压机械
CN112575456A (zh) 一种实现类矩形牙齿轨迹的送布装置及缝纫机
JP5022250B2 (ja) マッサージ機
CN110859742A (zh) 一种椅架及其按摩装置
CN201924154U (zh) 多轴向经编机推布装置
JP6015980B2 (ja) 棒材供給機及び棒材加工システム
CN211737902U (zh) 一种椅架及其齿条组件
JP2015000192A (ja) 電動ベッドの背ボトムの動作機構
CN211723864U (zh) 一种椅架
KR20110000666U (ko) 재봉틀의 차동(差動) 직물이송장치
KR101226417B1 (ko) 횡편기용 실 공급기
CN212103180U (zh) 一种双机头手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