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217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217B1
KR101354217B1 KR1020090072694A KR20090072694A KR101354217B1 KR 101354217 B1 KR101354217 B1 KR 101354217B1 KR 1020090072694 A KR1020090072694 A KR 1020090072694A KR 20090072694 A KR20090072694 A KR 20090072694A KR 101354217 B1 KR101354217 B1 KR 101354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ain display
unit
cas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130A (ko
Inventor
강태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217B1/ko
Priority to US12/842,089 priority patent/US20110032175A1/en
Publication of KR2011001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하측에 위치하다가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업 되면 상승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하나의 화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서브 디스플레이부 측으로 당기는 레버부가 채택된다.
또한,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업 된 상태에서는 촬영 모드로 동작하게 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다운 된 상태에서는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하게 되어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DISPLAY APPARATUS AND COMPLEX ENTERTAIN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변경에 따라 작동 모드가 변경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 가지 기기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에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때는 본체의 배면에서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화상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해 주기도 하며, 이미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재생되도록 하기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용 게임기에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움직이는 화상의 움직임을 눈으로 보면서 게임을 즐기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과 휴대용 게임기의 기능을 동시에 갖춘 복합 기능 제품에 대한 기대도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면의 크기가 가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변되는 화면 크기에 맞추어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가 확대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갭(gap)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향해 승강하거나, 상기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하강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 상에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 캠과, 상기 상부 캠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부는 상기 하부 캠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부는 상기 하부 캠에 결합되는 구동 핀(pin)과,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고정 핀(pin)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서브 디스플레이부 측으로 당기 는 회전 핀(p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핀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하측에 형성된 레버 돌기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상부 캠 및 하부 캠 각각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캠은 상기 하부 캠의 직선 운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캠은 상기 하부 캠을 직선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하부 캠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복수개의 기어와 스크류(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에 직접 연결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회전축이 직교하도록 맞물리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회전축을 공유하며 회전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와 회전축이 직교하도록 맞물리는 제3기어와, 상기 제3기어와 회전축을 공유하며 상기 하부 캠에 구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제2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슬라이딩 조작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그 배면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를 연결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일 수 있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배면 양측에 슬라이딩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케 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막대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서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제2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가 동일 평면 형성시 양자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갭(gap) 생성을 억제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운동과 연동하여 동작 모드가 변경되고, 상기 동작 모드는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 모드와, 사진 또는 동영상이 화면 상에서 재생되는 재생 모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게임을 벌이는 게임 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하측으로 슬라이딩 다운(down)된 상태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측으로 슬라이딩 업(up)된 상태에서는 상기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측으로 슬라이딩 업(up) 시키면, 전원이 자동으로 온(on)되면서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상기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상기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 하던 중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하측으로 슬라이딩 다운(down) 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off)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상기 촬영 모드로 동작 하던 중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측으로 슬라이딩 업(up)시키면, 상기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면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화면 크기가 확대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 간의 갭(gap)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 업(up)과 다운(down) 상태에 따라 복합 엔터테인먼트의 동작 모드가 화면 크기에 적합한 상태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한다.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는 다양한 오락을 즐길 수 있는 기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의 기능과, 휴대용 게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가 수행하는 기능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폰이나 MP3플레이어 기능 등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는 다양한 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의 외관 뼈대를 이루며, 내부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와 휴대용 게임기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미도시)이 설치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130)과,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수용하는 메인 모듈 케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사용자가 터치(touch) 방식으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TFT LCD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가 바람직하다.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백라이트에 의해 빛을 발하는 LCD와는 달리 자체에서 빛을 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TFT LCD에 견줘 동영상 응답 속도가 1000배 이상 빠르고, 색 재현율과 명암비도 월등하기 때문이다.
메인 모듈 케이스(160)는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수용하며 외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메인 모듈 케이스(160)의 양측에는 미끄럼 방지부(180)가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부(180)는 메인 모듈 케이스(160)의 표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마련된다. 미끄럼 방지부(180)는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업(up) 이나 다운(dowm) 동작 시 파지하는 부위로서, 손가락과 접촉 시 미끄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서브 디스플레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를 슬라이딩 업 시킨 경우에 상승하여 외부로 드러나며,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와 유사하게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230)과,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230)을 수용하는 서브 모듈 케이스(260)를 포함한다.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230)은 사용자가 터치(touch) 방식으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소자로는 TFT LCD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가 더 바람직하다.
서브 모듈 케이스(260)은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230)을 수용하며, 서브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승 시 외부로 외관이 노출된다.
이하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딩 업 된 상태의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내부의 승하강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디스플레이부(200)는 그 하측에 서브 디스플레이부(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부(270)를 더 포함한다.
승하강부(270)는 서브 디스플레이부(20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캠(273)과, 상부 캠(273)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캠(276)을 포함한다.
상부 캠(273) 및 하부 캠(276) 각각은 경사면(274a, 274b, 277a, 277b)을 포함하고, 상부 캠(273)의 경사면(274a, 274b)과 하부 캠(276)의 경사면(277a, 277b)은 서로 대응된다.
하부 캠(276)의 상부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를 서브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결합부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결합부는 상기 하부 캠(276)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버부(290a, 290b)를 포함하게 되는데, 레버부(290a, 290b)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부 캠(276)의 일측에는 하부 캠(276)을 직선 운동시키는 구동부(280)가 설치된다.
구동부(280)는 직선 운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81)와, 모터(281)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을 하부 캠(276)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83)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283)는 복수개의 기어와 스크류(screw)의 조합으로 이루어 진다.
즉, 동력 전달부(283)는 모터축(282)에 직접 연결되며 모터축(281)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기어(284)와, 제1기어(284)와 회전축이 직교하도록 맞물리는 제2기어(285)와, 제2기어(285)와 회전축을 공유하며 일체로 회전하는 제1스크류(286)와, 제1스크류(286)와 회전축이 직교하도록 맞물리는 제3기어(287)와, 제3기어(287)와 회전축을 공유하며 하부 캠(276)에 구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제2스크류(2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스크류(288)는 하부 캠(276)의 하부에 형성된 너트부(279)와 결합하게 된다. 제2스크류(288)가 회전하게 되면, 너트부(279)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하부 캠(276)은 직선운동 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의 내부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딩 업(up) 된 상태의 다양한 위치에서 본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는 배면 양측에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막대(170a, 170b)를 포함하고, 케이스(10)에는 슬라이딩 막대(170a, 170b)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가이드 레일(13a, 13b)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13a, 13b)은 슬라이딩 막대(170a, 170b)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배면 양측에는 슬라이딩 업 다운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스프링(180a, 180b)이 배치된다.
스프링(180a, 180b)의 종류로는 얇은 두께의 완성품을 구현하기 위해서 두께가 얇은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사용 가능한 스프링(180a, 180b)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틀림 스프링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180a, 180b)의 일단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배면에 고정 볼트(185a, 185b)에 의해 결합되며, 스프링(180a, 180b)의 타단은 케이스(10)의 스프링 고정부(16a, 16b)에 걸리게 된다.
스프링(180a, 180b)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배면 양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87a, 187b)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업 다운 동작에 따라 스프링 수용부(187a, 187b) 내부를 움직이게 된다. 스프링 수용부(187a, 187b)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배면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며, 스프링(180a, 180b)이 움직이는 면적에 걸쳐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레버부(290a, 290b)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딩 업 된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갭(gap)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레버부(290a, 290b)는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캠(276)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동 핀(pin)(292a, 292b)과, 케이스(10)에 결합되는 고정 핀(pin)(294a, 294b)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를 서브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 당기는 회전 핀(pin)(296a, 29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 핀(292a, 292b)은 하부 캠(276)에 연결되어 하부 캠(276)과 같이 직선 운동하며, 고정 핀(294a, 294b)은 케이스(10)에 결합된 채로 구동 핀(292a, 292b)이 직선 운동하는 경우에 레버부(290a, 290b) 전체의 회전 중심 역할을 하며, 회전 핀(296a, 296b)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배면 하측에 형성된 레버 돌기(190)와 접촉하면서 레버부(290a, 290b)의 회전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를 서브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 당겨서 양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갭(gap)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레버부(290a, 290b)가 회전하면 회전 핀(296a, 296b)은 레버 돌기(190)에 걸리게 되고, 결국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를 서브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 당기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업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I - I'에서 바라본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업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a 내 지 도 8d는 도 1의 II - II'에서 바라본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업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9b는 도 1의 III - III'에서 바라본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업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도 7a,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딩 다운(dowm) 된 상태에서 서브 디스플레이부(2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화면 만 사용자는 볼 수 있다. 즉, 케이스(10)의 상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 만 배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6b, 도 7b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 방향으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를 슬라이딩 업 시키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의 힘과 스프링(180a, 180b) 탄성력의 상호 작용을 통해 슬라이딩 업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메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딩 업 되면 제어부(미도시)가 모터(281)를 작동시키게 되고, 모터(281)의 구동력이 동력 전달부(283)를 통해 전달되어 하부 캠(276)이 직선 운동하게 된다. 하부 캠(276)이 직선 운동하면 상부 캠(273)의 경사면(274a, 274b)이 하부 캠(276)의 경사면(277a, 277b)을 타고 올라 가게 되고, 결국에 서브 디스플레이부(200)는 "X"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도 6c, 도 8c 및 도 9b)
이때 서브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하는 동시에, 하부 캠(276)의 직선 운동은 레버부(290a, 290b)를 고정 핀(294a, 294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한다. 그러 면, 레버부(290a, 290b)의 회전 핀(296a, 296b)은 레버 돌기(190)와 접촉하면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를 서브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도 8c에서 발생하던 갭(g)은 사라지게 된다(도 8d), 결국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00)는 상하로 배치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00)는 나란히 배치되어 케이스(1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레버부(290a, 290b)를 구성요소로 채택함으로써 서브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승 시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와의 사이에서 갭(g)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와 서브 디스플레이부(200)를 하나의 화면으로 이용함에 있어 이질감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업 다운에 따른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의 동작 모드 변경을 설명한다.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의 동작 모드는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 모드와, 사진 또는 동영상이 화면 상에서 재생되는 재생 모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게임을 벌이는 게임 모드를 포함하게 된다.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딩 다운(down)된 상태에서는 촬영 모드로 동작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딩 업(up)된 상태에서는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를 휴대하고 다니며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을 하게 되는 때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은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딩 다운 된 상태에서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는 촬영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이미 찍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재생시켜 보거나,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클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딩 업 된 상태에서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는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특히 게임 모드로 게임을 하는 경우에, 서브 디스플레이부(200)의 화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버튼(button) 아이콘이 생성되도록 하면, 게임을 넓은 화면에서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2인용 게임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는 촬영 모드로 동작 하던 중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슬라이딩 업(up)시키면, 자동으로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 모드가 전환된다.
그리고,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는 전체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00)를 슬라이딩 업(up) 시키면, 전체 전원이 자동으로 온(on)되면서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는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또,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1)는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 하던 중 메인 디스플레이부(1)를 슬라이딩 다운(down) 시키면, 자동으로 전체 전원이 오프(off)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 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내부의 승하강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업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I - I'에서 바라본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업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1의 II - II'에서 바라본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업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도 1의 III - III'에서 바라본 메인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딩 업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10 : 케이스
100 : 메인 디스플레이부 130 :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
200 : 서브 디스플레이부 230 :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290a, 290b : 레버부

Claims (21)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향해 승강하거나, 상기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하강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 상에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 캠과, 상기 상부 캠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부는 상기 하부 캠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하부 캠에 결합되는 구동 핀(pin)과,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고정 핀(pin)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서브 디스플레이부 측으로 당기는 회전 핀(p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핀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배면 하측에 형성된 레버 돌기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캠 및 하부 캠 각각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캠은 상기 하부 캠의 직선 운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캠은 상기 하부 캠을 직선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하부 캠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복수개의 기어와 스크류(scre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에 직접 연결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회전축이 직교하도록 맞물리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회전축을 공유하며 회전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와 회전축이 직교하도록 맞물리는 제3기어와, 상기 제3기어와 회전축을 공유하며 상기 하부 캠에 구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제2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슬라이딩 조작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그 배면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케이스를 연결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배면 양측에 슬라이딩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막대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삭제
  15.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서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제2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가 동일 평면 형성시 양자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갭(gap) 생성을 억제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딩 운동과 연동하여 동작 모드가 변경되고,
    상기 동작 모드는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 모드와, 사진 또는 동영상이 화면 상에서 재생되는 재생 모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게임을 벌이는 게임 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하측으로 슬라이딩 다운(down)된 상태에서는 상기 촬영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측으로 슬라이딩 업(up)된 상태에서는 상기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17. 삭제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측으로 슬라이딩 업(up) 시키면, 전원이 자동으로 온(on)되면서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상기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상기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동작 하던 중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하측으로 슬라이딩 다운(down) 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는 상기 촬영 모드로 동작 하던 중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측으로 슬라이딩 업(up)시키면, 상기 재생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상기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KR1020090072694A 2009-08-07 2009-08-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KR101354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94A KR101354217B1 (ko) 2009-08-07 2009-08-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US12/842,089 US20110032175A1 (en) 2009-08-07 2010-07-23 Display apparatus and complex entertain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94A KR101354217B1 (ko) 2009-08-07 2009-08-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30A KR20110015130A (ko) 2011-02-15
KR101354217B1 true KR101354217B1 (ko) 2014-01-22

Family

ID=4353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694A KR101354217B1 (ko) 2009-08-07 2009-08-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32175A1 (ko)
KR (1) KR101354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619A1 (ko) * 2019-11-30 2021-06-03 (주)에이유플렉스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9743B2 (en) 2007-12-19 2014-08-26 Dish Network L.L.C. Transfer of data related to broadcast programming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8780008B2 (en) 2008-06-20 2014-07-15 Dish Network L.L.C. Reinforced mount for an antenna assembly
US9337545B2 (en) 2008-06-20 2016-05-10 Dish Network L.L.C. Apparatus and systems for mounting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8462075B2 (en) 2010-02-23 2013-06-11 Dish Network L.L.C. Apparatus for mounting an object to a railing
US8802985B2 (en) 2011-09-07 2014-08-12 Dish Network L.L.C. In-wall extension apparatus
WO2013062224A1 (ko) * 2011-10-26 2013-05-02 Song Min Seob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US9123987B2 (en) 2012-07-31 2015-09-01 Dish Network L.L.C. Antenna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415471B1 (ko) * 2012-08-03 2014-08-06 유국일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KR101312639B1 (ko) * 2013-03-21 2013-09-27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지피에스 측정값과 촬영이미지 합성을 통한 좌표별 영상도화 작성시스템
KR101313332B1 (ko) * 2013-03-21 2013-09-27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동일지역의 유사촬영이미지가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시스템
CN104635840A (zh) * 2013-11-06 2015-05-20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220002775A (ko) * 2020-06-30 2022-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46223B (zh) * 2020-10-22 2021-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具多螢幕的可攜式電子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318A (ko) * 2006-01-09 2007-07-12 주식회사 팬택 디스플레이 화면의 확장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
KR20080025258A (ko) * 2006-09-15 2008-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90118765A (ko) * 2008-05-14 2009-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5212A (en) * 1984-12-07 1986-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ft device of the scissor-jack type
JP2005210649A (ja) * 2004-01-26 2005-08-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KR20050100478A (ko) * 2004-04-14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슬라이딩 팝-업 타입 표시 장치를 구비한 휴대 통신장치
TWI260193B (en) * 2005-04-15 2006-08-11 Benq Corp Mobile device
US8072427B2 (en) * 2006-05-31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CN101252607A (zh) * 2007-02-25 2008-08-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带有扩展显示屏的滑盖式手机
US20090005135A1 (en) * 2007-06-29 2009-01-01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lide mechanism
US8121640B2 (en) * 2009-03-19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Dual module portable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318A (ko) * 2006-01-09 2007-07-12 주식회사 팬택 디스플레이 화면의 확장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
KR20080025258A (ko) * 2006-09-15 2008-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90118765A (ko) * 2008-05-14 2009-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619A1 (ko) * 2019-11-30 2021-06-03 (주)에이유플렉스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2175A1 (en) 2011-02-10
KR20110015130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2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JP4699288B2 (ja) 遊技機の可動式演出装置
JP5140137B2 (ja) 遊技機
JP5069781B2 (ja) 遊技機
JP5701580B2 (ja) 遊技機
JP4754389B2 (ja) 遊技機用の可動式演出装置
KR20150018339A (ko) 디스플레이장치
JP4699290B2 (ja) 遊技機における可動式演出装置
JP2012100866A (ja) 遊技機
JP2009136444A (ja) 遊技機の演出装置
TW200843499A (en) Elevation adjust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2032756A (ja) 昇降装置
JP2013526974A (ja) ネイルアート装置
CN107289242A (zh) 一种超薄液晶显示器升降一体机
KR200394805Y1 (ko) 테이블용 디스플레이 승강장치
JPH10314371A (ja) 遊戯機のシンボル表示装置
JP4699289B2 (ja) 遊技機の可動式演出装置
JP5288125B2 (ja) 遊技機の可動装飾装置
JP2015223374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押しボタンユニットおよび遊技機
KR100740258B1 (ko)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
CN101185602B (zh) 视力训练仪
CN2905149Y (zh) 自动纸质扑克牌机的转盘升牌装置
CN1955016A (zh) 趣味摆饰物
KR200364298Y1 (ko) 모니터 승강장치
JP5028510B2 (ja) 装飾体ユニット、遊技盤ユニット、及びパチンコ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