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77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775A
KR20220002775A KR1020200080254A KR20200080254A KR20220002775A KR 20220002775 A KR20220002775 A KR 20220002775A KR 1020200080254 A KR1020200080254 A KR 1020200080254A KR 20200080254 A KR20200080254 A KR 20200080254A KR 20220002775 A KR20220002775 A KR 2022000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se
screw
mo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775A/ko
Priority to US17/221,828 priority patent/US11644867B2/en
Priority to CN202110683562.0A priority patent/CN113871424A/zh
Publication of KR2022000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와 결합되고 제1 방향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나사를 포함하는 제1 구동모듈, 상기 제1 나사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나사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모터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나사를 포함하는 제2 구동모듈 및 상기 제2 나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나사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모터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량이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모듈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딩되거나 인입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기본 모드와 확장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기본 모드에서 플렉서블 표시 모듈의 일부는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케이스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인입된 나머지 부분들은 확장 모드에서 인출되어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모듈을 확장 또는 축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이 저감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와 결합되고 제1 방향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나사를 포함하는 제1 구동모듈, 상기 제1 나사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나사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모터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나사를 포함하는 제2 구동모듈 및 상기 제2 나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나사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모터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제1 구동모듈이 고정 결합된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일단이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 상기 제2 모터와 각각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인입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시키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제2 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표시 모듈이 결합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모듈이 상기 제2 모터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슬라이딩모듈이 상기 제2 모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모듈 및 상기 제2 구동모듈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모듈의 상기 제1 부분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구동모듈들의 상기 제2 나사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부분들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2 나사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를 상기 제1 나사와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모듈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의 나사산의 방향과 상기 제2 나사의 나사산의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와 상기 제2 나사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단은 상기 제2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표시 모듈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상태에서 늘어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외부로 상시 노출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고, 제1 상태에서 상기 외부로부터 감춰지고 제2 상태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수용하고,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에 슬라이딩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슬라이딩 동작과 함께 상기 표시 모듈을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변환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을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인출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벽에 고정된 제1 구동모듈 및 상기 제1 구동모듈에 상기 제1 구동모듈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제2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구동모듈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모듈은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에 결합되고 제1 방향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모듈은 상기 제1 나사와 결합된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구동모듈이 상기 제1 구동모듈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구동모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구동모듈이 상기 제1 구동모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구동모듈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의 나사산의 방향과 상기 제2 나사의 나사산의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일단이 상기 제2 나사와 연결된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롤러봉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봉은 상기 연결봉이 상기 제2 구동모듈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을 인출시키고, 상기 연결봉이 상기 제2 구동모듈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을 인입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일측벽과 대향하는 타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 모듈의 확장 또는 축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모터들과 복수의 모터들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나사들을 통해 구동되어 기존의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에 비하여 구동의 신뢰성이 높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제1 상태의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b는 제2 상태의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른 표시 장치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확장이 가능한 확장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확장형 표시 장치 중 슬라이더블(slidable) 표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는 케이스(CS)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표시 모듈(DM)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케이스(CS) 및 표시 모듈(DM)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포함한다. 제1 상태는 표시 모듈(DM)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이고, 제2 상태는 표시 모듈(DM)이 확장된 상태이다. 즉, 제2 상태의 표시 장치(DD-1)는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 영역(DA)의 크기가 제1 상태의 표시 장치(DD-2)보다 크다.
표시 모듈(DM)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모듈(DM)에는 표시 영역(DA)이 정의되고 표시 영역(DA)은 제1 영역(DA1) 및 제2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케이스(CS)에 고정되어 제1 방향(DR)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DM)의 일단은 제1 케이스(CS1) 또는 제2 케이스(CS2)에 고정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플렉서블(flexible) 표시 모듈일 수 있다. 제1 영역(DA1)은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제2 영역(DA2)은 제2 상태에서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CS)는 표시 모듈(DM)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CS)는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C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CS)는 제1 케이스(CS1)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케이스(CS1)는 아웃(out) 케이스이고, 제2 케이스(CS2)는 인(in) 케이스일 수 있다. 즉, 제2 케이스(CS2)는 제1 케이스(CS1)의 안쪽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1 상태의 표시 장치(DD-1)는 제1 영역(DA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영역(DA2, 도1b 참조)은 케이스 내부에 감춰져 있다. 즉, 제1 상태의 표시 장치(DD-1)는 제1 영역(DA1)만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제1 상태의 표시 장치(DD-1)는 케이스(CS)가 닫힌 상태이고, 구체적으로는 제2 케이스(CS2)가 제1 케이스(CS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2 상태의 표시 장치(DD-2)의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DA1) 및 제2 영역(DA2)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 장치(DD-2)의 제2 상태에서 제1 영역(DA1) 및 제2 영역(DA2)을 모두 볼 수 있다. 제2 상태의 표시 장치(DD-2)는 케이스(CS)가 열린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 상태는 제2 케이스(CS2)가 제1 케이스(CS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표시 장치의 제2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표시 장치의 제2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케이스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표시 모듈(DM, 도 1a 및 도 1b 참조)은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도 2a 및 도 2 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1, DD-2)는 케이스(CS)의 내부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1 구동모듈(100), 제2 구동모듈(200) 및 슬라이딩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표시 장치(DD)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장치(DD)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사용자에 의한 표시 모듈(DM)의 확장 명령이 입력되면, 구동부는 표시 장치(DD)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표시 모듈(DM)의 축소 명령이 입력되면, 구동부는 표시 장치(DD)를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구동부는 제1 구동모듈(100) 및 제2 구동모듈(200)을 구동시키고 슬라이딩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표시 장치(DD)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모듈(100)과 제2 구동모듈(200)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제2 구동모듈(200)은 제1 구동모듈(100)과 연결되고 제1 구동모듈(100)의 동작에 따라 제1 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2 구동모듈(200)은 제1 구동모듈(100)과 동시에, 별도로 동작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듈(300)은 제2 구동모듈(200)의 동작에 따라 제1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2 구동모듈(200)과 슬라이딩모듈(300)의 이동에 따라, 표시 장치(DD)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제1 구동모듈(100)은 제1 케이스(CS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동모듈(100)은 제1 케이스(CS1)의 제2 방향(DR2)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구동모듈(100)은 제1 모터(110) 및 제1 나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사(120)는 제1 모터(110)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계적으로 결합함은 단순한 물리적인 결합과 다른 의미로, 제1 모터(110)의 동작이 제1 나사(120)의 동작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모터(110)는 일단에 결합된 제1 나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나사(120)는 일단이 제1 모터(110)에 결합되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나사(120)는 볼트와 스크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나사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나사(120)는 본체와 본체상에 배치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모듈(200)은 제2 모터(210) 및 제2 나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사(220)는 제2 모터(210)에 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모터(210)는 제2 나사(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나사(220)는 일단이 제2 모터(210)에 결합되고, 제1 방향(DR1)에서 제1 나사(120)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나사(220)는 본체와 본체에 배치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사(220)의 나사산의 방향을 제1 나사(120)의 나사산의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사(120)가 왼 나사일 경우 제2 나사(220)는 오른 나사에 해당할 수 있고, 그 반대일 수 있다.
제2 모터(210)는 제1 나사(120)에 고정되고 제1 나사(120)의 회전동작에 따라 제1 방향(DR1)에서 제1 모터(1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모터(210)는 제2 나사(22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부(212) 및 모터부(212)를 제1 나사(12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212)의 일 단에는 제2 나사(220)가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모터부(212)는 일 단에 결합된 제2 나사(22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부(212)는 연결부(214)에 제2 방향(DR2)에서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14)는 제1 나사(120)에 제2 구동모듈(200)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214)는 제1 나사(120)의 외측면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골을 내측면에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14)는 너트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나사(120)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214)는 제1 모터(1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이동하고, 그에 따라 모터부(212)도 같이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구동모듈(200)은 제1 케이스(CS1)의 측벽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구동모듈(200)의 연결부(214)는 안쪽에서 제1 나사(120)와 결합하고 바깥쪽에서 제1 케이스(CS1)의 내측벽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듈(300)은 제2 나사(220)와 결합되어 제2 나사(22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2 모터(210)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300)은 제1 부분(310), 제2 부분(320) 및 제3 부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듈(300)은 롤러를 포함하는 경우 롤러부(300)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부분(310)은 제2 나사(2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분(310)은 제1 방향(DR1)을 연장되는 연결봉(310)일 수 있다. 제1 부분(310)의 내측면에는 제2 나사(220)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골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310)은 제2 나사(220)의 회전에 따라 제1 방향(DR1)에서 제2 모터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부분(31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부분(320)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320)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320)은 롤러봉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부분(320)에는 표시 모듈(DM)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의 수평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표시 모듈(DM)을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부분(320)은 롤러의 회전 동작을 통해,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DA2)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내부로 감출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표시 모듈(DM)은 슬라이딩모듈(300)이 제2 모터(2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고, 슬라이딩모듈(300)이 제2 모터(2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케이스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부분(320)은 제2 케이스(CS2)에 슬라이딩모듈(300)을 고정시키는 고정봉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분(320)은 제2 케이스(CS2)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 모듈(DM)의 일 단은 제2 부분(3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롤러(미도시)는 별도로 제1 케이스(CS1)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미도시)는 제1 케이스(CS1)의 일단에 결합되고, 슬라이딩모듈(300)의 이동에 따라 표시 모듈(DM)을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미도시)는 회전을 통해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내부로 감출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은 상시 외부로 노출된다.
제3 부분(330)은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부분(330)은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3 부분(330)은 동시에 제2 케이스(CS2)에 연결될 수 있다. 결국, 제3 부분(330)은 제2 케이스(CS2)에 슬라이딩모듈(300)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모듈(300)은 제2 케이스(CS2)에 결합되어, 제2 케이스(CS2)가 제1 케이스(CS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모터(210)로부터 멀어지고, 제2 케이스(CS2)가 제1 케이스(CS1)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모터(210)로부터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제1 상태의 표시 장치(DD-1)를 보여주고, 도 3b는 제2 상태의 표시 장치(DD-2)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제1 구동모듈들 및 복수 개의 제2 구동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구동부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부는 케이스(CS)의 일측벽에 고정될 수 잇다. 제2 구동부는 일측벽과 대향하는 타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는 각각 제1 구동모듈(100, 100-1) 및 제2 구동모듈(200, 20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는 슬라이딩모듈(300) 또는 롤러부(300)를 공유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듈(300)은 제1 부분(310, 310-1), 제2 부분(320) 및 제3 부분(330, 33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는 제2 부분(320)을 공유할 수 있다. 제1 부분들(310, 310-1) 및 제3 부분들(330, 330-1)은 제2 부분(320)의 양 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b에서, 제1 나사(120)와 제2 나사(220)의 나사산의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제2 구동모듈(200)은 제1 나사(120)의 제1 방향(DR1)의 길이(LH1)에 비례해서 이동하고, 슬라이딩모듈(300)은 제2 나사(220)의 제2 방향(DR1)의 길이(LH2)에 비례해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듈(300)의 총 이동 거리는 제1 나사(120)의 길이(LH1)과 제2 나사(220)의 길이(LH2)를 합한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슬라이딩모듈(300)의 총 이동 거리는 제2 케이스(CS2)의 슬라이딩 거리(LH3)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사(120)의 길이(LH1)와 제2 나사(220)의 길이(LH2)를 합하면 제2 케이스(CS2)의 슬라이딩 거리(LH3)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나사(120)의 제1 방향(DR1)의 길이(LH1)와 제2 나사(220)의 제1 방향(DR1)의 길이(LH2)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1, DD-2)는 탄성부재(SR)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SR)는 용수철 또는 스프링에 해당할 수 있다.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SR)의 일단은 제2 케이스(CS2)에 고정되고 타단은 표시 모듈(DM)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SR)는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2개의 탄성부재들(SR)의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탄성부재들(SR)이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준다.
도 4a는 제1 상태의 표시 장치(DD-1)를 보여주고, 도 4b는 제2 상태의 표시 장치(DD-2)를 보여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4b는 슬라이딩모듈(300)의 제1 방향(DR1)의 이동을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는 표시 모듈(DM)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보여준다.
도 4a에서, 제1 상태의 표시 장치(DD-1)에서, 표시 모듈(DM)은 제1 영역(DA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DD-1)는 제1 영역(DA1)을 통해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DA2)은 슬라이딩모듈(300, 이하, 롤러부)의 제2 부분(320)의 롤러를 통해 인입되어 케이스(CS)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도 4b에서, 제2 상태의 표시 장치(DD-2)는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DA1) 및 제2 영역(DA2)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2)는 제1 영역(DA1)과 제2 영역(DA2)을 통해 사용자에게 확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롤러부(300)는 제2 케이스(CS2)와 결합된다. 제2 케이스(CS2)가 제2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롤러부(300)도 제1 케이스(CS)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부(300)는 제2 구동모듈(200)이 제1 구동모듈(1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구동모듈(20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구동모듈(200)이 제1 구동모듈(10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롤러부(300)는 제2 구동모듈(20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구동모듈(200)과 롤러부(300)는 제1 방향(DR1)에서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부(300)의 이동 거리는 제2 구동모듈(200)의 이동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롤러부(300)는 연결봉(310) 및 롤러봉(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봉(310)은 제2 나사(220)와 연결되고 제2 나사의 회전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롤러봉(320)은 표시 모듈(DM)과 결합한다. 롤러봉(320)은 연결봉(31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표시 모듈(DM)을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봉(320)는 연결봉(310)이 제2 구동모듈(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DA2)을 인출시킨다. 롤러봉(320)은 연결봉(310)이 제2 구동모듈(200)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DA2)을 인입시킨다.
탄성부재(SR)는 탄성력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탄성부재(SR)의 일단은 제1 케이스(CS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CS2)의 일단과 결합한다. 탄성부재(SR)의 상기 일단과 반대방향의 타단은 제2 케이스(CS2)의 내부에 위치하는 표시 모듈(DM)의 일단에 결합한다. 표시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되면 탄성부재(SR)는 늘어나고, 탄성력에 의해 표시 모듈(DM)을 제1 방향(DR1)에서 끌어당긴다. 표시 모듈(DM)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탄성부재(SR)의 탄성력에 의해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변환 과정에서도 탄성부재(SR)의 탄성력에 의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SR)는 표시 장치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환되면 줄어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부(TSP), 터치 감지부(TSP) 상에 배치된 윈도우(WIN), 및 터치 감지부(TSP)와 윈도우(WIN)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OC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들이 표시 패널(DP)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화소층(PXL)을 덮도록 기판(SUB)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투명한 기판으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들과 무기층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외부의 입력(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 펜 등)을 감지하여 소정의 입력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 모듈(DM)의 제조시,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 패널(DP)과는 별도의 터치 패널로 제조되고, 접착제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레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 및 터치 감지부(TSP)를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접착제(OCA)에 의해 터치 감지부(TSP)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OCA)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IN)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E1), 제2 전극(E2), 및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O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애노드일 수 있으며, 제2 전극(E2)은 캐소드일 수 있다.
화소(PX)는 화소 영역(PA) 및 화소 영역(PA) 주변의 비화소 영역(NP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화소 영역(PA)에 배치되고, 트랜지스터(TR)는 비화소 영역(NPA)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되며, 버퍼층(BFL)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층(SM)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SM)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 또는 다결정질(Poly) 실리콘과 같은 무기 재료의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SM)은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도체층(SM)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SM)을 덮도록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 반도체층(SM)과 중첩하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층(SM)의 채널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을 덮도록 제1 절연층(INS1) 상에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층간 절연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1 컨택홀(CH1)을 통해 반도체층(SM)의 소스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2 컨택홀(CH2)을 통해 반도체층(SM)의 드레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도록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은 평평한 상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층(INS3)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3 컨택홀(CH3)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PX_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PX_OP) 내에서 제1 전극(E1) 상에 유기 발광층(OEL)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생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층(OEL) 상에 제2 전극(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화소(PX)를 덮도록 유기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과 박막 봉지층(TFE) 사이의 층은 화소층(PXL)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압(ELVDD)이 제1 전극(E1)에 인가되고, 제2 전압(ELVSS)이 제2 전극(E2)에 인가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발광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구조를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화소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DA1: 제1 영역
DA2: 제2 영역
CS: 케이스
100: 제1 구동모듈
110: 제1 모터
120: 제1 나사
200: 제2 구동모듈
210: 제2 모터
220: 제2 나사
300: 슬라이딩모듈

Claims (20)

  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와 결합된 제1 나사를 포함하는 제1 구동모듈;
    상기 제1 나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모터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결합된 제2 나사를 포함하는 제2 구동모듈; 및
    상기 제2 나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모터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제1 구동모듈이 고정 결합된 제1 케이스; 및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일단이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 상기 제2 모터와 각각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시키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제2 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표시 모듈이 결합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모듈이 상기 제2 모터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슬라이딩모듈이 상기 제2 모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롤러에 의해 인출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모듈 및 상기 제2 구동모듈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모듈의 상기 제1 부분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구동모듈들의 상기 제2 나사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부분들과 각각 결합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2 나사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를 상기 제1 나사와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모듈은 제1 방향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의 나사산의 방향과 상기 제2 나사의 나사산의 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의 제1 방향의 길이와 상기 제2 나사의 제1 방향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2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표시 모듈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상태에서 늘어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는 제1 방향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나사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으로 연장된 표시 장치.
  15. 외부로 상시 노출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고, 제1 상태에서 상기 외부로부터 감춰지고 제2 상태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수용하고,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에 슬라이딩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슬라이딩 동작과 함께 상기 표시 모듈을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변환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인출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벽에 고정된 제1 구동모듈; 및
    상기 제1 구동모듈에 상기 제1 구동모듈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제2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구동모듈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모듈은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에 결합되고 제1 방향에서 일 측으로 연장된 제1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모듈은 상기 제1 나사와 결합된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으로 연장된 제2 나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구동모듈이 상기 제1 구동모듈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구동모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구동모듈이 상기 제1 구동모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구동모듈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의 나사산의 방향과 상기 제2 나사의 나사산의 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일단이 상기 제2 나사와 연결된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롤러봉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봉은 상기 연결봉이 상기 제2 구동모듈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을 인출시키고, 상기 연결봉이 상기 제2 구동모듈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일측벽과 대향하는 타측벽에 고정되는 표시 장치.
KR1020200080254A 2020-06-30 2020-06-30 표시 장치 KR20220002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54A KR20220002775A (ko) 2020-06-30 2020-06-30 표시 장치
US17/221,828 US11644867B2 (en) 2020-06-30 2021-04-04 Display device
CN202110683562.0A CN113871424A (zh) 2020-06-30 2021-06-2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54A KR20220002775A (ko) 2020-06-30 2020-06-30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75A true KR20220002775A (ko) 2022-01-07

Family

ID=7898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254A KR20220002775A (ko) 2020-06-30 2020-06-3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44867B2 (ko)
KR (1) KR20220002775A (ko)
CN (1) CN1138714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54433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30S (ko) * 2019-04-10 2021-11-08
JP1653373S (ja) * 2019-07-11 2020-02-25 携帯電話機
JP1663170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69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71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74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80S (ja) * 2019-09-19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468S (ja) * 2019-09-25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63465S (ja) * 2019-09-25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63479S (ja) * 2019-10-24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74248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74247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73958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63663S (ja) * 2019-11-07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73957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63667S (ja) * 2019-11-12 2020-07-13 携帯電話機
JP1663665S (ja) * 2019-11-12 2020-07-13 携帯電話機
EP4187351A4 (en) * 2020-10-12 2024-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WO2022119337A1 (ko) * 2020-12-02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5143348B (zh) * 2021-03-31 2024-05-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支撑装置、显示模组及终端设备
US11997805B2 (en) * 2021-04-20 2024-05-28 Lepton Computing Llc. Machine learning and wireless control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ctuator
US11526198B1 (en) * 2021-07-29 2022-1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Rollable displays with tension controls
CN114138059A (zh) * 2021-08-02 2022-03-0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723163B1 (en) * 2022-03-01 2023-08-08 Motorola Mobility Llc Sliding electronic devices with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having rigidly coupled foldable substrates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14673907B (zh) * 2022-03-23 2023-08-08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支撑组件
US11797050B2 (en) * 2022-03-28 2023-10-24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device housings and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corresponding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17B1 (ko) * 2009-08-07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US8711566B2 (en)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9829925B2 (en) * 2014-05-21 2017-11-28 Youseob Lim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roller that rotates by unfolding operation-force of user
KR101758835B1 (ko) 2014-07-24 2017-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KR102292515B1 (ko) 2015-04-24 2021-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6982B1 (ko) 2015-05-29 2021-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KR101848891B1 (ko) * 2016-01-04 2018-04-16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KR102591365B1 (ko) 2016-09-12 2023-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631840B1 (ko) 2016-10-06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389189B1 (ko)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TWI660133B (zh) * 2018-06-22 2019-05-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伸縮調整裝置
KR102588619B1 (ko) * 2018-07-1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9502B1 (ko) * 2018-10-30 202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165897B2 (en) * 2019-02-14 2021-11-02 Lg Electronics Inc. Roll-slide mobile terminal
EP3942786A4 (en) * 2019-03-18 2022-1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US11071218B2 (en) * 2019-04-10 2021-07-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sliding expandable displays
WO2020211948A1 (en) * 2019-04-18 2020-10-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Rolling display arrangement for electronic device
WO2020256183A1 (ko) * 2019-06-19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41160A1 (ko) * 2020-01-0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49838A1 (ko) * 2020-01-20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3840482B (zh) * 2020-06-04 2022-09-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44867B2 (en) 2023-05-09
CN113871424A (zh) 2021-12-31
US20210405696A1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2775A (ko) 표시 장치
US11029733B2 (en) Display device
US11297723B2 (en) Display device
US11102339B2 (en) Display device
US11140790B2 (en) Display device
US11106239B2 (en) Display device
US11594708B2 (en) Display device
CN111276045B (zh) 显示装置
US11245092B2 (en) Display device
CN111128012B (zh) 显示装置
US12022627B2 (en) Display device
US20230350462A1 (en) Display device
CN112310156A (zh) 显示设备
CN115117124A (zh) 显示面板和包括显示面板的显示设备
KR20210109086A (ko) 표시 장치
US20230309248A1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