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258B1 -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 - Google Patents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258B1
KR100740258B1 KR1020060075088A KR20060075088A KR100740258B1 KR 100740258 B1 KR100740258 B1 KR 100740258B1 KR 1020060075088 A KR1020060075088 A KR 1020060075088A KR 20060075088 A KR20060075088 A KR 20060075088A KR 100740258 B1 KR100740258 B1 KR 100740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abinet
slide body
rolle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박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수 filed Critical 박광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47B81/061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 A47B81/064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8Control conso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티브이(TV: 텔레비젼)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티브이가 장식장 내부로 몰입되어 감추어지고, 장식장의 상부로 노출되어 티브이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므로 티브이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하고, 티브이가 설치되는 벽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티브이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티브이가 장식장의 내부로 몰입되어 감추어지도록 하고, 티브이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장식장의 상부로 노출시켜 시청할수 있도록 함으로 티브이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하고, 티브이가 설치되는 벽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티브이 승하강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을 제공함과,
본 발명은 전면에 수납공간이 구획되는 장식장과 장식장 이면에 티브이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공간에 티브이와 연결되어 티브이를 공간의 내부로 몰입되게 하는 동시에 외부로 티브이를 노출시킬 수 있게 하는 티브이 승하강장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으로 한다.
장식장, 티브이, 승하강장치

Description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 {TV Rack draw ing out system}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중요부인 티브이 승하강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장치의 발취된 측면도.
(b)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장치를 구비한 사용상태의 측면도.
도 4 의 (a)(b)는 본 발명의 따른 장식장의 후면 내부를 도시한 작동상태의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회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승하강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장식장 3;티브이 4;승하강장치
5;와이어 10;공간 11;수납공간
12; 레일홈 13;입구 14;덮개
20;슬라이드체 21;브라켓트 40,40-1;모터
41;권취롤러 42;축 42-1;롤러브라켓트
43,44아이들롤러 45,46,45-1;고정롤러 47;고정단
120,121;하강리미터SW 140,141;상승리미터SW 150;전원SW
160;아답타
본 발명은 티브이(TV: 텔레비젼)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티브이가 장식장 내부로 몰입되어 감추어지고, 장식장의 상부로 노출되어 티브이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므로 티브이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하고, 티브이가 설치되는 벽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브이는 시청자와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거실 또는 방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하여 시청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PDP 또는 LCD 와 같은 박판형 티브이의 경우에는 별도의 장식장 없이 거실의 벽면에 걸어 설치함으로써 시청자와의 눈높이를 맞추고 또는 바닥면에 세워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티브이를 벽면에 걸어 설치시키는 경우 항상 티브이가 벽면을 가리고 있어 실내 인테리어의 변화에 한계가 있고, 외부에 노출된 티브이가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린이가 있는 가정의 경우에는 아이들의 장난 즉, 공놀이 또는 비비탄 등이 발사되는 장난감 총을 이용한 놀이시에 티브이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특히, PDP 또는 LCD 와 같은 박판형 티브이의 경우 발사된 비비탄이 화면에 충돌되는 경우 그 고장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그리고 항시 티브이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 무의식중에도 티브이를 켜게 되어 자녀들의 학습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가족간에도 대화의 시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티브이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티브이가 장식장의 내부로 몰입되어 감추어지도록 하고, 티브이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장식장의 상부로 노출시켜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 티브이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하고, 티브이가 설치되는 벽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티브이 출몰 승하강장치를 가지는 장식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전면에 수납공간이 구획되는 장식장과 장식장 이면에 티브이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공간에 티브이와 연결되어 티브이를 공간의 내부로 몰입되게 하는 동시에 외부로 티브이를 노출시킬 수 있게 하는 티브이 승하강장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중요부인 티브이 승하강장치를 발췌한 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장치의 발취된 측면도 (b)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장치를 구비한 사용상태의 측면도 및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따른 장식장의 후면 내부를 도시한 작동상태의 설명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디브이디(DVD), 씨디플레이어(CDP), 책 등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1)이 구획되는 장식장(1)과 이 장식장(1)의 이면에 티브이(3)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공간(10)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10)의 내부에 티브이(3)가 고정되어 티브이(3)를 공간(10)의 내부로 몰입되게 하는 동시에 공간(10)의 외부로 티브이(3)를 노출시킬 수 있게 하는 티브이 승하강장치(4)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간(10)의 상부 즉, 장식장(1)의 상면에 티브이(3)가 출입하는 출입구(13)를 형성시키고, 상기 출입구(13)에 덮개(14)를 설치시켜 티브이(3)가 공간(10)의 내부에 보관되는 경우에는 덮개(14)가 출입구(13)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티브이 승하강장치(4)는 공간(10)의 양측벽면에 형성되는 레일 홈(12)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게 설치되는 슬라이드체(20)와; 상기 슬라이드체(20)에 고정 설치되어 티브이(3)의 이면과 결합되는 브라켓트(21)와; 슬라이드체(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장치(4)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장치(4)는 구동 모터(40,40-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와이어(5)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롤러(41)와; 슬라이드체(20)의 일측면에 축(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5)가 권선되는 한쌍의 제 1, 제2 아이들롤러(43)(44)와; 공간(10)의 양측벽체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와이어(5)가 권선되는 제 1, 제 2 고정롤러(45)(46)와; 와이어(5)의 일단을 공간의 내부 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단(47)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체(20)의 이동 경로 상에 슬라이드체(20)의 상한 높이와 하한높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0,40-1)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상승리미터SW(140, 141), 하강리미터SW(120, 121)를 각각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권취롤러(41)와 제 1 고정롤러(45)를 거처 제 1아이들롤로(43)와 제 2고정롤러(46) 그리고 다시 제 2아이들롤러(44)를 거친 후 고정단(47)에 고정되는 와이어(5)를 구동모터(40,40-1)의 권취롤러(41)에 의하여 와이어(5)를 당김과 풀림 함으로써 제 1,2아이들롤러(43,44)를 고정한 슬라이드체(20)를 승하강 시키도록 하는 구성이 공간의 양측벽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4a, 4b로 도시된 본 발명의 승강장치의 구성과 도 5의 전기 회로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식장(1), 슬라이드체(20), 모터(40,40-1), 상승리미터SW(140, 141), 하강리미터SW(120, 121), 다이오드D10, D11, D20, D21 및 승하강장치(4)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는 장식장(1)과, 상기 장식장(1)으로부터 상하로 승강되는 슬라이드체(20)를 갖는다.
모터(40,40-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승하강장치(4)은 상기 모터(40,40-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으로 상기 슬라이드체(20)를 상하로 이송시킨다.
전원SW(150)는 DC전원을 상기 모터(40,40-1)에 공급하고, 상승리미터SW(140, 141)는 상기 전원SW(1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모터(40,40-1)가 구동되고, 상기 슬라이드체(20)가 상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모터(40,40-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하강리미터SW(120, 121)는 상기 슬라이드체(20)가 하사점에 도달하였을때 상기 모터(40,40-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상승리미터SW(140, 141)와, 하강리미터SW(120, 121)는 각각의 다이오드D10, D11, D20, D21가 병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DC모타 2개(40,40-1)를 병렬로 사용하여 구동하는 방식으로, DC모타(40,40-1)의 특성상 전압의 변동에 의한 회전수의 변동으로, 어느 한쪽 모터(40,40-1)에 부하가 더 걸려 속도가 줄어들면 다른쪽 모타(40,40-1)에 가하는 전압도 강하되어 모타(40,40-1)의 회전수는 같게 된다. 이때에 모타(40,40-1)의 특성이나 선로저항 등 제반여건이 동일하여야 하며, 때문에 선로의 연결 및 거리등을 대칭으로 하여야 한다.
또한, DC전압을 사용하므로 실리콘 다이오드 D10, D11, D20, D21를 사용하여 배선수를 줄이고 간편하게 회로를 도 5와 같이 구성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답타(160)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DC)으로 변환시키고, 사용자가 전원SW(150)를 상승(A)으로 누르면 선로에는 +,-의 DC전압이 흐르게 되며, 모타(40,40-1)는 정회전을 하면서 슬라이드체(20)가 장식장(1)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이때, 다이오드 D10, D11에는 전원이 흐르지 않지만 상승리미터SW(140, 141)를 통하여 흐르게 되고, 상승이 완료하면 상승리미터SW(140, 141)가 오프되어 전원을 차단하며 멈추게 된다. 이때, 다이오드 D10, D11의 방향이 역으로 전원은 차단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전원SW(150)를 하강(B)으로 누르면, 선로에 흐르는 DC전압은 -,+전압으로 바뀌어 모타(40,40-1)는 역회전하며 하강하게 된다.
이때, 다이오드 D10, D11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며 정상적인 회로구성이 되어 하강하게 되며, 하강이 완료하며 하강리미티SW(120, 121)가 오프되어 전원을 차단하면서 회로를 멈추게 한다. 이때에도 다이오드 D10, D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상기 모터(40,40-1), 상승리미터SW(140, 141), 하강리미터SW(120, 121), 다이오드D10, D11, D20, D21은 모두 대칭으로 배치되어 사용하며, 작동시 이동 오차에 의하여 발란스가 약간 차이나는 것은 A모타(40)와 B모타(40-1)는 각각의 상승리미터SW(140, 141) 및 하강리미터SW(120, 121)의 위치에서 별도로 멈추기 때문에 상단 또는 하단에서 정렬되어 정지시에는 언제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인출장치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실시 예는
상기 승하강장치(4)의 구동 모터(40,40-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와이어(5)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롤러(41)와; 슬라이드체(20)에 수직으로 구성되는 롤러브라켓트(42-1)에 힌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5)가 권선되는 아이들롤러(43-1)와; 공간(10)의 양측벽체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와이어(5)가 권선되는 고정롤러(45-1)와; 와이어(5)의 일단을 공간의 내부 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단(47)으로 구성시켜 구성을 보다 간단히 하였다.
미설명부호 6 은 슬라이드체를 받쳐주는 완충부재이고, 7 은 티브이에 연결되는 각종 케이블이 보관되는 블렉시블한 케이블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조작반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으로 구동모터(40,40-1)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구동모터(40,40-1)가 정회전되면서 와이어(5)가 권취롤러(41)에 감기게 된다.
이에 각각의 아이들롤러(43)(44)에 권선된 와이어(5)가 고정롤러(45)(46)를 거치면서 당겨지게 되고, 티브이(3)가 결합된 슬라이드체(20)가 공간(10)의 양측벽체에 형성된 레이홈(12)에 안내되면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슬라이드체(20)의 상승동작으로 티브이(3)가 출입구(13)에 설치되는 덮 개(14)를 밀어내면서 장식장(1)의 상부로 노출되고, 티브이(3) 전체가 외부로 완전하게 노출되는 시점에서 슬라이드체(20)가 상부의 상승리미터SW(140, 141)와 접촉되면서 구동모터(40,40-1)로의 전원을 차단시킴에 따라 구동모터(40,40-1)의 회전이 정지되어 티브이(3)의 인출동작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티브이의 시청이 완료되어 티브이(3)를 장식장(1)의 공간(10)내로 몰입시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40,40-1)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술 한 바와 같은 상승동작의 역순으로 티브이(3)가 공간(10)의 내부로 몰입되고, 티브이(3)가 공간(10)의 내부로 완전히 몰입되는 시점에서 슬라이드체(20)가 하부의 하강리미터SW(120, 121)와 접촉되면서 구동모터(40,40-1)로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티브이를 장식장의 내부로 몰입시켜 감추고, 티브이를 신청하고자하는 경우에만 장식장의 외부로 티브이를 노출시켜 시청할 수 있게 함으로써, 티브이가 파손되고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티브이의 시청시간을 감소시켜 자녀들의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가족 구성원들간의 대화시간을 늘려 보다 화목한 가정을 가꾸어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티브이를 시청하지 않는 동안에는 티브이가 벽면을 가리지 않음에 따라 벽면에 명화 또는 가족의 사진 등을 걸어 놓을 수 있어 다양한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전면에 수납공간(11)이 구획되고 이면에는 티브이(3)가 보관되는 공간(10)을 갖는 장식장(1);
    상기 공간(10)의 양측 벽면에 형성되는 레일홈(12)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게 설치되는 슬라이드체(20) 및 상기 슬라이드체(20)에 고정 설치되어 티브이(3)의 이면과 결합되는 브라켓트(21)로 구성되는 티브이 인출장치(2);
    상기 슬라이드체(2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아이들롤러(43)(44), 상기 공간(10)의 양측 벽면 상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롤러(45)(46), 상기 슬라이드체(20) 하부쪽의 상기 공간(10) 바닥면 양측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모터(40)(40-1)로 회전되는 한쌍의 권취롤러(41) 그리고 하단은 상기 권취롤러(41)에 감기고 상단은 상기 아이들롤러(43)(44) 및 고정롤러(45)(46)에 감긴 뒤 상기 공간(10)의 양측 벽면 상부에 고정단(47)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와이어(5)를 갖는 승하강장치(4)로 구성되고;
    DC전원을 상기 모터(40)(40-1)로 공급하는 전원SW(150);
    상기 모터(40)(40-1)의 작동으로 상기 슬라이드체(20)가 상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모터(40)(40-1)를 정지시키는 상승리미터SW(140, 141)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체(20)가 하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모터(40)(40-1)를 정지시키는 하강리미터SW(120, 121)를 포함하며;
    상기 상승리미터SW(140, 141)와 하강리미터SW(120, 121)는 각각의 다이오드D10, D11, D20, D21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장치를 구비하는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
KR1020060075088A 2006-06-02 2006-08-09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 KR100740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9884 2006-06-02
KR1020060049884 2006-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258B1 true KR100740258B1 (ko) 2007-07-18

Family

ID=3849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088A KR100740258B1 (ko) 2006-06-02 2006-08-09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2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63B1 (ko) * 2008-08-11 2009-08-12 김갑중 실험실습기기 및 컴퓨터용 모니터가 자동 승하강되는 다목적 실험대
KR101581881B1 (ko) * 2015-07-02 2016-01-04 아이자드 주식회사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KR20220033540A (ko) 2020-09-07 2022-03-17 (주)청도산업 티브이 승,하강장치
CN114627754A (zh) * 2020-12-09 2022-06-14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379Y1 (ko) * 1996-08-01 1999-03-30 박광수 컴퓨터 모니터함의 자동승강장치
KR200320597Y1 (ko) 2003-04-22 2003-07-23 문종국 디스플레이 리프팅 장치
JP2004337430A (ja) 2003-05-16 2004-12-02 Takachiho Koeki Kk ディスプレイ収納装置
KR100493589B1 (ko) 2004-06-14 2005-06-28 (주)가보 벽걸이 티브이용 스탠드의 높이조절 기구
KR200401452Y1 (ko) 2005-08-10 2005-11-17 세일전자 주식회사 액정텔레비젼 수납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379Y1 (ko) * 1996-08-01 1999-03-30 박광수 컴퓨터 모니터함의 자동승강장치
KR200320597Y1 (ko) 2003-04-22 2003-07-23 문종국 디스플레이 리프팅 장치
JP2004337430A (ja) 2003-05-16 2004-12-02 Takachiho Koeki Kk ディスプレイ収納装置
KR100493589B1 (ko) 2004-06-14 2005-06-28 (주)가보 벽걸이 티브이용 스탠드의 높이조절 기구
KR200401452Y1 (ko) 2005-08-10 2005-11-17 세일전자 주식회사 액정텔레비젼 수납케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63B1 (ko) * 2008-08-11 2009-08-12 김갑중 실험실습기기 및 컴퓨터용 모니터가 자동 승하강되는 다목적 실험대
KR101581881B1 (ko) * 2015-07-02 2016-01-04 아이자드 주식회사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KR20220033540A (ko) 2020-09-07 2022-03-17 (주)청도산업 티브이 승,하강장치
CN114627754A (zh) * 2020-12-09 2022-06-14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EP4012490A1 (en) * 2020-12-09 2022-06-1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JP2022091723A (ja) * 2020-12-09 2022-06-21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駆動装置
JP7224425B2 (ja) 2020-12-09 2023-02-1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駆動装置
CN114627754B (zh) * 2020-12-09 2024-04-26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258B1 (ko) 티브이 출몰장치를 가지는 장식장
KR101530169B1 (ko) 케이블릴 콘센트 승강장치
JP2006509419A (ja) Tv受像機の位置制御装置
KR20110066129A (ko) 부분 매립형 트레드밀
CN103399454B (zh) 一种银幕及下卷式机构及其控制方法
KR101015574B1 (ko) 자동 티브이 출몰장치
JP2013505181A (ja) リフト装置
KR20090117163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CN111457202B (zh) 一种场景化互动展示系统和展示方法
KR201500315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6813B1 (ko)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시청각 조절장치
JP2013215428A (ja) 遊技機
CN205118614U (zh) 一种电视机升降架
CN207516874U (zh) 升降采用钢丝绳驱动的内置电脑液晶显示升降一体机
CN210185180U (zh) 一种自动挂画机构
CN214341417U (zh) 一种智能弧形展示墙体
CN109064885A (zh) 超薄显示带话筒同步双升降显示终端机
KR101154270B1 (ko) 자동 티브이 출몰장치
KR200285224Y1 (ko) 칠판의 승강장치
KR200397678Y1 (ko)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시청각 조절장치
CN109099271A (zh) 超薄显示带话筒异步双升降显示终端机
KR20110061769A (ko) 모니터의 수납기능을 갖는 칠판
CN219036045U (zh) 一种地铁站用投影式广告展示装置
CN213849300U (zh) 一种可自动升降讲台
KR20180027085A (ko) 액자 겸용 모니터를 가능하도록 구비된 모니터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