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098B1 - 적재함 - Google Patents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098B1
KR101354098B1 KR1020080008784A KR20080008784A KR101354098B1 KR 101354098 B1 KR101354098 B1 KR 101354098B1 KR 1020080008784 A KR1020080008784 A KR 1020080008784A KR 20080008784 A KR20080008784 A KR 20080008784A KR 101354098 B1 KR101354098 B1 KR 101354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bracket
open
loading box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817A (ko
Inventor
차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0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적재함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베이스부; 이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베이스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부; 및 이 브래킷부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부를 개방 또는 반개방하는 게이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부를 개방 또는 반개방 상태로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브래킷부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함 없이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재함을 편리하게 완전 개방 또는 반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물차, 적재함, 브래킷

Description

적재함{CARGO BOX}
본 발명은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하도록 화물자동차에 구비되는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자동차는, 외형상, 운전자와 선탑자가 승차하는 차실로 이루어진 캐빈과, 화물을 수송하기 위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으로 구분된다. 이 중, 적재함은, 양측의 사이드 게이트와 리어 게이트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화물을 적재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적재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적재함(10)은, 차체(미도시)에 얹혀지는 플로어패널(11)과,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플로어패널(11)의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게이트(12)와, 플로어패널(11)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리어 게이트(13)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적재함(10)에 따르면, 플로어패널(11)의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게이트(12) 및 플로어패널(11)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리어 게이트(13)는, 각각 다수의 힌지(14)에 의해 플로어패널(11)에 결합된다.
이처럼 플로어패널(11)에 힌지 결합된 사이드 게이트(12) 및 리어 게이트(13)는, 플로어패널(11)의 상부에 세워진 채로 고정되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을 형성하며, 각각 개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사이드 게이트(12) 및 리어 게이트(13)는, 각각 다수의 힌지(14)에 의해 플로어패널(11)에 힌지 결합되므로, 그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하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적재함을 개방하게 된다.
이처럼 사이드 게이트(12) 및 리어 게이트(13)가 개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적재함(10)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적재함(10)으로부터 화물을 인출할 경우, 필요에 따라 사이드 게이트(12) 및 리어 게이트(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면, 적재함(10)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적재함(10)으로부터 화물을 인출하는 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적재함에 따르면, 사이드 게이트 및 리어 게이트가, 개방시 완전개방(180도 회전)만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이드 게이트 또는 리어 게이트를 반개방(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적재함으로부터 화물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사이드 게이트 또는 리어 게이트를 반개방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함 없이도 사이드 게이트 또는 리어 게이트를 완전히 개방시키거나 반개방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적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부; 및 상기 브래킷부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개방 또는 반개방하는 게이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개방 또는 반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베이스부 폐쇄시 상기 게이트부가 안착되는 제 1안착면; 및 상기 베이스부 반개방시 상기 게이트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는,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에는, 상기 게이트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ㄴ" 자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를 상기 브래킷부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ㄴ" 자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재함에 따르면, 게이트부를 개방 또는 반개방 상태로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브래킷부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함 없이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재함을 편리하게 완전 개방 또는 반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의 일 실시예를 설명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100)은, 베이스부(110)와, 브래킷부(120) 및 게이트부(1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화물차에 얹혀지도록 구비된다. 이 베이스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100)의 하부면을 이룬다.
브래킷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양측부 및 후측부에 다수 구비된다. 이 브래킷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측부에 결합되며, 베이스부(1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게이트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양측부 및 후측부에 배치되며, 베이스부(110)와 함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부(S)를 형성한다. 이 게이트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게이트(132) 및 베이스부(110)의 후측부에 배치되는 리어 게이트(1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이드 게이트(132) 및 리어 게이트(134) 각각은, 브래킷부(120)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부(110) 및 게이트부(130)에 의해 형 성된 공간부(S)를 갖는 적재함(100)을 완전히 개방(開放)하거나,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부분 개방의 일례로서, 반개방(半開放)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적재함(100)을 완전히 개방한다는 것은, 게이트부(130)의 사이드 게이트(132) 또는 리어 게이트(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180˚ 이상의 회동각으로 회동하여 적재함(100)을 개방한 상태로 정의되며, 적재함(100)을 부분적으로 개방한다는 것은, 사이드 게이트(132) 또는 리어 게이트(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180˚보다 작은 회동각으로 회동하여 적재함(100)을 개방한다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반개방 상태는, 사이드 게이트(132) 또는 리어 게이트(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90˚ 정도의 회동각으로 회동하여 적재함(100)을 부분적으로 개방한 상태로 정의된다.
한편, 미설명된 부호 140은, 적재함(100) 폐쇄시 게이트부(130)를 잠금 상태로 고정시키는 잠금부재를 가리킨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래킷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폐쇄 상태의 적재함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서는 게이트부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도 5에서는 잠금부재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브래킷부와 게이트부 간의 결합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브래킷부(120)는,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브래킷부(120)는,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121) 양측에 측판(125)이 덧대어진 형태를 갖는다. 본체(121)와 측판(12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21)는, 돌출된 부분이 베이스부(110)의 외측을 향하도록 베이스부(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측판(125)에는, 제1안착면(126)과, 제2안착면(127) 및 슬라이딩면(128)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안착면(126)은, 측판(125) 상에서 상부에 위치되며, 제2안착면(127)은, 제1안착면(126)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안착면(126)은, 적재함(100) 폐쇄시 게이트부(130)가 안착되는 부분이 되며, 제2안착면(127)은, 적재함(100) 반개방시 게이트부(130)가 안착되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면(128)은, 제1안착면(126)과 제2안착면(127)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부(120)의 측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브래킷부(120)의 측부에 위치된 측판(125)에는, 관통홀(129)이 형성된다. 관통홀(129)은, 게이트부(130)가 브래킷부(120)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게이트부(130)에는, 이 관통홀(129)에 결합되는 연결부(136)가 구비된다. 이 연결부(136)는, 게이트부(13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그 일단이 게이트부(130) 하단에 고정되며, 타단이 관통홀(129)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연결부(136)는, 관통홀(129)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관통홀(129)에 결합될 수도 있다.
게이트부(130)는, 관통홀(129)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29)에 결합되는 연결부(136)에 의해 브래킷부(120)에 회동 및 슬라이 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 6 및 도 7은 반개방 상태의 적재함을 각각 나타낸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개방 상태의 적재함을 각각 나타낸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개방, 반개방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게이트부 중 리어 게이트의 개방, 반개방 구조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0)이 폐쇄 상태일 때, 리어 게이트(134)는, 그 하단부가 제1안착면(126)에 안착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적재함(100)을 반개방하고자 할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게이트(134)를 브래킷부(120)와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리어 게이트(134)는, 브래킷부(120)와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다가(약 90˚정도) 그 후면이 제2안착면(127)에 안착되어 회동을 멈추게 된다. 이처럼 제2안착면(127)에 안착된 리어 게이트(134)는, 제2안착면(127)에 의해 지지되어, 적재함(100)을 반개방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적재함(100)이 폐쇄된 상태에서, 적재함(100)을 완전히 개방하고자 할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게이트(134)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베이스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연결부(136)는, 관통홀(129)을 따라 브래킷부(120)의 측판(125)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후, 다시 베이스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리어 게이트(134)는, 상기와 같은 연결부(136)의 이동에 따라, 그 하단부가 슬라이딩면(128)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안착면(127)에 안착된 후, 제2안착면(127)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다시 베이스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리어 게이트(134)를 브래킷부(120)와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리어 게이트(134)는, 브래킷부(120)와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완전히(약 180˚정도) 회동하여 적재함(100)을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게이트의 개방, 반개방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리어 게이트(134)뿐만 아닌 사이드 게이트(132; 도 3 참조)에도 상기와 같은 개방, 반개방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적재함(100)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부(130)를 개방 또는 반개방 상태로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브래킷부(120)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함 없이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재함(100)을 편리하게 완전 개방 또는 반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적재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래킷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폐쇄 상태의 적재함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반개방 상태의 적재함을 각각 나타낸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개방 상태의 적재함을 각각 나타낸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적재함 110 : 베이스부
120 : 브래킷부 121 : 본체
125 : 측판 126 : 제1안착면
127 : 제2안착면 128 : 슬라이딩면
129 : 관통홀 130 : 게이트부
132 : 사이드 게이트 134 : 리어 게이트
136 : 연결부

Claims (8)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부; 및
    상기 브래킷부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개방하거나,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게이트부를 포함하는 적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개방 또는 반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베이스부 폐쇄시 상기 게이트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면; 및
    상기 베이스부 반개방시 상기 게이트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는,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에는, 상기 게이트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ㄴ" 자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부를 상기 브래킷부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ㄴ" 자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KR1020080008784A 2008-01-28 2008-01-28 적재함 KR101354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784A KR101354098B1 (ko) 2008-01-28 2008-01-28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784A KR101354098B1 (ko) 2008-01-28 2008-01-28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817A KR20090082817A (ko) 2009-07-31
KR101354098B1 true KR101354098B1 (ko) 2014-02-04

Family

ID=4129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784A KR101354098B1 (ko) 2008-01-28 2008-01-28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0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1868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화물차 적재함의 이중 게이트
KR19980033345U (ko) * 1996-12-07 1998-09-05 김영귀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도어용 힌지 결합구조
KR19980050553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화물차 적재함 구조
KR20060034123A (ko) * 2004-10-18 2006-04-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화물 차량의 적재함 확장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1868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화물차 적재함의 이중 게이트
KR19980033345U (ko) * 1996-12-07 1998-09-05 김영귀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도어용 힌지 결합구조
KR19980050553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화물차 적재함 구조
KR20060034123A (ko) * 2004-10-18 2006-04-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화물 차량의 적재함 확장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817A (ko) 200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871B1 (en) Multi-position endgate system
BR102014002330B1 (pt) Porta traseira com extensor da área de carga para veículo automotivo de carga e veículo automotivo
JP2002205548A (ja) 車両用二重フォールディングテールゲート
JP2021155004A (ja) 車体後部構造
CN112896337A (zh) 铰接式后挡板
JP6348527B2 (ja) 車体後部構造
US8764094B1 (en) Multi-section cargo cover
US8596706B2 (en) Articulating members for closure systems
KR101354098B1 (ko) 적재함
JP4999153B2 (ja) 車両の補助テールゲート構造
JP2002046472A (ja) 2ウェイスライド方式の車両用バックドア装置
JP2623676B2 (ja) 自動車の後部ドア装置
JP2003260986A (ja) 自動車の荷室構造
RU2501670C2 (ru) Устройство стопорения открывающейся секци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0960935B2 (en) Truck bed covers including a compartment forming panel
JP2009255846A (ja) 貨物自動車用荷箱の開閉扉
JP3968072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6657023B2 (ja) リッドのロック機構
JP7264644B2 (ja) コンテナ
JP5760777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H0611245Y2 (ja) 自動車用リヤパーセルシェルフ
JP2007153138A (ja) コンバーチブル車
JP2007223567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2020694A (ja) 貨物自動車の荷台カバー装置
JP2016521223A (ja) 特に自動車のテールゲートに取り付けるための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