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706B1 - 접속부재 및 하니스 접속체 - Google Patents

접속부재 및 하니스 접속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706B1
KR101352706B1 KR1020097012789A KR20097012789A KR101352706B1 KR 101352706 B1 KR101352706 B1 KR 101352706B1 KR 1020097012789 A KR1020097012789 A KR 1020097012789A KR 20097012789 A KR20097012789 A KR 20097012789A KR 101352706 B1 KR101352706 B1 KR 101352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wire
holder
inner hold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535A (ko
Inventor
츠기오 암보
요시카즈 다나카
토모카즈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547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38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547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57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547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5704B2/ja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간이하게 신뢰성이 높고, 전선분기가 가능한 방수형의 하니스 접속체를 얻는다. 외부 홀더(1) 내에 개구부(1c)로부터 내부 홀더(2)를 삽입하므로, 전선(4)에 실부재(7)를 부설한 복수의 전선단자(3)의 접속부(3a)를 외부 홀더(1)의 전선단자 삽입구(1a)를 거쳐 내부 홀더(2)의 전선단자 유지공(2a)에 삽입한다. 핀단자(5)를 내부 홀더(2)의 핀단자 삽입공(2b)에 삽입하면, 핀단자(5)는 유지공(2a) 내에 배열된 접속부(3a)의 통상접점(3b)을 삽통하여, 전선단자(3)끼리를 도통한다. 그 후에, 방수부재(6)를 개구부(1c)에 취부하여, 외부 홀더(1) 내부를 방수구조로 한다.
접속부재, 하니스, 전선, 홀더, 전선단자, 방수부재

Description

접속부재 및 하니스 접속체{CONNECTION MEMBER AND HARNESS 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하니스(harness) 회로에 사용되는 접속부재 및 하니스 접속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하니스 회로에 있어서는 간선으로부터 복수의 지선을 분기하는 필요가 자주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간선의 일부의 피복을 벗겨내고, 노출된 도체에 지선을 압착가공하여 분기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splice joint) 방식과, 간선의 단말부에 회로분기용 커넥터를 배치하고, 간선, 지선 모두 범용 커넥터 및 압착단자를 사용하여 분기가공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된 조인트 커넥터 방식의 2종류의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1: 실개평4-27587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자의 스플라이스 조인트 방식에서는 전선을 1∼3본마다 압착가공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러한 것들의 가공 후의 상태에서는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라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제조라인 상에서 압착가공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라인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이 스플라이스 조인트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후자의 조인트 커넥터 방식이 개발되었다. 이 조인트 커넥터 방식에서는 하니스 제조 라인상에서의 조인트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플라이스 조인트 방식과 비교하여 생산 효율이 향상하고, 하니스 회로의 수정에도 대응가능하다. 그러나, 커넥터 및 맞물리는 상대측 범용 커넥터, 부스바, 접속단자 등의 부품수가 많게 되는 것 때문에, 하니스 회로의 조립에는 시간이 걸리는 것이 실상이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분기회로 구성체에서는 하우징에 수납된 복수의 단자금구에 대하여, 1개의 단락(短絡)판부를 삽입하여, 단자금구끼리를 단락시키고 있다.
그러나, 인용문헌1의 분기회로 구성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단자금구의 구조가 복잡하다.
(2) 단자금구를 일방향으로만 밖에 삽입할 수 없다.
(3) 단락판부가 판상이기 때문에, 단자금구에의 장착을 원활하게 할 수 없다.
(4) 전체로서 폭넓은 구조로 되고, 하니스 회로에 있어서의 배치가 곤란하다.
(5) 방수구조의 채용이 곤란하다.
즉, 조인트 커넥터 방식에 있어서도, 스페이스 축소화, 또한 작업성의 향상, 구조의 간소화, 내부의 방수화 등, 해결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과제가 많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방수구조를 가지는, 제조하기 용이한 와이어 하니스의 조립성에서 탁월한 접속부재 및 그 부재를 이용한 하니스 접속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접속부재 및 접속체에 의하면, 내부 홀더(holder)를 외부 홀더 내에 삽입하고, 핀단자를 외부 홀더의 전선단자 삽입구를 통하여 내부 홀더에 삽입하는 것으로, 내부 홀더 내에서 전선단자끼리를 도통하고,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 방수성이 얻어지며, 스페이스 팩터(space factor), 작업성, 코스트(cost)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잡한 내부구조를 외부 홀더와 내부 홀더에 분배하여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형화에 의해 와이어 하니스 중에서의 설치개소가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개소에의 하니스 회로로 사용하면, 종래의 조인트 구조보다도 현격하게 접속구조가 콤팩트(compact)하게 되고, 와이어 하니스 작업시간이 단축화된다.
도 1은 실시예1의 하니스 접속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내부 홀더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전선단자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핀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하니스 접속체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니스 접속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2의 하니스 접속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하니스 접속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3의 하니스 접속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내부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조립시의 하니스 접속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조립후의 하니스 접속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외부 홀더만을 단면으로 한 하니스 접속체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전선단자를 벗기기 위한 치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치구의 조작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외부 홀더 1a...전선단자 삽입구
1b...공간부 1c...개구(開口)부
1d...힌지(hinge) 1e...폐지(閉止)부재
2...내부 홀더 2a...전선단자 유지공
2b...핀단자 삽입공 2c...계합돌부
2d...계지돌기 2e,2f,2g,2l...리브(rib)
2h...가동유지판 2i...계지조(係止爪)
2j...홈부(溝部) 2k...조작편
3...전선단자 3a...접속부
3b...통상접점 3c...계합공
3e...도체압착부 3f...피복압착부
4...전선 5...핀단자
6,8...방수부재 6a,8a...파형부
6b...계지공 7...실(seal)부재
본 발명을 도시의 실시예에 기초를 두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내 보이는 것과 같이, 하니스 접속체는 복수의 전선단자 삽입구(1a)를 가지는 직육면체 모양의 외부 홀더(1)와, 전선단자 유지공 (2a), 핀단자 삽입공(2b)을 가지는 내부 홀더(2)와, 전단의 접속부(3a)에 통상접점(3b)을 마련하고 후단에 전선(4)을 접속한 복수의 전선단자(3)와, 핀단자(5)와,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홀더(1)에는 좌우 양측으로부터 중앙방향으로 향해서, 예를 들면 2개씩의 원형단면을 가지는 전선단자 삽입구(1a)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부 홀더(2)를 삽입하는 공간부(1b)가 마련되며, 또한 예를 들면 하면에 내부 홀더(2)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c)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 홀더(1)로서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적용되고, 그 중에서도 열변형 온도가 높고, 고강성, 전기절연 특성, 기계적 특성의 점에서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프로필렌(PP) 등이 적당하다. 또한, 종횡의 크기는 사용하는 전선(4)의 본수와 지름 등에 의해 적당히 결정하면 좋으나, 길이는 통상으로는 20mm∼150mm정도이다. 이 외부 홀더(1)의 제조는 소정의 금 형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성형시켜서 제작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부 홀더(2)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되고, 도 2의 단면도에도 나타내 보이는 것과 같이, 외부 홀더(1)의 공간부(1b) 내에 수납한 경우에 전선단자 삽입구(1a)와 연통하여, 전선단자(3)의 접속부(3a)를 삽입하는 전선단자 유지공(2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2a'는 전선단자 유지공(2a)의 삽입측과 반대측의 개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전선단자 유지공(2a) 내의 저부에는 전선단자(3)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계합돌부(2c)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방향을 틀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전선단자 유지공(2a)과 내부에서 직교하는 핀단자 삽입공(2b)은 상하방향으로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홀더(2)의 하부에는 방수부재(6)를 계지하기 위한 복수의 갈고리 모양(鉤狀)의 계지돌기(2d)가 아래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내부 홀더(2)의 외면의 한쪽 편에는 2개의 리브(rib)(2e,2f)가 형성되고, 다른 편에는 1개의 리브(2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홀더(1)의 내부 홀더(2)를 삽입하는 공간부(1b)에는 이런 것들의 리브(2e,2f,2g)를 받아들이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방향의 실수가 없도록 되어 있다.
이 내부 홀더(2)의 재료는 외부 홀더(1)와 동등해도 좋지만, 외부 홀더(1)의 내부에서 사용하므로, 외부 홀더(1)가 내열재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내부 홀더(2)는 그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내부 홀더(2)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내부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복수개로 분할하여 제작하 고, 사용시에 접착직후 맞물림시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선단자(3)는 1매의 도전금속판을 타발하여 형성되어 있고, 일단의 설편(舌片) 모양의 접속부(3a)에는 그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선을 가지는 단원통상으로 압축가공된 통상접점(3b) 및 내부 홀더(2)의 계합돌부(2c)에 계합하기 위한 계합공(3c)이 마련되고, 경사부(3d)를 통하여 타단에 도체압착부(3e), 피복압착부(3f)가 설치되어 있다. 도체압착부(3e)에 의해 전선(4)의 도체가 압착하여 접속되고, 전선(4)에는 방수를 위해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통 모양의 실(seal)부재(7)가 압착되며, 그 일부는 고정을 위해 전선피복과 함께 피복압착부(3f)에 의해 압착고정되어 있다.
이 전선단자(3)는 동판 또는 동합금판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타발성형된 것으로, 주석(Sn)도금한 것, 또는 주석도금한 동판 또는 동합금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타발성형한 것을 사용하면 좋다. 재질은 강도와 도전성의 점에서 황동이 바람직하고, 또는 주석 도금하는 것으로 내식성이 향상되며, 또한 핀단자(5)와 접점과의 도전성이 얻기 쉽게 되는 점에서 적당하다.
통상접점(3b)은 핀단자(5)와 접촉하는 것으로 도통하는 형상이면 좋고, 어느 편으로부터도 핀단자(5)를 삽입할 수 있도록, 통상접점(3b)의 기부(基部) 및 선단에 테이퍼(taper) 형상의 가이드(guide)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접점(3b)은 실시예와 같은 원통상으로 아니더라도, 도 3에 나타내 보이는 것과 같은 (a)원공상, (b)다각형공의 공부, (c)반원상, (d)U자상, (e)V자상, (f)사각상의 오려낸 것(切拔)일지라도 좋다. 따라서, 도전성, 접속의 지속성을 고려하면, 원통 상, 공상이 바람직하다.
전선(4)은 도체의 외주에 절연층을 피복한 절연전선이 적용되고, 공지의 전선 지름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체는 종래로부터 자동차 하니스 회로에 사용되는 연동선과 경동선의 연선(撚線), 또는 인장강도를 유지하고 선경을 작게 한 예를 들면 구리-주석(Cu-Sn) 합금선 등의 동합금선의 연선과 단선이 적용된다. 또한, 절연층에는 종래로부터 공지의 절연재료가 적용되고, 그 중에서도 환경대책으로서 비할로겐(nonhalogen)의 절연재료를 절연층에 적용하는 것이 환경대책의 면에서 적당하다.
또한, 전선(4)의 도체와 전선단자(3)의 도체접속은, 공지의 코킹(caulking),용접, 납땜, 압착 등이 적용되지만, 도전성, 접속성, 얻어지는 접속강도의 점에서, 실시예와 같은 도체압착부(3e)에 의한 압착접속이 적당하다.
핀단자(5)는 내부 홀더(2)의 핀단자 삽입공(2b)에 삽입하고, 복수의 전선단자(3)의 접속부(3a)끼리를 도통시기키 위한 도전금속제의 봉상부재이고, 단면형상으로서는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이 권장된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며, 삽입할 때에 큰 힘이 필요로 하지 않는 점, 또한 안정하고 확실한 도통이 얻기 쉽다라는 것에서, 단면은 사각형이 적당하고, 이 경우의 전선단자(3)의 접점형상은 원통상 또는 원공상이 적당하다.
핀단자(5)는 예를 들면, 1매의 도전금속판을 절곡하여 꺾어 포갠 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 보이는 것과 같은 단면이 대략 4각형이 얻어지기 때문에, 그 후에 선단부를 프레스 또는 절삭 등에 의해 추(錐)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단면적이 작은 핀단자(5)에서도, 만곡 직후에 절손하는 것이 적잖이 된다.
또한, 핀단자(5)의 경도를 접속부(3a)보다도 단단하게 하는 것으로, 전선단자(3)의 접속부(3a)의 측면을 변형시키면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핀단자(5)의 경도 및 접속부(3a)의 경도는 가공, 열처리와 재료의 선택으로 적당히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접점(3b)에 확실하게 삽입시키는 점에서, 선단부를 원추형, 각추형 또는 원추대형, 각추대형 등의 추상대형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접속부(3a)의 접점이 통형상 또는 원형상이고, 그 내경이 d1이며, 핀단자(5)의 횡단면 형상을 대략 사각형으로 하고, 그 대각선의 길이를 x라고 하면, d1<x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핀단자(5)의 횡단면을 원형상으로 하고, 접속부(3a)의 접점을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d1로 한 공부(孔部)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핀단자(5)의 원형 외경을 d2로 한 경우에는, d1<d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부재(6)는 외부 홀더(1)의 개구부(1c)에 끼워 넣는 직육면체로 되고, 주위에 파형부(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수부재(6)의 상면에는 내부 홀더(2)의 계지 돌기(2d)가 삽입되는 계지공(6b)이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6은 그 종단면도를 나타내 보이고 있으며, 먼저 외부 홀더(1)의 공간부(1b)에 내부 홀더(2)를 삽입한다. 이 삽입에 즈음하여서는, 전후면에 비대칭으로 배치된 리브(2e,2f,2g)가 공간부(1b)의 홈부(溝部)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삽입방향을 틀리는 것은 없게 된다. 계속하여, 외부 홀더(1)에 마련된 합계 4개의 전선단자 삽입구(1a)를 거쳐 내부 홀더(2) 내에 각각 전선단자(3)가 삽입되고, 전선단자(3)의 계합공(3c)에 내부 홀더(2)의 계합돌부(2c)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전선단자(3)는 소정 위치에 위치가 정해진다. 이에 의해, 접속부(3a)의 통상접점(3b)의 중심이 핀단자 삽입공(2b)의 중심축에 합치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내부 홀더(2)의 계합돌부(2c)는 고정으로 되어 있지만, 내부 홀더(2) 내에서 계합돌부(2c)를 가동편에 취부하여 상하로 가동으로서 두면, 전선단자(3)가 삽입된 때에, 가동편이 하강하여 전선단자(3)의 계합공(3c)에 계합돌부(2c)가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전선단자(3)를 빼는 경우에 있어서도, 핀단자(5)를 빼고 나서, 치구에 의해 가동편을 상승시키면 계합공(3c)에의 계합돌부(2c)의 맞물림을 떼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접속부(3a)의 통상접점(3b)이 내부 홀더(2)의 중심에서 겹쳐지기 때문에, 전선단자 삽입구(1a)는 좌우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전선단자(3)를 외부 홀더(1), 내부 홀더(2)에 삽입하면, 실(seal)부재(7)가 외부 홀더(1)의 전선단자 삽입구(1a)의 내벽에 밀착하여, 외부로부터의 침수가 방지된다.
접속부(3a)에 통상접점(3b)을 마련한 경우에는, 전선단자 삽입구(1a)에 삽입함에 즈음하여, 통상접점(3b)이 상하 어느 측을 향하고 있는지는 중요하다. 즉, 각 접속부(3a)를 임의의 방향에서 삽입하면, 내부에서 정연(整然)으로 소정 위치에 위치매듭을 짓는 것이 가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전선단자 삽입구(1a)의 입구부에 통상접점(3b)의 방향을 표시하는 것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내부 홀더(2)의 핀단자 삽입공(2b)에, 예를 들면 치구를 이용하여 핀단자(5)를 삽입하면, 핀단자(5)는 각각의 전선단자(3)의 통상접점(3b)에 삽통하는 것에 의해 접촉하고, 각 전선단자(3)끼리가 전기접속하여 도통된다. 그리고, 핀단자(5)를 빼지 않는 한, 전선단자(3)를 외부 홀더(1), 내부 홀더(2)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방수를 위하여 방수부재(6)를 개구부(1c)에 삽입하면, 방수부재(6)의 계지공(6b)에 내부 홀더(2)의 계지돌기(2d)가 박아 넣어져, 방수부재(6)의 탈락이 방지되고, 파형부(6a)에 의해 물이 침입하는 것은 없다. 또한, 방수부재(6)에 의한 폐지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때문에, 개구부(1c)의 방수부재(6)의 위로부터 합성수지제의 판체를 맞물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외부 홀더(1)의 내부에는 이 방수부재(6) 및 전선(4)에 설치된 실부재(7)에 의해 물의 침입이 저지되어, 이 하니스 접속체 내부를 방수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7은 실시예 2의 하니스 접속체를 나타내며, 외부 홀더(1), 내부 홀더(2), 전선단자(3), 핀단자(5), 방수부재(8)로 이루어지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내부 홀더(2), 전선단자(3), 핀단자(5)는 실시예 1과 대부분 같지만, 외부 홀더(1)의 하부에는 힌지(hinge)(1d)를 개재하여 개구부(1c)를 폐지하는 폐지부재(1e)가 일체화하여 부설되어 있다. 이 폐지부재(1e)의 내측에는 파형부(8a)를 가지는 방수부재(8)가 계지 혹은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고 정되어 있다. 또한, 폐지부재(1e)와 개구부(1c)의 사이에는, 폐지부재(1e)가 불시에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정지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힌지(1d)를 절곡하여 폐지부재(1e)에 붙은 방수부재(8)를 개구부(1c) 내에 삽입하는 것과 함께, 폐지부재(1e)에 의해 개구부(1c)를 폐지하면, 방수부재(8)의 파형부(8a)에 의해 개구부(1c)로부터 외부 홀더(1) 내부로의 물의 침입이 없게 된다. 또한, 전선단자(3)로부터의 침수는 실부재(7)에 의해 방지되는 것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3)
도 9는 실시예 3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니스 접속체는 복수의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전선단자 삽입구(1a)를 가지는 직육면체상의 외부 홀더(1)와, 전선단자 유지공(2a), 핀단자 삽입공(2b)을 가지는 내부 홀더(2)와, 복수의 전선단자(3)와, 핀단자(5)와,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부 홀더(1)는 실시예 1과 거의 같은 지름의 형상이지만, 내부 홀더(2)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되고, 도 10의 단면도에도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내부 홀더(2)를 외부 홀더(1)의 공간부(1b)에 수납한 경우에, 전선단자 삽입구(1a)와 연통하여, 전선단자(3)의 접속부(3a)를 삽입하는 전선단자 유지공 (2a)이 수평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전선단자 유지공(2a)과 내부에서 교차하는 핀단자 삽입공(2b)은 상하방향으로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2a'는 전선단자 유지공(2a)의 삽입측과 반대측의 개구를 나타내고 있다. 각 전선단자 유지공(2a) 내의 상측에는 선단부가 가동으로 되는 가동유지판(2h)이 형성되고, 가동유 지판(2h)의 하면에는 전선단자(3)를 위치정하기 위한 계지조(2i)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내부 홀더(2)에는 가동유지판(2h)을 밀어 올리기 위하여, 후술하는 치구를 삽입하는 홈부(溝部)(2j)가 내부 홀더(2)의 전선단자 유지공(2a)의 양입구측의 입구부 근방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동유지판(2h)의 양측부에는 조작편(2k)이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것들의 조작편(2k)은 상하의 가동유지판(2h)끼리로서 전후로 엇갈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홀더(2)의 하부에는 방수부재(6)를 계지하기 위한, 예를 들면 2개의 구상(鉤狀)의 계지돌기(2d)가 아래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내부 홀더(2)의 외면의 일측에 리브(rib)(2l)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리브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외부 홀더(1)의 내부 홀더(2)를 삽입하는 공간부(1b)에는 리브(2l)를 받아들이는 홈부(溝部)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조립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먼저 외부 홀더(1)의 공간부(1b)에 내부 홀더(2)를 삽입하면, 내부 홀더(2)는 도시하지 않은 계합기구에 의해 공간부 (1b) 내에 고정된다. 이 삽입에 즈음하여서는, 전후면에서 비대칭으로 배치된 리브(2l)가 공간부(1b)의 홈부(溝部)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삽입방향을 틀리는 것은 없다.
계속하여, 외부 홀더(1)에 마련된 합계 4개의 전선단자 삽입구(1a)로부터 전선단자(3)를 삽입하면, 예를 들면 오른쪽 위의 전선단자(3)의 접속부(3a)는 내부 홀더(2) 내에 각각 가동유지판(2h)을 밀어 올리면서 삽입된다. 또한 억지로 밀어넣어, 계합공(3c)에 내부 홀더(2)의 계지조(2i)가 맞물리면, 오른쪽 아래의 전선단 자(3)와 같이 가동유지판(2h)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한다. 이에 의해, 전선단자(3)는 소정 위치에 위치가 정해지고, 접속부(3a)의 통상접점(3b)의 중심이 핀단자 삽입공(2b)의 중심축에 합치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선단자(3)를 삽착(揷着)한 후에, 도 1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부 홀더(2)의 핀단자 삽입공(2b)에, 예를 들면 삽입치구를 이용하여 핀단자(5)를 삽입하면, 핀단자(5)는 각각의 전선단자(3)의 통상접점(3b)을 삽통(揷通)하는 것에 의해 접촉하고, 각 전선단자(3)끼리가 도통된다.
또한, 방수를 위하여 방수부재(6)를 개구부(1c)에 삽입하면, 방수부재(6)의 계지공(6b)에 내부 홀더(2)의 계지돌기(2d)가 박아 넣어져, 방수부재(6)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도 13은 도 12와 동일한 상태에서, 외부 홀더(1)만을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전선단자(3)를 내부 홀더(2), 외부 홀더(1)로부터 빼기 위하여, 내부 홀더(2)의 조작편(2k)을 밀어 올리기 위한 치구(T)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치구(T)는 2개의 단부(Ta, Tb)를 가지며, 또한 조작편(2k)은 상하의 가동유지판 (2h)에서 전후로 엇갈려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의 조작편(2k)을 치구(T)에 의해 동시에 조작하여, 상하의 2개의 가동유지판(2h)은 동시에 밀어올림 가능으로 되어 있다.
도 15는 내부 홀더(2)에 대응하는 치구(T)의 조작설명도이며, 외부 홀더(1), 전선단자(3)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미리, 방수부재(6)를 떼어내기 때문에 핀단자(5)를 뽑아 내어 둔다. 다음에, 전선단자(3)를 빼기 위하여 가동유지판(2h)의 조 작편(2k)을 치구(T)를 내부 홀더(2)의 홈부(2j)로부터 삽입하여 밀어 올린다. 즉, 개구부(1c)를 통하여 치구(T)의 단부(Ta,Tb)를 홈부(2j)에 아래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어, 도 15의 좌측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하의 가동유지판(2h)을 조작편(2k)을 개재하여 동시에 밀어 올린다. 이 밀어 올림에 의해, 전선단자(3)의 계합공(3c)으로부터 계지조(2i)가 벗겨져, 전선(4)을 당겨서 2개의 전선단자(3)를 동시에 내부 홀더(2)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머지 2개의 전선단자(3)에 대하여는, 타측의 홈부(2j)에 치구(T)를 끼워 넣음으로써 마찬가지로 인출하면 좋다.
실시예 3에서는, 가동유지판(2h)에 계지조(2i)를 마련하고, 전선단자(3)에 계합공(3c)을 했지만, 이러한 것들을 반대로 하여 가동유지판(2h)에 요(凹)부를 마련하고, 전선단자(3)에 철(凸)부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3에서는, 외부 홀더(1)에 합계 4개의 전선단자 삽입구(1a)를 마련하고, 4개의 전선단자(3)를 삽입했지만, 또한 다수 혹은 소수의 전선단자 삽입구(1a)를 마련하여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선단자(3)를 삽입하지 않는 전선단자 삽입구(1a)에 대하여는, 합성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맹전(盲栓)에 의해 봉지하면,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은 없다.
또한, 외부 홀더(1)에 전선단자 삽입구(1a)를 합계 4개 마련하고, 4개의 전선단자(3)를 삽입했지만, 또한 다수 혹은 소수의 전선단자 삽입구(1a)를 마련하여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하는 하니스 접속체는 자동차용 하니스 회로에 짜넣는 것에 의해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복수의 전선단자 삽입구를 가지는 외부 홀더(holder)와;
    상기 외부 홀더 내에 삽입하여 사용하며, 상기 전선단자 삽입구와 연통하는 전선단자 유지공을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전선단자 유지공과 내부에서 교차하는 핀단자 삽입공을 가지는 내부 홀더와;
    상기 외부 홀더의 전선단자 삽입구를 거쳐 상기 내부 홀더의 핀단자 삽입공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부 홀더 내에 삽입하는 전선단자의 접속부의 접점에 접촉하여, 상기 전선단자끼리를 전기접속하는 핀단자와;
    상기 외부 홀더에 마련된 상기 내부 홀더의 입구부를 봉지(封止)하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홀더의 전선단자 유지공에 상기 전선단자를 유지하는 가동의 유지판을 설치하고, 그 유지판에 상기 전선단자를 위치정하기 위한 계지부(係止部)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에 계지공을 마련하고, 그 계지공에 상기 내부 홀더에 마련된 계지돌기를 계지하여, 상기 방수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 홀더의 입구부를 봉지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외부 홀더에 힌지(hinge)를 개재하여 일체화된 폐지부재에 취부되고, 상기 폐지부재에 의해 상기 입구부를 폐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방수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 홀더의 입구부를 봉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단자는 상기 외부 홀더에 마련된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내부 홀더의 핀단자 삽입공에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7. 복수의 전선단자 삽입구를 가지는 외부 홀더와;
    상기 외부 홀더 내에 삽입하여 사용하며, 상기 전선단자 삽입구와 연통하는 전선단자 유지공을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전선단자 유지공과 내부에서 교차하는 핀단자 삽입공을 가지는 내부 홀더와;
    일단에 설편상(舌片狀)의 접속부를 가지고 타단에 전선을 접속하며 상기 접속부를 상기 전선단자 삽입구를 거쳐 상기 내부 홀더의 전선단자 유지공에 삽입하고, 상기 전선에 실(seal)부재를 삽통(揷通)하여 상기 전선단자 삽입구와 상기 전선과의 사이를 방수구조로 하는 전선단자와;
    상기 내부 홀더의 핀단자 삽입공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부 홀더 내의 상기 전선단자의 접속부의 접점에 접촉하여, 상기 전선단자끼리를 전기접속하는 핀단자와;
    상기 외부 홀더에 마련된 상기 내부 홀더의 입구부를 봉지(封止)하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 접속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단자의 접점은 상기 접속부의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선을 가지는 단원통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 접속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단자의 상기 접속부를 상기 전선단자 삽입구를 거쳐 상기 내부 홀더의 전선단자 유지공에 삽입하고, 상기 접속부를 상기 내부 홀더에 대응하여 계지하는 것에 의해 위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 접속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홀더의 전선단자 유지공에는 상기 전선단자를 유지하는 가동의 유지판을 설치하고, 그 유지판에 상기 전선단자에 마련된 계지부와 계합하는 계지부 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 접속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홀더의 상기 유지판의 측방에 조작편을 돌출하고, 그 조작편을 통하여 상기 유지판을 움직여, 상기 유지판에 마련된 계지부를 상기 전선단자의 계지부로부터 떼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 접속체.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니스 접속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니스 회로.
KR1020097012789A 2006-12-28 2007-09-12 접속부재 및 하니스 접속체 KR101352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54753A JP4833826B2 (ja) 2006-12-28 2006-12-28 接続部材及び該部材を用いたハーネス接続体
JPJP-P-2006-354753 2006-12-28
JPJP-P-2006-354754 2006-12-28
JPJP-P-2006-354756 2006-12-28
JP2006354756A JP4885705B2 (ja) 2006-12-28 2006-12-28 ハーネス接続体
JP2006354754A JP4885704B2 (ja) 2006-12-28 2006-12-28 ハーネス接続体
PCT/JP2007/067717 WO2008081620A1 (ja) 2006-12-28 2007-09-12 接続部材及びハーネス接続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535A KR20090099535A (ko) 2009-09-22
KR101352706B1 true KR101352706B1 (ko) 2014-01-16

Family

ID=3958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789A KR101352706B1 (ko) 2006-12-28 2007-09-12 접속부재 및 하니스 접속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67001B2 (ko)
EP (1) EP2101376B1 (ko)
KR (1) KR101352706B1 (ko)
WO (1) WO20080816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8296B2 (ja) * 2006-05-24 2012-03-14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接続部材
JP4933246B2 (ja) * 2006-12-28 2012-05-16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接続部材及び該接続部材を用いたハーネス接続体
KR101063399B1 (ko) 2009-12-03 2011-09-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US8452037B2 (en) 2010-05-05 2013-05-28 Apple Inc. Speaker clip
DE102011002691A1 (de) * 2011-01-14 2012-07-19 Robert Bosch Gmbh Kontaktanordnung zur elektrischen Direktkontaktierung von Leiterplatten
US8585422B2 (en) 2011-04-15 2013-11-1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connecting motor drives
US8989428B2 (en) 2011-08-31 2015-03-24 Apple Inc. Acoustic systems in electronic devices
JP2013109847A (ja) * 2011-11-17 2013-06-06 Yazaki Corp 芯線止水構造及び芯線止水方法
US8879761B2 (en) 2011-11-22 2014-11-04 Apple Inc. Orientation-based audio
US9115885B2 (en) 2012-04-12 2015-08-25 Amerlux Inc. Water tight LED assembly with connector through lens
US8574004B1 (en) * 2012-06-04 2013-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nual service disconnect with integrated precharge function
US9820033B2 (en) 2012-09-28 2017-11-14 Apple Inc. Speaker assembly
US8858271B2 (en) * 2012-10-18 2014-10-14 Apple Inc. Speaker interconnect
US9357299B2 (en) 2012-11-16 2016-05-31 Apple Inc. Active protection for acoustic device
DE102013004708A1 (de) * 2013-03-19 2014-09-2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Litzenleiter mit Rundsteckkontaktbuchse
JP5966089B2 (ja) * 2013-07-03 2016-08-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
JP6044475B2 (ja) * 2013-07-04 2016-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導電体の製造方法
US9093804B2 (en) * 2013-10-04 2015-07-2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connecting a shared DC bus link
US9451354B2 (en) 2014-05-12 2016-09-20 Apple Inc. Liquid expulsion from an orifice
WO2016048374A1 (en) 2014-09-26 2016-03-3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Receptacle for connecting a multi-lane or one-lane cable
WO2016133499A1 (en) 2015-02-18 2016-08-2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ull-tabs for disengaging a cable assembly from a receptacle
WO2016137485A1 (en) * 2015-02-27 2016-09-0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able assembly with conjoined one-lane cable assemblies
US10389068B2 (en) 2015-04-29 2019-08-20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ultiple cable housing assembly
US9882421B2 (en) 2015-05-14 2018-01-3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current capacity of a distributed drive system
US9900698B2 (en) 2015-06-30 2018-02-20 Apple Inc. Graphene composite acoustic diaphragm
KR101685680B1 (ko) * 2015-07-27 2016-12-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방수 조인트 커넥터
WO2017045769A1 (de) * 2015-09-17 2017-03-23 Sew-Eurodrive Gmbh & Co. Kg ANORDNUNG ZUM ANSCHLIEßEN DER LEITUNGEN EINES ELEKTRISCHEN KABELS UND ELEKTROGERÄT MIT EINER SOLCHEN ANORDNUNG
FR3044476A1 (fr) * 2015-11-26 2017-06-0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interconnexion d’un organe electrique a des paires de cables electriques
JP6722386B2 (ja) 2017-01-06 2020-07-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790838B2 (ja) * 2017-01-06 2020-11-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11307661B2 (en) 2017-09-25 2022-04-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ctuators for producing haptic and audio output along a device housing
US10757491B1 (en) 2018-06-11 2020-08-25 Apple Inc. Wearable interactive audio device
US10873798B1 (en) 2018-06-11 2020-12-22 Apple Inc. Detecting through-body inputs at a wearable audio device
US11334032B2 (en) 2018-08-30 2022-05-17 Apple Inc. Electronic watch with barometric vent
US11561144B1 (en) 2018-09-27 2023-01-24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fluid-based pressure sensing
CN113994345A (zh) 2019-04-17 2022-01-28 苹果公司 无线可定位标签
JP7265461B2 (ja) 2019-09-26 2023-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分岐コネクタ装置
US20220037060A1 (en) 2020-08-03 2022-02-03 iLux electric (Cablage Kumar Inc.) Molded wiring harness device and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7255A (ja) * 1988-09-01 1990-03-07 Honsyu Kagaku Kogyo Kk 4,4’−ジアミノジフェニルメタン類の製造方法
JPH0432175A (ja) * 1990-05-25 1992-02-04 Ryosei Denso Kk ジョイント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750Y2 (ja) 1990-06-27 1995-11-13 矢崎総業株式会社 分岐回路構成体
JP2988237B2 (ja) * 1994-01-31 1999-12-13 住友電装株式会社 簡易防水コネクタ
US5788519A (en) * 1995-05-02 1998-08-04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grounding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3215031B2 (ja) * 1995-11-24 2001-10-02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分配用コネクタ及び接続方法
JP3266064B2 (ja) * 1997-09-02 2002-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導通コネクタ
EP1045483B1 (en) * 1999-04-13 2007-08-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mbination of connector and assembly jig
JP2005123100A (ja) * 2003-10-20 2005-05-12 Fujikura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SG111255A1 (en) * 2003-10-31 2005-05-30 Tyco Electronics Raychem Kk Waterproof type lead, method of making waterproof type lead, and jig for making waterproof
JP2005166523A (ja) * 2003-12-04 2005-06-23 Yazaki Corp 車載多重通信用終端回路ユニット
JP2005235476A (ja) * 2004-02-18 2005-09-02 Smk Corp 防水中継コネクタ
JP4898296B2 (ja) * 2006-05-24 2012-03-14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接続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7255A (ja) * 1988-09-01 1990-03-07 Honsyu Kagaku Kogyo Kk 4,4’−ジアミノジフェニルメタン類の製造方法
JPH0432175A (ja) * 1990-05-25 1992-02-04 Ryosei Denso Kk ジョイント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1376A1 (en) 2009-09-16
KR20090099535A (ko) 2009-09-22
EP2101376A4 (en) 2012-07-04
US7867001B2 (en) 2011-01-11
US20100062627A1 (en) 2010-03-11
EP2101376B1 (en) 2014-01-08
WO2008081620A1 (ja)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706B1 (ko) 접속부재 및 하니스 접속체
KR101330446B1 (ko) 접속부재
JP4833826B2 (ja) 接続部材及び該部材を用いたハーネス接続体
KR101361389B1 (ko) 하니스 접속부재
US8475206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1024984B2 (en)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able assembly
JP2018524785A (ja) 端子金具
JP2005243563A (ja) 防水圧接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JP4885704B2 (ja) ハーネス接続体
JP5390792B2 (ja) 接続部材
JP4885705B2 (ja) ハーネス接続体
JP200723449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6260238A (ja) 接続端子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JP4800066B2 (ja) 接続部材
JP4813973B2 (ja) 接続部材
JP4933246B2 (ja) 接続部材及び該接続部材を用いたハーネス接続体
JP4695013B2 (ja) 防水型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671615B2 (ja) アース端子の電線接続部における防水構造
JP2552495Y2 (ja) 圧接式電線接続器
JP2023077159A (ja) コネクタ
JPH062562U (ja) 差込み型コネクタ
JP5322846B2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3181217U (ja) 電線分岐コネクタ
JP201106042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