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433B1 -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433B1
KR101349433B1 KR1020110131538A KR20110131538A KR101349433B1 KR 101349433 B1 KR101349433 B1 KR 101349433B1 KR 1020110131538 A KR1020110131538 A KR 1020110131538A KR 20110131538 A KR20110131538 A KR 20110131538A KR 101349433 B1 KR101349433 B1 KR 101349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transmission
parking
failure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915A (ko
Inventor
박한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4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1Providing engine brak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1Providing engine brake control
    • F16H2061/213Providing engine brake control for emergency braking, e.g. for increasing brake power in emergency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차량의 변속단을 변속하는 변속기; 비상주행을 위한 사용자의 정차해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변속기의 고장에 대응하여 차량의 정차 후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여 상기 변속단을 파킹으로 시프트하여 유지하는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정차해제신호가 입력되어 사전에 정해진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여 상기 변속단의 파킹 상태를 해제하는 비상주행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변속기의 고장에 의한 페일세이프티 기능에 의해 정차 후 파킹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전에 정해진 정차해제조건 아래 주행이 가능하도록 파킹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정비를 위한 비상주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of shift by wi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By-Wire, SBW)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속기의 고장에 의한 페일세이프티 기능의 개선을 위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By-Wire, SBW)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SBW)용 자동변속시스템은 전자식 변속레버 및 ECU를 이용하여 전자적으로 변속제어를 수행하는 변속시스템을 말한다.
종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용 자동변속시스템은 페일세이프티 기능 중 하나로 차량의 변속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감속 정지하거나 시동 오프(OFF) 시 파킹(P단) 상태로 들어감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그러나, 종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용 자동변속시스템은 이러한 페일세이프티 기능에 의해 정차된 후 파킹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주행(D단)이 필요한 경우에도, 해당 고장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거나 비상 수동해제 전까지는 주행이 어려워 운전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KR 10-2010-0123150 A, 2010. 11. 24, 도면 1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기의 등의 고장에 의한 페일세이프티 기능에 의해 정차 후 파킹(P단)이 들어간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주행(D단)이 필요한 경우 D단 주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By-Wire, SBW)용 자동변속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By-Wire, SBW)용 자동변속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변속기의 고장에 대응하여 차량의 정차 후 상기 변속기를 파킹(P단) 상태로 시프트하여 유지하는 페일세이프티 수행단계; 및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비상주행을 위한 사용자의 정차해제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정차해제신호를 기초로 사전에 정해진 정차해제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파킹 상태를 해제하는 비상주행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페일세이프티 수행단계는 상기 변속기의 고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고장이 감지된 후 현재 차속이 사전에 정한 임계차속에 도달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임계차속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파킹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페일세이프티 수행단계는 상기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임계차속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고장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표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변속레버의 일측에 배치된 파킹 해제버튼(parking release button) 또는 시프트 언락버튼(shift unlock button) 으로 마련되고, 상기 파킹 해제버튼 또는 상기 시프트 언락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정차해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차해제조건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힌 상태에서 상기 파킹 해제버튼 또는 상기 시프트 언락버튼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정차해제신호가 사전에 정해진 횟수로 반복하여 입력된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By-Wire, SBW)용 자동변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By-Wire, SBW)용 자동변속시스템은 차량의 변속단을 변속하는 변속기; 비상주행을 위한 사용자의 정차해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변속기의 고장에 대응하여 차량의 정차 후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여 상기 변속단을 파킹으로 시프트하여 유지하는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정차해제신호가 입력되어 사전에 정해진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여 상기 변속단의 파킹 상태를 해제하는 비상주행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은 상기 변속기의 고장을 감지하고, 상기 고장이 감지된 후 현재 차속이 사전에 정한 임계차속에 도달되는 지 판단하며, 상기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임계차속에 도달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파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은 상기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임계차속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고장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표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변속레버의 일측에 배치된 파킹 해제버튼(parking release button) 또는 시프트 언락버튼(shift unlock button) 으로 마련되고, 상기 파킹 해제버튼 또는 상기 시프트 언락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정차해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힌 상태에서 상기 정차해제신호가 사전에 정해진 횟수로 반복하여 입력된 경우에 상기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은 변속기의 고장에 의한 페일세이프티 기능에 의해 정차 후 파킹(P단)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전에 정해진 조건 아래 주행이 가능하도록 파킹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정비를 위한 비상주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By-Wire)용 자동변속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변속기(10), 사용자 입력부(20), 제어부(3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변속기(10)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SBW)용으로서 변속레버의 조작에 대응하여 주행(D단) 및 파킹(P단) 등으로 변속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0)는 변속기(10)의 고장에 의해 정차 후 변속기(10)가 파킹(P단) 단으로 시프트되어 유지된 경우 비상주행을 위한 사용자의 정차해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0)는 변속기(10)의 조작을 위한 변속레버의 일측에 배치된 파킹 해제버튼(parking release button) 또는 시프트 언락버튼(shift unlock button)이 눌러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차해제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32), 비상주행 제어모듈(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32)은 변속기(10)의 고장에 대응하여 차량의 정차 후 변속기(10)를 제어하여 변속단을 파킹으로 시프트하여 유지한다.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32)은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변속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32)은 변속기(10)의 고장을 감지한다. 이러한 고장감지는 별도로 마련된 제어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32)은 고장이 감지된 후 현재 차속이 사전에 정한 임계차속에 도달되는 지 판단하며,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임계차속에 도달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기(10)의 파킹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32)은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임계차속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기(10)의 고장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신호는 차량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문자형태로 표시되거나, 경고음 또는 경고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차량의 안전을 위해 정차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비상주행 제어모듈(34)은 사용자 입력부(20)를 통해 비상주행을 위한 정차해제신호가 입력되어 사전에 정해진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변속기(10)를 제어하여 변속단의 파킹 상태를 해제한다.
예를 들면, 비상주행 제어모듈(34)은 브레이크 페달이 밟힌 상태에서 파킹 해제버튼 또는 시프트 언락버튼에 의해 입력된 정차해제신호가 사전에 정해진 횟수로 반복하여 입력된 경우에 위의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변속단의 파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상주행 제어모듈(34)은 외부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변속기(10)의 파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엔진이 구동된 경우,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의 오프(OFF), 커넥터의 탈거 및 CAN의 타임아웃과 같은 변속기(10)의 고장을 감지한다(S210).
다음,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고장이 감지된 경우 고장의 감지 후 현재 차속이 사전에 정한 임계차속 이상인 지 판단하고(S220), 판단결과 상기 임계차속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변속기(10)의 고장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표출하고 S220단계로 돌아간다(S225). 이에 의해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차량이 정차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S220단계의 판단결과 임계차속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변속단을 파킹(P단)으로 시프트하여 유지한다(S230). 이에 의해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변속기의 고장에 의한 도 1의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32)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비상주행을 위한 사용자의 정차해제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차해제신호를 기초로 사전에 정해진 정차해제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단하고(S240), 판단결과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파킹상태를 유지하고 S240단계로 돌아간다(S245).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변속레버의 일측에 배치된 파킹 해제버튼(parking release button) 또는 시프트 언락버튼(shift unlock button) 으로 마련되고, 파킹 해제버튼 또는 시프트 언락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대응하여 정차해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위의 정차해제조건은, 브레이크 페달이 밟힌 상태에서 파킹 해제버튼 또는 시프트 언락버튼에 의해 입력된 정차해제신호가 사전에 정해진 횟수로 반복하여 입력된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한편, S240단계의 판단결과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파킹상태를 해제하고 차량의 주행가능에 따른 위험을 환기시키기 위해 변속기(10) 고장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표출한다(S25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1)은 변속기의 고장에 의한 페일세이프티 기능에 의해 정차 후 파킹(P단)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전에 정해진 조건 아래 주행이 가능하도록 파킹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정비를 위한 비상주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1: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10: 변속기
20: 사용자 입력부
30: 제어부
32: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
34: 비상주행 제어모듈

Claims (8)

  1.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변속기의 고장에 대응하여 차량의 정차 후 상기 변속기를 파킹(P단) 상태로 시프트하여 유지하는 페일세이프티 수행단계; 및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비상주행을 위한 사용자의 정차해제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정차해제신호를 기초로 사전에 정해진 정차해제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파킹 상태를 해제하는 비상주행 수행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변속레버의 일측에 배치된 파킹 해제버튼(parking release button) 또는 시프트 언락버튼(shift unlock button)으로 마련되고, 상기 파킹 해제버튼 또는 상기 시프트 언락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정차해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정차해제조건은, 브레이크 페달이 밟힌 상태에서 상기 파킹 해제버튼 또는 상기 시프트 언락버튼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정차해제신호가 사전에 정해진 횟수로 반복하여 입력된 경우에 충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세이프티 수행단계는 상기 변속기의 고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고장이 감지된 후 현재 차속이 사전에 정한 임계차속에 도달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임계차속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파킹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세이프티 수행단계는 상기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임계차속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고장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표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의 제어방법.
  4. 삭제
  5. 차량의 변속단을 변속하는 변속기;
    비상주행을 위한 사용자의 정차해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변속기의 고장에 대응하여 차량의 정차 후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여 상기 변속단을 파킹으로 시프트하여 유지하는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정차해제신호가 입력되어 사전에 정해진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여 상기 변속단의 파킹 상태를 해제하는 비상주행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변속레버의 일측에 배치된 파킹 해제버튼(parking release button) 또는 시프트 언락버튼(shift unlock button)으로 마련되고, 상기 파킹 해제버튼 또는 상기 시프트 언락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정차해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브레이크 페달이 밟힌 상태에서 상기 파킹 해제버튼 또는 상기 시프트 언락버튼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정차해제신호가 사전에 정해진 횟수로 반복하여 입력된 경우에 상기 정차해제조건이 충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은 상기 변속기의 고장을 감지하고, 상기 고장이 감지된 후 현재 차속이 사전에 정한 임계차속에 도달되는 지 판단하며, 상기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임계차속에 도달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파킹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세이프티 제어모듈은 상기 임계차속의 도달여부 판단 결과 상기 임계차속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기의 고장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8. 삭제
KR1020110131538A 2011-12-09 2011-12-09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49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38A KR101349433B1 (ko) 2011-12-09 2011-12-09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38A KR101349433B1 (ko) 2011-12-09 2011-12-09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915A KR20130064915A (ko) 2013-06-19
KR101349433B1 true KR101349433B1 (ko) 2014-01-08

Family

ID=4886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538A KR101349433B1 (ko) 2011-12-09 2011-12-09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4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597A (ko) 2017-10-13 2019-04-23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제어를 위한 유압제어 시스템
US10875542B2 (en) 2019-03-05 2020-12-29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il-safe for vehicle, and vehicl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181B1 (ko) 2015-10-13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페일세이프 주행 제어방법
CN115257663B (zh) * 2021-04-29 2024-04-1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驻车制动方法、系统及车辆
CN114906116A (zh) * 2021-07-16 2022-08-16 株式会社电装 驻车控制装置及驻车控制方法
CN114110160B (zh) * 2021-11-16 2023-04-04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手柄电子换挡器自动升降控制方法
CN115111359B (zh) * 2022-01-07 2023-10-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新能源车辆变速箱的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N116104935B (zh) * 2022-12-30 2024-04-12 重庆赛力斯凤凰智创科技有限公司 基于车辆故障的挡位确认方法、装置、计算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1577A (ja) * 2008-05-26 2009-12-03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KR20110062755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레버를 이용한 티시유 페일-세이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1577A (ja) * 2008-05-26 2009-12-03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KR20110062755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레버를 이용한 티시유 페일-세이프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597A (ko) 2017-10-13 2019-04-23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제어를 위한 유압제어 시스템
US10875542B2 (en) 2019-03-05 2020-12-29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il-safe for vehicle, and vehicl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915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433B1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11198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with an electric parking brake
US9309966B2 (en)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washing mode for vehicle equipped with shift-by-wire shifting device
US10571019B2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2008185168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5030293A (ja) 車両用シフト制御装置
US10894540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KR101172303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1684106B1 (ko) 변속단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6449548B2 (ja) エンジン自動制御装置
KR101655163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출발 방지 장치 및 방법
JP6182310B2 (ja) アイドルストップ&スタート制御装置
US20140039746A1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with an electric motor and a motor vehicle
JP6229434B2 (ja) 車両用制御装置
EP35057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for industrial vehicle
KR20130044088A (ko) 차량의 사고 발생 시 변속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15232343A (ja) 車両のシフト制御装置
JP2007230271A (ja) 過回転防止装置
KR2013003063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83249B1 (ko) 자동 제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KR102450762B1 (ko) 차량의 정차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552093B1 (ko)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KR102440589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 시스템 및 방법
JP2022152515A (ja) 車両の制御装置
CN116061894A (zh) 用于工程机械的自动驻车方法和自动驻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