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093B1 -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093B1
KR102552093B1 KR1020180148654A KR20180148654A KR102552093B1 KR 102552093 B1 KR102552093 B1 KR 102552093B1 KR 1020180148654 A KR1020180148654 A KR 1020180148654A KR 20180148654 A KR20180148654 A KR 20180148654A KR 102552093 B1 KR102552093 B1 KR 102552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ontrol
parking
system controll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401A (ko
Inventor
송창호
이창현
김용익
김범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0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08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the locking mechanism being moved by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6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buttons or a keyboard connected to the on-board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은 N단 시동 OFF 및 P단 Auto Parking를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기(20)가 N단 시동 OFF 선택입력을 검출하면, N단 확인에 따른 N단 시동 OFF와 N단 시동 OFF Fail Safe가 구현 되거나 또는 P단 확인시 P단 Auto Parking과 P단 Fail Safe가 구현되도록 SBW 시스템(10)을 제어함으로써 Auto Parking과 N단 시동 OFF에 대한 운전자 혼란 해소 및 안전성 향상이 이루어지고, 특히 N단 시동 OFF 상태에서 위험(Fail) 인지에 따른 자동적인 P단 체결과 P단 미체결 시 EPB의 협조 제어로 페일 세이프(fail-safe) 구현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Advanced Ignition OFF Control Method and Shift By Wir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SBW 시스템을 적용한 시동오프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N단 시동 OFF 및 Auto Parking에 대한 운전자의 혼란을 해소하면서 안전성도 향상한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가 구현되는 SBW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BW 시스템(Shift By Wire System)은 변속레버와 변속기 간 기계적 연결 구조를 갖지 않음으로써 D(전진), R(후진), N(중립) 및 P(파킹)의 변속이 운전자의 버튼조작 및 레버조작을 통한 전자식 변속 제어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SBW 시스템은 버튼식 변속레버, 액추에이터, 감속기, 파킹기구 및 변속레버 신호로 감속기를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면서 감속기내 구비된 파킹기구에 의한 Auto Parking(자동주차)을 구현하는 SCU(Smart Control Unit)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SBW 시스템은 보다 수월한 D-R-N-P의 변속 조작과 함께 변속레버의 소형화로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의 센터페시아 공간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SBW 시스템은 N단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 OFF를 하더라도 N단을 유지하는 N단 시동 OFF(또는 N단 세차) 및 R/D단인 상태에서 운전자의 시동 OFF 시 자동으로 P단 체결을 해주는 Auto Parking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SBW 시스템의 N단 시동 OFF 절차는, ① 변속기 N단 상태 -> ② 운전자 시동 버튼 누름(시동 OFF -> ③ 차량 엔진 시동OFF 및 전원 ACC 천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는 동작의 흐름진행을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SBW 시스템의 Auto Parking 절차는, ① 변속기 R/D단 상태 -> ② 운전자 시동 버튼 누름(시동 OFF) -> ③ 제어기 P단 제어 -> ④ SCU P단 체결 요청 -> ⑤ 변속기 P단 체결 -> ⑥ 차량 엔진 시동 및 전원 OFF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는 동작의 흐름 진행을 의미한다.
그 결과 상기 SBW 시스템은 D 또는 R에서 시동 오프(OFF) 시 변속 레버의 P 위치 자동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별도의 P단 조작을 요구하지 않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국내공개특허 10-2012-0119231(2012년10월31일)
하지만 상기 SBW 시스템은 N단 상태에서 시동OFF 시에는 N단 시동 OFF 기능만 작동함으로써 N단에서는 Auto Parking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방식이다.
그 결과 운전자가 Auto Parking과 N단 시동OFF 기능 사이에서 혼란을 느낄 수 있고, 특히 평상시 시동 OFF 상황에서 차량 구름과 같은 안전 문제로 번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BW 시스템은 평상시 시동 OFF 상황에서 Auto Parking 기능이 작동하여 자동으로 P단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 제공을 필요로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N단 시동 OFF 및 Auto Parking의 변속단에 대한 시동 OFF 시 구분으로 N단 상태에서도 Auto Parking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Auto Parking과 N단 시동 OFF에 대한 운전자 혼란 해소 및 안전성 향상이 이루어지고, 특히 N단 시동 OFF 상태에서 위험(Fail) 인지에 따른 자동적인 P단 체결과 P단 미체결 시 EPB의 협조 제어로 페일 세이프(fail-safe) 구현이 가능한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은 N단 시동 OFF 및 P단 Auto Parking를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기가 N단 시동 OFF 선택입력 검출시 N단 확인에 따른 N단 시동 OFF와 N단 시동 OFF Fail Safe를 구현하고, 반면 N단 시동 OFF 선택입력 미 검출시 P단 Auto Parking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N단 시동 OFF 선택입력은 버튼 조작 또는 패들 시프트 조작을 검출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조작은 모드 버튼이나 전용버튼을 이용한 버튼 누름과 시동버튼 누름에 이어 버튼누름해제의 동작이며, 상기 패들 시프트 조작은 패들 시프트 당김과 시동버튼 누름에 이어 패들 시프트 당김 해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N단 시동 OFF 선택입력은 전원 ACC와 IG ON 및 시동 ON의 상태에서 N단 모드선택기의 신호로 이루어지고, 신호 검출에 이어진 시동버튼의 누름 후 상기 N단 시동 OFF의 진입을 위한 N단 확인으로 상기 N단 시동 OFF를 위한 N단 시동 OFF 제어가 수행되며, 신호 미검출에 이어진 상기 시동버튼의 누름 후 P단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P단 Auto Parking을 위한 P단 Auto Parking 제어가 수행된다. 특히 상기 시동버튼의 누름시 상기 N단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N단 시동 OFF 제어는 상기 P단 Auto Parking 제어로 전환된다. 상기 P단 확인이 이루어지면 P단 Auto Parking 제어 진행 없이 상기 P단 Auto Parking이 종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N단 시동 OFF의 제어는 제어기 N단 유지에 이은 전원 ACC OFF 및 시동 OFF로 천이된 후 상기 N단 시동 OFF Fail Safe의 제어로 진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N단 시동 OFF Fail Safe의 제어는 차량 경사와 차속 판단에 이은 운전석 도어 열림 확인이 이루어지고, P단 제어를 통한 P단 체결 요청으로 변속기 P단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변속기 P단 체결은 파킹 스프라그 체결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 경사와 상기 차속의 판단은 상기 차량 경사와 상기 차속이 각각 상기 임계값(threshold) 이상인 경우에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P단 Auto Parking의 제어는 일정 차속 이하에서 P단 제어를 통한 P단 체결 요청으로 변속기 P단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변속기 P단 체결은 파킹 스프라그 체결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정 차속이하 조건의 미 충족시 제어기 N단 제어에 이어 상기 제어기 P단 제어로 진입되고, 상기 P단 제어는 상기 P단 Fail Safe의 제어로 진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P단 Fail Safe의 제어는 EPB 체결 요청에 따른 EPB의 체결로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SBW 시스템은 D-R-N-P 변속신호로 변속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와 연계되는 SCU, D-R-N-P 변속신호를 발생하는 변속레버, 상기 SCU의 제어로 작동하는 감속기 액추에이터, 상기 감속기 액추에이터로 동작되어 상기 변속기의 파킹 스프라그를 체결하는 파킹기구, N단 시동 OFF에 대한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는 N단 모드선택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N단 모드선택기는 모드 버튼, 시동버튼, 페들 시프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TCU이다.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상기 N단 모드선택기의 신호를 검출하는 SBW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고, EPB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차량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센서,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 차량 도어 열림을 검출하는 도어 스위치, 시트벨트 착용신호를 검출하는 시트벨트 스위치, 브레이크 페달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브레이크 페달, 엔진 시동 및 전원 작동과 엔진 시동 ON/OFF 신호를 생성하는 시동버튼과 연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은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가 구현되는 SBW 시스템이 적용됨으로써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평상시 시동 OFF 상황에서 변속단을 결정하는 N단 시동 OFF 및 Auto Parking의 구분으로 N단 상태에서도 Auto Parking 기능 작동이 가능함으로써 운전자 혼란 제거를 통한 Auto Parking 기능과 N단 시동OFF 기능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N단 시동 OFF를 위한 별도의 모드 선택 입력 상태 기준으로 N단 시동 OFF 기능 개선이 이루어짐으로써 N/R/D단에서 시동 OFF 시 Auto Parking 기능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N단 시동 OFF 상태에서 위험(Fail) 인지 시 자동으로 P단 체결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변속기가 P단 체결을 못 하는 상황에서 EPB(Electronic Parking Break)의 협조 제어를 요청하는 Fail Safe 구현이 이루어진다. 넷째, 소비 만족도 평가가 이루어지는 CR(Consumer Report)에서 요구되는 CR 점수 상승과 차량 구매 비추천 회피를 통해 차량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를 구현하는 SBW 시스템의 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를 위한 엔진 시동 및 변속단의 작동 조건선도의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은 전원 ACC+IG ON & 시동 ON(S10)과 전원 & 시동 OFF(S100) 사이에서 N단 시동 OFF 구분 모드(S10~S60)로 N단, P단을 구분하고, N단 시동 OFF 모드(S40)에 의한 N단 시동 OFF 절차와 P단 Auto Parking 모드(S70)에 의한 P단 Auto Parking 절차가 수행되며, 나아가 N단 시동 OFF 모드(S40)시 N단 시동 OFF Fail Safe 모드(S50)와 P단 Auto Parking 모드(S70)시 P단 Fail Safe 모드(S80)로 각 모드에 대한 Fail Safe 구현이 이루어진다.
이로부터 상기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은 SBW 시스템(Shift By Wire System) 탑재 차량에서 별도의 모드 선택 입력 상태를 기준으로 N단 시동 OFF를 제공할 수 있고, N단 시동OFF 기능 개선에 따라 N/R/D단에서 시동OFF시 Auto Park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N단 시동 OFF 상태에서 도로 경사와 차속 및 도어 오픈의 위험 인지시 자동으로 P단을 체결하거나 변속기가 P단 체결을 못 하는 상황에서 EPB의 협조제어로 Fail Safe가 구현되어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은 운전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으며 안전성이 향상된 Auto Parking 기능과 N단 시동 OFF 기능을 구현하고, 이러한 장점은 기존의 N단 시동 OFF 구현이 N단에서는 Auto Parking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운전자가 Auto Parking과 N단 시동OFF 기능 사이에서 느끼는 혼란 및 도로 경사로 인한 차량 구름의 안전 문제 발생을 모두 해소할 수 있고, 특히 CR(Consumer Report)지에서 해당 기능 관련하여 평상시 시동 OFF시 Auto Parking 기능이 작동하여 자동으로 P단 체결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차량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일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은 SBW 시스템(10), 변속시스템, 신호 생성부(40) 및 EPB(Electronic Parking Break)(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BW 시스템(10)은 SCU(Smart Control Unit)(11), 변속레버(12), 감속기 액추에이터(13), 파킹기구(14) 및 N단 모드선택기(15)를 포함한다.
상기 SCU(11)는 변속레버 신호로 감속기를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면서 감속기내 구비된 파킹기구에 의한 Auto Parking(자동주차)을 구현하고, 시스템 제어기(20)와 협조하여 시동 OFF 구분 모드(S10~S60), N단 시동 OFF 모드(S40)와 N단 시동 OFF Fail Safe 모드(S50), P단 Auto Parking 모드(S70)와 P단 Fail Safe 모드(S80)를 수행한다. 상기 변속레버(12)는 버튼식 변속레버로 D-R-N-P 단 변속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감속기 액추에이터(13)는 SCU(11)의 제어로 파킹기구(14)를 작동시킨다. 상기 파킹기구(14)는 액추에이터(13)의 작동으로 Auto Parking을 수행한다.
상기 N단 모드선택기(15)는 버튼(모드 버튼이나 전용버튼) 또는 페들 시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모드 버튼이나 전용버튼)을 이용한 N단 시동 OFF 모드 선택입력은 버튼 누름 유지 상태에서 시동 버튼을 누른 후 버튼을 떼어 이루어지고, 페들 시프트를 이용한 N단 시동 OFF 모드 선택입력은 페들 시프트 당김 유지 상태에서 시동 버튼을 누른 후 페들 시프트 당김 해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속시스템은 시스템 제어기(20)와 변속기(30)로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기(20)는 D-R-N-P 단 변속이 이루어지는 변속기(30)를 제어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이다. 특히 상기 시스템 제어기(20)는 SBW 시스템 제어부(21)를 포함하며, 상기 SBW 시스템 제어부(21)는 N단 모드선택기(15)의 신호를 검출하고, SCU(11)에 P단 체결/해제를 요구하고 P단 체결/해제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생성부(40)는 센서유닛(50), 브레이크 페달(60) 및 시동버튼(70)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유닛(50)은 차속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차속센서(51), 차량 도어(예, 운전적 도어)의 열림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스위치(52), 시트벨트 착용신호를 생성하는 시트벨트 스위치(53)로 이루어지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 경사 검출을 위한 경사각 센서(즉, 중력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60)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시동버튼(70)은 차량의 엔진 시동 및 전원을 작동시키고, 엔진 시동 ON/OFF 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차속검출신호, 상기 도어열림신호, 상기 시트벨트착용신호,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신호, 상기 엔진 시동 ON/OFF 신호는 시스템 제어기(20)로 전달되고, 시스템 제어기(20)에선 이들 신호를 읽어 N단 시동 OFF Fail Safe 모드(S50)와 P단 Fail Safe 모드(S80)에 대한 기능 Fail 조건 감지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EPB(100)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이다.
이하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주체는 SCU(11)와 협조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20)이고, 제어대상은 SBW 시스템(10), 변속기(30), EPB(100)이다.
시스템 제어기(20)는 시동 OFF 구분 모드(S10~S60)에 대해 S10의 전원 ACC+IG ON & 시동 ON 유지 단계, S10-1의 N단 시동 OFF 선택 입력 동작 검출 단계, S20의 N단 시동 OFF 모드 선택 입력 확인 단계, 모드선택 N단 시동 OFF 단계(S30,S30-1), P단 Auto Parking 단계(S60,S60-1)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N단 시동 OFF 선택 입력 동작 검출(S10-1) 및 상기 N단 시동 OFF 모드 선택 입력 확인(S20)은 하드웨어적인 물리적 동작이 아닌 시스템 제어기(20)에 의한 N단 모드선택기(15) 등의 상태 확인 동작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기(20)는 전원 ACC+IG ON & 시동 ON 유지상태(S10)를 차량의 엔진 시동 및 전원을 작동시키는 시동 버튼(70)으로 확인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20)는 N단 시동 OFF 선택 입력 동작 검출(S10-1)에 대해 N단 모드선택기(15)의 신호 발생이 가능한 활성화 상태를 검출한다. 일례로, 상기 N단 모드선택기(15)의 신호 발생은 모드 버튼이나 전용버튼을 이용한 버튼 누름 -> 시동버튼 누름 -> 버튼누름해제의 동작에 대한 신호 발생이나 또는 패들 시프트 당김 -> 시동버튼 누름 -> 패들 시프트 당김 해제의 동작에 대한 신호 발생이다. 여기서“->”는 동작의 흐름이 연속적으로 이어짐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기(20)는 차량 시동/전원 분류 및 시동 조건표(A)와 변속단별 시동OFF 시 기능 작동 조건표(B)를 적용한다. 상기 조견표(A,B)는 N단 시동OFF(N단 세차) 기능은 N단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 OFF를 하더라도 N단을 유지하는 기능이 이루어지고, Auto Parking 기능은 R/D단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 OFF하더라도 자동으로 P단 체결을 해주는 기능이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기(20)는 전원 ACC+IG ON & 시동 ON 유지상태(S10)에서 N단 상태에서도 Auto Parking 기능 작동이 가능하도록 N단 모드선택기(15)의 N단 시동 OFF 모드 신호 검출(S20)로 변속단을 결정하는 두 가지 기능인 N단 시동 OFF와 Auto Parking을 구분한다. 그 결과 시스템 제어기(20)는 N단 모드선택기(15)의 눌림 검출시 모드선택 N단 시동 OFF 단계(S30,S30-1)로 진입하는 반면 N단 모드선택기(15)의 눌림 미 검출시 P단 Auto Parking 단계(S60,S60-1)로 진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기(20)는 상기 모드선택 N단 시동 OFF 단계(S30,S30-1)에 대해 S30의 시동 버튼의 시동 OFF 검출과 S30-1의 N단 확인을 수행한다. 상기 시동 OFF는 현재 변속단을 기준으로 변속기를 제어하여 변속단을 결정한 다음 엔진 시동을 꺼주도록 작동하는 시동버튼(70)의 눌림을 의미한다. 상기 N단 확인은 시스템 제어기(20)가 변속레버(12)의 N단 신호를 읽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시스템 제어기(20)는 N단 시동 OFF 모드 선택 입력(S20)과 시동 버튼(시동OFF)입력(S30)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N단 시동 OFF 기능 작동 판단하여 변속기 N단 체결로 진행한다. 그 결과 시스템 제어기(20)는 N단 시동 OFF 모드(S40)와 N단 시동 OFF Fail Safe 모드(S50)로 전환한다.
특히 시스템 제어기(20)는 S30-1의 N단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Auto Parking 모드(S70)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N단 상태에서 시동 OFF 시 P단 Auto Parking에 대한 구분 없이 N단 시동 OFF 기능만 작동함에 따른 단점이 해소된다.
시스템 제어기(20)는 상기 N단 시동 OFF 모드(S40)에 대해 S41의 제어기 N단 유지 단계, S42의 전원 ACC & 시동 OFF 단계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N단 시동 OFF 모드(S40)는 변속기 N단 유지 상태에서 전원 ACC 천이와 함께 시동 OFF가 수행된다.
그 결과 상기 N단 시동 OFF 모드(S40)는 운전자 N단 변속에 이은 N단 시동 OFF 모드 선택입력 후 시동 버튼(70)의 시동 OFF 누름을 통한 선택 입력 해제에 이어 변속기 N단 유지 및 차량 시동 OFF 및 전원 ACC 전이로 N단 시동 OFF를 구현한다.
이어 시스템 제어기(20)는 상기 N단 시동 OFF 모드(S40)에 이은 N단 시동 OFF Fail Safe 모드(S50)로 진행함으로써 N단 시동OFF 기능 작동 중 위험상황에 대한 Fail Safe를 구현하여 안전성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기(20)는 경사각 센서의 차량 경사를 기본으로 하여 차속센서(51)에 의한 차량 움직임과 도어 스위치(52)에 의한 도어 열림을 위험인자로 하여 차량 구름과 운전자 하차 등 상황 인식을 하고, 이로부터 변속기의 P단 체결을 결정함으로써 안전성 강화를 Fail Safe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 제어기(20)는 N단 시동 OFF Fail Safe 모드(S50)에 대해 S51의 차량 경사 판단 단계, S52의 차속 판단 단계롤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차량 경사 판단(S51)은 하기 차량 경사 판단식을, 상기 차속 판단(S52)은 차속 판단식을 적용한다.
차량 경사 판단식 : 경사각 > X
차속 판단식 : 차속 > Y
여기서 “경사각”은 경사각센서의 검출값이고, “X"는 경사각 임계값(threshold)으로 경사각에 의한 차량 구름은 차종에 따라 다르므로 특정한 수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차속”은 차속센서(51)의 검출값이고, “Y"는 차속 임계값(threshold)으로 차속은 차종에 따라 위험속도가 다르므로 특정한 수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은 두 값의 크기 관계를 나타내는 부등호이다.
이어 시스템 제어기(20)는 N단 시동 OFF Fail Safe 모드(S50)에 대해 S53의 도어 스위치(52)에 의한 운전석 도어 열림 확인 단계, S54의 제어기 P단 제어 단계, S55의 SBW 시스템 제어부(21)에서 SCU(11)로 P단 체결 요청 단계, S56의 감속기 액추에이터(13)와 파킹기구(14)에 대한 SCU(11)의 제어로 파킹 스프라그 체결이 이루어지는 변속기 P단 체결 단계를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N단 시동OFF 기능 Fail Safe 모드(S50)는 N단 시동OFF 상태 (예, 차량 시동OFF/전원ACC)에서 위험(Fail) 조건 확인(예, 경사각/차속/운전석 도어 오픈)을 Fail 발생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SBW 시스템 제어부(21)와 SCU(11)의 협조 제어에 의한 P단 제어로 변속기 P단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차량 구름 상황과 차량이동 하차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시스템 제어기(20)는 S100의 전원 & 시동 OFF로 전환되어 N단 시동 OFF 모드(S40)와 N단 시동 OFF Fail Safe 모드(S50)를 종료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기(20)는 상기 P단 Auto Parking 단계(S60,S60-1)에 대해 S60의 시동 버튼의 시동 OFF 검출과 S60-1의 P단 확인을 수행한다. 상기 시동 OFF는 현재 변속단을 기준으로 변속기를 제어하여 변속단을 결정한 다음 엔진 시동을 꺼주도록 작동하는 시동버튼(70)의 눌림을 의미한다. 상기 P단 확인은 시스템 제어기(20)가 변속레버(12)의 P 단 신호를 읽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시스템 제어기(20)는 N단 시동 OFF 모드 선택 입력(S20)과 시동 버튼(시동OFF)입력(S60)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Auto Parking 기능 적용으로 판단한 후 P단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변속기 P단 체결로 진행한다.
그 결과 시스템 제어기(20)는 Auto Parking 모드(S70)와 P단 Fail Safe 모드(S80)로 전환한다. 반면 상기 P단 확인이 이루어지면 P단 Auto Parking 제어 없이 바로 S100의 전원 & 시동 OFF로 전환되어 P단 Auto Parking을 종료한다.
시스템 제어기(20)는 상기 Auto Parking 모드(S70)에 대해 S71의 일정 차속이하 조건 판단 단계, S71-1의 일정 차속이하 조건 미 충족시 제어기 N단 제어 단계, S72의 일정 차속이하 조건 충족시 제어기 P단 제어 단계, S73의 SBW 시스템 제어부(21)에서 SCU(11)로 P단 체결 요청 단계, S74의 감속기 액추에이터(13)와 파킹기구(14)에 대한 SCU(11)의 제어로 파킹 스프라그 체결이 이루어지는 변속기 P단 체결 단계를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Auto Parking 모드(S70)는 변속기 N/R/D단 상태 또는 N단에서 N단 시동 OFF모드 선택 미 입력 상택에서 시동 버튼(70)의 시동 OFF 누름으로 시스템 제어기(20)의 작동을 통해 P단 자동 체결로 Auto Parking을 구현한다.
이어 시스템 제어기(20)는 상기 Auto Parking 모드(S70)의 제어기 P단 제어 가 변속기(30)의 이상으로 P단 체결 불가시 P단 Fail Safe 모드(S80)로 전환함으로써 EPB(100)와 협조 제어로 P단 체결이 되지 않을 경우에 대한 페일 세이프(Fail Safe) 구현으로 안전성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기(20)는 감속기 액추에이터(13) 또는 파킹기구(14)의 불량 검출을 위험인자로 하여 변속기(30)의 P단 체결 불가 상황 인식을 하고, 이로부터 EPB(100)에 협조 제어를 요청함으로써 P단 체결 불가 상황에 대해 EPB 동작을 통한 안전성 강화를 Fail Safe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 제어기(20)는 P단 Fail Safe 모드(S80)에 대해 S81의 제어기 EPB 체결 요청 단계, S82의 EPB 체결 단계롤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P단 Fail Safe 모드(S80)는 시스템 제어기(20)의 P단 판단에 따른 변속기 P단 체결 불가(Fail)시 시스템 제어기(20)의 EPB(100)에 대한 EPB 협조 체결 요청으로 EPB(100)를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변속기 P단 미 체결상태가 EPB(100)의 작동으로 보완될 수 있다.
이후 시스템 제어기(20)는 S100의 전원 & 시동 OFF로 전환되어 Auto Parking 모드(S70)와 P단 Fail Safe 모드(S80)를 종료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은 N단 시동 OFF 및 P단 Auto Parking를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기(20)가 N단 시동 OFF 선택입력을 검출하면, N단 확인에 따른 N단 시동 OFF와 N단 시동 OFF Fail Safe가 구현 되거나 또는 P단 확인시 P단 Auto Parking과 P단 Fail Safe가 구현되도록 SBW 시스템(10)을 제어함으로써 Auto Parking과 N단 시동 OFF에 대한 운전자 혼란 해소 및 안전성 향상이 이루어지고, 특히 N단 시동 OFF 상태에서 위험(Fail) 인지에 따른 자동적인 P단 체결과 P단 미체결 시 EPB의 협조 제어로 페일 세이프(fail-safe) 구현이 가능하다.
1 : 차량 10 : SBW 시스템
11 : SCU(Smart Control Unit)
12 : 변속레버 13 : 감속기 액추에이터
14 : 파킹기구 15 : N단 모드선택기
20 : 시스템 제어기 21 : SBW 시스템 제어부
30 : 변속기 40 : 신호 생성부
50 : 센서유닛 51 : 차속센서
52 : 도어 스위치 53 : 시트벨트 스위치
60 : 브레이크 페달 70 : 시동버튼
100 : EPB(Electronic Parking Break)

Claims (15)

  1. N단 시동 OFF 및 P단 Auto Parking를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기가 N단 시동 OFF 선택입력을 검출하면, N단 확인에 따른 N단 시동 OFF와 N단 시동 OFF Fail Safe를 구현하고, 반면 N단 시동 OFF 선택입력을 검출하지 않으면 P단 Auto Parking을 구현하고;
    상기 N단 시동 OFF 선택입력은 전원 ACC와 IG ON 및 시동 ON의 상태에서 N단 모드선택기의 신호로 이루어지고, 신호 검출에 이어진 시동버튼의 누름 후 상기 N단 시동 OFF의 진입을 위한 N단 확인으로 상기 N단 시동 OFF를 위한 N단 시동 OFF 제어가 수행되며;
    상기 시동버튼의 누름 시 상기 N단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N단 상태에서 시동 OFF 시 N단 시동 OFF 기능을 P단 Auto Parking기능과 구분되도록 상기 N단 시동 OFF 제어는 상기 P단 Auto Parking 제어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단 시동 OFF 선택입력은 전원 ACC와 IG ON 및 시동 ON의 상태에서 N단 모드선택기의 신호로 이루어지고, 신호 미검출에 이어진 상기 시동버튼의 누름 후 P단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P단 Auto Parking을 위한 P단 Auto Parking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단 확인이 이루어지면 P단 Auto Parking 제어 진행 없이 상기 P단 Auto Parking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단 시동 OFF의 제어는 제어기 N단 유지에 이은 전원 ACC OFF 및 시동 OFF로 천이된 후 상기 N단 시동 OFF Fail Safe의 제어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N단 시동 OFF Fail Safe의 제어는 차량 경사와 차속 판단에 이은 운전석 도어 열림 확인이 이루어지고, P단 제어를 통한 P단 체결 요청으로 변속기 P단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단 Auto Parking의 제어는 일정 차속 이하에서 P단 제어를 통한 P단 체결 요청으로 변속기 P단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일정 차속이하 조건의 미 충족시 제어기 N단 제어에 이어 상기 제어기 P단 제어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P단 제어는 상기 P단 Fail Safe의 제어로 진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P단 Fail Safe의 제어는 EPB 체결 요청에 따른 EPB(Electronic Parking Break)의 체결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10. 청구항 1-2, 4 내지 8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SBW 시스템에 있어서,
    D-R-N-P 변속신호로 변속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와 연계되는 SCU(Smart Control Unit), D-R-N-P 변속신호를 발생하는 변속레버, 상기 SCU의 제어로 작동하는 감속기 액추에이터, 상기 감속기 액추에이터로 동작되어 상기 변속기의 파킹 스프라그를 체결하는 파킹기구, N단 시동 OFF에 대한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는 N단 모드선택기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BW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N단 모드선택기는 모드 버튼, 시동버튼, 페들 시프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BW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BW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SBW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SBW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N단 모드선택기의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BW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EPB(Electronic Parking Break)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BW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는 차량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센서,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 차량 도어 열림을 검출하는 도어 스위치, 시트벨트 착용신호를 검출하는 시트벨트 스위치, 브레이크 페달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브레이크 페달, 엔진 시동 및 전원 작동과 엔진 시동 ON/OFF 신호를 생성하는 시동버튼과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BW 시스템.
KR1020180148654A 2018-11-27 2018-11-27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KR102552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654A KR102552093B1 (ko) 2018-11-27 2018-11-27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654A KR102552093B1 (ko) 2018-11-27 2018-11-27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01A KR20200063401A (ko) 2020-06-05
KR102552093B1 true KR102552093B1 (ko) 2023-07-07

Family

ID=7108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654A KR102552093B1 (ko) 2018-11-27 2018-11-27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0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546A (ja) * 2005-12-22 2007-07-05 Denso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9231A (ko) 2011-04-21 201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
KR101294423B1 (ko) * 2011-11-29 2013-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차 시 경사로 굴림 방지 방법
KR20140142079A (ko) * 2013-06-03 2014-12-1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쉬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463453B1 (ko) * 2016-12-14 202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토 파킹 제어방법 및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546A (ja) * 2005-12-22 2007-07-05 Denso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01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8779B2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8676460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7094177B2 (en) Shift device of transmission
US8571770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85156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brake transmission shift interlock override mode in a shift-by-wire transmission
CN108082189B (zh) 一种换挡控制方法及整车控制器
EP2000708B1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parking mechanism
KR101349433B1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9309966B2 (en)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washing mode for vehicle equipped with shift-by-wire shifting device
CN107521502B (zh) 具有推断驻车逻辑的驾驶员界面
KR101684106B1 (ko) 변속단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6068375B (zh) 具有机械变速杆的车辆中的用于在自动停止后快速起动发动机的启停控制
US20190193736A1 (en)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08185168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CN105752083A (zh) 一种车辆换挡控制方法及系统
KR101684102B1 (ko) 전자식 변속레버의 변속제어방법
JP5267270B2 (ja) 車両のシフト制御装置
KR20180056836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오토홀드 제어 방법
US6793602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552093B1 (ko)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KR20220166415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05214370A (ja) 車両用パワートレインの制御装置
JPH09324827A (ja) 車両のクラッチ装置
KR20130044088A (ko) 차량의 사고 발생 시 변속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0670141B1 (en) Multi-function vehicl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