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567B1 -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 - Google Patents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567B1
KR101348567B1 KR1020127024217A KR20127024217A KR101348567B1 KR 101348567 B1 KR101348567 B1 KR 101348567B1 KR 1020127024217 A KR1020127024217 A KR 1020127024217A KR 20127024217 A KR20127024217 A KR 20127024217A KR 101348567 B1 KR101348567 B1 KR 10134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terminal block
groove
wiring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071A (ko
Inventor
겐고 가토
겐이치 시모다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단자대(2)는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2a)과, 상기 상면(2a)에 형성된 오목부(6)와, 상기 오목부(6)에 마련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을 가진다. 상기 상면(2a)에는, 상기 배선 접속 구멍(5)에 대응하는 배선 표시부(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6)는 배선 그룹마다 복수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선 접속 구멍(5)에 인접시켜 버튼 구멍(4a)을 마련하고, 상기 버튼 구멍(4a) 내에, 상기 배선 접속 구멍(5)의 저부에 배치된 배선 접속 피팅을 개폐하는 개폐 버튼(4)을 수용했다. 상기 오목부(6)는 띠모양의 홈이다.

Description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TERMINAL BLOCK AND ELECTRONICS UNIT}
본 발명은 단자대 및, 단자대 및 전자 부품을 실장한 배선 기판과, 전자 부품 및 배선 기판을 덮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스 선단(先端)에 단자부와 단자 명칭부(名稱部)를 가지는 전자 기기를 복수개 단적(段積)하고, 각각의 단자부와 단자 명칭부가 바로 위의 전자 기기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도록 단자부, 단자 명칭부를 함께 옮겨서, 그 상면(上面)을 노출시켜 적층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명칭부의 면을 경사지게 하고, 이 경사면에 단자 명칭판을 부착한 전자 기기의 단자 명칭판 부착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개평 02-050974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단자 명칭부의 면을 경사지게 하고, 이 경사면에 단자 명칭판을 부착하고 있다. 또, 단자 명칭부의 면에 수직하게, 단자부 및 단자부 사이를 나누는 칸막이판이 돌출하여 있다. 이 때문에, 돌출한 단자부 및 칸막이판이 방해를 하여, 단자 명칭을 단자 명칭부에 인쇄(실크 인쇄)하지 못하고, 단자 명칭판을 부착할 수밖에 없어, 단자 명칭판의 제작비와 부착 작업이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자대의 배선 표시부(단자 명칭부)에 배선 명칭을 인쇄할 수 있는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凹部)와, 상기 오목부에 마련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는 상기 단자대의 평평한 상면에, 각 배선 접속 구멍에 대응하는 각 배선 표시부를 인쇄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전자 기기 유니트의 단자대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의 전자 기기 유니트의 단자대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3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4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5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6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형태 1의 전자 기기 유니트의 단자대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 형태 1의 전자 기기 유니트의 단자대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의 전자 기기 유니트(91)는 전자 부품(도시하지 않음) 및 직사각형반(矩形盤) 모양의 단자대(2)를 실장한 배선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전자 부품 및 배선 기판을 덮는 직방체(直方體) 상자 모양의 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대(2)의 상면(2a)은 돌기물(突起物) 등이 없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단자대(2)의 상면(2a)에는 단자대(2)에 접속하는 배선 그룹 마다의, 오목부로서의 띠모양의 홈(6)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로서의 홈(6)은 3개의 배선 그룹용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
각 홈(6) 내에는 저부에 배선 접속 피팅(fitting)(5a)을 배치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배선 접속 피팅(5a)은 절연 피복이 벗겨진 배선의 도선(導線)을 끼워 넣어, 배선과 전자 기기 유니트(91)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1개의 홈(6) 내에 마련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에는, 동일 그룹의 배선이 접속된다. 동일 그룹의 배선을 1개의 홈(6) 내에 마련된 배선 접속 구멍(5)에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오배선(誤配線)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배선 접속 구멍(5)에 인접해서 직사각형의 버튼 구멍(4a)이 마련되어 있다. 버튼 구멍(4a)에는 압압(押壓) 조작에 의해 배선 접속 피팅(5a)을 열어서 배선을 빼내기(release) 위한 개폐 버튼(4)이 수용되어 있다.
배선 접속 구멍(5)과 버튼 구멍(4a)은 일부 중복하도록 형성되고, 중복부는 직사각형의 연통구(連通口, 4b)로 이루어져 있다. 배선 접속 구멍(5)과 버튼 구멍(4a)의 사이에 있는 에지(edge)부(7)는 개폐 버튼(4)이 배선 접속 구멍(5)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개폐 버튼(4)을 지지하고 있다. 단자대(2)의 평평한 상면(2a)의 각 버튼 구멍(4a) 근방에는 각 배선 접속 구멍(5)에 대응하는 각 배선 표시부(3)의 열(列)이, 띠모양의 홈(6)과 평행으로 마련되어 있다.
띠모양의 홈(6)의 저면은 버튼 구멍(4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폭방향으로 하향 경사(downward inclination)가 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홈(6)의 버튼 구멍(4a)으로부터 먼 가장자리(緣部)는 단부(段部, 8)로 되어 있다. 홈(6)의 버튼 구멍(4a)에 가까운 가장자리는 단자대(2)의 상면(2a)으로 연속되어 있다. 홈(6)에, 경사면이나 단부(8)를 마련함으로써, 홈(6)을 눈에 잘 띄게 할 수 있어, 오배선의 방지에 도움이 된다.
배선 접속 구멍(5)을 띠모양의 홈(6) 내에 마련하고, 개폐 버튼(4)을 버튼 구멍(4a) 내에 수용했으므로, 단자대(2)의 상면(2a)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없어, 단자대(2)의 평평한 상면(2a)에 마련된 모든 배선 표시부(3)의 단자 명칭을, 1회의 인쇄(실크 인쇄)로 인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2의 전자 기기 유니트(92)는 실시 형태 1의 전자 기기 유니트(91)의 단자대(2)와 동등의 단자대(2)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의 전자 기기 유니트(92)는 단자대(2)의 저면에 배선 기판(11)에 미처 다 실장할 수 없는, 전자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실장하며, 케이스(21)에 복수의 통기공(通氣孔: 10)을 마련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의 전자 기기 유니트(92)에 의하면, 배선 기판(11)의 수를 늘리거나 전자 기기 유니트(92)의 사이즈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전자 기기 유니트(92)의 기능의 다양화에 따르는 다수의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또, 케이스(21)에 복수의 통기공(10)을 마련했으므로, 방열성이 뛰어나다.
실시 형태 3.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3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의 단자대(32)의 상면(2a)은 돌기물 등이 없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단자대(32)의 상면(2a)에는 단자대(32)에 접속하는 배선 그룹 마다의 띠모양의 홈(오목부)(36)이 형성되어 있다. 띠모양의 홈(36)은 폭방향 중앙을 향해서 하향 경사가 되는 V자형 홈으로 되어 있다.
실시 형태 3의 단자대(32)는 홈(오목부)(36)의 형상 이외는 실시 형태 1의 단자대(2)와 다른 곳은 없다. 홈(36)을 V자형 홈으로 함으로써, 홈(36)을 눈에 잘 띄게 하여 오배선을 방지함과 아울러, 배선의 도선을 배선 접속 구멍(5)에 끼워 넣을 때에, V자형 경사면이 도선의 선단을 배선 접속 구멍(5)에 이르도록 가이드 하므로, 배선 접속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실시 형태 4.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4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4의 단자대(42)의 상면(2a)은 돌기물 등이 없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단자대(42)의 상면(2a)에는 단자대(42)에 접속하는 배선 그룹 마다의 띠모양의 홈(오목부)(46)이 형성되어 있다. 띠모양의 홈(46)은 단면이 사다리꼴이며, 배선 접속 구멍(5)이 마련되는 저면(46a)과, 저면(46a)의 양측의 경사면(46b)을 가지고 있다.
실시 형태 4의 단자대(42)는 홈(오목부)(46)의 형상 이외는 실시 형태 1의 단자대(2)와 다른 곳은 없다. 홈(46)에 경사면(46b)을 마련함으로써, 홈(46)을 눈에 잘 띄게 하여 오배선을 방지함과 아울러, 배선의 도선을 배선 접속 구멍(5)에 끼워 넣을 때에, 경사면(46b)이 도선의 선단을 배선 접속 구멍(5)에 이르도록 가이드 하므로, 배선 접속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실시 형태 5.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5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5의 단자대(52)는 3개의 배선 그룹용으로, 제1, 제2, 제3 영역(81, 82, 83)을 가지고 있다.
제1, 제2 영역(81, 82)에 있어서는, 단자대(52)의 상면(2a)은 돌기물 등이 없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81)에 있어서는, 제1 배선 그룹을 위한 띠모양의 오목부로서의 홈(56)이 형성되어 있다. 홈(56)의 저면은 상면(2a)과 평행면이다.
홈(56)의 저면에는, 저부에 배선 접속 피팅(5a)(도 3 참조)을 배치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홈(56) 내에 마련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에는, 제1 배선 그룹의 배선이 접속된다. 제1 배선 그룹의 배선을 1개의 홈(56) 내에 마련된 배선 접속 구멍(5)에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오배선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배선 접속 구멍(5)에 인접하여, 직사각형의 버튼 구멍(4a)이 마련되어 있다. 버튼 구멍(4a)에는 압압 조작에 의해 배선 접속 피팅(5a)을 열어 배선을 빼내기 위한 개폐 버튼(4)이 수용되어 있다. 제1 영역(81)의 각 버튼 구멍(4a) 근방의 상면(2a)에는, 각 배선 접속 구멍(5)에 대응하는 각 배선 표시부(3)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영역(81)에 있어서는, 배선 접속 구멍(5)을 홈(56) 내에 마련하여 개폐 버튼(4)을 버튼 구멍(4a) 내에 수용했으므로, 상면(2a)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없고, 제1 영역(81)의 상면(2a)에 마련된 모든 배선 표시부(3)의 단자 명칭을, 1회의 인쇄(실크 인쇄)로 인쇄할 수 있다.
제2 영역(82)에 있어서는, 단자대(52)의 상면(2a)은 돌기물 등이 없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영역(82)에 있어서는, 제2 배선 그룹을 위한 오목부(홈)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2 영역(82)의 상면(2a)에는, 저부에 배선 접속 피팅(5a)(도 3 참조)을 배치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82)의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에는, 제2 배선 그룹의 배선이 접속된다.
제2 영역(82)에 있어서는, 배선 접속 구멍(5) 및 버튼 구멍(4a)을 상면(2a)에 마련하고 있지만, 상면(2a)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없고, 제2 영역(82)의 평평한 상면(2a)에 마련된 모든 배선 표시부(3)의 단자 명칭을, 1회의 인쇄(실크 인쇄)로 인쇄할 수 있다.
제3 영역(83)은 제1, 제2 영역(81, 82)에 마련되어 있는 상면(2a)을 가지고 있지 않다. 제3 영역(83)에 있어서는, 제3 배선 그룹을 위한 띠모양의 오목부로서의 홈(56a)이 형성되어 있다. 홈(56a)의 저면은 제1, 제2 영역(81, 82)의 상면(2a)과 평행면이다.
홈(56a)의 저면에는, 저부에 배선 접속 피팅(5a)(도 3 참조)을 배치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 버튼 구멍(4a), 및 배선 표시부(3)가 마련되어 있다. 홈(56a) 내에 마련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에는, 제3 배선 그룹의 배선이 접속된다. 제3 배선 그룹의 배선을 1개의 홈(56a) 내에 마련된 배선 접속 구멍(5)에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오배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영역(82)은 제1, 제3 영역(81, 83)의 홈(56, 56a)에 끼여 있으므로, 제1, 제3 영역(81, 83)과 구별할 수 있어, 제2 배선 그룹의 오배선도 방지할 수 있다.
제3 영역(83)에 있어서는, 배선 표시부(3)가 홈(56a)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배선 표시부(3)의 단자 명칭을, 제1, 제2 영역(81, 82)의 배선 표시부(3)의 단자 명칭의 인쇄와 동시에 행하지 못하고, 별도의 공정으로 인쇄해야 한다.
실시 형태 6.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 유니트의 실시 형태 6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6의 단자대(62)는 3개의 배선 그룹용으로, 제1, 제2, 제3 영역(71, 72, 73)을 가지고 있다.
제1, 제2, 제3 영역(71, 72, 73)에 있어서, 단자대(62)의 상면(2a)은 돌기물 등이 없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71)에 있어서는, 제1 배선 그룹을 위한 띠모양의 오목부로서의 홈(66)이 형성되어 있다. 홈(66)의 저면은 상면(2a)과 평행면이다.
홈(66)의 저면에는, 저부에 배선 접속 피팅(5a)(도 3 참조)을 배치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홈(66) 내에 마련된 복수(4개)의 배선 접속 구멍(5)에는, 제1 배선 그룹의 배선이 접속된다. 제1 배선 그룹의 배선을 1개의 홈(66) 내에 마련된 배선 접속 구멍(5)에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오배선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배선 접속 구멍(5)에 인접하여, 직사각형의 버튼 구멍(4a)이 마련되어 있다. 버튼 구멍(4a)에는, 압압 조작에 의해 배선 접속 피팅(5a)을 열어 배선을 빼내기 위한 개폐 버튼(4)이 수용되어 있다. 제1 영역(71)의 평평한 상면(2a)의 각 버튼 구멍(4a) 근방에는, 각 배선 접속 구멍(5)에 대응하는 각 배선 표시부(3)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72)은 제3 영역(73)을 사이에 두고 2개소(箇所)로 나누어져 있다. 제2 영역(72)에 있어서는, 제2 배선 그룹을 위한 오목부(홈)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2 영역(72)의 상면(2a)에는, 저부에 배선 접속 피팅(5a)(도 3 참조)을 배치한 복수(2개)의 배선 접속 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72)의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5)에는, 제2 배선 그룹의 배선이 접속된다.
제3 영역(73)에 있어서는, 제3 배선 그룹을 위한 띠모양의 오목부로서의 홈(66a)이 형성되어 있다. 홈(66a)의 저면은 상면(2a)과 평행면이다. 홈(66a) 내 중앙부에는, 홈(66a)보다 1단 낮은 깊은 홈(심홈(深溝), 66b)이 형성되어 있다.
홈(66a) 및 깊은 홈(66b)의 저면에는, 저부에 배선 접속 피팅(5a)(도 3 참조)을 배치한 각각 2개의 배선 접속 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홈(66a) 내에 마련된 2개의 배선 접속 구멍(5)에는, 제3 배선 그룹의 배선이 접속되고, 깊은 홈(66b) 내에 마련된 2개의 배선 접속 구멍(5)에는, 제3 배선 그룹 중의 서브 그룹의 배선이 접속된다. 제3 배선 그룹 및 그 서브 그룹의 배선을 각각 홈(66a) 및 깊은 홈(66b) 내에 마련된 배선 접속 구멍(5)에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오배선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영역(73)의 각 배선 접속 구멍(5)에 인접하여, 직사각형의 버튼 구멍(4a)이 마련되어 있다. 버튼 구멍(4a)에는, 압압 조작에 의해 배선 접속 피팅(5a)을 열어 배선을 빼내기 위한 개폐 버튼(4)이 수용되어 있다. 제3 영역(73)의 평평한 상면(2a)의 각 버튼 구멍(4a) 근방에는, 각 배선 접속 구멍(5)에 대응하는 각 배선 표시부(3)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영역(72)은 오목부(홈)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제3 영역(71, 73)과 구별할 수 있어, 제2 배선 그룹의 오배선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제2, 제3 영역(71, 72, 73)은 단일의 평평한 상면(2a)을 공유하고, 돌기물 등이 없기 때문에, 배선 표시부(3)의 단자 명칭을 1회의 인쇄(실크 인쇄)로 인쇄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는 다수의 배선이 접속되는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에 적합하다.
1, 21: 케이스
2, 32, 42, 52, 62: 단자대
2a: 상면
3: 배선 표시부
4: 개폐 버튼
4a: 버튼 구멍
4b: 연통구
5: 배선 접속 구멍
5a: 배선 접속 피팅
6, 36, 46, 56, 56a, 66, 66a: 홈(오목부)
66b: 깊은 홈
7: 에지부
8: 단부
10: 통기공
11: 배선 기판
71, 81: 제1 영역
72, 82: 제2 영역
73, 83: 제3 영역
91, 92: 전자 기기 유니트

Claims (11)

  1.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마련된 복수의 배선 접속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는 상기 배선 접속 구멍에 대응하는 배선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배선 그룹마다 복수 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선 접속 구멍에 인접시켜 버튼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버튼 구멍 내에, 상기 배선 접속 구멍의 저부에 배치한 배선 접속 피팅(fitting)을 개폐하는 개폐 버튼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띠모양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의 저면은 상기 홈의 폭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홈은 V자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은 사다리꼴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자대 및 전자 부품을 실장한 배선 기판과,
    상기 배선 기판을 덮는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유니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의 저면에, 상기 배선 기판에 미처 다 실장할 수 없는 전자 부품을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유니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통기공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유니트.
KR1020127024217A 2010-12-08 2011-11-25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 KR101348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10/072048 2010-12-08
PCT/JP2010/072048 WO2012077205A1 (ja) 2010-12-08 2010-12-08 電子機器ユニット
PCT/JP2011/077256 WO2012077515A1 (ja) 2010-12-08 2011-11-25 端子台及び電子機器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071A KR20120118071A (ko) 2012-10-25
KR101348567B1 true KR101348567B1 (ko) 2014-01-07

Family

ID=4620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217A KR101348567B1 (ko) 2010-12-08 2011-11-25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91381B2 (ko)
EP (1) EP2650974B1 (ko)
JP (1) JP5111688B2 (ko)
KR (1) KR101348567B1 (ko)
CN (1) CN102823069B (ko)
TW (2) TW201242474A (ko)
WO (2) WO2012077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5222B1 (en) * 2015-01-08 2017-07-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lay terminal block
KR101880465B1 (ko) 2017-09-22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974A (ja) * 1988-08-10 1990-02-20 Hitachi Chem Co Ltd 選択的な金属化表面を有する絶縁材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338A (en) * 1974-11-08 1976-11-02 Gosser Robert B Push-pin assembly method and construction
DE3509405A1 (de) 1985-03-13 1986-09-1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onisches geraet fuer schalttafel- oder pulteinbau mit einem mantelartigen gehaeuse
US4820193A (en) * 1988-04-04 1989-04-11 Thomas & Betts Corporation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orrect conductor termination
JPH0250974U (ko) * 1988-10-04 1990-04-10
JP2597397B2 (ja) * 1988-12-23 1997-04-02 タイトン 株式会社 電線配線コネクタ
JP2551509B2 (ja) * 1991-10-28 1996-11-06 フジコン株式会社 組立端子盤
US5341269A (en) * 1992-07-31 1994-08-23 Illinois Tool Works Inc. Voltage protector and grounding bar arrangement for terminal block
US5483229A (en) * 1993-02-18 1996-01-09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Input-output unit
JP3433521B2 (ja) * 1994-08-22 2003-08-04 和泉電気株式会社 マークシート付き端子中継器
JPH08180923A (ja) * 1994-12-26 1996-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誤挿入防止型コネクタ
US5669788A (en) * 1996-09-18 1997-09-23 Allen-Bradley Company, Inc. Screwless terminal block linking apparatus
US6074240A (en) * 1996-10-16 2000-06-13 Marconi Communications Inc. Terminal block
DE19742456C2 (de) * 1997-09-26 2001-06-07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r Kennzeichnung von Gehäusen
US6324057B1 (en) * 1999-12-07 2001-11-2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erminal block supported printed circuit cards for compact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US6280238B1 (en) * 2000-02-10 2001-08-28 Avp Mfg. & Supply Inc. Full-face one-piece jackfield designation plate
FR2824960B1 (fr) * 2001-05-15 2003-08-15 Entrelec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poussoir
FR2844925B1 (fr) * 2002-09-25 2005-01-28 Cinch Connecteurs Sa Dispositif pour faciliter la mise en place d'organes de contact electrique dans les voies d'elements de boitiers de connecteurs
FR2866485A1 (fr) * 2004-02-12 2005-08-19 Framatome Connectors Int Partie de connecteur electrique etanche.
US20060086530A1 (en) * 2004-10-21 2006-04-27 Robert Knabel Wiring connector organizer
CN2796161Y (zh) 2005-01-31 2006-07-12 温州开控电气有限公司 带卡扣式安装的接线板装置
DE202006009460U1 (de) * 2005-10-29 2007-03-15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Leiter
ITMI20060373A1 (it) * 2006-03-02 2007-09-03 Ilme Spa Connettore elettrico multipolare con contatti a molla
DE102006047254B3 (de) * 2006-10-06 2008-05-21 Abb Ag Installationsschaltgerät
US7645158B2 (en) * 2006-12-29 2010-01-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erminal block and test pad for an HVAC controller
US7429194B2 (en) * 2007-03-01 2008-09-30 Btx Technologies, Inc. Connector assembly
KR100865288B1 (ko) * 2007-04-03 2008-10-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모듈화 단자 및 이를 장착한 배선용차단기
CN101459288B (zh) 2007-12-14 2010-12-22 浙江正泰建筑电器有限公司 快速接/卸导线的端子结构
DE102008025432A1 (de) * 2008-02-29 2009-09-1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enanschlußblock
DE202009002158U1 (de) * 2008-12-23 2010-05-12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reihbares Modul und Leiteranschluss
US7785134B2 (en) * 2008-12-30 2010-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act terminal for conductors
US8627672B2 (en) * 2009-08-27 2014-01-14 Sanyo Electric Co., Ltd. Wall-hung air conditioner and install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7909633B1 (en) * 2009-09-15 2011-03-2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Wire connection apparatus
US8262405B1 (en) * 2011-03-15 2012-09-11 Avx Corporation Wire-to-wire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974A (ja) * 1988-08-10 1990-02-20 Hitachi Chem Co Ltd 選択的な金属化表面を有する絶縁材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0974A4 (en) 2014-08-20
CN102823069B (zh) 2015-07-29
CN102823069A (zh) 2012-12-12
TW201242474A (en) 2012-10-16
TW201230624A (en) 2012-07-16
US20130003340A1 (en) 2013-01-03
JPWO2012077515A1 (ja) 2016-05-26
TWI439020B (zh) 2014-05-21
WO2012077515A1 (ja) 2012-06-14
WO2012077205A1 (ja) 2012-06-14
KR20120118071A (ko) 2012-10-25
EP2650974A1 (en) 2013-10-16
US9391381B2 (en) 2016-07-12
EP2650974B1 (en) 2017-08-30
JP5111688B2 (ja)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0952B2 (ja) コネクタ付き基板
US10186794B2 (en) Connector system with adapter
US8282403B2 (en) Connecting unit
KR101348567B1 (ko) 단자대 및 전자 기기 유니트
US20190334264A1 (en) Electronic device
KR20030033974A (ko) 중간기판 전기커넥터
US20170231104A1 (en) Modular assembly
US8894425B2 (en)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a single row housing to a terminal element
JP4934546B2 (ja) 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4934545B2 (ja) 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US9214779B2 (en) Retaining and contacting element, contac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tacting arrangement
JP5672137B2 (ja) コネクタ
KR200484643Y1 (ko) 복층 회로기판의 연결구조
EP1703779A1 (en)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circuit substrate
CN218103631U (zh) 电路板拼板及pcb单板
KR20120067654A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05376929A (zh) 一种用于手持式打印机内部的电路板
JP6710956B2 (ja) 端子カバーおよび試験方法
US9761968B1 (en) Electronic device package box
US8424357B2 (en) Easily stackable dies
JP2008086070A (ja) 電気接続箱
JP2008295154A (ja) 電気接続構造
JP2008218550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取り付け冶具およびこの冶具を備えた光ディスク装置
KR20140095768A (ko) 핀 헤더 장치
JP2016213330A (ja) 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