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083B1 -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083B1
KR101347083B1 KR1020120136358A KR20120136358A KR101347083B1 KR 101347083 B1 KR101347083 B1 KR 101347083B1 KR 1020120136358 A KR1020120136358 A KR 1020120136358A KR 20120136358 A KR20120136358 A KR 20120136358A KR 101347083 B1 KR101347083 B1 KR 10134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drive shaft
extrusion
blad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평덕
이승필
Original Assignee
이승필
남평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필, 남평덕 filed Critical 이승필
Priority to KR102012013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 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깔대기 형상으로 어묵재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호퍼의 하부에 연장된 수직압송관부와, 수직압송관부에 연결되어 어묵재료를 압출하는 압출부와, 수직압송관부 및 호퍼 내에 설치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을 정역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와, 수직압송관부 내에서 어묵재료를 하향 압송하는 압출스크류와, 구동축에 결합되어 호퍼의 내벽면에 접촉 회전하며,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시 반죽재료를 하향 이동시키고 역방향 회전시 상향 이동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제1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호퍼내에 반죽기능을 갖는 제1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압출 스크류를 호퍼 내부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어육 가공품과 보조 식재료를 즉석 어묵제조기 자체에서 혼합 반죽할 수 있어, 외부에서 수작업으로 반죽을 하거나, 별도의 반죽기를 통해서 반죽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Description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INSTANT FISH CAKE HAVING KNEADER}
본 발명은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된 어육 가공품에 보조 식재료 등을 첨가하여 배합 반죽할 수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육 가공품은 으깬 생선살을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밀가루, 소금, 설탕 등을 넣어 반죽한 후 이를 굽거나 튀겨내어 어묵 원료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소비자는 어육 가공품을 구입하여 다시 여기에 여러 가지 보조 식재료를 첨가 혼합반죽하여 어묵제조기에 투입하여 다양한 기능성 즉석 어묵을 제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묵제조기는 반죽된 어묵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와, 투입된 어묵 반죽을 압출하는 압출유닛과, 압출되는 어묵을 절단하는 절단유닛과, 절단된 어묵을 이송시켜주는 이송유닛과, 절단 이송되는 어묵을 튀겨주는 튀김유닛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어묵제조기는 호퍼 내에 투입되는 어육 가공품과 첨가되는 보조 식재료를 자체에서 혼합 반죽할 수 없기 때문에 호퍼에 투입하기 전에 외부에서 수작업으로 반죽을 하거나, 별도의 반죽기를 통해서 반죽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수작업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반죽을 하는 일은 매우 힘들고 어려우며, 별도의 반죽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죽기 내부에 재료들이 엉켜붙어 청소하는 어려움 등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육 가공품과 보조 식재료를 첨가하여 혼합 반죽할 수 있는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깔대기 형상으로 상향 확장되어 어묵재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호퍼의 하부에 호퍼축선을 따라 연장된 수직압송관부와, 수직압송관부에 연결되어 어묵재료를 압출하는 압출부와, 호퍼축선을 따라 수직압송관부 및 호퍼 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을 정역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와, 수직압송관부 내에서 구동축에 장착되어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시 어묵재료를 하향 압송하는 압출스크류와,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의 내벽면에 접촉 회전하며,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시 반죽재료를 하향 이동시키고 역방향 회전시 상향 이동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제1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달성된다.
또한, 반죽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구동축에 결합되어 호퍼의 내벽면에 접촉 회전하며,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시 반죽재료를 하향 이동시키고 역방향 회전시 상향 이동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제2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죽기능과 하향 및 상향유동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압출 스크류는 전체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20%가 상기 호퍼의 내부에까지 연장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퍼 내에서 교반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구동축에 축선방향을 따라 상향 연장되며 상기 압출 스크류에 대해 동일방향의 나선을 갖는 교반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종 소비자의 취급이용의 편이성을 위하여 압출부의 압출개구를 통해 압출되는 어묵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퍼내에 반죽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와 교반 스크류를 설치하고, 압출 스크류를 호퍼 내부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어육 가공품과 보조 식재료를 즉석 어묵제조기 자체에서 혼합 반죽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수작업으로 반죽을 하거나, 별도의 반죽기를 통해서 반죽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해소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호퍼와 수직압송관부, 구동축을 나타낸 절개 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와 압출 스크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호퍼 상부에서 내려다 본 블레이드 형상.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블레이드와 압출 스크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는 어묵재료를 수용하는 호퍼(10)가 위치하며, 호퍼(10) 하단부에는 원통형의 수직 압송관부(20)가 연장된다. 수직 압송관부(20)의 하단부 일측에는 어묵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부(24)와, 압출부(24) 앞에 설치되어 압출성형 어묵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40)와, 절단부(40) 하부에는 절단된 성형 어묵을 튀김 유닛(미 도시) 등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50)가 설치된다.
호퍼(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확장된 깔때기 형상으로 어육 가공품과 첨가되는 보조 기능성 재료의 반죽재료를 일시적으로 저장 보관한다.
호퍼(10)와 수직 압송관부(20)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호퍼(10)의 중심을 지나는 호퍼축선(CL)을 따라 구동축(32)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구동축(32)의 상단부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12)가 결합 고정되고, 제1 블레이드(12)의 하부 구동축(32)에는 압출 스크류(22)가 형성되고, 구동축(32) 하단부는 구동부(30)와 결합한다.
구동축(32) 상단부에 고정된 제1 블레이드(12)는 호퍼(10) 내벽 경사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며, 구동축(32)의 정방향 회전시 호퍼(10) 내에 저장 보관된 반죽재료를 하향 이동시키고, 역방향 회전시는 상향 이동시키는 경사면을 갖는다.
도 4(b)는 제1 블레이드(12)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정면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12)는 중심에서 외연을 향하여 완만하게 비틀어지는 나선형 경사면을 가진다. 나선형 경사면을 갖는 제1 블레이드(12)는 구동축(32)을 역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호퍼(10) 내에 저장 보관된 반죽재료는 제1 블레이드의 상향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향 이동되고, 상향 이동된 반죽재료는 제1 블레이드 상단부에서 호퍼(10) 중심부로 이동하면서 상향 이동 에너지를 상실하고 중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반죽재료는 상향, 하향 이동이 순환 반복되면서 혼합 및 반죽이 된다.
이때, 구동축(32)의 역방향 회전으로 반죽재료는 압송관부(20)로 내려오지 못하고 호퍼(10) 내부에 머물러 있게 되고 압송관부(32)는 비어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반죽기능과 하향 및 상향유동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압출 스크류(22)는 전체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20%가 호퍼(10)의 내부에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호퍼(10) 내부까지 연장된 압출 스크류(22)는 반죽작업시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죽재료를 호퍼(10) 상부쪽으로 상향 유동시키고, 압출작업시에는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호퍼(10) 하부의 반죽재료를 수직 압송관부(20)로 하향 이동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구동축(32)의 역방향 회전으로 반죽재료의 혼합 반죽이 완료되면, 구동축(3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반죽재료를 호퍼(10) 하단부에 연결된 수직 압송관부(20)로 이동시킨다. 이때,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블레이드(12)는 호퍼(10) 벽면에 접촉하며 벽면에 부착한 반죽재료를 하향 이동시킨다.
수직 압송관부(20) 내로 이동된 반죽재료는 압출 스크류(22)의 회전압력과 압출 스크류(22)의 외연과 밀착된 수직 압송관부(20) 내벽 사이의 저항으로 인한 압출력을 받아 압송관부(20)의 하단부에 연결된 압출부(24)로 밀려 들어간다. 압출부(24)로 밀려 들어간 반죽재료는 압출부(24)에 형성된 압축개구(26)를 통과하면서 압출개구(26)의 형상대로 압출되어 어묵이 성형된다.
압출개구(26)를 통해 압출 성형된 어묵은 최종 소비자의 취급이용의 편이성을 위하여 절단부(40)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다. 절단부(40)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기 위하여 구동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하 동작하는 와이어 칼날 등으로 구성된다.
절단부(40)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성형 어묵은 컨베이어 벨트 등 이송장치(50)에 의하여 튀김장치(미 도시) 등에 옮겨진다.
(실시예 2)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동축(32) 상단부에 고정된 제1 블레이드(12)와 제1 블레이드(12) 하단부 구동축(32)에 형성된 압출 스크류(22)를 가지고 있으나,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압출부(24)의 압출개구(26)를 통해 압출되는 어묵의 토출을 위한 토출기어 조립체(28)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기어 조립체(28)는 한 쌍의 기어가 상하로 맞물려 압출부(24)에 수용되며, 한 쌍의 기어 중 어느 한 쪽에 결합된 토출 구동부(29)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토출 구동부(20)의 회전방향은 어묵재료가 압출개구(26)쪽으로 압출되도록 설정한다.
어묵재료는 압출 스크류(22)의 정방향 회전으로 압송관부(20)의 하단으로 밀려 내려와서 압출부(24)를 거쳐 압출개구(26)로 토출되지만, 압출부(24)에 토출기어 조립체(28)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점도가 높은 어묵재료도 원할하게 토출시킬 수 있으며, 토출기어 조립체(28)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토출량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도면 4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동축(32) 상단부에 고정된 제1 블레이드(12)와 제1 블레이드(12) 하단부 구동축(32)에 형성된 압출 스크류(22)를 가지고 있으나,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구동축(32)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향 연장되며, 압출 스크류(22)에 대해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교반 스크류(16)를 더 포함한다는 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2) 상단부에 제1 블레이드(12)와 함께 교반 스크류(16)를 더 설치함으로써, 호퍼(10) 중심부에 위치한 반죽재료를 상향 및 하향이동시키는 힘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교반 스크류(16)는 압출 스크류(22)에 대해 반대 방향의 나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반죽시에는 제1 블레이드(12)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죽재료를 상향 이동시키고, 중심부로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상실하고 중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는 반죽재료를 강제로 강력하게 하향이동시키게 된다.
(실시예 4)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도면 4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동축(32) 상단부에 고정된 제1 블레이드(12)와 제1 블레이드(12) 하단부 구동축(32)에 형성된 압출 스크류(22)를 가지고 있으나,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12)에 대치하여 제2 블레이드(14)를 추가로 더 포함한다는 점이다.
제2 블레이드(14)는 제1 블레이드(12)와 마찬가지로 구동축(32)에 결합되어 호퍼(10)의 내벽면에 접촉 회전하며, 구동축(32)의 정방향 회전시 반죽재료를 상향 이동시키고, 역방향 회전시 하향 이동시키는 경사면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블레이드(12, 14)의 경사면 비틀림 나선방향이 비대칭으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틀림 나선방향이 비대칭인 제1, 제2 블레이드(12, 14)는 구동축(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구동축(32)이 정방향 회전시 제1 블레이드(12)는 호퍼(10)의 내벽면과 접촉하면서 제1 블레이드(12)의 경사면에 부딪치는 반죽재료를 하향 이동시키고, 제2 블레이드(14)의 경사면에 부딪치는 반죽재료는 상향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구동축(32)이 역방향 회전시에는 제2 블레이드(14)의 경사면에 부딪치는 반죽재료가 상향이동하고, 제1 블레이드(12)의 경사면에 부딪치는 반죽재료를 하향 이동시킨다.
이때, 구동축(32)에 고정 형성된 압출 스크류(22)도 동시에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반죽재료는 수직 압송관부(20)로 하향 이동되지 않고 호퍼(10)내에 머물게 된다.
(실시예 5)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구동축(32) 상단부에 고정된 제1 블레이드(12)와 제2 블레이드(14), 그리고, 하단부 구동축(32)에 형성된 압출 스크류(22)를 가지고 있으나, 실시예 3과 다른 점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2)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향 연장되며, 압출 스크류(22)에 대해 반대방향의 나선 경사면을 갖는 교반 스크류(16)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실시예 2와 다른 점은 제2 블레이드(14)를 더 포함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실시예 4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모든 장점을 살린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3에 반대 방향의 나선 경사면을 갖는 교반 스크류(16)를 더 설치함으로써 반죽시에 중심부의 반죽재료를 실시예 3보다 강력하게 하향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실시예 2에 제2 블레이드(14)를 더 부가하는 것으로 구동축(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실시예 2보다 반죽재료를 더욱 효율적으로 혼합 반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죽재료는 호퍼(10) 내에서 교반 스크류(16)에 의해 강력하게 하향 이동되고, 이동된 반죽재료는 다시 블레이드(12, 14)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이 반복 순환과정에서 반죽재료는 골고루 혼합 반죽이 된다.
10 : 호퍼 12 : 제1 블레이드
14 : 제2 블레이드 16 : 교반 스크류
20 : 압송관부 22 : 압출 스크류
24 : 압출부 26 : 압출개구
28 : 토출기어 조립체 29 : 토출 구동부
30 : 스크류 구동부 32 : 구동축
40 : 절단부 42 : 절단 구동부
50 : 이송장치 52 : 이송장치 구동부
CL : 호퍼축선

Claims (6)

  1. 즉석 어묵 제조장치에 있어서,
    깔대기 형상으로 상향 확장되어 어묵재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호퍼축선을 따라 연장된 수직압송관부와,
    상기 수직압송관부에 연결되어 어묵재료를 압출하는 압출부와,
    상기 호퍼축선을 따라 상기 수직압송관부 및 상기 호퍼 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정역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와,
    적어도 상기 수직압송관부 내에서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어묵재료를 하향 압송하는 압출스크류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의 내벽면에 접촉 회전하며, 상기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시 반죽재료를 하향 이동시키고 역방향 회전시 상향 이동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제1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의 내벽면에 접촉 회전하며, 상기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시 반죽재료를 상향 이동시키고 역방향 회전시 하향 이동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제2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스크류는 전체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20%가 상기 호퍼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향 연장되며 상기 압출스크류에 대해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교반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의 압출개구를 통해 압출되는 어묵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의 압출개구를 통해 압출되는 어묵의 토출을 위한 토출기어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KR1020120136358A 2012-11-28 2012-11-28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KR10134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358A KR101347083B1 (ko) 2012-11-28 2012-11-28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358A KR101347083B1 (ko) 2012-11-28 2012-11-28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083B1 true KR101347083B1 (ko) 2014-01-06

Family

ID=5014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358A KR101347083B1 (ko) 2012-11-28 2012-11-28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341A (ko) 2015-06-05 2016-12-14 이현욱 어묵 반죽기
KR102009525B1 (ko) * 2019-05-30 2019-10-21 최우석 어육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694A (ko) * 1999-04-16 1999-07-05 김봉기 즉석어묵제조기
KR200351916Y1 (ko) 2004-03-08 2004-06-04 정태용 즉석 어묵 제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694A (ko) * 1999-04-16 1999-07-05 김봉기 즉석어묵제조기
KR200351916Y1 (ko) 2004-03-08 2004-06-04 정태용 즉석 어묵 제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341A (ko) 2015-06-05 2016-12-14 이현욱 어묵 반죽기
KR102009525B1 (ko) * 2019-05-30 2019-10-21 최우석 어육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02330B (zh) 用于面食加工的输送装置
KR20170057424A (ko) 가정용 국수 제조기
TWI386162B (zh) 甜甜圈形食品成形裝置及方法
US9022768B2 (en) Variable diameter, variable pitch auger with material scraper and breaker bar
KR101836790B1 (ko) 재료를 반죽 덩어리로 반죽하기 위한 반죽 장치 및 반죽 공구
KR101347083B1 (ko)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CN106465738B (zh) 芝麻饼干机
CN210097606U (zh) 一种辣条生产用原料卧式搅拌机
JP6587569B2 (ja) 流動物供給装置
KR20200092569A (ko) 반죽기
US4383813A (en) Pasta extruder apparatus
JP2007259819A (ja) 混捏製品の製造装置、製造方法、混捏製品および加工品
KR20200092572A (ko) 반죽시트 성형장치
CN212697424U (zh) 包馅机的定量送料机构
CN111602693B (zh) 饺子皮擀皮机
KR100327814B1 (ko) 파스타,쿠키,전채등의음식물을믹서및압출시키는주방기기
CN110558348B (zh) 海带面条的和面机构、面食加工流水线
CN210960287U (zh) 一种芋圆成型机
CN210841542U (zh) 一种食品机械注馅装置
CN111034748B (zh) 一种连续定量剂子机
CN212697426U (zh) 包馅机的软馅供给机构
KR101959984B1 (ko) 빵 반죽 굴림 성형장치
CN210642325U (zh) 一种原薯制品的制泥成型一体机设备
KR101671412B1 (ko) 만두형어묵의 제조장치
CN218418193U (zh) 一种糕点生产加工用自动拌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