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814B1 - 파스타,쿠키,전채등의음식물을믹서및압출시키는주방기기 - Google Patents

파스타,쿠키,전채등의음식물을믹서및압출시키는주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814B1
KR100327814B1 KR1019940013882A KR19940013882A KR100327814B1 KR 100327814 B1 KR100327814 B1 KR 100327814B1 KR 1019940013882 A KR1019940013882 A KR 1019940013882A KR 19940013882 A KR19940013882 A KR 19940013882A KR 100327814 B1 KR100327814 B1 KR 10032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chamber
mixing
foo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452A (ko
Inventor
알랜엘.백커스
로날드엠.포페일
Original Assignee
로날드 엠. 포페일
론코 알 앤드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205,498 external-priority patent/US5421713A/en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엠. 포페일, 론코 알 앤드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로날드 엠. 포페일
Publication of KR95002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파스타, 파스트리, 구운 제과, 전채 및 쿠키등의 다양한 재료를 믹서 및 압출시키는 주방기기로서 이 기기는 새로운 계측, 믹싱, 압출시키는 구조를 포함하는데, 예를들면, 자동 계측컵; 재료의 제거 작업으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고 연속적으로 재료를 믹싱 및 압출시키는 방법; 다르게 배합된 재료를 취급하기 위한 믹싱 및 압출 공급; 일체형의 자동 커터; 모터를 이용한 냉각 및 압출된 재료의 건조등이 포함된다.

Description

파스타, 쿠키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
본 발명은 파스타(pasta), 페스트리(pastry), 쿠키, 전채 및 다른 압출 가능한 음식물을 만들기 위한 가전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믹싱 및 압출용 자동 가전 제품은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다. 반죽 덩어리를 믹싱하고 그것을 다이를 통해 자동적으로 압출시키는 자동식 파스타제조용 기기는 최소한 7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 특허 출원되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전 제품은 회전 날개를 내장하는 믹싱 통, 압출 다이를 통해 믹싱한 음식물을 밀어내는 압출 스크루를 구비하는 구조를 채택한다.
기존의 파스타 제조기의 대부분은 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지저분하며, 시간소모적이고, 다목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제품을 다방면으로 개선시킨 것으로, 아래의 양호한 실시예를 통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장점들은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투명한 중합체의 보호벽(22, 23)에 내장된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믹서 겸 압출기(30)를 구비한다. 모터(24)와 이에 연결된 변속기(26)는 계단형 보호벽(28)내에 설치되는데, 투명한 플라스틱 믹싱 통(22)은 상기 보호벽(28)의 계단부에서 지지 및 요동하게 된다(제10도 참조). 송곳형 압출스크루(30)는 원통형 압출 하우징(32)에 내장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은 믹싱 통(22)의 전방부(33)로 돌출하여 믹싱 통(22)의 평탄한 전방면(37)의 전방부(33)로 계속 연장한다. 모터(24)의 회전 방향(34, 36), 이에 후속하여 믹싱/공급 날개(102, 104, 106, 108, 110) 및 송곳형 압출 스크루(30)에 의해 상기 실시예의 장치가 믹싱되거나 압출되는 것이 제어된다. 상기 날개(102, 104, 106, 108, 110)와 스크루(30)가 역회전(34)함으로써, 반죽 덩어리는 압출기 하우징(32)에서 빠져나와 믹싱 통(22)으로 되돌아가며, 반대로 정회전(36)함으로써 덩어리가 압출 스크루(30)로 공급된 다음 압출 다이(38)로 통과하여 그곳에서 가압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저속의 믹서기 만으로 또는 믹서기와 압출기 겸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빵 반죽 덩어리를 압출시키기 위해 모터를 역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장치에서 믹싱시킬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믹싱된 반죽을 믹싱 통(22)에서 들어내어 통상적인 방법으로 굽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다이(38)는, 압출될 반죽 덩어리가 압출 사이클 동안건조되게 어렵도록 만든 다이의 압출 구멍(168)에 의해 크리닝에 방해받지 않고 반복된 압출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압출 스크루에 가장 근접한 압출 구멍을 약 20도 이상 테이퍼지게 한 다이는, 젖은 또는 마른 음식물 찌꺼기와 반죽 덩어리를 다이로부터 쉽게 크리닝 될 수 있게 해준다.
눈금(39)이 새겨진 투명 또는 반투명 측벽(42)과 기요틴(guillotine) 뚜껑(44)으로 구성된 계측 컵(40)은 간단하고 더 정밀한 고체 및 액체 측정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정밀도는 다양한 종류의 압출된 전분질 요리에 있어, 또 그 밖의 압출된 음식물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계측 컵(40)의 베이스(41)에서 돌출하는 핀(228)은, 컵을 요동시킬 때 측정대상의 재료의 분쇄 및 믹싱을 보조한다. 예컨대, 상기 핀(228)은 계란의 흰자 및 노른자를 측정할 때 이것의 분쇄 및 믹싱을 보조한다. 이러한 작용은 믹싱을 단순화시키고 대개 더 신속하게 만든다. 또한, 포크나 다른 믹싱 도구를 세척할 필요가 없게 해준다. 제조자나 사용자 모두에 있어, 주방용 파스타 메이커를 조작과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믹싱 컵의 뚜껑(44)은 컵(40)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화살표 (198) 방향으로 열 때, 화살표 (37) 방향으로 접히게 되어 있다.
회전 커터 아암(46)은 압출 다이(38)의 전방면을 문질러, 돌출한 물질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절단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역회전 가능한 영구 자석 직류 모터(24)를내장하는 2편의 중합체로 성형된 계단형의 보호벽(28)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수평축(48)은 보호벽 내에서 전방(33) 및 후방(31)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영구 자석 직류 모터는 가정용의 음식물 믹서/압출기용으로 적합한 높은 토크와 저소음의 것이 좋다,
모터(24)는 본 장치의 후방(31)에 연결된 코트를 통해 가정용 전력으로 작동된다. 교류 전류가 보호벽으로 유입되어 모터(34)로 공급되기 전에, 코드를 흐르는 전류는 통상적인 방법 즉, 믹싱 통의 뚜껑에 상호 연결된 단일의 전후 조작 안전 인터록(interlock) 순간 켜짐 마이크로 스위치, 풀 브리지 정류기, 이중 전후조작 3위치 전방-오프-후진 스위치(50)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들 부품은 통상적인 것으로 도면에 부분적으만 도시하였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의 안전 및 전방-오프-후진 스위치와 조합되어 더욱 복잡한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스위치/회로의 조합은 안전 인터록뿐만 아니라 전류 정류, 전류 컨트롤 및 방향 전환을 제공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A) 모터에 심한 기계적 부하가 가해졌을 때, 모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보호를 자동적으로 리셋팅하는 특징(예컨대, 만약 파스타가 액체와 완전히 믹싱되기 전에 압출을 시도할 경우 모터 손상을 방지함).
B) 내부적인 전기 불량에 대해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전기 퓨즈를 보호하는 특징.
C) 모터 수명을 단축시키는 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역회전 모터 회전축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스위칭을 지연하는 특징.
D) 신속하게 모터측의 회전을 서행시키기 위해 모터 단자 사이에 저항을 배치하며 전기 모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특징.
E) 본 장치가 온 될 때 스위치 접촉에 의한 아크를 없애기 위해 스위칭을 지연하는 특징.
F) 교류에서 직류로 입력 전력을 정류하는 특징.
G) 120 볼트의 모터가 230 볼트의 동력에서 작동되도록 입력 전압을 변압하는 특징.
H) RF 방출을 감소시키는 특징.
I) 믹싱 및/또는 압출 사이클이 자동적으로 시간 조정되도록 타이밍 기능을 하는 특징.
여기서, 물론 표시등, 예컨대 온/오프 표시, 믹서 또는 압출 작업의 표시, 또는 조립이 불량하게 이루어졌을 때 등과 같은 다른 기능을 갖는 회로도 구비할 수 있다.
제22도 및 제23도는 전술한 특징들 중 몇 가지(즉, A,B,C,D,E,F,H 에 기재된 특징)를 제공하는 회로(244)를 도시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회로(244)는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제23도 및 제24도에 도시된 회로(244)는 과부하와 급격한 방향 전환에 반하여 직류 모터를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는 모터의 전류를 감지한 다음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회로는 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제23도에 도시된 블록 선도로 나타낼 수 있다. 기능 블록 및 이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간의 상호 관계를 대략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회로에 도시된 동력 입력 및 정류 블록은 120 볼트, 60Hz 전력에 사용된다. 이는 전력 코드 및 플러그(P1), 안전 인터록 스위치(SW1), 안전 퓨즈(F1), 및 교류를 필터하지 않은 직류로 전환하기 위한 전파 정류기(D1)를 제공한다. 상기 블록은 선택된 DC 모터(24)에 적합한 동력을 공급하는 또 다른 회로 혹은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블록을 위한 설계는 설명할 목적으로만 도시되었다.
회로 동력 공급 블록은 단순, 비정격 다이오드(D1)/콘덴서(C2) 동력 공급형태이다. 저항기(R4)는 장기간의 신뢰 높은 조작을 제공하기 위해 동력이 증대된 상태로 유입되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추가된다.
부하 센서 저항기(R1)는 모터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DC모터(24)를 통해 흐르는 모든 동력은 FET(Q2) 및 상기 저항기를 통해 흐르므로, 이 저항기에 걸리는 전압은 모터 전류에 비례한다.
동력 스위치 블록은 FET(Q2) 및 저항기(R5, R10, R11)를 포함한다. FET 는 실질적인 스위칭 기기인 반면에, 저항기는 이 FET의 케이트 터미날에 비실행 컨트롤 전압을 제공한다. FET 의 최대 추천 게이트 전압은 20 볼트이며, 제너 다이오드(D2)는 상기 회로내의 게이트 전압이 18 볼트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해준다. 스너브 네트웍 블록은 모터 방향 스위치(50)가 갑자기 한 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과대한 모터 에너지를 소모하기 위해 저항기(R13)를 사용한다. 다이오드(D10)는 정상적인 작동 중에, 저항기(R13)가 에너지를 소모하지 못하도록 역방향으로 편향되어 있다. 콘덴서(C3)는 dv/dt 를 제한하도록 사용되므로 FET의 드레인 터미널에 고전압 과부하에 의한 손상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온/오프/역전 스위치(50)는 DC 모터(24)의 상태(온 또는 오프)와 방향(정상 또는 역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과부하 차단 블록은 DC 모터(24)에 의해 초래된 전류가 주어진 평균치를 초과할 경우 FET(Q2)를 오프 시키고, 연이어 DC 모터를 정지시키는 실리콘 컨트롤 정류기(SCR)를 사용한다, 저항기(R2) 및 (R3)로 구성된 저항기 분할기는 정확한 과전류의 임계점을 결정한다, 저항기(R2) 및 (R3)는 부하 감지 저항기(R1)를 가로질러 놓이기 때문에, (R2)와 (R3) 연결점에의 전압은 모터의 전류에 비례하게 된다. 이러한 전압은 정량화된 켜짐 임계 전압을 가지고 상기 실리콘 컨트롤 정류기의 게이트 단자로 유입된다. 또한, 콘덴서(C1)는 평균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연결점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로는 모터가 시동되는 동안에서와 같은 정상적인 동력 서지(surge)에서 트립(trip) 되지 않는다.
과도 과부하 차단(리세트 포함) 블록은, 만약 DC 모터에 공급된 전류가 주어진 순간치를 초과할 경우 FET(Q2)를 끄고 연이어 DC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해 트랜지스터(Q3)를 사용한다. 이러한 현상은 부하 센서 저항(R1)에 걸리는 전압이 약 2.8 볼트를 초과할 때 발생하며, 이 수치는 3개의 전방으로 편향된 다이오드 드롭(D4, D5, D6)과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대 방출기 전압의 합이다. 트랜지스터(Q3)가 약간이라도 온 될 경우, 이것의 수집기 대 방출기 전압은 떨어지기 시작하며, 트랜지스터(Q4)는 이것의 바이어스 전류를 약하게 하며(그리고, 즉시 차단시킴), 저항기(R8)가 콘덴서(C4)와 다이오드(D7)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로 전류를 자유롭게 흐르게 될 때까지 더욱 강하게 트랜지스터(Q3)를 턴온(turn-on) 되게 한다. 트랜지스터(Q3)가 턴 온 되어 있는 한, FET(Q2)와 그 다음의 DC 모터는 FET의 게이트 단자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연결부를 경유하여 그라운드로 당겨지기 때문에 턴 오프(turn-off) 된다. 이런게 모터가 오프 된 상태는 콘덴서(C4)에 걸리는 전압이 제너 다이오드(D3)의 클램핑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며, 그 후 트랜지스터(Q3)는 이것의 베이스 드라이브 전류를 약하게 하고 다시 턴 오프 시킨다. 트랜지스터(Q3)가 턴 오프 될 때, (Q4)는 (R11),(R10),(D2)를 통해 (Q4)의 베이스 드라이브 전류를 회복한다. (Q4)가 다시 턴 온 될 때, 콘덴서(C4)는 필요시 또 다른 차단을 위한 회로를 준비하기 위해 (R7),(D8)을 통해 신속히 방전한다. 저항기(R6)는 높은 전류의 과도 현상이(D4),(D5),(D6),(Q3)를 통해 발생하게 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된다. 콘덴서(C5)는 통상직인 DC 모터의 전기 노이즈에 의한 폴스 트리거(false trigger)를 제거한다. 저항기(R12)는 과전류 상태가 존재하지 않을 때, 폴스 트리거를 방지하기 위해 (Q3)의 베이스 전압을 그라운드에 유지시킨다.
전술한 특징 중 회로에 타이밍과 표시등과 같은 특징을 추가하는 작업을 공지된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모터 샤프트(48)의 최전방(33) 단부에는, 그 샤프트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팬(15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팬(152)은 보호벽(28)의 전방부(67)의 계단형 하부내의 우측 세그먼트 통풍구(57)를 통해 전방(33) 단부에서 통기되는 원통형의 팬덕트(64)내에 배치된다.
보호벽(28)의 전방부(67)의 계단형 하부의 최전방(33) 영역내에서 좌측(58)이 상기 제1 세그먼트 통풍구(57)와 인접하고, 제1 세그먼트 통풍구(57)와 연속되어 연통하는 제2 세그먼트 통풍구(66)는 제1 세그먼트 통풍구(57)를 통해 팬(152)으로 구동되는 공기 유동의 방향을 변경시킨다.
상기 계단형 보호벽(28)은 대개 밀봉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중 공기는 모터(24)를 지나 제2 통풍구(66)를 통해 도면 부호 (74)로 유입되고, 그리고 재료의 믹싱 작업 중에 제1 통풍구(57)를 통해 도면부호 (70)을 빠져나가며, 모터가 역전할 경우 공기는 제1 통풍구(57)를 통해 모터를 지나 도면 부호(71)로 유입되고, 재료의 압출 작업 중에 제2 통풍구(66)를 통해 도면 부호 (76)을 빠져나간다.
상기 재료의 믹싱 및 압출 작업 동안, 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는 전술한 회로(244)(제22도 및 제23도 참조) 및 모터(24)의 냉각을 보조한다. 회로(244)는 이것의 회로판이 수직하게 전방(33)에서 후방(31)으로 대향하도록 좌측 통풍구(66) 바로 뒤 계단형 보호벽(28)의 전방(33) 아래쪽 계단(67)에 장착된다(제4도 참조).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회로는 믹싱 및 압출 작업 동안 팬(152)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에 노출하게 된다.
재료의 압출 작업 동안, 제2 통풍구(66)로부터 배기(76)되는 공기는 압출된 재료의 건조를 돕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평 아래 방향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현상은 배기된 공기가 모터(24)와 회로(244)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되었기 때문이다.
팬에 의해 구동된 공기의 왕복 운동은 원통형의 팬 덕트(64)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되는데(제3도 및 제4도 참조), 상기 덕트(64)는 팬 날개(152)의 외주부를에워싸고, 팬 날개로 유입되는 공기를 단독으로 그리고 직접 제1 세그먼트 통풍구(57)와 연결시키고, 그리고 공기가 제2 통풍구(66)로부터 배기(76)되어 건조 기능을 수행하게 될 때까지 팬 날개를 빠져 나오는 공기의 방향을 역전시키거나, 공기가 팬 날개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한다. 제1 및 제2 세그먼트 덕트(57),(66) 모두에의해 발생된 공기의 운동을 덕트(57),(66) 바로 전방의 건조 영역에서 단일 공기유동 보다 더욱 크게 난류성 유동으로 만듦으로써, 재료의 건조를 향상시키게 된다.
추가적으로, 압출 동안 공기 유동은 보호벽(28) 일부를 가압시키기 때문에 밀가루나 다른 불순물이 보호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모터에 심한 기계적 부하가 걸려 냉각이 필요로 할 때, 팬으로부터의 공기는 압출 동안 모터(24)에 직접 주입된다. 모터에 걸리는 기계적 부하가 적고 냉각이 필요가 없을 때, 즉 믹싱 작업 동안에는 공기는 모터(24) 위로 인출된다. 영구 자석 DC 모터(24)는 통상 주방 가전 제품의 사용되는 일반적인 모터보다 더욱 높은 효율을 지니며, 따라서 발열량이 적고 냉각 작업이 덜 요구된다.
모터 프레임의 후방 플레이트는 후방으로 대면하는 개방형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 기어 하우징(78)의 전방면의 평탄한 벽에 견고히 장착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도 4개의 나사로 보호벽(80)의 후방부에 견고히 연결되어 완전히 밀폐된 고체형 박스를 형성한다. 보호벽(80)의 후방부는 또 다른 4개의 나사에 의해 보호벽의 전방부(67)에 장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밀폐된 고체형 기어 하우징 박스를 내장하기 위한 계단형 보호벽(28)을 형성한다.
이렇게 완전히 밀폐된 기어 하우징 박스내에서, 모터 샤프트(48)의 전방 단부(31)는, 보올에 반발하게 가압되는 헬리컬 스프링으로 세트 스크루를 조절한 상태로, 모터 샤프트상에서 "D"자 평면부에 반하여 가압되는 볼 베어링에 의해 형성된 슬립 클러치에 1차 구동용 퍼니언 기어(82)를 축방향으로 장착시킨다. 만약 너무 큰 토크가 1차 구동용 피니언 기어(82)에 걸릴 경우, 예컨대, 만약 건조된 재료가 실수로 압출될 경우, 볼 베어링은 이것이 평면부와 분리되어 모터 샤프트를 피니언 기어에서 회전시키게 될 때까지 모터 샤프트상의 평면부에 의해 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슬립 클러치의 원리는 공지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슬립 클러치의 안전 특성은, 가정용 음식물 믹서/압출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예를 들면 파스타 밀가루가 액체와 완전히 믹싱되기전에 그것이 압출될 경우와 같은 미소한 실수에서라도 엄청난 부하에 의해 상기 장치가 손상하게 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82)는 통상적으로 모터 샤프트(48)에 직접 장착된다.
1차 구동용 피니언 기어(82)는 대형의 제2 중간 기어와 맞물린 또 다른 피니언 기어에 견고하고 동일 축상으로 연결된 대형의 제1 중간 기어와 맞물리며, 또한 번갈아 가며 대형의 최종 구동 기어(84)와 맞물리는 또 다른 피니언 기어와 견고하고 동일 축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은 통상적인 기술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개방된 박스형의 기어 하우징(78)과 2 부분으로 구성된 보호벽(28) 중 후방부(80) 사이에 형성되고 완전히 덮인 박스 내에 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의 계단식 기어 변속기는 약 100:1 까지 모터 구동 속도를 줄이며, 또는 약 6000 rpm 의 무부하 모터 속도를 약 60 rpm 으로 떨어뜨린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는 박스형 기어 하우징(78)과 계단형 보호벽(28)의 후방부(80) 사이에서 완전히 에워싸여 있으며, 따라서 기어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밀가루와 다른 불순물로부터 보호받게 된다.
전방(38)에서 후방(31)으로 설치된 2개의 중간 기어와, 최종 구동 기어용 축 장착 부재가 완전히 덮인 박스내에 형성되며, 기어 하우징(78)의 내측면과 2 부분의 보호벽 후방부(80)의 내측면 사이에 견고히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축의 각 단부상에 장착되고, 각각의 기어 하우징과 2 부분의 보호벽 중 후방부에 2개의 나사에 의해 체결된 2개의 금속판은 상기 축들이 제1 및 제2 중간 기어에 지지되는 것을 보조한다.
이러한 동력 변속 방식은 공지된 기술의 것과 유사한 관계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방식은, 1차 구동용 기어를 8°의 각을 이룬 헬리컬 퍼니언으로 모터 샤프트 상에 장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기어는 아세틸 수지로 성형되어 나일론으로 만들어진 대형의 제2 헬리컬 기어와 맞물린다. 헬리컬식으로 8°로 경사져 있으므로, 고속의 기어 맞물림에 있어 소음이 상당히 감소하게 되고, 그리고 기어 맞물림의 강도가 크게 증대되는 반면에 모터의 베어링 수명을 단축시켜 모터 샤프트상에서 축방향의 스러스트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나일론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아세틸 수지로 만듦으로써 기어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기어의 소음을 줄이게 된다.
상기 제2 기어는 1개의 피니언 스퍼어 기어와, 이와 동일 중심상으로 성형된 제3 기어를 구비한다. 동력 변속의 저속부를 이루는 이러한 제3 기어는 헬리컬 기어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력 변속의 기계적 효율을 증대시키는 반면에 기어 소음은 크게 증가되지 않게 된다.
제3 기어는 대형의 아세틸 기어, 소경의 8° 헬리컬식 구동 기어인 제4 기어, 그리고 중심에서 제3 기어와 동축으로 일체로 성형된 제5 기어와 맞물린다. 나일론 기어, 아세틸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4 기어, 그리고 제4 기어는 기어 소음을 감소시키고 기어 수명을 증대시킨다.
끝으로 제5 기어는 제6 기어인 대경의 나일론 최종 구동 기어(84)와 맞물린다. 최종 구동 기어에는 맞물림 강도와 기어의 수명을 증가시키도록 8°의 나사선이 마련되어 있다.
제1 기와 최종 기어의 맞물림에 헬리컬 기어를 사용하는 이러한 3개의 기어 맞물림 전달 구성은, 기어의 소음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소형 구조에서 상당한 기계적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동력 변속은 3 단계로 줄어든 기어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제1 단계에서, 모터로부터 제1 중간 기어로의 고속 회전 맞물림에 의해 상당히 큰 기어 소음이 유발되며, 다른 재질로 만든 헬리컬 기어를 사용함으로써 소음이 최소화된다.
제2 단계에서, 중간 기어 맞물림은 직선의 스퍼어 기어 맞물림을 이용하여효율을 극대화시켰는데, 여기서, 기어의 소음은 더 이상 회전 속도의 감속에의 이루어지지 않고 기계적 부하가 여전히 낮기 때문에 특별한 강도를 지닌 기어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제3 단계에서, 최종 기어 맞물림은 헬리컬 기어의 사용으로 부하 전달을 최적화시킨다.
콤팩트화, 낮은 소음, 긴 수명 그리고 심한 기계적 부하를 취급하게 될 능력 모두가, 가정용 음식물 믹서/압출기에 있어 필요한 구비 요건을 다 만족시킨다.
수평으로 배치된 믹서/압출기 구동 샤프트(86)는, 이 샤프트의 육각형부를 칼라식 이음시키는 기어 중심에 마련된 육각형의 구멍(85)을 통해 대형의 최종 구동 기어(84)에 커플링 되어 있다(제3도 참조). 육각형의 구멍(85)과 맞물리는 육각형의 구동 샤프트(86)를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비틀림 결합력을 제공하는 반면, 가능한 한 샤프트의 매 60° 회전과 맞물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구동 샤프트의 단부를 테이퍼지게 만듦으로써, 이 샤프트는 저항 없이 최종 구동 기어의 육각형의 구멍으로 간단히 박혀지게 될 수 있는데, 그것을 삽입시켜 결합하는 데에는, 30° 이하의 간단한 회전만이 요구된다. 이렇게 간편한 조립은 특히 많은 부품들을 필요로 하게 되는 가정용 음식물 믹서/압출기에 매우 유리하다.
구동 샤프트는 보호벽(28)의 전방부(67)내의 구멍(88)을 통해 전방(33)으로 직접 수평하게 돌출하여, 계단형 보호벽(28)의 계단부(29) 위에 보호되어 있는 투명한 성형 중합체의 믹싱 통(22)으로 돌출한다. 이 믹싱 통(22)은 위에서 보았을 때 대개 직사각형으로 개방된 상부, 일반적으로 평탄한 우측(90), 좌측(92) 및 전후방(94),(96) 측벽(제2도 참조), 그리고 믹싱 통(22)의 전방(33)을 향해 아래로 약간 경사져 있는 거의 원통 절반의 바닥벽(98)으로 구성된다(제3도 참조), 원통형의 압출 하우징(32)은 믹싱 통의 원통형 바닥벽(98)의 직경의 약 1/3 만큼 상기 믹싱 통(22)의 전방벽(94)으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믹싱 통(22)의 전방(33)으로 믹싱 통 길이의 약 1/3 만큼 돌출하며, 대략 구동 샤프트(86)와 믹싱 통의 원통형 바닥벽(98)과 동심을 이루고, 믹싱 통(22)의 원통형 바닥벽(98) 위로 상승되어 있다.
한 세트의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믹서/압출기 공급 날개(102, 104, 106, 108, 110)는 최종 구동 기어(84)의 바로 전방으로, 구동 샤프트(86)의 육각 부분과 맞물려 칼라 이음되는 육각형의 중앙 보어를 구비한 원통형 관상 샤프트(100)상의 믹싱 통(22) 내측의 구동 샤프트(86)상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의 6개의 평탄한 육각면 중 하나에 편심되게 배치된 키이 슬롯(230)은, 원통형 관상 샤프트(100)의 믹싱 날의 육각 중앙 보어 내측에 있는 키이 리브(232)에 성형된 부분과 맞물리며, 믹싱 날을 배치시켜 샤프트에서 뒤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주며, 그리고 압출 스크루에 대해 단지 한 각도에서 구동 샤프트에 장착되도록 해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용자가 믹싱 날을 구동 샤프트에 잘못 조립하게 될 염려를 없애준다. 또한, 이는 압출 스크루(30)가 재료와 가장 접근된 위치에 있게 될 때, 압출스크루(30)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공급 날개(108),(110)가 자동적으로 정확히 배열되고 또 타이밍이 맞게 되도록 해준다. 가정용 음식물 믹서/압출기는 사용자가 적합하게 사용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가능한 쉽게 취급될 수 있게 되어 있어야 한다.
믹싱/공급 날개(102, 104, 106, 108, 110)와 압출 스크루(30) 사이의 위치설정은, 압출 비율을 최적으로 하기 위해 매우 주요한 요인이며, 그 이유는 만약 압출 스크루의 연부가 압출기 공급 구멍(158)을 가로지르거나 막게될 경우 상기 위치 설정은 압출 스크루의 나사산 사이의 골이 공급 구멍(158)에 노출될 경우보다 재료에 덜 접근하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믹싱 통의 후방에서 시작되어 전방으로 움직이는 3개의 일직선, 거의 평평한 믹싱 날(102, 104, 106)이 구동 샤프트(86)의 회전축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들 날개(102, 104, 106)가 모터/동력 변속기로 구동된 구동 샤프트(86)에 의해 회전할 때, 믹싱 통(22)의 원통형 바닥벽(98)에 매우 인접하게 이들 날개의 외측 선단부를 회전시키게 된다. 각각의 믹싱 날(102, 104, 106)은 일반적으로 그 단면이 평탄하고, 압출 작업 동안 믹싱 통(22)내의 재료를 프로펠러처럼 믹싱 통의 전방(33)으로 추진시키기 위해 구동 샤프트(86)의 회전축으로부터 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압출 작업 동안 믹싱 통의 전방으로 내용물을 추진시키는 작업은 각각의 믹싱 날의 위치에 의해 보조된다. 구동 샤프트(86)가 압출 방향(36)으로 회전하게 될 때, 후방의 믹싱 날(102)은 중간 믹싱 날(104)에, 그 다음 전방 믹싱 날(106)에 후속하여 먼저 재료를 치게된다. 이 때, 재료는 후미 믹싱 날(102)로부터 중간 믹싱 통(104), 전방 믹싱 날(106)로 추진되며, 따라서 믹싱 통의 후방(31)에서 전방(33)으로 추진된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날개(102, 104, 106)는 폭이 좁고, 높이의 비율이 크고,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제1 믹싱 날(102)은 믹싱 통의 평평한 후벽(96)에 매우 인접하게 위치한다.다음 날개(104)는 원통형 관상 샤프트(100) 길이의 약 1/2만큼 상기 제1 날개(102)의 전방으로, 그리고 구동 샤프트의 전방(33)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34)으로 90° 회전되게 위치하며, 제3 날개(106)는 원통형 압출 하우징(32)의 배면 바로 뒤(31)에서 제2 믹싱 날(104)로부터 반시계 방향(34)으로 90° 회전하여 관상 샤프트(10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다.
이렇게 연속하여 90° 간격으로 배치된 믹싱 날은 믹싱 통(22)내의 재료를 압출 작업 동안 믹싱 통의 전방(33) 부분으로 옳기는 작업을 돕는다. 또한, 이러한 형상은 복잡한 성형을 거치지 않고 플라스틱 등으로 쉽게 성형된다.
크리어(clear) 날개(108)와 상부 압출기 유입 날개(110)는 상기 3개의 믹성 날(102, 104, 106)의 전방에서 상기 관상 샤프트(100)에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110)는 아암(112)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아암 또한 관상 샤프트의 전방에 인접하게 제3 믹싱 날(106)로부터 90° 반시계 방향(34)으로 회전되어 위치한다. 상기 아암(112)은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믹싱 통의 전방(33)으로 향해 수직에서 약 30° 전방(33)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렇게 기울어진 아암(112)은 압출 하우징(32)의 원통형 후미부를 넘어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110)를 돌출하며, 상기 하우징은 구동 샤프트(86)와 칼라 이음된 관상 샤프트(106)와 동일 축상으로 믹싱 통(22)의 전방(33) 부분으로 후방(31)에서 돌출한다.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110)는 압출기 공급 구멍(158)으로 믹싱된 재료를 정확한 타이밍에 맞춰 용이하게 낙하시키기 위해, 방사 방향의 위치에서 내측으로 5° 기울어진 좁고 평탄한 패들(paddle) 모양이다. 이러한 날개(110)의 외측 연부는구동 샤프트(86)에 의해 회전될 때, 원통형의 하부 믹싱 통(98)에 매우 인접하게 되며, 그것의 내측 연부는 돌출하는 원통형 압출 하우징(32)의 후미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두고 회전한다.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110)의 전방(33)으로 향하는 선단은 믹싱 통의 평탄한 전방 내벽(94)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크리어 날개(108)는 수직에서 전방(33)으로 30° 경사진 방사형 아암(114)상에서 구동 샤프트(86)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장착된 직선의 로드형의 돌출부이며, 상기 아암(114)은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110)를 지지하는 아암(112)에 180° 대향된 원통형의 관상 샤프트(100)상에서 일체형으로 위치한다.
크리어 날개(108)는 압출 하우징(32)의 원통형 외벽에 평행하고 매우 인접하게, 그리고 믹싱 통의 하부 원통형 벽(98)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두고 회전한다. 또한, 하부 압출기 유입 날개(108)의 전방(33)을 향하는 선단부는 믹싱 통의 평평한 전방 내측벽(94)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한다.
압출 작업 동안, 크리어 날개(108)의 선단 연부는, 재료가 압출 하우징(32)에 형성된 상부 압출기 공급 구멍(158)을 막아 압출기의 공급을 방해하지 못하게 그 재료를 상기 구멍에서 제거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평행하고, 그리고 재료를 압출 하우징(32)의 원통형 외벽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공급 구멍(158)에서 멀어지게 땅 고르는 기계의 블레이드처럼 경사져 있다.
일련의, 확실히 분리되고, 좁고, 얕고, 날카롭고, 상향의 계단형 돌출부(116)는 믹싱 통(22)의 내측인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내부 원통형 하부벽(98) 상에 배치되며, 이들 돌출부의 하측면은 경사져 믹싱 통(22)의 내벽(98)으로 섞이게 되기 때문에, 수직 단면이 예각의 삼각형이고, 위에서 보았을 때 외형이 직사각형인 돌출부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계란형 돌출부(116)는 믹싱 날이 믹싱 작업이나 압출 작업 중 어느 작업 동안에 회전될 때, 믹싱 통 내의 재료 분쇄 및 믹싱작업을 도와준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116)는 신규한 것으로 간주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단일의 긴 계단 또는 전혀 계단이 없는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다수의 계단을 지니게 함으로써, 2 가지의 장점을 얻게 된다. 첫째, 재료, 특히 서로 덩어리진 재료는 한 번만에 작은 계단에서 분쇄되므로, 단일의 긴 계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매끄러운 측벽의 믹싱 통 형상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분쇄시키는 시스템 보다 더 적은 동력이 요구된다.
둘째, 이러한 작은 돌출부(116)는 모터의 서어징(surging)을 감소시킨다. 모터 서어징은 부하의 증가로 인해 모터가 갑자기 저속으로 변하는 현상으로서, 단일의 긴 계단을 치거나 혹은 믹싱 통의 매끄러운 측면을 치게되는 믹싱 날에 의해 재료가 밀리게 될 때 발생하게 된다. 서어징은, 일반적으로 재료가 단일의 계단 또는 믹싱 통의 벽과 충돌하고, 그 다음 다시 자유롭게 될 때 고속/저속/고속/저속...으로 진동한다. 이러한 서어징은 본 장치의 모든 기계적 구성 요소를 변형시키고, 모터와 기계적 구성 요소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작은 돌출부(116)는 점차적으로 한 번에 한 계단씩 재료를 분쇄하기 때문에, 모터 서어징과 발생 가능한 손상을 크게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서어징은 원통형 관상 샤프트(100) 상에서 믹싱/공급 날개(102, 104, 106, 108, 110)의 배열을 바꿈으로써 감소하게 된다. 믹싱 통의 측면에 매우 인접하고, 크리어/압출기 공급 날개(108)를 제외한 모든 믹싱/공급 날개(102, 104, 106, 110)를 포함하는 큰 날개들은 최소한 서로에 대해 90°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대개의 재료가 그러하듯이 2개의 큰 날개 사이가 브릿지(bridging) 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브릿지가 발생할 때도, 또한 덩어리지고 브릿지 된 재료들이 충돌하여 믹싱 통의 측벽에서 자유로워지고, 어떤 모양이 되더라도 모터 서어징의 원인이 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서어징의 감소는 모터와 기계적 동력 변속구성 요소의 수명을 크게 증가시킨다.
믹싱 통(22)의 상부는 수평으로 전달했을 때, 직사각형을 이루고, 분리 가능하고, 힌지식 연결되고, 성형된 깨끗한 중합체 뚜껑(118)으로 덮여 있는 평평한 수직벽(90, 92, 94, 96)을 구비한다. 상기 뚜껑은 이것의 상부면을 가로질러 구동샤프트(86)의 회전축과 평행한 선을 따라 좌측(120) 및 우측(122) 홈이 파인 영역으로 불균등하게 이등분된다.
우측(60)의 보다 큰 홈이 파인 영역(122)은 낮은 수직벽에 의해 에워싸여 있으며, 수평에서 우측(60) 아래로 약 15°의 기울기를 지닌 내측으로 경사진 평면(124)을 구비하며, 이 평면의 폭 절반 정도가 그 우측에 개방된 세그먼트 격자(格子)(126)에 의해 구멍이 뚫려 있다. 이러한 경사진 평면(124)과 개방된 세그먼트 격자(126)는 손가락이나 손이 믹싱 통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면서, 믹싱 통의 뚜껑(118)을 열거나 머신을 정지시키지 않고 밀가루 또는 다른 고체성 재료 및/또는 점성이 높고, 액상의 음식물을 솟아 붓거나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세그먼트 격자(126)는 신규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 장치의 범주에 속하며, 모터로 작동되는 종래의 가정용 전자 제품은 밀가루와 같은 고체성 재료를 믹싱 통에 주입시킬 때, 믹싱 통의 뚜껑을 열지 않고서 주입시킬 수 있게 만든 뚜껑을 구비하지 않았다.
이러한 성능, 즉 믹싱 통의 뚜껑을 열지 않고서 밀가루를 주입시킬 수 있게 한 것을 매우 주요한 장점이다. 예컨대, 파스타를 믹싱할 때, 사용자는 빈번히 믹싱 통내의 음식물이 적합한 배합을 유지하도록 더 많은 밀가루나 액체를 첨가해 왔다. 믹싱 작업을 멈추지 않고 또는 뚜껑을 열지 않고 밀가루를 뚜껑을 통해 첨가할 수 있다는 것은,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적합한 혼합물을 얻게되는 더욱 정확한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소형의 좌측(58) 홈이 파인 영역(120)은 "U"자 형의 홈통(121)을 구비하는데, 이 홈통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전방(33)에서 후방(31)으로 연장하는 좁은 슬롯(128)에 의해 그 중앙 베이스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상기 통(121)과 슬롯(128)은 액상의 재료나 계란과 오일 같은 어느 정도 점성을 지닌 재료를 믹싱 통 뚜껑을 통해 믹싱 통으로 주입시킬 수 있게 해준다. 홈통(121)과 좁은 슬롯(128)은 액상의 재료 전체를 믹싱 통으로 천천히 분배시키게 해준다.
견고한 평면 레버(130)는 뚜껑의 후미 전반을 가로질러 돌출하여, 뚜껑이 믹싱 통(22)에 닫히게 될 때, 계단형 보호벽(28)의 상부(67) 손잡이(134)를 상호하향으로 대면하면서 맞물리게 되는 상향 훅(132)내에서 레버의 후방 연부의 전장을 따라 그 연장이 끝나게 된다(제17A도 참조). 이러한 훅 맞물림은 뚜껑이 제3도와 제1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 통(22)에 닫히게 될 때, 뚜껑(118)과 계단형 보호벽(28)에 고정된 믹싱 통(22)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훅 맞물림은 제17A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이 열려 있을 때 믹싱 통(22)이 계단형 보호벽(28)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해준다. 견고한 평면 레버(130)의 바닥에 있는 2개의 소형 캠(127)은 뚜껑이 닫혀 믹싱 통에 정확히 맞물리게 될 때, 뚜껑을 믹싱 통(22)의 후방(31)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것보다 더욱 유리한 것으로 그 이유는, 간단히 뚜껑을 열어 믹싱 통을 계단형 보호벽에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실시예의 장치가 쉽게 분해될 수 있고, 그리고 간단히 뚜껑을 닫음으로써 믹싱 통(22)이 계단형 보호벽(28)에 다시 고정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믹싱 통(22)의 하부 전방(33)에 있는 평평한 리브(148)와 협동하여, 믹싱 통이 반대편 상부 또는 계단형 보호벽 상부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게 해준다.
뚜껑(118)이 개방(306)될 때(제17A도에 점선으로 도시됨), 뚜껑(118)은 제1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 보호벽의 상부에 수직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뚜껑을 계단형 보호벽(28)에서 제거하지 않고 믹싱 통의 내부에 쉽게 접근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수직 위치(306)로부터 뚜껑(118)은 상향으로 들어올려 질 수 있고, 보호벽(28)과 믹싱 통(22)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뚜껑(118)은 아래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A) 뚜껑(118)을 간단히 닫음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믹싱 통이 계단형 보호벽의 베이스(28)에 록킹되도록 한다.
B) 뚜껑을 약간 열음으로써, 믹싱 통이 계단형 보호벽의 베이스(28)에서 언록킹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리 활주되도록 한다.
C) 뚜껑을 보호벽(28)에서 제거하지 않고 간단히 수직한 위치(306)에 방치함으로써, 믹싱 통의 내부에 완전히 접근하게 되도록 한다.
D) 뚜껑을 단지 열고 자유롭게 들어을림으로써, 뚜껑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한다.
E) 뚜껑을 열지 않고 건조한 재료를 믹싱 통(22)에 주입시키도록 한다(격자(126)를 사용함).
F) 뚜껑을 열지 않고 액상의 재료를 믹싱 통(22)에 주입시키도록 한다(슬롯(128)을 사용함).
또한, 2개의 짧은 수직 리브(123),(125)는 뚜껑(118)의 후미(31)에서 돌출하고, 견고한 평면 레버(130)의 양측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2개의 리브들은 뚜껑(118)이 믹싱 통상에서 닫힐 때, 제14도 및 제1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 통(22)의 후방 평면벽(96)내의 구멍(127),(129)을 통해 후방(31)으로 돌출함으로써, 상기 뚜껑을 믹싱 통상에 유지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이러한 리브들은 믹싱 통의 외측 상부 코너에 인접하게 믹싱 통에 연결되며, 후술하게될 래치(133)가 장착된 전방 상부 코너를 따라, 압출기(30)에서 야기되는 토크에 구조적인 저항성을 갖게 되는 폐쇄된 박스 뚜껑/믹싱 통의 조합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리브(123),(125)와 래치(133)의 조합체는, 토크 작용력에 저항하기 위해 중량의 금속 재질로 제작된 종래의 가전제품에 비해 신규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우측(60) 리브(123)는 좌측의 리브(125)의 것보다 더 길며, 뚜껑이 믹싱 통에 닫힐 때 우측 리브(123)는제11도 및 제1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 보호벽의 구멍(131)을 통해 선회되며, 안전 인터록 순간 마이크로 스위치(도시 생략)와 접촉하므로, 뚜껑이 열릴 때 모터는 턴 오프 되며, 사용자가 부주의로 회전하는 믹싱 날에 의해 다치지않게 해준다.
뚜껑의 전방(33)에는, 뚜껑(118)이 믹싱 통(22)상에 닫힐 때 일반적으로 평평한 믹싱 통(22)의 외측 전방벽(94)의 상부 외측 전방 연부에 배치된 언더컷(140)을 전방으로 대면하면서 맞물리고, 그 전방을 넘게 되는 수직한 리브(137)의 외측 하부 전방의 좌측(58)과 우측(60) 연부에 좌측(58) 및 우측(60)의 후방으로 면하는 돌출부(138)를 구비하는 폭 넓고 수직의 견고한 평면 리브(137)의 중간에 뚜껑(118)의 주요 전방부를 연결시키는 광폭의 수평의 가요성 평면 리브(135)로 구성된 래치(133)상에 있는 성형부를 구비하므로, 상기 뚜껑(118)을 믹싱 통(22)에 래칭시키게 된다. 이러한 래치(133)는 손가락 힘으로 광폭의 수직한 평면 리브(137)의 상부 연부를 후방(3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열리게 되는데, 상기 손가락 힘은 가요성의 평면 리브(135)의 받침대 상에서 래치 돌출부(138)를 시이소 방식으로 요동시켜, 맞물려 있는 믹싱 통의 상부 전방 연부의 언더컷(140)을 분리시키게 된다. 중합체 가요성 평면 리브의 본성적인 탄성은, 뚜껑이 믹싱 통에 닫히게 될 때 상기 래치를 재차 맞물리게 하는 스프링 역할을 하게 된다. 폴리카아본네이트등의 공중합체 재질은 가요성 평면 리브(135)를 편향시키기에 적합한 재질이므로, 상기 래치가 신뢰성 있게 맞물리게 해준다.
또한, 폴리카아본네이트는 주방용 식기 세척기에서 고온에 잘 견딜 수 있고,그리고 높은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뚜껑(투명하고, 식기 세척기용으로 안전한 구조이며, 스프링 래치), 믹싱 통(투명하고, 식기 세척기용으로 안전한 구조)뿐만 아니라 압출 하우징(투명하고, 식기 세척기용에 안전하고, 고도의 구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뚜껑(118)이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압축 하우징(32)을 붙들고 믹싱 통(22)전방(33)의 벽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는 대형의 수직한 원판(162)상에 형성된 홈(242) 속으로 맞물리는 탭(420)이 래치(133)의 수직한 리브(137)의 중앙과 바닥에 구비되어 있다(제4도 참조). 상기 원판(162)과 믹싱 통(22)상에 베이어닛(bayonet) 래치(164)와 연결된, 탭(240)과 홈(242) 사이의 맞물림은 뚜껑(118)의 위치가 낮아질 때 원판(162)이 믹싱 통(22)에 잠기도록 해준다.
상당한 크기의 비틀림력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믹싱 통(22)에 의해 수반되는데, 그 위치는 믹싱 통이 계단형 보호벽과 맞물리는 지점[핀(143), 핀(141) 및 돌출부(146)를 통해)과, 그것이 압출 하우징과 맞물리는 지점(베이어닛 래치(164)를 통해) 사이가 된다. 이러한 비틀림력은 압출 작업 동안, 압출기내에서 압출 스크루의 저항에 의해 반대로 되는 구동 샤프트의 후방에서의 비틀림력에 의해 발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133)는 믹싱 통의 상부 외측 코너에 배치됨으로써, 뚜껑이 닫힐 때 믹싱 통을 더욱 견고하게 해주므로, 믹싱 통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특수한 가전 제품에 예외적인 비틀림 하중의 작용에 대해 매우 양호한, 응력이 집중된 스킨 밀폐형 박스로 작용한다. 이러한 뚜껑/믹싱 통 맞물림은 전술한 구조보다 믹싱 통에서 더욱 바람직하지 못하게 휘어지게 되는 중앙 래치에 의존하는 종래의 유사한 제품의 것과는 상이하다.
믹싱 통의 평탄한 후벽(96)의 상부 좌우 양측에 있는 믹싱 통(22)은, 계단형 보호벽(28)에 형성된 구멍(145),(147)에 끼워진 2개의 후방으로 면하는 원통형핀(141),(143)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보호벽은 구동 샤프트(86)의 입구(85)를 믹싱 통(22)속으로 에워싸는 전방(33)으로 면하는 얕은 원통형 돌출부(146)를 구비한다. 상기 얕은 돌출부(146)는 믹싱 통의 평탄한 후벽(96)을 관통하는 구멍(149)에 끼워지게 된다(제11도 및 제14도 참조) 믹싱 통과 계단형 보호벽 사이에 추가의 견고한 맞물림을 위해, 믹싱 통의 하부 전방부로부터 돌출하는 수직한 리브(148)가 제공된다. 이러한 리브(148)는 계단형 보호벽으로 성형된 핀(144)과 끼워지게 되는 2개의 구멍(151),(153)에 의해 관통된다. 이러한 구멍(145, 147, 149, 151, 153)과 핀(돌출부)(141, 143, 144, 146)의 조합체는 기어 하우징(78)을 감싸는 계단형 보호벽의 비틀림 저항성의 이중 폐쇄 박스 구조에 비틀림 저항성의 폐쇄 박스 믹싱 통 구조를 견고하게 체결시켜 준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구조, 예컨대 주요 구성 요소로 믹싱 통과 모터 및 기어 보호벽의 기본 구성 요소를 사용하지 않은 종래의 것과는 다르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구조에 의한 제품은 이동 및 보관에 매우 부적합한 주방 제품으로 체적이 크고, 그리고 매우 무겁다는 단점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동 샤프트(86)의 전방(33)에는, 일체형으로 동일 축상에 성형된 헬리컬 송곳형 압출 스크루(6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크루(3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성형된 압출 하우징(32)의 내부(308)에 배치된다. 압출 하우징(32)은 부분적으로 믹싱 통속으로 후방(31)으로 돌출하며, 구동 샤프트(86)와 동일 축상에 있으며, 그리고 일부가 믹싱 통(22)의 전방(33) 외측으로 돌출한다.
믹싱 통(22)내에 배치된 압출 하우징(32)의 후미는, 구동 샤프트(86)가 통과하게 될 중심공(302)을 구비하는 일체형의 수직벽(150)으로, 그 후방에 뚜껑이 덮여 있다. 압출 스크루의 후미가 상기 후방의 수직한 압출 하우징 벽과 접촉하게되는 스러스트 베어링면을 형성하기 위해, 압출 하우징의 후미 수직벽(150)에 삽입되어 성형된 스테인레스강 와셔(152)와, 압출 스크루(30)의 후방에 스냅되어 있는 플라스틱 베어링 와셔(154)가 제공된다(제3도 및 제7도 참조).
이러한 플라스틱 베어링 와셔(154)는 금속 와셔(152)와 접촉하게 되는 후방(31)의 평면에 조밀하게 채워진 황소 눈 모양의 동심의 홈(156)을 구비한다. 이러한 홈(156)은 베어링 영역으로 스며들어 두 베어링 표면(152), (154) 사이에 갇히게 될 건조한 재료를 위한 틈새를 제공한다. 상기 홈(156)은 신규한 것으로 간주되며, 믹싱 통(22)내의 더럽고 먼지가 많은 상태에서 발생되는 베어링 마모와 베어링 소음을 상당히 줄여 주는 역할을 한다.
스테인레스강 와셔(152) 모두는, 적절한 베어링 표면(예컨대, 플라스틱 와셔용 아세틸과, 금속 와셔용 스테인레스강 사이)을 제공하기 위해 플라스틱 베어링 와셔와 마찰하면서 양립하며, 그리고 베어링에 계속 축적되게 될 열을 전도 및 산란시키는 작용을 도와준다. 스테인레스강은 내부식성이 강하고, 베어링 작용력에 의해 가열될 때 상대적으로 열팽창이 적으므로 매우 양호하게 사용된다.
믹싱 통(22)에 배치된 원통형 압출 하우징(32)의 일부에는 상부 압출기 공급구멍(158)과, 하부의 압축 하우징 해제 구멍(160)이 뚫려 있다. 보다 큰 상부 압출기 공급 구멍(158)은 일반적으로 위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이며, 벽 원호에 약 90°를 유지하면서 대칭으로 압출 하우징(32)의 상부 원통형 벽을 관통한다. 압출기 공급 구멍(158)은 압출 하우징(32)의 거의 전장에 걸쳐 개방되어 믹싱 통내에 존재하게 된다. 압출 작업 동안, 압출될 재료는 상기 상부 압출기 공급 구멍(158)을 통해 압출 하우징(32)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다.
또한, 이보다 작은 하부 압출 하우징 해제 구멍(160)은 직사각형으로, 압출하우징(32)의 최하부에서 압출 하우징 벽의 원호부에 대해 약 30°로 개방되어 있다. 압출 하우징 길이의 약 1/3인 하부 해제 구멍(160)은, 이 해제 구멍(160)의 후방(31) 연부가 헬리컬 압출 스크루(30)의 후방(31) 연부와 압출 스크루(30)의 후미에 있는 베어링(154)의 전방(33) 바로 아래에 있게 되도록 믹싱 통내에 마련된다.
믹싱 작업 동안에, 압출 스크루(30)는, 재료를 압출 하우징(32)의 후미(31)로 이동시키는데, 이들 재료는 하부 제거 구멍(160)을 통해 대개 압출 하우징 외측으로 제거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믹싱 작업 동안 건조한 밀가루가 압출 하우징 내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된다. 예상과는 다르게, 상기 하부 제거 구멍(160)은 압출 스크루를 지나 낙하하는 재료가 스크루(30)의 나사산에 의해 전진되도록 힘이 작용되기 때문에, 압출기 공급 장치의 효율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이러한 구멍(160)은 신규한 것인 동시에 압출기 장치를 간단하게 만드는데 있어 효과적이다.
압출 하우징(32)은 대형의 수직한 평면 원판(162)속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데, 이 원판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믹싱 통의 전방벽(94)의 홈(165)과 정지부(167)와 협동하게 되는 원판의 외주에서 3개의 대칭하는 공간을 통해 베이어닛형래치(164)를 상기 전방벽(9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36) 또는 분리(34)시킨다. 이러한 홈(165)에는, 래치가 일방으로(360° 원호의 일 위치)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베이어닛 래치의 오목부(238)와 맞물리는 돌출부(236)가 제공된다.
평면 원판(162)과 압출 하우징(32)은 믹싱 통의 전방(33) 내벽의 상당 부분을 지지 형성한다.
믹싱 통(22)에 대면하는 상기 원판(162)의 내벽에는, 본 실시예의 후미를 향해 직접 후방(31)으로 가리키는 막대 모양의 크리닝 돌출부(166)가 형성되어 있다(제2도, 제3도, 제12도, 제13도 참조). 이러한 크리닝 돌출부(166)의 좌측(58)선단 연부(34)는 압출기 공급 구멍(158)의 우측(60) 일부로부터 적당한 거리로 이격되고, 거의 그 연부를 넘게 배치된 수직벽을 포함한다.
돌출부(166)의 위치는, 구동 샤프트(86)가 회전(34, 36)할 때, 크리어 날개(108)의 상연부가 크리닝 돌출부(166)의 하연부에 대해 매우 인접하게 아래로 지나가도록 하는 반면에,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110)의 하연부가 크리닝 돌출부(166)의 상연부에 매우 인접하게 아래로 지나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회전하는 동안, 크리닝 돌출부(166)의 선단을 대면하는 후미(31)는,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110)와 크리어 날개(108)를 지지하는 아암(112),(114)에 닿지 않으면서 인접하게 접근한다. 돌출부(166)는 재료의 상연부 및 하연부 각각을 긁어모음으로써, 크리어 날개(108) 또는 상부 날개(110)에 수집될 수 있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킨다.긁어모은 상기 덩어리는 압출기 구멍(158)속으로 떨어지던가, 아니면 믹싱 통으로 되돌아간다.
크리닝 돌출부(166)의 내측 및 외측 각각의 궤도를 진행하는 크리어 날개(108)와 상부 날개(110)의 상기와 같은 배열은 신규한 것으로 간주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구조는 압출기 공급실의 입구로 재료를 들어올리기 위해 대형의 단일 패들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큰 단일 패들은 이들의 면상에 재료를 적층시키게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구멍이 막히게 되고 효율이 낮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부 공급날개(110)상의 소형 패들 표면에는 재료가 적층될 확률이 훨씬 더 줄어들게 된다. 상기 크리닝 돌출부(166)는 또한 상부 공급 날개로부터 과다한 재료를 제거하는 경향이 있다. 크리어 날개(108)는 압출기 공급 구멍(158) 위로 이어지게 되거나 크리닝 돌출부(166)에 수집되는 어떠한 재료라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특징은 공급 구멍 위로 재료가 이어지게 되어 압축기의 공급을 차단시키게 되는 현상이 빈번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믹싱과 압출 모든 작업 동안 믹싱 통(22)내의 재료는 그 속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믹서/압출기 공급 날개(20)에 의해 혼합되고, 또 그 혼합된 재료에 의해 믹싱 통의 측벽과 계단형 돌출부(116)에 반발하게 믹서/압출기 공급 날개(20)에 의해 압축되고 찢어지게 된다.
압출 작업 동안, 평평한 믹싱 날(102, 104, 106)을 관상 샤프트(100)에 프로펠러 모양으로 장착 각도를 지니게 하고 그리고 원통형 관상 샤프트(100)를 따라 믹싱 날의 순서를 나열시킴으로써, 반응통(22)내의 재료는 믹싱 통(22)의 전방(33)을 향해 이동된다.
믹싱 통(22)의 전방 단부(33)에서, 재료는 상부 압출 공급 날개(110)에 의해 믹싱 통(22)으로부터 압출기 공급 구멍(158)위로 상승된다. 대부분의 음식물은 자연적으로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110)에서 압출기 공급 구멍(158) 속으로 또는 믹싱 통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잔여의 재료는 압출기 공급 날개(110)에 접착될 수 있다.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110)는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둥글기(36) 때문에, 그 날개는 막대 모양의 크리닝 돌출부(166)와 평행하고 매우 인접하게 통과하게 된다. 그것이 통과할 때, 과다한 재료들이 막대 모양의 크리닝 돌출부(166)에 의해 압출기 공급 날개(110)에서 긁혀 나온 다음, 압출기 공급 구멍 속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믹싱 통으로 되돌아가며, 잔여분은 막대 모양의 크리닝 돌출부에 접착된다. 압출기공급 날개가 더욱 연속적으로 되면, 그 날개는 믹싱 통(98)의 바닥을 통과하게 되며 날개에 붙어 있는 재료를 긁어내고, 더 많은 재료를 끄집어내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믹싱 통의 원통형 바닥벽(98)에 있는 계단형의 돌출부(116)는 상부 압출기 공급 날개를 통과하는 덩어리 또는 재료를 찢고 혼합시키는 작업을 보조한다.
막대 모양의 돌출부(160)에 접착된 재료와 압출기 공급 구멍(158) 위로 브릿지 되는 재료는 크리어 날개(108)의 회전(34, 36)에 의해 제거된다. 크리어 날개(108)가 도면 부호 (36)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날개는 압출기 공급 구멍(158)바로 위와 막대 모양의 돌출부(166) 바로 아래를 지나며, 그리고 재료를 믹싱 통(22) 속으로 되돌려 보내거나 압출기 공급 구멍(158)속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덩어리식 공급 방법은 믹싱 통(22)이 채워질 수 있는 레벨까지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가 덩어리의 완전한 적재를 행하고 있을 때, 믹싱 통은 적재된 음식물 압출분의 약 절반 정도로 구동 샤프트(86) 위로 채워질 수 있기 때문에, 압출기 공급 날개(20)는 압출 하우징과 그것의 공급 구멍(158) 둘레로 다량의 덩어리를 회전시켜 압출 하우징(32)을 덩어리로 완전히 채울 수 있게 되는데, 심지어 공급 구멍(158)속으로 떨어진 덩어리도 압출 스크루(30)의 회전(36)에 의해 구멍(158) 바깥으로 되밀리게 된다. 적재된 음식물이 비워질 때, 점진적으로 더 적은 덩어리가 특히, 믹싱 통이 거의 비워질 때 압출기 공급 구멍(158)속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부 공급 날개(110)는 믹싱 통(22)의 바닥에 도달하여야 되며 덩어리를 구멍(158)속으로 버리기 위해 거의 180° 원호를 통해 덩어리를 상승시켜야 한다.
재료가 믹싱되는 동안, 재료는 또한 압출기 공급 구멍(158)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료는 이것을 압출 하우징(32)의 후방(31)으로 이동시키는 압출 스크루(30)의 회전과, 재료를 믹싱 통(22)속으로 되돌려 낙하시키는 압출기 제거 구멍(160)의 조합에 의해 압출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제거 될 수 있다.
재료가 압출되는 동안, 재료는 압출기 공급 구멍(158)으로 유입되어, 회전하는 압출 스크루(30)에 의해 압출 하우징(32)의 전방(33)을 향해 추진되며, 그 다음 재료는 압출 다이(38)에 반발하여 압축되고, 일관된 전성(展性)으로 작업되고, 그러고 다이(38)의 개구(168)를 통해 가압된다. 믹서/압출기의 구동 샤프트(86)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그리고 압축 하우징(32)의 내벽 전방(33) 절반부에 마련된 4개의길고 얕은 홈통(170)(제8도 참조)은, 압출 스크루(30)가 재료를 압출 다이(38)에 반발하여 압축시키도록 하는 것을 보조한다. 이들 홈통(170)은 압출 스크루(30)의 회전 방향인 시계 방향(36)으로 면하는 측면에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며, 압출 스크루(30)의 회전 방향인 반시계 방향(34)으로 면하는 측면에 방사방향으로 45°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계단에 반발하여 건조한 밀가루의 가압으로 인해, 믹싱 작업 동안 압출 스크루에 압력이 가해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경사진 홈통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압출 다이를 방치해 놓아 믹싱 작업 동안 압출 스크루 속으로 손가락을 집어 넣게되면 손가락이 다치지 않게 추가적인 안전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압출 하우징의 후방 절반부(31)의 원통형 내부의 직경은, 이에 대응하고 계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방의 절반부의 직경보다 작다. 이로 인해, 믹싱 작업동안 압출 스크루에 걸리는 압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출 스크루의 후미에 있는 나사는 압출 하우징의 후방 모든 방향으로 연장하지 않지만, 대신 베어링 와셔(154)에서 그 연장이 끝나게 된다. 이로 인해, 믹싱 작업 동안 압축기 스크루에 걸리는 압력을 추가로 줄이게 된다.
원형의 디스크 압출 다이(38)를 에워싸는 나사 다이 너트(172)는 압출 하우징(32)의 전방을 덮게 된다. 상기 다이 너트(172)의 내측상에 형성된 다수의 암 톱니 나사(174)는 압출 하우징의 전방 외측에 형성된 수 톱니 나사와 맞물린다. 다이 너트의 전방 외주부에 형성된 성 같은 구조의 오목부(176)는, 다이 너트가 압축 하우징에 박히거나 너무 꼭 끼이게 될 경우 렌치와 맞물릴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다이너트상의 압력을 낮추도록 모터를 역회전시켜 너트를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다이에 걸리는 압력을 줄일 수 있고, 다이가 압출 작업 동안 또 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해준다.
다이 너트(172)의 전방면에 형성된 내측으로 돌출하는 주둥이 부분은 원형의 압출 다이 각각의 외주부와 맞물려 그것을 구속한다.
2개의 원통형 튜브(178),(180)는, 다이 너트(172)의 우측(60)면상에서 구동 샤프트(86)의 축과 평행하게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L"자형의 성형된 커터 날(46)은 스냅을 주어 쉽게 착탈되며, 원통형 튜브(178),(180)는 각각의 중앙에 있는 구멍 중 하나에서 회전(34, 36)한다. 상기 날(46)은 세장형의 평평한 표면을 구비하며, 이 평평한 표면은 커터와 다이 모두가 본 실시예의 장치 장착될 때, 압출다이(38)의 전방 표면과 평행하게 된다. 상기 날(46)은 양면에 날카로운 연부를 지니며, 또 소형의 손가락 핸들(182)을 구비하며, 이 핸들은 날의 길이를 가로질러 다이의 전방면과 접촉하면서 그 접촉면을 긁게되는 각각의 압출 다이(38)의 전방(33) 면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손을 사용하여 상기 날을 회전(34, 36)시킬 수 있도록 해주며, 결국 다이 구멍(168)을 통해 압출하는 재료를 절단하게 된다. 튜브(180) 중 하나는 다른 튜브(178)보다 더 길고 평행하게 그 위에 배치되며, 그리고 마카로니를 요리할 때 사용하는 깊은(또는 두꺼운) 다이와 함께 커터(46)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커터 날(46)은 완전히 360°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절단사이클을 용이하게 해준다.
각각의 압출 다이(38)에는, 압출된 재료의 단면을 다양한 형태로 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168)이 전후방향으로 뚫려 있다. 예컨대, 스파게티용 압출 다이는 중심에서 약 1/4 인치 떨어진 1/8인치 직경의 구멍 30개를 구비한다.
압출 다이(38)는, 최소한 0.010 인치인 평행하거나 외측으로 발산하는 벽(184)이 구비되어 있는 전방(33) 세그먼트와, 구멍의 중앙 축에서 최소한 20° 이상의 각도를 지닌 벽이 구비되어 있고 심하게 테이퍼진 후방 세그먼트(186)로 구성되는 단면을 지닌 구멍(168)을 구비할 수 있다(제3도 및 제3A도 참조). 이러한 형상은 종래의 다이와 다른 형태로서, 다이의 전방에서 건조되는 재료는 전방(33)다이 구멍의 세그먼트에 평행하거나 외측으로 발산하는 벽 구조로 인해 쉽게 다이를 통해 압출될 수 있기 때문에, 후방 구멍의 테이퍼와 청소에 방해를 받지 않고 간헐적인 돌출에 의해 쉽게 청소되는 것을 향상시키게 해준다.
상기 다이는 압출 작업 동안 상당히 큰 압력에 노출되기 쉽다. 각 다이의 전방(33) 외주부와 다이 너트 중앙공(190)의 후방 내주부상에서 상호 잠기는 환상의 돌출부는 압출 작업 동안 정위치에서 다이를 잠그기 위해 서로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는 상호 잠금 기능이 없는 종래의 다이 구조와 상이하다.
압출 작업 동안, 다이(38)에 반반하게 가압되는 압출 대상의 재료로부터 다이(38)에 작용하는 압력은, 다이 너트(172)를 풀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커터 튜브와 이들의 지지부들은 다이 너트를 풀 때 지렛대 역할을 하여, 상기 너트 풀기 작업을 보조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 너트(172)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렌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믹서 모드로 모터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압출 스크루의 회전(34) 방향을 역전시켜 다이 너트에 작용하는 압력을 낮추게 해준다. 이러한 역회전은 다이 너트를 매우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믹싱 통에 담기게 될 분말, 액체 또는 다른 재료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 컵(40)이 제공된다. 이 컵은 위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으로서, 재료의 측정을 위한 수평선과 글자가 새겨진(39) 투명하고 대개 수직인 측벽(42)과, 그리고 뚜껑(118)우측의 세그먼트 격자(126)를 통해 또는 뚜껑이 열린 믹싱 통(22)으로 직접 재료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측벽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측정된 재료의 레벨까지 수평으로 활주하는 기요틴 뚜껑(44)을 구비한다. 컵(40)은 뚜껑(44)이 닫힐 때, 과다한 밀가루 또는 다른 측정된 재료가 솟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뚜껑(44) 위에 설치된 하부 벽(200)을 구비한다.
믹싱 통 뚜껑을 닫은 상태로, 계측 컵(40)에서 측정된 재료를 믹싱 통(22)속에 직접 솟아 붓기 위한 한 방법으로는, 먼저 재료를 계측 컵(40)으로 부어 넣고, 계측 컵의 뚜껑(44)을 폐쇄 위치로 활주시킨 다음, 과다한 재료를 원래의 저장용기로 다시 솟아 붓는 방법이다. 그 다음, 닫힌 계측 컵은, 그 뚜껑의 핸들이 믹싱 통 뚜껑(118)의 좌측(58) 또는 경사면으로 향하도록 하여 믹싱 통 뚜껑의 우측(60)의 측면(122)상에 삽입 배치되도록 한다. 계측 컵의 뚜껑은, 그 다음 활주하여 열리고(198), 좌우측(58, 60) 및/또는 전후방(33, 31)으로 요동하여 믹싱 통 뚜껑의 우측에 있는 격자(126)의 구멍으로 재료가 비벼지는 것을 돕게 된다. 이러한 요동 운동은, 믹싱 통의 우측(60) 측면상의 경사진 평평한 표면(124)이 계측 컵 상부의 둘레보다 더 크기 때문에 가능하므로, 우측(60)에서 좌측(58)으로 그리고전방(33)에서 후방(31)으로 요동하게 될 컵(40)에 허용 공간을 제공하게 해준다. 설탕 혹은 밀가루와 같은 몇몇 재료는 이러한 요동 운동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계측 컵(40)은 얇은 측벽에 의해 2개의 전방 상부 코너에 형성된 주둥이(202)를 구비한다. 상기 주둥이는 뚜껑을 열거나 또는 닫은 상태에서 액체를 흘리지 않고 쉽게 본 장치에 부어 넣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계측 컵의 뚜껑(40)은 뚜껑이 부주의하게 컵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뚜껑의 컵에 장착된 상태로 완전히 열리도록 해주는 정지부(220)를 구비한다. 뚜껑(44)은, 약간 구부려 강하게 당김(198)으로써 컵(4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중 당김 이중 밀침 3위치 전방 오프 역전 스위치(50)는, 안전 푸시 버튼(204)을 구비한다. 이 스위치는 중앙에서 오프 되는 슬라이드 3위치 스위치로 구성되며, 신축성의 성형 리브(204)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보호벽(28)의 후방부(80)에 일체로 되고, 그 벽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스위치의 슬라이드 레버(206) 바로 옆에서 돌출한다(제1도 및 제1A도 참조).
리브(204)의 가요성 부분(208)은 리브를 형성하는 재질이 얇게 되는 단순하게 이루어진 부분이다. 이는, 리브가 돌출되고 리브의 상부를 스위치 슬라이드(206)로부터 멀리 구부러지게 되는 벽과 평행하게 러브의 베이스에 위치하며, 반면에 리브의 바닥은, 리브가 돌출되고 스위치 슬라이드 다음에 머물게 되는 벽에 최대한으로 근접하게 된다. 상기 가요성의 성형 리브는, 이것의 상부에 근접한 테이퍼진 손잡이(212)를 구비하며, 이것은 리브가 스위치 슬라이드(206)를 소정의 면에서 멀어지게 하는 손가락 압력에 의해 편향(210)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 스위치가 오프 위치에서 압출 위치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위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퍼진 손잡이(212)는, 이것의 위치와 스위치 슬라이드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스위치가 오프(214) 위치에서 믹싱(216)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또는 압출(218) 위치에서 오프(214)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중 당김 이중 밀침 3위치 전방 오프 역전 스위치(50)의 오프 위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멈춤으로써 모터(24), 스위치(58), 다른 전기 부품 및 기계적 구성 요소들의 수명을 연장시켜준다. 이러한 특징은 3위치 스위치(50)가 스위칭 요소에 매우 높은 응력을 부여하는 다량의 DC 전류를 스위칭 시키며, 그리고 영구자석 DC 모터(24)는 파스타를 압출시키는 것과 같은 작업에 요구되는 매우 높은 토크를 공급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예컨대 정회전에서 역회전으로 너무 신속하게 스위칭 될 때나, 또는 얇은 파스타를 압출시킬 때 특히 높은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 응력은 주방용 가전 제품에서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중간 멈춤 수단에 작용된 손가락은 주방 용품에 널리 적용되지 않은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3위치 스위치의 또 다른 변형예로는, 본 장치를 미리 설정하거나 사용자 임의대로 설정된 간격으로 믹싱 및 압출, 그 다음 오프 상태로 스위칭 기능을 하는 전기 컨트롤 회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제어 장치는 현재 빵이나 밀가루 반죽을 만드는 주방 용품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의 작동은 매우 쉽다. 스파게티를 만드는 방법은 예로들면 다음과 같다. 컵이 약간 가득 차게 될 때까지 계측 컵(40)으로 밀가루를 붓는다. 그 다음, 밀가루가 약간 충전되도록 컵 상부를 두들겨 준다. 측정치 이상의 밀가루는 컵의 평평한 뚜껑(44)이 슬라이딩(196)되어 닫힘으로써 컵에서 제거되므로, 컵은 닫히고 계측 컵의 뚜껑(44) 위로 돌출하는 하부벽(200)에 의해 에워싸인 컵 뚜껑의 상부에 있는 과다한 밀가루는 제거된다. 그 다음, 과다한 밀가루는, 컵 뚜껑(44)을 닫은(196) 상태로 저장 용기에서 컵을 뒤집음으로써 솟아지게 된다.
그 다음, 컵에 남아 있는 밀가루는, 컵과 믹싱 통의 뚜껑 모두를 열고 컵에 담긴 재료를 통에 붓는 방법이나, 또는 컵의 뚜껑(44)의 핸들을 좌측(58)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닫힌 믹싱 통의 뚜껑(118)의 우측(122)으로 컵을 뒤집고, 컵의 평평한 뚜껑(44)을 측방향으로 활주(198)시켜 열고 그리고 뚜껑의 우측에 있는 세그먼트 격자(126) 위에서 그 뚜껑을 가로질러 좌우, 전후 방향으로 컵을 슬라이딩시키는 방법 중 한 방법에 의해 믹싱 통속에 주입된다. 이러한 작업의 반복으로 인해, 밀가루가 세그먼트 격자를 통해 믹싱 통으로 비벼질 수 있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액체를 믹싱 통에 첨가하기 전에,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믹싱 통 뚜껑(118)을 닫고 이중 당김 이중 밀침 3위치 전방 오프 역전 스위치(50)를 믹싱 위치(216)로 스위칭 시킴으로써 믹싱 위치로 턴 온 된다. 그 다음, 물, 계란, 야채, 주스나 향료 등의 기타 액체 재료를 컵의 측벽에 그려진 원하는 측정 높이에 맞게 계측 컵으로 붓는다. 그 다음, 계측 컵내의 재료를, 믹싱 통의 우측면(122)을 통하거나, 또는 믹싱 통 뚜껑의 좌측면상에 마련된 홈통내의 슬롯(128)을 통해 믹싱 통으로 붓는다.
30초 내지 5분 후면 믹싱 통에 있는 재료가 완전히 믹싱될 수 있다. 이러한시간은, 믹싱 날의 형상과, 재료를 찢고 믹싱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믹싱 통의 바닥벽 내부에 형성된 얕은 스텝(116) 때문에 일반적으로 통상의 파스타 메이커의 믹싱 시간 보다 더 짧게 된다.
믹싱 및 압출 작업 동안, 알맞은 혼합물로 만들기 위해 믹싱 통속으로 건조한 재료나 액체 재료 중 하나를 첨가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믹싱 통 뚜껑(118)의 우측면에 형성된 세그먼트 격자(126)와 좌측면에 형성된 홈통내의 슬롯(128)은 이러한 재료를 믹싱 통의 뚜껑을 열지 않고 첨가시켜 믹싱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재료를 첨가하기 위해 뚜껑(118)을 열 수도 있다.
믹싱 통과 믹싱 통 뚜껑을 투명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혼합물이 알맞게 맞들어 지도록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믹싱 중인 재료를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재료들이 믹싱된 후에, 3위치 전방 오프 역전 스위치(50)는 압출 위치(218)인 하향으로 스위칭 되는데, 이러한 스위칭을 하기 위해서는 손가락 하나로 스위치레버를 아래로 가압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손가락이나 또 다른 손가락으로 안전 손잡이(212)를 해제시키기 위해 인접한 가요성 리브(204)에 반하여 힘을 가하며, 스위치 레버가 압출 위치(218)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손잡이(212)는 스위치가 압출 위치(218)에서 저지되지 않고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모터가 역회전되기 전에, 저속으로 되도록 스위치가 오프 위치(214)에서 지연되는 것을 돕게 된다. 따라서, 모터와 다른 구성 부품들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압출 작업 동안, 재료는 프로펠러 모양의 믹싱 날(102, 104, 106)의 장착각도와 이들이 관상 샤프트(100)를 따라 정렬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또 믹싱 통(22)의 원통형 하부벽(88)이 하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믹싱 통의 전방으로 더욱 믹싱되고 이동하게 된다(제3도 참조). 그 다음, 상기 재료는 상부 압출 공급 날개(110)와 크리어 날개(114)에 의해 압출 하우징(32)의 후방 절반부 상부에 위치한 압출기 공급 구멍(158)속으로 상승되어 낙하하게 되며, 송곳형 압출 스크루(30)에 의해 압출 다이(38)를 통해 이동 및 압축된다.
믹싱된 재료가 다이(38)를 통과한 후, 다이(38)의 전방에 있는 회전하는 커터 날(46)에 반복적으로 절단될 수 있다. 모든 재료가 압출되어 믹싱 통이 비워진 후, 3위치 전방 오프 역전 스위치(50)를 오프 위치(214)로 올림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턴 오프 된다.
어떤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전방으로 기울게 하여, 그것이 전방 2개의 지지 발(222)과 2편의 계단형 보호벽(28)의 전방부(67)의 하부 전방 주둥이(224)에 정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제3도 및 제4도). 본 실시예는 테이블이나, 이것의 전방 기울어진 위치의 안정된 장착 위치가 될 대향된 상부(226)에서 균형이 유지되며, 그 구조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기울어진 위치에 견고한 지지 베이스를 제공하게 된다(제3도 참조).
이렇게 전방으로 기울어진 위치는,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 하여금 파스타 또는 수직한 압출 다이 판을 통해 쉽게 압출되지 않는 다른 음식물이 용이하게 압출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파스타는 쿠키 및 두꺼운 파이 크러스트 등과 같은두꺼운 형태뿐만 아니라, 나사 모양의 로티니(rotini) 및 퓨시리(fuscili)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으로 기울어진 위치는, 또한 믹싱 통의 재료를 옮김으로써 믹싱 통에서 재료들, 특히 젖어 있거나 점성이 높은 재료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여기서 재료는 압출기 공급 날개에 의해 픽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믹싱 통을 압출 또는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카운터 또는 테이블의 연부 위로 배치된 다이에 의해 상기 전방 위치로 기울어질 수 있다.
추가의 파스타는, 더 많은 밀가루와 액체를 반응통에 즉시 또는 한 두 시간 후에 첨가시켜 상기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크리닝 작업을 행하지 않고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 믹싱은, 다이 구멍의 전방에서 건조될 수 있는 파스타 덩어리가 경사져 있거나 그렇지 않은 다이 구멍의 전방부를 통해 쉽게 압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주요 현안인 다양한 기능 제공이, 전술한 작용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믹싱 통 뚜껑의 좌측면에 있는 슬롯(128)과, 믹싱 통 뚜껑의 우측면에 있는 세그먼트 격자(126)는 믹싱 통의 뚜껑을 열거나 또는 본 실시예의 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재료를 믹싱 통에 첨가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믹싱 통과 압출기의 청소는 본 실시예의 장치를 분해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러한 분해를 위해, 뚜껑(118)을 연 다음 뚜껑을 돌려 수직 위치로 믹싱 통과 떨어지도록 상승시키는데, 이때 믹싱 통은 계단형 보호벽에서 떨어져 수직하게 상승된다. 그 다음 믹싱 통은 바닥 근처의 러브(148)를 믹싱 통으로부터 잡아당기는 동시에 리브를 관통하는 핀(144)을 누름으로써 계단형 보호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당겨진다.
그 다음, 압출 하우징(32)과 일체형 원판(162)은, 이를 반시계방향(34)으로 돌려, 베이어닛 래치(164)의 결합을 해제하여 하우징을 믹싱 통에서 멀어지게 당김으로써 믹싱 통에서 분리된다. 그 다음, 믹싱 날(20)을 구동 샤프트(86) 후방으로 활주시킨다. 다이 너트(172)를 풀고(34) 다이를 끄집어 낸 후, 압출 스크루(30)와 일체형 구동 샤프트(86)는 압출 하우징(32)의 전방 바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청소할 모든 부품들이 분해되도록 해주며, 쉽게 청소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또 다른 순서에 따른 분해도 가능하며,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소정 기간 사용한 후라도 가능하게 해준다.
본 장치의 조립은 상기 순서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로 제조할 수 있는 음식으로는, 로터니, 마카로니 및 스파게티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파스타, 땅콩 버터 및 생강이 든 쿠키 등의 쿠키, 파이 크러스트 등의 페스트리, 브라우니, 바겔 및 비스킷 등의 구운 제과, 그리고 치킨 또는 비프 미트볼과 치즈 딥 등의 전채를 포함한다. 이들 대부분은 회전 믹싱 작업 및 이에 후속하는 압출 작업을 약간 변형시킨 종래 공지된 요리법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신규한 것으로, 믹싱 및 압출로 야기된 과도한 부하 상태에서 일체성을 보장받기 위해 높은 경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2개의 에워싸인 박스를 포함한다. 제1 박스는 2개의 계단형 보호벽(28)의 절반부(66),(80)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 박스는 계단형 보호벽의 후방 절반부(80)와 개방된 박스형 기어 하우징(78) 사이에 형성된다. 이들두구성의 형태는, 본 실시예의 장치에 우수한 경도와 구조적 특성을 부여하는 스트레스 스킨(stress skin) 구조이다.
밀가루, 액체 및 다른 불순물은 기어에 끼어 그 구성품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들 기어는, 계단형 보호벽(80)의 후반부와 개방된 박스형 기어 하우징(78) 사이에 기밀하게 형성된 격실에 배치된다. 모터(24)와 스위치는 계단형 보호벽(28)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영역으로 향하는 개구는 오염물 유입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수직한 표면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어떤 적절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믹싱 통은 폭, 깊이, 높이가 각각 6인치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계단형 보호벽은 적합한 모터와 동력 전달 장치를 설치하기에 알맞도록 소정의 크기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압출 하우징, 뚜껑 및 믹싱 통은 폴리카아보네이트로, 계단형 보호벽 기어 하우징 및 다이너트는 ABS로, 그리고 다이, 압출 스크루 및 믹싱 날은 아세틸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당업자들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및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한정하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포함할 수 있다. 즉, 믹싱 날의 수를 바꾸거나 형상 또는 래이아웃을 변형시키는 예, 팬의 에어 유동을 전환시키는 예, 믹싱 통 뚜껑의 좌측면에 형성된 홈통을 없애는 예, 계측 컵 뚜껑을 회전 가능하게 활주시키는 예, 2개의 날개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날개를 압출기에 제공하는 예, 믹싱 통, 2개의 절반부로 구성된 보호벽 또는 계측 컵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예, 벨트와 워엄 기어 드라이브 등의 다른 변속기를 사용하는 예, 믹싱/압출 날개를 압출 스크루와 일체형으로 하는 예, 모터의 샤프트를 전후방으로 배치시키는 대신에 좌우로 배치시키는 방법과 같이 모터의 위치를 바꾸는 예, 본 실시예의 장치 아래에서 공기를 유입시켜 보호벽에서 다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연장하는 압출 다이로부터 유입되는 재료에 그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과 같은 공기 유동 채널을 변화시키는 예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영역 및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제1A도는 제1도의 컨트롤 스위치만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제2도는 믹서 및 압출기의 구성 요소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4도의 3-3선을 따라 절취한 상기 실시예의 수직 종단면도이고,
제3A도는 제3도의 압출 챔버, 압출 스크루, 다이 너트, 압출 다이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제5도는 제3도의 5-5선을 따라 취한 믹싱 통의 단면도이며,
제6도는 베어링 와셔(154)의 사시도이고,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와셔의 주변 구성 요소와 함께 도시한 베어링 와셔의 단면도이며,
제8도는 제12도의 8-8선을 따라 절취한 압출기의 단면도이고,
제9도는 계측 컵의 사시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의 계측 컵 중심의 10-10선을 따라 절취한 수직 종단면도이고,
제11도는 상기 실시예의 계단형 보호벽의 사시도이며,
제12도는 상기 실시예의 압출 하우징 부속품의 위쪽 사시도이고,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된 압출 하우징의 배면도이며,
제14도는 상기 실시예의 믹싱 통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제15도는 믹싱 통의 정면도이며,
제16도는 제12도의 16-16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제17도는 제18도의 17-17선을 따라 절취한 뚜껑의 단면도이며,
제17A도는 제17도의 뚜껑이 믹싱 통과 계단형 보호벽과 어떻게 결합되는가를 도시하는 뚜껑의 사시도이고,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뚜껑의 평면도이며,
제19도는 제17도에 도시된 뚜껑의 배면도이고,
제20도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믹싱 날의 측면도이며,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된 믹싱 날의 정면도이고,
제22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회로의 개략도이며,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회로도의 블록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믹싱 통
24 : 모터
30 : 믹서 및 압출기
32 : 원통형 압출 하우징
38 : 압출 다이
40 : 계측 컵
48 : 모터 샤프트
50 : 스위치
57, 66 : 통풍구
78: 기어 하우징
86 : 구동 샤프트
118 : 믹싱 통 뚜껑
126 : 세그먼트 격자
152 : 팬 날개

Claims (21)

  1.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모터,
    상기 모터를 에워싸는 보호벽,
    음식물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와,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내장하는 믹싱 챔버,
    원통형의 외주벽을 구비하는 압출 챔버,
    수평으로 배치된 상기 원통형 외주벽의 축,
    상기 원통형 외주벽의 상기 축과 동툭인 회전축을 구비하는 로터리 헬리컬 압출 스크루,
    상기 믹싱 챔버에서 상기 압출 챔버로 음식물이 전달되도록 상기 믹싱 챔버와 상기 압출 챔버를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 하우징은 상기 로터리 헬리컬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며, 압출 다이를 장착하며,
    상기 압출 다이는 상기 압출 스크루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성형시키도록 작동되며,
    상기 모터는 역회전 가능한 구동 기구에 수용되며,
    상기 압출 스크루는 상기 역회전 가능한 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예정된 방향이나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압출 챔버의 원통형 외주벽에는 상기 압출 스크루가 상기 예정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나 또는 상기 압출 스크루가 상기 예정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압출 챔버로부터의 음식물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형상의 개구가 상기 압출 스크루의 회전축 아래에 뚫려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챔버의 원통형 외주벽에 마련된 상기 개구는 상기 믹싱 챔버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다이 반대편의 상기 압출 챔버상에 배치되고, 오리퍼스가 뚫려 있는 베어링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역회전 가능한 모터와 상기 압출 스크루 모두에 연결된 구동 샤프트를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4.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모터,
    상기 모터를 에워싸는 보호벽,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내장하는 믹싱 챔버,
    로터리 압출 스크루,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는 압출 챔버,
    상기 믹싱 챔버로부터 상기 압출 챔버로 음식물의 전송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연결 수단,
    수동 개방식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 챔버는 압출 다이를 장착하며,
    상기 압출 다이는 상기 압출 스크루에 의해 운반된 음식물을 압출시키는 작동을 하며,
    상기 압출 스크루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믹싱 챔버는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으로 덮이게 되며,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뚫려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기 뚜껑의 일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의 연통을 허용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이 상기 믹싱 챔버를 덮고있을 때 건조한 재료들이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상기 믹싱 챔버속으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형상을 지니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이 상기 믹싱 챔버를 덮고있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상기 믹싱 챔버로 유입된 손가락이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에 닿지 못할 정도로 멀리 형성되도록 한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5.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내장하는 믹싱 챔버,
    로터리 압출 스크루,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는 압출 챔버,
    상기 믹싱 챔버로부터 상기 압출 챔버로 음식물의 전달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연결 수단,
    모터,
    상기 모터를 에워싸는 보호벽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 챔버는 압출 다이를 장착시키며,
    상기 압출 다이는 상기 압출 스크루에 의해 운반된 음식물을 압출시키는 작동을 하며,
    상기 압출 스크루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믹싱 챔버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수동으로 조작되는 커버는 상기 믹싱 챔버에 닫히게 될 때 상기 믹싱 챔버속으로의 유입을 제한하고, 그리고 상기 믹싱 챔버와 상기 수동으로 조작되어 닫힌 커버로 구성된 믹싱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작동하며,
    상기 믹싱 하우징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뚫려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에 의해 상기 믹싱 하우징은 개방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건조한 재료가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상기믹싱 챔버속으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형상을 지니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상기 믹싱 챔버로 유입된 손가락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에 닿지 못할 정도로 멀리 형성되도록 한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는 수평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8.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내장하는 믹싱 챔버,
    로터리 압출 스크루,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는 압출 챔버,
    상기 믹싱 챔버로부터 상기 압출 챔버로 음식물의 전달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연결 수단,
    역회전 가능한 전기 모터,
    3위치 이상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역회전 가능한 전기 모터에 전력 공급을 개폐하는 전기 스위치,
    상기 역회전 전기 모터를 예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상기 레버의 3위치 중 제1 위치,
    상기 역회전 전기 모터를 상기 예정된 방향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상기 레버의 3위치 중 제2 위치,
    상기 역회전 전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작동되는 상기 레버의 3위치 중 제3 위치,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진입하기 전에 손가락 압력에 의해 작동된 다음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될 때까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레버를 정지시키도록 작용하는 손가락 작동 정지 수단,
    2개 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역회전 전기 모터를 에워싸며, 하나 이상의 평평한 표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평평한 표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 챔버는 다이 플레이트를 장착하며,
    상기 다이 플레이트는 상기 로터리 헬리컬 압출 스크루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압출시키는 작동을 하며,
    상기 로터리 헬리컬 압출 스크루는 상기 역회전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제3 위치를 반드시 통과하도록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간에배치되며,
    상기 전기 스위치상의 상기 레버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관통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개구에서 직선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상기 손가락 작동 정지 수단은 상기 선형 레버의 이동에 수직하고 상기 평평한 표면에 평행한 손가락의 압력에 따라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전기 모터는 영구 자석 모터이며, 상기 모터는 정류된 교류 전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10.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내장하고, 수직한 측벽을 구비하는 믹싱 챔버,
    모터,
    수평의 축 또는 회전축을 지닌 로터리 압출 스크루,
    상기 모터를 에워싸는 보호벽,
    상기 믹싱 챔버의 수직한 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믹싱 챔버로 돌출하며,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는 압출 챔버,
    상기 압출 챔버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에 의해 운반된 음식물을 압출시키도록 작용을 하는 압출 다이,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와 회전축을 공유하며, 상기 압출 다이를 장착시키는 상기 압출 챔버의 상기 단부에 반대되는 상기 압출 챔버의 일단 바깥으로 돌출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믹싱 챔버 속으로 돌출하는 상기 압출 챔버의 상기 부분을 궤도로 선회하는 로딩 돌출부,
    상기 구동 샤프트에 연결된 제1 크리닝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운반된 후 상기 모터로 부터 회전 동력을 수용하며,
    상기 믹싱 챔버로 돌출하는 상기 압출 챔버의 상기 부분에는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의 상기 수평 회전축 위로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딩 돌출부는 상기 믹싱 챔버내의 음식물을 상기 압출 챔버의 유입구위로 상승시키고 그리고 상기 상승된 음식물이 상기 압출 챔버의 유입구로 낙하시키는 작용을 하며,
    상기 제1 크리닝 돌출부는 상기 믹싱 챔버로 돌출하는 상기 압출 챔버의 상기 부분을 궤도로 선회하며,
    상기 제1 클리닝 돌출부의 상기 선회는 상기 로딩 돌출부의 궤도에서 일어나며,
    상기 제1크리닝 돌출부는 궤도로 선회할 때, 상기 압출 챔버의 유입구의 음식물을 제거하여 상기 로딩 돌출부에 의해 운반된 다른 음식물이 상기 압출챔버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 챔버의 수직한 측벽에 장착되며, 상기 로딩 돌출부의 상기 궤도 내측에 그리고 상기 제1 크리닝 돌출부의 상기 궤도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크리닝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 크리닝 돌출부는 상기 제1 로딩 돌출부로부터의 과다한 음식물을 제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12.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와, 수직한 측벽과, 적어도 한 부분이 원통형인 바닥벽으로 구성되는 믹싱 챔버,
    상기 믹싱 챔버의 수직한 측벽을 통해 장착되고, 원통형 외주벽을 구비하는 압출 챔버,
    로터리 압출 스크루,
    상기 믹싱 챔버에서 상기 압출 챔버로 음식물의 전달이 허용되도록 상기 믹싱 챔버와 상기 압출 챔버를 연결하는 수단,
    모터,
    수동 개방식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믹싱 챔버의 원통형 바닥벽은 상기 믹싱 요소의 수평 회전축과 축을 공유하며,
    상기 원통형 외주벽은 수평축을 구비하며,
    상기 압출 챔버는 압출기 다이를 장착하며,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며,
    상기 압출기 다이는 상기 믹싱 챔버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압출 스크루에 의해 운반된 음식물을 압출시키도록 작용하며,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는 상기 압출 챔버의 원통형 외주벽의 축과 공유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압출 스크루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믹싱 챔버는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에 의해 덮이며,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은 위에서 보았을 때 4개의 변과 4개의 모서리를 지닌 사각형이며,
    상기 믹싱 챔버의 수직한 측벽은 하나 이상의 수동으로 조작된 래치를 이용하는 상기 사각형 뚜껑의 제1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변은 제1 모서리와 제2 모서리 각각에 이어지는 제1 변의 양단부에서 연장이 끝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수동으로 조작되는 래치는 상기 제1 모서리와 상기 제2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 변을 따라 상기 제1 변의 4분의 1 길이 내에서 상기 뚜껑의 제1 변을 따라 상기 믹싱 챔버의 수직벽에 래칭되며,
    상기 제1 변과 어떠한 모서리도 공유하지 않도록 상기 제1변 반대편의 상기뚜껑상의 제2 변은, 상기 수동으로 작동되는 뚜껑이 들어 올려지는 동안 회전축으로서 작용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퍼벗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13.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내장하는 믹싱 챔버,
    수평인 축을 지닌 원통형 외주벽을 구비하는 압출 챔버,
    상기 압출 챔버의 원통형 외주벽의 상기 수평축과 동일한 축상의 회전축을 구비하는 로터리 헬리컬 압출 스크루,
    모터,
    상기 믹싱 챔버에서 상기 압출 챔버로 음식물의 전달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연결 수단,
    상기 압출 스크루에 의해 운반된 음식물을 성형시키도록 작동하는 압출기 다이,
    상기 압출 챔버의 일단에 상기 압출기 다이를 구속하도록 작동하는 압출기 다이 구속용 브래스,
    상기 압출기 다이 구속용 브래스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퍼벗 장착부,
    수동으로 작동되는 피벗 커터 날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 챔버는 상기 로터리 헬리컬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며,
    상기 압출 스크루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압출 챔버는 압출기 다이를 일단부에 장착시키며,
    상기 압출 다이는 평평한 외부면을 구비하며,
    상기 피벗 장착부는 상기 수동으로 작동되는 피벗 커터 날을 상기 압출기 다이 구속용 브래스에 연결시키고, 상기 압출기 다이의 상기 평평한 외부면을 가로질러 상기 피벗팅 커터 날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며, 그리고 상기 피벗 장착부는 상기 피벗 커터 날이 상기 압출기 다이의 구속용 브래스로부터 분리되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14.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내장하고 원통형 바닥벽을 구비하는 믹싱 챔버,
    상기 믹싱 챔버의 원통형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믹싱 챔버로 돌출하는 다수의 분리된 돌출부와,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바닥벽은 수평의 축을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믹싱 요소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믹싱 요소의 회전축은 상기 믹싱 챔버의 원통형 바닥벽의 상기 수평축과 공유하며,
    상기 분리된 돌출부 각각은 상기 믹싱 챔버의 길이를 상기 믹싱 요소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측정하였을 때 상기 믹싱 챔버 길이의 4분의 1미만으로 상기 믹싱요소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측정된 길이를 지니며,
    상기 분리된 돌출부 각각은 상기 믹싱 요소의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된 반경방향 40도 미만의 각도로 상기 돌출부의 원통형 바닥벽에서 상기 믹싱 챔버로 돌출하는 제1 면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된 돌출부 각각은 상기 믹싱 요소의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된 반경방향 50도 미만의 각도로 상기 믹싱 챔버의 원통형 바닥벽으로 기울어지는 제 2 면을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믹싱 요소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15.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내장하는 믹싱 챔버,
    원통형 원주벽을 구비하고 압출 다이를 장착시키는 압출 챔버,
    로터리 압출 스크루,
    상기 믹싱 챔버로부터 상기 압출기 챔버로 음식물의 전달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연결 수단,
    모터,
    수동 개방식 뚜껑,
    보호벽을 포함하며,
    상기 믹싱 요소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원통형 외주벽은 수평축을 구비하며,
    상기 압출 다이는 상기 압출 스크루에 의해 운반된 음식물을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며,
    상기 압출 챔버는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며,
    상기 로터리 압출 스크루는 상기 압출 챔버의 원통형 외주벽과 공유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압출 스크루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믹싱 챔버는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에 의해 덮이며,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은 상기 믹싱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이 열릴 때 축으로 작동하게 되는 피벗을 구비하는 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벗을 끼고 있는 상기 연부상에서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은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의 피벗 개구에 대응하는 제1 맞물림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벽은 상기 모터를 에워싸며, 상기 믹싱 챔버를 장착시키며, 그리고 제2 맞물림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맞물림 수단은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이 상기 믹싱 챔버에 닫힐 때 상기 제1 맞물림 수단과 맞물리게 되고,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이 개방될 때 상기 제1 맞물림 수단과 분리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믹싱 챔버는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이 닫힐 때 상기 제1 및 제2 맞물림 수단의 상기 맞물림에 의해 상기 보호벽에 잠기게 되며, 상기 믹싱 챔버는 상기 수동 개방식 뚜껑이 열릴 때 상기 보호벽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16. 깨뜨린 생계란 등의 액체 계측 및 균질화용 기기로서,
    일반적으로 평평한 바닥벽과, 하나 이상의 수직한 측벽 및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계측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직한 측벽 위에 배치되며, 깨뜨린 생계란을 포함하는 액체 재료를 수용하도록 한 형상을 지니며,
    상기 계측 챔버는 상기 오리퍼스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의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오리피스를 덮도록 수동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평평한 바닥벽은 이것의 평평한 표면 위로 돌출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깨뜨린 생 계란을 상기 계측 챔버에 넣고 상기 뚜껑을 닫은 상태로 상기 계측 챔버를 요동시킬 때 깨뜨린 생 계란의 얽힘을 풀 수 있도록 한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계측 챔버는 하나 이상의 눈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눈금은 예정된 체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계측 및 균질화용 기기.
  17. 파스타, 쿠키 및 전채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모터,
    상기 모터를 에워싸는 보호벽,
    음식물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와, 음식물을 믹싱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내장하는 믹싱 챔버,
    원통형의 외주벽을 구비하는 압출 챔버,
    수평인 상기 원통형 외주벽의 축,
    상기 원통형 외주벽의 상기 축과 동축인 회전축을 구비하는 로터리 헬리컬 압출 스크루,
    상기 믹싱 챔버에서 상기 압출 챔버로 음식물의 전달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믹싱 챔버와 상기 압출 챔버를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 챔버는 상기 로터리 헬리컬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며, 압출 다이를 장착시키며,
    상기 압출 다이는 상기 압출 스크루에 의해 전달된 음식물을 성형시키도록 작동되며,
    상기 모터는 역회전 가능한 구동 기구에 수용되며,
    상기 압출 스크루는 상기 역회전 가능한 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예정된 방향이나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압출 챔버의 원통형 외주벽에는 상기 압출 스크루가 상기 예정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나 또는 상기 압출 스크루가 상기 예정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압출 챔버로부터의 음식물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형상의 개구가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18. 파스타 등의 음식물 믹서 및 압출용 주방 기기로서,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를 에워싸는 믹싱 챔버,
    압출 스크루를 에워싸는 압출 챔버,
    모터,
    상기 모터를 에워싸는 보호벽,
    상기 모터에 연결된 구동 변속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는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와 상기 샤프트는 중앙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중앙 축은 수평이며,
    상기 압축 스크루는 상기 기계적 믹싱 요소의 상기 축과 정렬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 변속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믹싱 요소와 상기 압출 스크루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구동 변속기를 통해 상기 믹싱 요소와 상기 압출 스크루에 동력을 공급하며,
    상기 압출 스크루는 부속의 비원형 외주부로 커플링 샤프트와 맞물리는 비원형의 중앙 보어를 구비하는 칼라에 의해 상기 기계적 믹싱 요소의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칼라와 상기 커플링 샤프트의 맞물림은 상기 커플링 샤프트 위로 상기 칼라를 상기 압출 스크루와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의 상기 축을 따라 활주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칼라와 상기 커플링 샤프트 사이의 맞물림은 도구의 사유 없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구동 스러스트 베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스러스트 베어링은 중앙 축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스러스트 베어링의 상기 축은 상기 압출 스크루와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의 상기 축과 정렬되며,
    상기 구동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압출 스크루와 상기 하나 이상의 믹싱 요소의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압출 스크루로부터 스러스트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구동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압출 스크루와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급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출 챔버는 상기 압출 스크루와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의 상기 축 위에 있는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공급 요소의 상기 축은 상기 압출 스크루와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적믹싱 요소의 상기 축과 정렬되며,
    상기 공급 요소는 상기 믹싱 챔버내의 음식물을 상기 압출 스크루와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적 믹싱 요소의 상기 축 위로 들어올리며, 그리고 상기 공급 요소는 상기 음식물을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압출 챔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 중앙 보어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커플링 샤프트와 맞물리도록 하는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기기.
KR1019940013882A 1994-03-04 1994-06-20 파스타,쿠키,전채등의음식물을믹서및압출시키는주방기기 KR100327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05,498 US5421713A (en) 1993-05-11 1994-03-04 Pasta, pastry, cookie and hors d'oeuvre maker
US08/205,498 1994-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452A KR950026452A (ko) 1995-10-16
KR100327814B1 true KR100327814B1 (ko) 2002-07-02

Family

ID=2276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882A KR100327814B1 (ko) 1994-03-04 1994-06-20 파스타,쿠키,전채등의음식물을믹서및압출시키는주방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7814B1 (ko)
CN (1) CN11208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6422B (zh) * 2012-12-17 2017-06-1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制备挤压食品的装置和方法
EP3303847B1 (en) 2015-05-29 2020-01-01 Ametek, Inc. Reduced noise appliance
CN106361170B (zh) * 2015-07-21 2019-01-22 浙江天喜厨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烤饼机
ITUB20155297A1 (it) * 2015-10-21 2017-04-21 Imperia & Monferrina S P A Macchina automatica da banco per impastare ed estrudere pasta alimentare
CN106614876B (zh) * 2016-12-07 2022-03-04 北京金瑞典膳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面条机
CN109588428B (zh) * 2018-12-20 2021-03-19 南宁市晋江福源食品有限公司 一种利用静电力均匀揉压混合蔬菜榨汁面包和面机
CN109820006B (zh) * 2019-01-25 2020-11-27 贵州工程应用技术学院 一种蔬菜饼加工制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891A (zh) 1996-04-24
KR950026452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1012A (en) Pasta, pastry, cookie and hors d&#39;oeuvre maker
US5324185A (en) Pasta, pastry, cookie, and hors d&#39;oeuvre maker
US4391575A (en) Kitchen appliance for making farinaceous products
US4219318A (en) Apparatus for preparing fresh farinaceous pastes
US8672533B2 (en) Blender jar lid with strainer
RU262922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экструдируемы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N216135718U (zh) 与食物处理系统一起使用的附件
EP0022090B1 (en) Pasta machine
US5401159A (en) Pasta maker
US20160256839A1 (en) Programmable wireless control system for mixers
KR100327814B1 (ko) 파스타,쿠키,전채등의음식물을믹서및압출시키는주방기기
CN215583927U (zh) 与食物处理系统一起使用的附件
KR101836790B1 (ko) 재료를 반죽 덩어리로 반죽하기 위한 반죽 장치 및 반죽 공구
EP2762004A2 (en) A food kneading appliance
US4406603A (en) Pasta extruder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food processor or similar appliance
US5486100A (en) Pasta maker with dual kneading blades
WO2003057355A1 (en) Food preparation system
KR101347083B1 (ko)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KR20200092572A (ko) 반죽시트 성형장치
CN213187849U (zh) 一种和面组件及立式面食机
CN218999399U (zh) 一种面食加工机的出面组件
CN209789499U (zh) 用于自动售菜机的烧菜桶
CN221107824U (zh) 饲料混合机
KR890009337Y1 (ko) 가정용 제빵기의 반죽 교반장치
EP1980185A1 (de) Multifunktioneller Handmixer mit Akku-Betriebe, Einsatzstäbe und Abdeckhauben mit Kenn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