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698B1 -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 Google Patents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698B1
KR101346698B1 KR1020120017190A KR20120017190A KR101346698B1 KR 101346698 B1 KR101346698 B1 KR 101346698B1 KR 1020120017190 A KR1020120017190 A KR 1020120017190A KR 20120017190 A KR20120017190 A KR 20120017190A KR 101346698 B1 KR101346698 B1 KR 101346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l
cap7
culture
bacillus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864A (ko
Inventor
이향범
정제용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6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32Bacillus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에서 내생세균으로 분리된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식물체에 살포하거나 관주처리함으로써 다양한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여러 작물에 동시에 적용가능 할 뿐 아니라 한 작물에서도 여러 병해에 대하여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어, 작물의 상품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Endophytic 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s and MRSA}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추에서 내생세균으로 분리된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내생균은 기주 식물의 건강한 조직 내에서 자신의 생활사 중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서식하면서 기주 식물에 대하여 병을 일으키지 않는 세균, 진균과 같은 미생물을 포함한다 (Tan and Zou, 2001). 내생균근균을 제외한 내생균이라는 용어는 주로 엽권에 서식하는 이로운 미생물들을 연상할 수 있다. 오늘날 내생균에 대한 광의의 정의는 식물 조직 내에서 중립적이거나 이익을 주거나 또는 해를 끼치더라도 식물 안에서 사는 미생물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Backman and Sikora, 2008). 이러한 내생균들은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로부터 기주 식물을 저항성을 가지게 하여 보호하여 주고, 식물병원균과 초식동물에 대해서도 광범위한 활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내생균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켜주거나 생물학적으로 질소를 고정하기도 하며, 식물이 무기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Kang et al., 2007; Jha and Kumar, 2007; Malinowski et al., 2000; Melnick et al., 2008).
지구상에는 약 30만종의 식물이 있으며 하나의 식물 당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내생균이 존재한다. 이 중 몇몇 식물만이 기주식물과 내생균간의 생물학적인 관계에 대해 연구되어져 있다 (Strobel and Daisy, 2003). 2000년도 이전에는 한 식물에서 분리되는 내생균이 대략 50종 정도였지만 rDNA 염기서열분석 등과 같은 분자계통분류학의 발달로 인해 동정되는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Zabalgogeazcoa, 2008). 현재까지 내생곰팡이를 포함한 곰팡이는 약 10만종이 밝혀져 있고 약 90만종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Zhang et al., 2006). 최근에 내생세균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가 외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Magnani et al., 2010; Seo et al., 2010) 이러한 내생균의 다양성은 식물과 미생물간의 관계를 이해하거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내생균 탐색에 적용할 수 있기에 중요하다 (Arnold, 2007).
고추 (Capsicum annuum L.)는 가지과에 속하는 작물로서 다른 가지과의 작물들보다 재배기간이 길며 높은 온도에서 재배되는 고온성 채소류에 속한다 (Hwang, 2002).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노지 재배의 경우 전국적으로 44,817ha의 면적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연간 117,324톤이 생산되고 있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채소 작물로 역병, 탄저병을 포함한 34종의 식물병이 고추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Kang et al., 2011). 이러한 병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농가에서는 유기합성 농약의 무분별한 살포가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농약에 대해 면역을 가진 병원균들이 발생하거나 작물과 토양 내에서 잔류독성의 문제를 야기해 토양, 수질은 물론 작물까지 오염시키면서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환경 친화적인 방제방법인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방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Lee et al., 2011).
오늘날 생물농약 (biocontrol agent, BCA)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작물보호제로서 기존의 합성농약보다 빨리 분해되기 때문에 환경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인간의 건강을 덜 위협하며 특정 병원균에게만 활성을 보이고 적은 양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다양한 작용기작으로 인해 병원균의 저항성 발달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Lee et al., 2004; Berg, 2009). Bacillus속 균주를 이용한 생물농약은 세균의 생육안정성으로 인해 생물학적 방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작물재배에 이용되고 있다. 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를 이용하여 과채류에 발생하는 균핵병을 방제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거나 고추 역병과 탄저병을 80%이상 방제하는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Kim et al., 2008; Lee et al., 2007; Lee et al., 2011).
한편,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는 벼 권근토양으로부터 분리되어 메탄올을 이용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한다는 보고 등(Madhaiyan m et al. Int J Syst Evol Microbiol 2010 Oct;60(Pt 10):2490-5)은 있으나,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특히 식물병 또는 병원성 미생물을 방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Madhaiyan et al. Int J Syst Evol Microbiol 2010 Oct;60(Pt 10):2490-5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추의 잎과 줄기로부터 분리한 식물내생균인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을 식물 종자에 침지하거나 관주처리함으로써 다양한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또한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포자 발아 저해 및 곰팡이의 생육억제 효과 뿐 아니라 동시에 우수한 식물발아 촉진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식물 병원균에 대한 우수한 방제활성을 가지는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및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배양액 추출물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배양액 추출물을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생물검정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및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및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물병원성 미생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 병원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은 고추의 잎과 줄기로부터 분리된 식물내생균으로, 상기 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와 가까운 근연과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신규한 균주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라 명명하고,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를 2012년 1월 26일 자로 대한민국 특허균주 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소 내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12116BP를 부여받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 및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배양액 추출물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은 LB 배지(Luria-Bertani, DifcoTM, USA), YMB 배지(Yeast Malt Broth, yeast extract 3g, malt extract 3g, peptone 5g, dextrose 10g, distilled water 1000ml), 감자한천 배지(Potato Dextrose Agar, DifcoTM, USA)등 세균 생장을 위한 일반적인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다. 또한, 배양 pH는 4 내지 6, 배양시간은 24 내지 55시간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48시간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통상 일반 세균들이 25℃ 내지 40℃ 정도의 비교적 고온에서 잘 생장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잘 자라지 못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의 생장 온도는 25 내지 35℃에서도 잘 배양되는 특징으로, 주요 식물병의 발병 적온이 20 내지 35℃인 점을 고려할 때 식물병 방제를 위한 생물적 방제제로서 큰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은 세균 생장을 위한 일반적인 배지에 탄소원, 질소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여 배양될 수 있다. 상기 탄소원은 수크로오즈(sucrose), 덱스트로오즈(dextrose), 락토오즈(lactose), 만니톨(mannitol), 수용성 전분(soluble starch) 및 솔비톨(sorbito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되는 양은 바람직하게 0.05 내지 1.0 중량%(w/v)로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소원으로는 수용성 전분을 사용하는 것이 균주의 생장 및 항진균 활성을 높이기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질소원은 배양균에 질소를 공급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이 가능하며, 예컨대, 질산나트륨(NaNO3), 질산암모늄(NH4NO3), 황산암모늄((NH4)2SO4), 맥아추출물(Malt extract), 펩톤(Peptone) 및 트립톤(Trypto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되는 양은 바람직하게 0.05 내지 1.0 중량%(w/v)로 첨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소원을 함유하는 배지 내에, 질소원으로는 펩톤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지 내 바람직한 질소원의 함량은 0.05 내지 1.0 중량%(w/v)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로 첨가한다. 만약 배지 내 탄소원 또는 질소원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을 경우 타 영양물질의 결핍이 생길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적을 경우 탄소원 또는 질소원의 별도 공급으로 인한 균주의 생장 상승효과가 미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균 생장을 위한 일반적인 배지 즉, LB의 배지를 이용할 경우 LB 배지의 농도 즉, 1% 또는 2.4%에 탄소원과 질소원을 첨가함에 있어서는 균주의 생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아, 균주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적은 양의 배지를 이용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은 오이, 참깨, 고추, 딸기, 벼, 보리, 밀 및 잔디 등 작물에 대하여 전혀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생물적 방제제로 이용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고추 역병(병원균: Phytophthora capsici), 고추 탄저병(병원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병원균: Xanthomonas campestris), 벼 도열병(병원균: Magnaporthe grisea), 벼 깨씨무늬병(Bipolaris oryzae), 안개초 시들음병(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식물병에 대하여 방제효과를 나타내며, 이들 중 특히 벼 깨시무늬병 및 벼 도열병 등의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균주 자체, 이의 배양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환경(예: 토양, 물) 또는 성장 중인 식물 표면에 식물병을 억제할 수 있는 양으로 살포 또는 관주처리함으로써 다양한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종자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배양액 또는 배양여과액에 침지 처리함으로써 식물병원성 곰팡이 생육억제 또는 식물발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은 오이, 참깨, 고추, 딸기, 벼, 보리 및 잔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종자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합성비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배양물은 균주의 배양시 생체 고분자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생체 고분자 물질은 액상 수화제형 제조시 제형화를 위한 전달매체로 사용되며, 투명하면서도 약흔을 남기지 않고 적절한 점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밀기울, 오트밀, 쌀겨, 대두박 및 옥수수 가루로 구성된 군으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시 첨가되는 생체 고분자 물질은 대두박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농약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혼합하고 분말, 펠렛, 과립 또는 용액 등으로 제형화하여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물, 화이트 카본, 카올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물은 액체 배양물 또는 고체 배양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 배양물의 추출물은 유기용매로의 추출을 통해 얻을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C1 -4 알코올, 헥산, 아세톤,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 배양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에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액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상등액에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추출 하였으며, 수용액 층은 다시 동일부피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추출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추출시, 상등액과 동일 부피의 추출 용매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배양여과액 및 식물병원성 진균의 포자(oidium)를 점적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드 글라스를 포화습도가 유지된 페트리 플레이트에 옮겨 시간대별로 식물병원성 진균의 포자 발아 저해율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생물검정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은 흰가루병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검정법은 통상의 다른 항균 검정법보다 시간적 그리고 비용적인 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며, 검정의 대상인 배양체의 매우 낮은 농도에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검정하고자 하는 활성물질 또는 배양체의 양이 낮을 때 상기 생물검정법이 매우 유용하고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을 보여 고속 스크리닝 기술(HTS)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파종 전 침지처리 또는 관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미생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을 방제하는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원성 미생물은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콜렉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피리큘라리아 그리세아(Pyricularia grisea), 바이포라리스 오리재(Bipolaris oryzae), 푸사리움 프롤리페라툼(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바이포라리스 오리재(Bipolaris oryzae) 또는 피리큘라리아 그리세아(Pyricularia grise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제방법은 본 발명의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침지처리 또는 관주 처리시 1×103 cfu/㎖ 내지 1×1012 cfu/㎖의 농도로 균주가 포함된 현탁액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은 토양, 작물의 잎, 줄기, 꽃 또는 열매에 살포하는 것으로, 물에 상기 조성물을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미생물 균주의 항균활성을 더하기 위하여 엽면살포제 또는 관주살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포시기는 식물 병원균이 발병ㆍ증식하기 전 예방적으로 미리 처리하는 것이 방제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미생물로서 경제적인 대체효과가 크고, 탄저병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병을 야기하는 병원균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는 미생물의 이용에 따른 경제적인 대체 효과가 크고 고성능을 가지고 있어 작물의 상품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16S rDNA를 통한 계통학적 위치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대한 억제 활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4는 LB 배지에서 1일 동안 32℃로 배양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커스 EML-CAP7의 콜로니 형태(A)와 이를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B)한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배양시 배지 및 온도에 따른 생장곡선을 나타낸 것이고,
(A: LB 배지, B: YMB 배지, C: PDB 배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배양시 pH에 따른 생장곡선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배양시 탄소원(A)과 질소원(B)에 따른 생장곡선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배양시 기본배지 및 탄소원과 질소원의 조성에 따른 생장곡선을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배양시 기본배지 및 탄소원과 질소원의 조성에 따른 OD(Optical density)와 CFU(colony forming units)를 비교한 생장곡선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배양물 분리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균배양체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로 도열병균(A)과 항생제 저항성 균주인 포도상구균(B)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여과액의 흰가루병균에 대한 포자 발아 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배양액의 벼 종자상 발생하는 곰팡이의 생육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 증류수, B: 스포탁 31.25 ppm 첨가, C: LB 50배 희석, D: LB 100배 희석, E: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배양체 50배 희석, F: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배양체 100배 희석)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분리 및 동정
(1) 균주의 분리
고추(Capsicum annuum L.)의 잎과 줄기는 2008년 11월(겨울)부터 2010년 10월(가을)까지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지역에서 수집하였다. 고추의 잎과 줄기를 4℃에 보관 24시간 이내로 사용하여 식물내생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잎의 경우 한 잎 당 1 ㎠(가로 1 cm 세로 1 cm) 크기로 자른 4조각을 2% NaOCl에 1분간 침지하여 표면살균한 후 멸균수로 3회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였다. 분리방법은 Direct plating method와 Dilution plating method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먼저 Dilution plating method의 경우, 표면 살균된 잎들을 1.5 ㎖ eppendorf tube에 넣고 1:1(g : ㎖) 비율로 하여 마쇄하였다. 마쇄 후 원액과 10배 희석액 100 ㎕씩 취하여 PDA(Potato dextrose agar, Difco™, USA)배지에 분주한 후 도말하였다.
Direct plating method는 표면 살균된 잎 3조각씩 PDA배지에 치상하였다. 줄기는 길이 1 cm 크기로 자른 3 조각을 같은 방법으로 표면살균하고, Direct plating method과 Dilution plating method로 각각 수행하였다. 각각의 배지를 23℃에서 14일 동안 다연실 배양기(HT-103-4, Hanbaek, Seoul, Korea)에 배양하면서 세균의 CFU(Colony forming unit)를 측정하고, LB agar(Luria-Bertani, Difco™, USA)배지에 옮겨 순수분리 하였다.
상기의 순수 분리된 균주의 보존을 위해 20% 글리세롤(glycerol)이 들어있는 1.5 ㎖ eppendorf tube에 분취하여 냉동보관(-80℃)하면서 필요한 실험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고추의 잎과 줄기로부터 분리된 균주 중에서 육안관찰, 형태 및 증식양상이 서로 구별되어지는 216가지의 순수 분리된 내생 세균을 분리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2013718467-pat00001
상기 분리된 내생 세균 중 벼 도열병을 야기하는 벼 도열병균(Pyricularia grisea) EML-CG01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25℃에서 7일간 도열병균(Pyricularia grisea)을 배양한 후, 멸균한 8 mm borer로 구멍을 뚫어 감자한천배지의 가운데에 올려놓았다. 32℃에서 24시간동안 150 rpm으로 진탕배양한 균주의 배양액을 병원균과 2cm 떨어진 위치에 획선을 그은 후, 25℃에서 7일간 배양하여 생육 저지환을 측정하였다. 생장이 양호하고 도열병균(Pyricularia grisea)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선별하여 최종적으로 EML-CAP7이라 명명하였다. 선별된 EML-CAP7 균주의 생장곡선은 30℃ 온도에서 48시간 배양 째 생장이 양호하였으나 48시간을 기점으로 생장은 저조한 것을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2) 균주의 분자계통학적 분석
상기 (1)에서 선별 분리된 균주의 최종 동정을 위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EML-CAP7 균주의 DNA를 분리한 후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을 위하여 27f(5'-AGA GTT TGA TCM GGC TCA G-3') 및 1492r(5'-GGT TAC CTT GTT ACG ACT T-3')인 2개의 올리고 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PCR)법을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은 95 ℃에서 1분간 열변성(denaturation), 53℃에서 40초간 결합(annealing), 72℃에서 1분간 신장(extention)하는 조건에서 효소적인 방법으로 상기 DNA를 증폭시켰다.
상기 증폭된 DNA는 순수 정제 후 염기서열(도 1)을 분석하였다. EzTaxon(Chun et al., 2007)을 이용한 표준균주와의 염기서열 비교 분석결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와 가까운 근연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로 명명하였다.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는 2012년 1월 26일 자로 대한민국 특허균주 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소 내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 12116B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조사
상기 선별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을 이용하여 하기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식물병원균은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EML-PHC01),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EML-CG01), 벼 도열병균(Pyricularia grisea EML-PGR01), 벼 깨씨무늬병균(Bipolaris oryzae EML-ORY15), 안개초 시들음병균(Fusarium proliferatum EMLGYP2)을 사용하여 하기 표 2에서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13718467-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 및 도 3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은 고추 역병균, 고추 탄저병균, 벼 도열병균, 벼 깨씨무늬병균, 안개초 시들음병균 모두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있었으며 특히, 벼 깨씨무늬병균 및 벼 도열병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는 나아가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이 고추 역병, 고추 탄저병, 벼 도열병, 벼 깨씨무늬병, 안개초 시들음병 특히, 벼 깨씨무늬병 및 벼 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실시예 3]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대량 생산방법
(1) 배양적 특성조사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지로는 LB 배지(Luria-Bertani, DifcoTM, USA), YMB 배지 (Yeast Malt Broth, yeast extract 3g, malt extract 3g, peptone 5g, dextrose 10g, distilled water 1000 ㎖), 감자한천 배지(Potato Dextrose Agar, DifcoTM, USA)를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전배양은 활성균주의 단일 콜로니를 LB 배양액에 접종하고 32℃에서 24시간 150 rpm으로 진탕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제조된 배양액에 전배양액 0.2%를 접종한 후, 배양온도를 25℃, 27℃, 30℃, 32℃, 35℃로 하여 150 rpm으로 3, 6, 12, 24, 36, 48, 72, 96, 120시간동안 진탕배양하고 Microplate reader(Bio-Tek Powerwave XS, US)로 660 nm에서의 흡광도(OD; 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배지는 YMB 배지에서, 온도는 30℃의 온도 조건에서 균주의 생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초기 pH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고자 기본배지인 2.4% LB에 pH를 3, 4, 5, 6, 7, 8, 9로 조정하여 각 시간별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pH 4 내지 6의 조건에서 균주의 생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탄소원 및 질소원의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는 수크로오즈(sucrose), 덱스트로오즈(dextrose), 락토오즈(lactose), 만니톨(mannitol), 수용성 전분(soluble starch) 및 솔비톨(sorbitol) 등을 사용하였고, 질소원으로는 질산나트륨(NaNO3), 질산암모늄(NH4NO3), 황산암모늄((NH4)2SO4), 맥아추출물(Malt extract), 펩톤(Peptone) 및 트립톤(Tryptone) 등의 질소원을 사용하였고, 상기 탄소원과 질소원를 1% LB 배지에 각각 1%씩 첨가하고, 각 시간별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탄소원의 경우 수용성 전분, 질소원은 펩톤에서 균주의 생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본배지의 농도에 따른 균주의 생장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기본배지인 LB를 1%와 2.4%를 준비하였고, 시간별로 흡광도와 CFU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탄소원과 질소원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LB 배지의 농도가 1% 보다 2.4%에서 생장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기본배지(1% LB)와 활성균주의 최적 탄소원, 질소원을 조합하였을 때의 흡광도와 CFU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배지에 실험결과 얻어진 활성균주의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을 각각 1%씩 첨가하여 시간별로 흡광도와 CFU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도 8 및 도 9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탄소원과 질소원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LB 배지의 농도가 1% 보다 2.4%에서 생장이 양호한 반면, 탄소원과 질소원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기본배지 농도에 따른 균주의 생장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대량배양은 YMB 배지(또는 LB 배지)에 탄소원으로는 수용성 전분, 질소원으로는 펩톤을 첨가하여 pH 4 내지 6의 배지의 조건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균주의 접종 후 3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함으로써 생장이 우수한 균주를 대량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흰가루병원균의 포자 발아 억제효과 조사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은 다양한 흰가루병원균에 대한 포자발아 저해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를 LB 배지에 접종한 후, 32℃에서 120 rpm으로 24시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0.1 ㎛ 크기의 syringe filter(Pall corporation, USA)로 여과하여 배양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50배, 100배로 희석한 상기 수득한 배양여과액을 한 방울씩 떨어뜨리고, 흰가루병이 발생한 중국단풍(Acer buergerianum), 사철나무(Euonymus japonica),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백일홍(Zinnia elegans), 졸가시나무(Quercus phillyraeoides), 피망(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의 잎들을 수집하여 흰가루병원균의 포자를 가볍게 털어서 올려놓은 후, 포화습도상태인 페트리 플레이트에 넣어 24시간 후에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포자의 발아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13718467-pat00003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증류수 처리구에서 배롱나무 흰가루병원균의 발아율은 44.15± 2.36(100% 기준)이었으나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을 50배 희석한 처리구에서는 7.79%의 발아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대조구(증류수 상에서의 발아율)를 100%로 산정할 경우 12배 정도 즉, 포자발아 저해율이 92%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은 다양한 진균병 방제에 효과를 있으며, 특히 다양한 흰가루병균에 대해서 우수한 저해효과를 보여 흰가루병 방제제로서 개발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과로부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흰가루병원균에 대한 균 배양체의 활성을 slide 배양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배양여과액을 증류수에 다양한 희석배율로 섞고, 상기 희석 배양여과액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떨어트린 후, 그 위에 흰가루병원균의 포자(oidium)를 점적하고 다음으로, 포화습도가 유지된 페트리 플레이트에 옮겨 시간대별로 흰가루병원균의 포자 발아 저해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통상의 다른 항균 검정법보다 시간적 그리고 비용적인 면에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배롱나무 흰가루병원균 이외에도 다른 흰가루병원균의 포자를 사용할 경우에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 확대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검정의 대상인 배양체의 매우 낮은 농도에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검정하고자 하는 활성물질 또는 배양체의 양이 낮을 때 상기 생물검정법이 매우 유용하고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을 보여 고속 스크리닝 기술(HTS)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5] 생체 고분자 물질 첨가에 따른 항균 활성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를 이용하여 제재개발을 하기 위해, 배지 내 다양한 생체고분자 물질을 첨가하여 배양한 후 그에 따른 배양균주의 항균활성 및 생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3차 증류수 50 중량%에 주성분(생체고분자 물질)으로 밀기울, 오트밀, 쌀겨, 대두박, 옥수수 가루를 각각 10 중량%를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121℃, 1기압의 조건에서 15분간 멸균처리한 후 무균상태에서 1 ㎖의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1×106 CFU 농도)을 접종하고 32℃ 교반 배양기에서 정치 배양하였다.
상기 정치 배양 후 생균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최종 20일간 배양 후 각각의 고체배지에서 1 g씩 취하여 9 ml의 멸균증류수에 넣어 105, 106, 107, 108배까지 희석하여 LB 배지에 도말하고 32℃에서 2일간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를 통해 생균수(CFU, colony forming unit)를 디지털 콜로니카운터(KT0074A, Kastech,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고체배지에서 1 g씩 취하고 10 ㎖의 멸균 증류수를 넣어 고체배지가 잘 풀리도록 교반하여 15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50 ㎕를 원형여과지(paper disc, 직경 8 mm)에 올려놓고, 25℃에서 7일간 배양한 후 생육저지환을 측정하여 도열병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기울, 쌀겨, 대두박, 오트밀, 옥수수 배지 배지를 주성분으로 배양할 경우 도열병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중도의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밀기울 배지는 다른 주성분에 비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2013718467-pat00004
또한, 기본배지 및 생체 고분자 물질의 조성을 달리하여 배양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의 생균수는 하기 표 5에 확인할 수 있듯이,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균주을 밀기울을 배지를 주성분으로 첨가하여 배양할 경우가 생균수가 옥수수 가루를 주성분으로 한 경우보다 생균수가 적게는 약 6배 이상 많게는 약 40배(평균 17배) 이상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2013718467-pat00005

[실시예 6]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추출물의 식물병원성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우선,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추출물은 도 10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히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을 LB 배지에 접종(1×106)하여 32℃에서 120 rpm으로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은 6,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회수한 상등액은 동일부피의 클로로포름(CHCl3, OCI, 67-66-3)과 에틸아세테이트(EtOAc, OCI, 141-78-6)로 각각 2회 분배추출 하였다. 회수한 유기용매 층은 농축기(N-100, Tokyo Rikakikai Co., Ltd)로 감압 농축한 후 항균 활성시험을 위한 조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물병원성 미생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상기 식물병원성 미생물은 벼도열병균(Pyricularia grisea EML-PGR01), 채소 반점세균병균(Xanthomonas campestris)을 사용하였고, 병원성 미생물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약제 다제내성의 포도상구균(Staphyloccocus aureus)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2013718467-pat00006
그 결과 상기 표 6 및 도 11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에틸아세테이트(EtOAc) 층을 회수하여 얻은 방제용 조성물의 경우 식물병원성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 특히,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항균활성이 높고 활성범위 또한 넓어,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이의 배양액 및 배양액의 추출물 모두는 상기 식물병원성 미생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의 방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식물병원성 곰팡이 생육억제 및 식물발아 촉진효과 조사
상기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식물병원성 곰팡이 생육억제 및 식물발아 촉진효과를 조사하였다.
벼 종자상에서 발생된 곰팡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LB broth에 32℃에서 120 rpm으로 24시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후, 0.1 ㎛ 크기의 syringe filter(Pall corporation, USA)로 여과하여 배양여액을 수득하였다.
벼 종자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의 배양액(원액, 희석액)과 배양여과액(원액, 희석액)에 각각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앰피실린(Ampicillin), 네오마이신(Neo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등의 항생제를 첨가한 배지와 습실 처리된 고체 페트리 플레이트에 각각 벼 종자 10개씩 치상하여, 배양시 발생하는 곰팡이의 수와 종자의 발아 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로는 멸균수와 배양액인 LB 원액, 희석액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으로는 종자소독에 많이 사용되는 스포탁(prochloraz 25%, Bayer)을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Figure 112012013718467-pat00007
그 결과 상기 표 7 및 도 13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벼 종자의 침지처리 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배양액 및 배양여과액을 100배 희석하여 사용하더라도 대조구에 비하여 우수한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 뿐 아니라 벼의 발아 촉진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배양액 및 배양여과액은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생육억제 뿐 아니라 식물발아 촉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116BP 20120117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2)

  1.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2.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추 역병, 고추 탄저병,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 벼 도열병, 벼 깨씨무늬병, 및 안개초 시들음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이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콜렉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피리큘라리아 그리세아(Pyricularia grisea), 바이포라리스 오리재(Bipolaris oryzae), 및 푸사리움 프롤리페라툼(Fusarium proliferatum)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 추출물이 C1-4 알코올, 헥산, 아세톤,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배양액을 추출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6.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배양여과액 및 식물병원성 진균의 포자(oidium)를 점적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드 글라스를 포화습도가 유지된 페트리 플레이트에 옮겨 시간대별로 식물병원성 진균의 포자 발아 저해율을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생물검정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은 흰가루병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검정법.
  8. 식물 종자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배양액 또는 배양여과액에 침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곰팡이 생육억제 또는 식물발아 촉진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오이, 참깨, 고추, 딸기, 벼, 보리, 밀 및 잔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 이의 배양액 또는 배양액 추출물을 파종 전 침지처리 또는 관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미생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을 방제하는 방제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원성 미생물은 파이토프소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콜렉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피리큘라리아 그리세아(Pyricularia grisea), 바이포라리스 오리재(Bipolaris oryzae), 및 푸사리움 프롤리페라툼(Fusarium proliferat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에셰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또는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cocus aure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방법은 침지처리 또는 관주 처리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EML-CAP7(기탁번호: KCTC12116BP)의 농도가 1×103 cfu/㎖ 내지 1×1012 cf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방법.
KR1020120017190A 2012-02-21 2012-02-21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KR101346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190A KR101346698B1 (ko) 2012-02-21 2012-02-21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190A KR101346698B1 (ko) 2012-02-21 2012-02-21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864A KR20130095864A (ko) 2013-08-29
KR101346698B1 true KR101346698B1 (ko) 2013-12-31

Family

ID=4921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190A KR101346698B1 (ko) 2012-02-21 2012-02-21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6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093A (ko) * 2014-03-11 2015-09-21 주식회사 유니바이오테크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c14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0734872A (zh) * 2019-08-30 2020-01-31 山东康地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甲基营养型芽孢杆菌及其在农业生产中的应用
CN111286479A (zh) * 2020-03-13 2020-06-16 上海市农业科学院 一种抑制或拮抗植物病原菌的贝莱斯芽孢杆菌及其分离培养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959B1 (ko) * 2013-09-09 2014-10-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를 포함하는 곤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JP6440463B2 (ja) * 2013-11-15 2018-12-19 プリマハム株式会社 抗菌作用を有するバチルス・メチロトロフィカス
KR101667541B1 (ko) * 2014-11-05 2016-10-21 대한민국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gh1-13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KR101869790B1 (ko) * 2016-11-10 2018-06-21 대한민국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cc112 또는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CN108004181B (zh) * 2017-12-29 2021-05-04 潘韵 一株甲基营养型芽孢杆菌及其培养物和应用
CN114946484B (zh) * 2022-04-21 2023-04-07 辽宁省农业科学院 甲基营养型芽孢杆菌cb-12在防治水稻稻曲病中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601A (ko) * 2005-03-31 2006-10-0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 미생물제제
KR20090111656A (ko) * 2008-04-22 2009-10-27 (주) 한스바이오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KR20110033173A (ko) * 2011-03-18 2011-03-3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역병 방제 및 고추생육촉진용 길항 미생물 조합 조성물
KR20120004856A (ko) * 2010-07-07 2012-01-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병방제 활성 및 식물생장촉진 기능을 갖는 신규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bs2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601A (ko) * 2005-03-31 2006-10-0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 미생물제제
KR20090111656A (ko) * 2008-04-22 2009-10-27 (주) 한스바이오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KR20120004856A (ko) * 2010-07-07 2012-01-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병방제 활성 및 식물생장촉진 기능을 갖는 신규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bs2
KR20110033173A (ko) * 2011-03-18 2011-03-3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역병 방제 및 고추생육촉진용 길항 미생물 조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093A (ko) * 2014-03-11 2015-09-21 주식회사 유니바이오테크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c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80616B1 (ko) 2014-03-11 2015-12-28 주식회사 유니바이오테크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c14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0734872A (zh) * 2019-08-30 2020-01-31 山东康地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甲基营养型芽孢杆菌及其在农业生产中的应用
CN110734872B (zh) * 2019-08-30 2021-08-20 山东康地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甲基营养型芽孢杆菌及其在农业生产中的应用
CN111286479A (zh) * 2020-03-13 2020-06-16 上海市农业科学院 一种抑制或拮抗植物病原菌的贝莱斯芽孢杆菌及其分离培养方法和应用
CN111286479B (zh) * 2020-03-13 2021-02-05 上海市农业科学院 一种抑制或拮抗植物病原菌的贝莱斯芽孢杆菌及其分离培养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864A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698B1 (ko)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KR101379708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 eml-cap3,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569737B1 (ko) 벼 근권에서 분리된 신규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식물 보호 및 식물 강화제 개발
KR101270664B1 (ko)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jun11
TW201428097A (zh) 具有抗真菌及抗細菌功效與促生活性之芽孢桿菌品種
JP2017534671A (ja) 微生物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CN107075459B (zh) 芽孢杆菌属的新型细菌及其用途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KR20170136081A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
KR20140071145A (ko) 신균주인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ab-15 균주 및 이의 용도
US20230087802A1 (en) Bacillus subtilis jck-1398 strain inducing resistance in various plants, a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by using same
KR101972079B1 (ko) 식물 생육 증진 및 식물병 억제 효과를 갖는 신규 슈도모나스 사포니필라 ghr1-1 균주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
KR20170054158A (ko) 인삼뿌리썩음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버크홀데리아 피로시니아 cj4 및 이의 이용
KR101107331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르젠테오루스 균주
KR101660229B1 (ko) 트라이코데르마 하지아눔 mpa167 및 이의 용도
KR20090124371A (ko)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스포로클리바투스 cjs-49 kctc 11109bp 및 이를포함하는 생물농약
KR20110120748A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 씨피 1 및 이를 이용한 딸기 탄저병균의 방제방법
US10980242B2 (en) Xylaria grammica EL 000614 strain having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root knot nematode and uses thereof
KR20050034000A (ko) 병원성 진균에 길항력을 가지는 신규의 식물 내생 세균인버크홀더리아 비에나멘시스 엠씨1404 및 이를 함유하는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KR100896041B1 (ko) 신규한 스타필로코커스속에 속하는 신규균주 및 그 균주를 포함하는 토마토 또는 감자역병 방제용 조성물
KR20190086947A (ko)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얼위니아 게런덴시스(Erwinia gerundensis) KUDC9201 균주 및 이의 이용
KR102143334B1 (ko) 식물 주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프레데릭스버겐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403304B1 (ko) 스트랩토마이세스 에시디스케비에스 ja(ⅱ)-10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 잿빛곰팡이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잿빛곰팡이병 방제방법
KR101905058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ak―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20180116172A (ko) 인삼뿌리썩음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버크홀데리아 암비파리아 cj4 및 이의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