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656A -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 Google Patents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656A
KR20090111656A KR1020080037367A KR20080037367A KR20090111656A KR 20090111656 A KR20090111656 A KR 20090111656A KR 1020080037367 A KR1020080037367 A KR 1020080037367A KR 20080037367 A KR20080037367 A KR 20080037367A KR 20090111656 A KR20090111656 A KR 20090111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kctc
accession
genus
p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복
권기석
신기선
장종옥
조민섭
전춘표
김건우
김윤회
황해연
최성연
조종일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주) 한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 한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08003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656A/ko
Publication of KR2009011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균주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을 이용하여 고추역병의 방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의 전 생육기간에 걸쳐 발생하여 가장 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고추역병(Phytophthora capsici)을 방제하는 신규 미생물 균주인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를 이용하여 화학 농약을 대체할 생물농약에 관한 것이다.
바실러스, 고추역병, 생물 농약, 미생물제제

Description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AM―651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추역병에 대하여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바실러스 속 AM―651(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리균주 바실러스 속 AM―651(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를 이용하여 고추역병의 방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의 전 생육기간에 걸쳐 발생하여 가장 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고추역병(Phytophthora capsici)을 방제하는 신규 미생물 균주인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를 이용하여 화학 농약을 대체할 생물농약에 관한 것이다.
고추역병(Phytophthora capsici)은 균사에 격막이 없는 다핵 균사체로 무성포자에 의하여 번식하는 식물병원균이다. 이는 살균제를 처리하여도 쉽게 방제가 되지 않으며, 병든 포기가 발생하게 되면 병원균이 비바람에 의해 빠른 시간 내에 인접식 물로 전파되어 병을 일으키기 때문에 윤작을 실시하여 병원균의 1차 전염원을 제거하거나, 길항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적 방제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참조: 유 등., J. Mycology. 30. 2002; 이은탁 등.. Appl . Microbiol . Biotechnol. 29. 2001; Lamour 등., Phytopath. 90. 2000; 황 등, Pestic . Sci . 44. 1995} 고추역병의 화학 농약 방제는 여러 가지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환경파괴와 소비자들의 기피, 저항성 균주의 증가로 생물농약의 개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추역병 방제에 효과적인 생물농약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길항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를 토양에서 분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추역병에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의 신규 균주를 이용하는 고추역병 방제용 생물농약제제 및 상기 생물농약제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역병의 방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신규 균주의 배양액을 관주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생육촉진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추역병에 대하여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바실러스 속 AM―651(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를 제공한다.
고추역병의 화학 농약 방제는 여러 가지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환경파괴와 소비자들의 기피, 저항성 균주의 증가로 생물농약의 개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는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속 AM―651(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를 배양하여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추역병 방제용 미생물농약제제의 기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바실러스 속 AM―651(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배양조건에 따른 고추역병균의 길항능을 확인하고, 그 배양약의 길항능의 최적화를 통하여 생물학적 제제로의 개발을 하고자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추역병 방제에 유용한 바실러스 속 균주, 상기 균주를 함유하는 고추역병 방제용 미생물농약제제의 기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균은 고추역병 방제용 미생물제제로 유용하며, 그 배양액은 화학 농약을 대체할 생물농약 뿐만 아니라 고추의 생육촉진제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1 : 길항세균의 분리 및 선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고추역병균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길항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해 경북 북부지역의 고추재배지 토양과 자연 경작지 토양을 균원 시료로 사영하였으며 멸균 생리식염수에 현탁 및 희석하고, 이들을 LB 및 NA 한천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2일간 배양하여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한 균주들 중 고추역병을 방제할 수 있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각 균주의 배양 상등액을 고추역병균과 대치배양하여 고추역병의 균사생장을 억제시키는 균주를 최종선발 하였다.
그 후 길항세균의 분류학적 동정을 위해 16S rDNA sequencing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실시예 2 : 상기의 길항세균을 이용한 최적의 배양조건의 확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탄소원에 따른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길항물질의 생산을 조사한 결과, glucose, mannose 그리고 maltose 등을 잘 이용하였으며 그중에서 glucose가 고추역병 방제 물질의 최적 생산을 나타낸다.
질소원에 따른 바실러스 속 AM―651 (Bacillus sp. AM―651)의 길항물질의 생산을 조사한 결과, 황산암모늄 0.1% 첨가된 경우 고추역병 방제 물질의 최적 생산을 나타낸다.
배양 pH에 따른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길항물질의 생산을 조사한 결과, 넓은 범위의 pH에 안정하였으며 pH7이 고추역병 방제 물질의 최적 생산을 나타낸다.
배양 온도에 따른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길항물질의 생산을 조사한 결과, 30℃에서 고추역병 방제 물질의 최적 생산을 나타낸다.
실시예 3 : 바실러스 AM ―651 (기탁번호 : KCTC 11305 BP , Bacillus sp . AM ―651) 배양액의 in vivo 방제력 검증
고추를 기주식물로 하여 길항세균인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배양액을 1시간 침지하고 그 배양액을 1/100~1/1000배까지 희석하여 in vivo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처리구는 무처리구 보다 고추역병에 대한 방제력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배양액을 1/300~1/500배 처리하였을 경우 가장 좋았다.
실시예 4 : 바실러스 AM ―651 (기탁번호 : KCTC 11305 BP , Bacillus sp . AM ―651) 배양액이 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배양액이 고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초장 길이로 조사한 결과 1/100으로 희석 후 관주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생육이 가장 높았으며 또한, 발아율은 무처리구 보다 처리구에서 높았다.
도 1은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16S rDNA 유전자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분류계통도 동정 결과이다.
도 3은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asp. AM―651)의 탄소원, 질소원 그리고 염에 따른 길항능 배양조건 결과이다.
도 4은 배양 pH에 따른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길항능 결과이다.
도 5는 배양 온도에 따른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의 길항능 결과이다.
도 6는 고추역병(Phytophthora capsici)을 배양 한 결과이다.
도 7는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와 고추역병(Phytophthora capsici)을 대치배양 한 결과이다.
도 8은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와 고추역병(Phytophthora capsici)을 고추에 관주처리 한 결과이다.

Claims (4)

  1. 호기성 조건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고추역병 방제력이 있는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
  2. 제1항에 있어서, 염화나트륨 10g, 트립톤 10g, 이스트익스트렉트 5g 기본 배지로 하여 고추역병방제 하는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
  3.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를 이용하여 고추역병에 대해 in vivo 방제효과를 보이는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
  4. 미생물 바실러스 sp.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를 이용하여 관주 후 고추역병에 대해 방제효과를 보이는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기탁번호 : KCTC 11305BP, Bacillus sp. AM―651).
KR1020080037367A 2008-04-22 2008-04-22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KR20090111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367A KR20090111656A (ko) 2008-04-22 2008-04-22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367A KR20090111656A (ko) 2008-04-22 2008-04-22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656A true KR20090111656A (ko) 2009-10-27

Family

ID=4153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367A KR20090111656A (ko) 2008-04-22 2008-04-22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6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98B1 (ko) * 2012-02-21 2013-12-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98B1 (ko) * 2012-02-21 2013-12-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andes et al. CTC medium: A novel dodine-free selective medium for isolating entomopathogenic fungi, especially Metarhizium acridum, from soil
CN104388356A (zh) 桑普逊链霉菌菌株、其分离方法及应用
KR20050060624A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케이티지비0202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Sudarma et al. Diversity of soil microorganisms in banana habitat with and without Fusarium wilt symptom.
Hu et al. A new mycoparasite, Aspergillus sp. ASP-4, parasitizes the sclerotia of Sclerotinia sclerotiorum
KR101845708B1 (ko)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yp2 또는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Sharma et al. Characteriz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Bacillus strains and their potential as crop protectants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in tomato
Sawant et al. Biocontrol potential of two novel grapevine associated Bacillus strains for management of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Kim et al. Control efficacy of Bacillus velezensis AFB2-2 against potato late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infestans in organic potato cultivation
Kim et al. Effects of Lysobacter antibioticus HS124, an effective biocontrol agent against Fusarium graminearum, on crown rot disease and growth promotion of wheat
Wang et al. A novel biocontrol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FS6 for excellent control of gray mold and seedling diseases of ginseng
Safni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hizobacteria for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in Indonesia.
El Khaldi et al. The potential of serratia marcescens: An indigenous strain isolated from date palm compost as biocontrol agent of rhizoctonia solani on potato
Sahab Antimicrobial efficacy of secondary metabolites of Beauveria bassiana against selected bacteria and phytopathogenic fungi
Boubakri et al. Biocontrol potential of chenodeoxycholic acid (CDCA) and endophytic Bacillus subtilis strains against the most destructive grapevine pathogens
Santiago et al. Microbiological characterization for a new wild strain of Paenibacillus polymyxa wit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Botrytis cinerea
Saengnak et al. Antagonistic Streptomyces species can protect chili plants against wilt disease caused by Fusarium
Salman et al. Interaction of fluorescent pseudomonads with Pythium ultimum and Rhizoctonia solani in cucumber roots.
MX2014001251A (es) Composicion bionematicida y metodo para el control de nematodos fitopatogenos utilizando la misma.
Valan Arasu et al. Biocontrol of Trichoderma gamsii induces soil suppressive and growth‐promoting impacts and rot disease‐protecting activities
KR20150056209A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션스 cc110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KR20180052984A (ko)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317 또는 이를 함유하는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Devi et al. Genetic characterization of Burkholderia cepacia strain from Northeast India: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Weiland Pythium species and isolate diversity influence inhibition by the biological control agent Streptomyces lydicus
KR20090111656A (ko) 고추 역병 방제 미생물 바실러스 속 am―65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