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081A -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081A
KR20170136081A KR1020160066794A KR20160066794A KR20170136081A KR 20170136081 A KR20170136081 A KR 20170136081A KR 1020160066794 A KR1020160066794 A KR 1020160066794A KR 20160066794 A KR20160066794 A KR 20160066794A KR 20170136081 A KR20170136081 A KR 20170136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lant
bacillus amyloliquefaciens
present
kacc92127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효송
박준경
양현주
김선암
김철홍
한송희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6006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081A/ko
Publication of KR2017013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01N63/02
    • C12R1/07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식물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서 방제 및 생육 촉진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미생물을 이용에 따른 경제적인 대체효과가 크고 고성능을 가지고 있어, 작물의 상품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Composition for plant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contro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약제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유기합성계 농약은 적은 양으로도 효과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여, 농가 소득 증대에 크나큰 역할을 하여 왔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많은 유기합성계 농약은 암 유발 가능성 또는 잔류 독성 규제방침에 따라 그 사용이 점차 제한되고 있으며, 식물병원균의 유기합성계 농약에 대한 저항성 증가, 토양의 산성화, 생태계 파괴 등의 극심한 부작용을 가져왔다. 최근에는 이들 환경오염과 잔류 독성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새로운 농약 및 비료의 연구개발과 함께 분해가 잘되고 독성이 약한 천연 미생물제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방제로는 토양미생물로부터 생산된 항생물질 또는 독소를 이용하여 병원균이나 해충을 방제하는 미생물농약 또는 미생물 자체의 길항작용을 이용하여 병원균의 감염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고 간접적으로 식물생육을 촉진하는 미생물비료 등이 있다.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생물방제법으로는 식물병원성 진균의 세포벽 구성성분인 키틴(chitin), β-1,3-glucan, 만난(mannan) 등의 세포벽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키티나제(chitinase), 글루카나아제(glucanase), 만나아제(mannase) 등의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하는 기작 및 길항미생물이 특이적 대사 산물인 항생물질을 분비하여 식물성 병원균의 생육을 직접 억제하는 항생 기작이 있다.
생물농약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식물병, 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는 미생물농약과, 식물 혹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물을 이용하는 생화학농약이 있다. 미생물농약의 경우, 제품의 대량생산 및 제제화가 어렵고, 제품의 보존안정성이 낮아 화학농약과 같이 표준화, 규격화, 유통 용이성이 확보되지 않아 시장이 크게 확대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미생물농약을 실제 포장에 사용하였을 경우, 처리한 후 미생물이 상당한 양으로 증식한 후에야 식물병을 방제할 수 있으므로 속효성 있게 식물병을 방제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적용 병해의 스펙트럼이 좁아서 작물에 발생하는 다른 식물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여러 생물농약을 처리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농민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
한편, 토양 근권에 주로 존재하는 바실러스 속 세균은 써펙틴, 이튜린 등의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2차 대사산물을 생산하고, 열 등의 불리한 환경에서 저항성인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는 그람 양성세균이다. 또한, 바실러스 속 균주는 대부분이 인·축 독성에 대해 안전하므로 근래에는 이를 이용하여 생물적방제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바실러스 속 미생물 중 잿빛곰팡이병 방제용 균주로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LP03 균주(대한민국 특허 제 0807403호)와 바실러스 아트로페어스 CNU05-1 균주(대한민국 특허 제 0773091호), 식물병 방제용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CM10639 또는 KCCM10640 균주(대한민국 특허 제 0767437호) 등이 등록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바실러스 속의 균주로서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미생물방제제는 다수가 공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생물농약은 아직 정착되지 않은 실정이어서 새로운 생물적 방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식물 병원균에 대한 우수한 방제활성을 가지는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식물 병원균에 대한 우수한 방제활성 및 생육촉진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잔토모나스 오라이제(Xanthomonas pv. oryzae),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Colletotrichum coccodes),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및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로 구성된 식물 병원균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병원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포도당, 효모 추출물 및 펩톤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잎집무늬마름병, 벼흰잎마름병, 시들음병, 식물 탄저병, 식물의 역병, 및 잿빛곰팡이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오이, 고추, 토마토, 또는 수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생육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오이, 고추, 토마토, 또는 수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포도당, 효모 추출물 및 펩톤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 또는 그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작물 또는 작물이 생장하고 있는 환경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작물은 벼, 오이, 고추, 토마토, 또는 수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제방법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를 1×105 cfu/㎖ 내지 1×108 cfu/㎖의 양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물 병원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장수풍뎅이 유충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상기 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신규한 균주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라 명명하고,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6년 5월 19일자로 기탁하여 기탁번호 KACC92127P를 부여받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트립틱 소이 한천 배지, 영양 한천 배지(nutrient agar), 루브리아-버타니 한천 배지(Lubria-Bertani agar) 등 세균 생장을 위한 일반적인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 자체, 이의 배양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환경(예: 토양, 물) 또는 성장 중인 식물 표면에 식물병을 억제할 수 있는 양으로 살포하거나 관주처리함으로써 다양한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이때, 필요에 따라, 농약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혼합하고 분말, 펠렛, 과립 또는 용액 등으로 제형화하여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물, 화이트 카본, 카올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물은 액체 배양물 또는 고체 배양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포장에 처리할 때 조성물 중의 균주의 농도는 포장의 병원균의 밀도 및 발병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105cfu/㎖ 내지 1×108 cfu/㎖의 농도로 포함된 현탁액을 흘러내릴 정도로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1×108 cfu/㎖의 농도에서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제용 조성물은 토양, 작물의 잎, 줄기, 꽃 또는 열매에 살포하는 것으로, 물에 상기 조성물을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미생물 균주의 항균활성을 더하기 위하여 엽면살포제 또는 관주살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포시기는 식물 병원균이 발병ㆍ증식하기 전 예방적으로 미리 처리하는 것이 방제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식물체에 살포하거나 관주처리함으로써 다양한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식물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서 방제 및 생육 촉진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미생물을 이용에 따른 경제적인 대체효과가 크고 고성능을 가지고 있어, 작물의 상품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의 16S rDNA를 통한 계통학적 위치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를 이용한 Botrytis cinerea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를 이용한 Xanthomonas pv. oryzae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를 이용한 다양한 곰팡이류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를 이용한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에 대하여 생물적 방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를 이용한 배지별 생육촉진효과에서 in vitro실험 결과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를 이용한 토마토에 대한 생육촉진 효과 검정을 위한 토마토 식물의 전체 길이, 및 전체 무게를 조사한 포트 실험 결과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를 이용한 고추(도 9a), 토마토(도 9b), 오이(도 9c)에 대한 생육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균주의 분자계통학적 분석
장수풍뎅이 유충의 분변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상기 선별된 균주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위하여 우선, 선별 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도 1(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NCBI GeneBank의 시퀀스 database와 상동성 검색을 수행하여, CLUSTAL X 프로그램 및 PHYLI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선별된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학적 분석결과는 도 2에서도 확인 할 수 있듯이, 바실러스 속의 종을 포함하는 계통학적 그룹에 속하는 균주로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S15B5와 인접한 연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분리ㆍ선별된 균주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이라 명명하고,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6년 5월 19일자로 기탁하여 기탁번호 KACC92127P를 부여받았다.
상기 분리된 본 발명의 IM1균주는 엘비고체배지(LB agar)에서 30℃, 48시간 배양하였고, 배양 후 각 균주들은 유브이-비즈 스펙트로포토메터(UV-vis Spectrophotometer) (Mecasys, Korea)를 이용하여 멸균수로 흡광분도 오디 600나노미터(OD600nm)=0.8~1.5로 희석한 후 각각의 배지(1~4)에 접종하여 30℃, 180rpm,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각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지조성
배지1 Glucose 6g
Yeast extract 8g
K2HPO4 2.5g
NaCl 1.5g
Na2CO3 0.5g
MgSO4 1g
배지2 Sucrose 15g
Yeast extract 8g
K2HPO4 2.5g
NaCl 1.5g
Na2CO3 0.5g
MgSO4 1g
배지3 Glucose 6g
Yeast extract 5g
Peptone 10g
K2HPO4 2.5g
NaCl 1.5g
Na2CO3 0.5g
MgSO4 1g
배지4 Sucrose 15g
Yeast extract 5g
Peptone 10g
K2HPO4 2.5g
NaCl 1.5g
Na2CO3 0.5g
MgSO4 1g
실시예 2: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의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생 효과 및 식물병에 대한 방제효과
(1)항균활성테스트
Botrytis cinerea 대한 항균 활성
본 발명에서 선별된 B.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를 상기 표 1의 각(1~4) 배지에 접종하여 30 ℃, 180rpm의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항균활성에 사용된 곰팡이는 Botrytis cinerea 곰팡이의 agar plug를 핀셋으로 만들어 PDA(Potato dextrose agar)배지 가운데 부분에 올려놓았다. 정체배양기 25 ℃에서 Botrytis cinerea는 1일간 배양 후 1~4번 배지에서 배양한 IM1 균주를 10㎕씩 떨어뜨린후 다시 25 ℃ 정체 배양기에서 1~2일 정도 배양하였고,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선별된 B.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Botrytis cinerea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배지 3에서 배양된 균주에서 항균 활성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Xanthomonas pv . oryzae 대한 항균 활성
항균활성에 사용된 Xanthomonas pv. oryzae는 LB Broth배지에 접종하여 30 ℃, 180rpm의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유브이-비즈 스펙트로포토메터(UV-vis Spectrophotometer) (Mecasys, Korea)를 이용하여 멸균수로 흡광분도 오디 600나노미터(OD600nm)=1.0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희석한 배양액은 LB agar 배지에 도말한 후 1~4번 배지에서 배양한 IM1 균주를 10㎕씩 떨어뜨린후 다시 25 ℃ 정체 배양기에서 1~2일 정도 배양하였다.
Xanthomonas pv. oryzae에 대한 항균 활성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선별된 B.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Xanthomonas pv. oryzae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배지 3에서 배양된 균주에서 항균 활성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러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B.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를 3번 배지에 접종하여 30 ℃, 180rpm의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항균활성에 사용된 균주 Phytophthora capsici,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coccodes, Fusarium oxysporum, Rhizoctonia solani이며, 곰팡이의 agar plug를 핀셋으로 만들어 PDA(Potato dextrose agar)배지 가운데 부분에 올려놓았다. 정체배양기 25℃에서 Botrytis cinerea는 1일간 배양 후 3번 배지에서 배양한 IM1 균주를 10㎕씩 떨어뜨린후 다시 25℃ 정체 배양기에서 1~2일 정도 배양하였고 다른 곰팡이들은 3~5일 정도 배양한 후 IM1균주를 떨어뜨려 관찰하였다.
이들 여러 곰팡이에 대한 항균 활성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선별된 B.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실험에서 사용된 여러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식물병 방제 효과
잿빛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에 대하여 생물적 방제 능력
상기 선별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토마토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에 대하여 생물적 방제 능력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B.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30 ℃에서 2일 동안 배양한 후 처리하였고 대조구로는 멸균수를 처리하였다. 2엽기의 토마토에 B. cinerea를 1x109spore/L의 농도로 준비한 후 분무하여 접종하였다. 접종한 토마토 식물은 growth chamber로 옮겨 암조건에서 25℃, 습도 100%를 유지시켜준 후 3~4일 후에 발병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번배지에서 배양된 균주는 양성 대조군인 플루디옥소닐 수화제20%와 거의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6에서 1/3KB 저비용배지라는 것은 원래의 KB배지를 1/3로 희석하여 사용한 것이다. KB배지는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배지로 산업용으로 대량 생산을 할 경우 소요되는 비용이 커서 사용하기가 힘들지만 1/3로 희석한 경우는 비용이 저렴하여 대량생산에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배지 1~4의 경우는 1/3KB배지보다 생산단가를 더욱 낮출 수 있는 저비용 배지로 본 배지에서 효과가 높은 경우에 대량생산시 생산단가를 더욱 낮출 수 있다.
실시예 3: 배지별 생육촉진효과에서 in vitro실험 , 포트시
in vitro실험
식물생장촉진 대량생산을 위한 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각 배지에서 배양하여 I-plate를 이용하였다. I-plate의 왼쪽에는 여러 가지 조건(1~4)의 배지를 오른쪽에는 식물을 키우기 위한 MS배지를 붓고 건조시켰다. 발아시킨 담배식물을 I-plate의 오른쪽 부분에 옮긴 후 식물체 뿌리가 안전하게 정착될 때까지 식물생장실(온도 27℃, 습도50%)에서 배양한 후 IM1 균주를 10㎕씩 떨어뜨린 후 식물생장실(온도 27℃, 습도50%)에서 약 일주일간 생육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는 대조군에 비하여 우수한 식물생장 촉진을 나타내며, 특히 배지 3에서 배양된 식물이 가장 우수한 생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포트실험
식물생장촉진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전남생물방제연구센터 내에 식물생장실(온도 27℃, 습도50%)에서 토마토를 파종하였다. 플라스틱 포트에 바이오상토를 이용하여 농우씨앗의 썬글로브(토마토종자)를 파종한 후 토마토가 발아하여 잎이 2장 정도 나올 때(약 일주일 경과 후) 미생물을 관주 처리하였다, 미생물 관주 처리 12일 이후 토마토 식물의 전체 길이, 뿌리길이, 전체 무게를 조사하였다.
이들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 화학비료와 비교했을 때와 유사하게 본 미생물 배양액을 처리했을 때 전체길이와 전체 무게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여러 식물 생장 촉진 효과 검정을 위한 무게 측정용 포트실험
식물생장촉진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전남생물방제연구센터 내에 식물생장실(온도 27℃, 습도50%)에서 식물을 파종하였다. 플라스틱 포트에 바이오상토를 이용하여 아시아 종묘 부라보 고추, 농우씨앗의 썬글로브(토마토종자), (주)다농 선호백침다다기 오이를 파종한 후 각 식물체가 발아한 후 본잎이 2장 정도 나올 때(약 일주일 경과 후) IM1균주 배양액을 관주 처리하였다, IM1 균주는 3번배지에서 30 ℃, 180rpm의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미생물 관주 처리 12일 이후 오이식물의 뿌리무게, 전체 무게를 조사하였고 고추와 토마토는 20일 경과 후 전체무게와 뿌리무게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M1균주 배양액은 고추, 토마토 및 오이에 대하여 대조군에 비하여 큰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2127 20160519

Claims (6)

  1.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잔토모나스 오라이제(Xanthomonas pv. oryzae),파이토프소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 콜레토트리쿰 코코데스(Colletotrichum coccodes),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및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로 구성된 식물 병원균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병원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는 포도당, 효모 추출물 및 펩톤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
  3.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잎집무늬마름병, 벼흰잎마름병, 시들음병, 식물 탄저병, 식물의 역병, 및 잿빛곰팡이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오이, 고추, 토마토, 또는 수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5.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M1 균주(기탁번호 KACC92127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생육촉진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오이, 고추, 토마토, 또는 수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촉진용 조성물.
KR1020160066794A 2016-05-30 2016-05-30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 KR20170136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94A KR20170136081A (ko) 2016-05-30 2016-05-30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94A KR20170136081A (ko) 2016-05-30 2016-05-30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081A true KR20170136081A (ko) 2017-12-11

Family

ID=6094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94A KR20170136081A (ko) 2016-05-30 2016-05-30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0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9863A (zh) * 2019-05-08 2020-11-10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一株解淀粉芽孢杆菌及其用途
CN112029693A (zh) * 2020-09-30 2020-12-04 河南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株具有促生作用且同时防治芝麻茎点枯病和枯萎病的解淀粉芽孢杆菌及应用
KR20210017075A (ko) * 2019-08-06 2021-02-17 주식회사 프록스엔렘 서팩틴을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및 이의 용도
KR20230090001A (ko) 2021-12-14 2023-06-21 (주)현농 사카바실러스 속 미생물을 이용한 작물의 생육촉진제와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방법
CN117682918A (zh) * 2024-02-02 2024-03-12 云南省农业科学院农业环境资源研究所 一种防治作物土传病害的复合微生物菌剂及其应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9863A (zh) * 2019-05-08 2020-11-10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一株解淀粉芽孢杆菌及其用途
CN111909863B (zh) * 2019-05-08 2021-10-22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一株解淀粉芽孢杆菌及其用途
KR20210017075A (ko) * 2019-08-06 2021-02-17 주식회사 프록스엔렘 서팩틴을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및 이의 용도
CN112029693A (zh) * 2020-09-30 2020-12-04 河南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株具有促生作用且同时防治芝麻茎点枯病和枯萎病的解淀粉芽孢杆菌及应用
KR20230090001A (ko) 2021-12-14 2023-06-21 (주)현농 사카바실러스 속 미생물을 이용한 작물의 생육촉진제와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방법
CN117682918A (zh) * 2024-02-02 2024-03-12 云南省农业科学院农业环境资源研究所 一种防治作物土传病害的复合微生物菌剂及其应用
CN117682918B (zh) * 2024-02-02 2024-04-19 云南省农业科学院农业环境资源研究所 一种防治作物土传病害的复合微生物菌剂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044B1 (ko) 판토이아 디스퍼사 wcu35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279027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lm1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379708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 eml-cap3,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589139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6698B1 (ko)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KR20170136081A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im1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및 생육촉진 조성물
CN104789509B (zh) 一株杜仲内生短小芽孢杆菌及其应用
KR101908729B1 (ko) 식물 방제 및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 크라이세오박테리움 솔다넬리코라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54082A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gh1-13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CN113699065B (zh) 一种死谷芽孢杆菌及其应用
KR20120061580A (ko) 심플리실리움 라멜리콜라 krict3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20150015309A (ko)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1279040B1 (ko) 엑사구노박테리움 아세티리시움 wcu292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487879B1 (ko) 팜 오일나무의 경령썩음병을 유발하는 가노데르마 보니넨스에 대한 길항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균주
KR101183538B1 (ko)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역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Patil et al. Biological control of brinjal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genae using soluble powder formulation of Aspergillus niger
KR20130016917A (ko) 세라시아 네마토디필라 wcu338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279026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 kb3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837695B1 (ko)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갖는 신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y1
KR20050034000A (ko) 병원성 진균에 길항력을 가지는 신규의 식물 내생 세균인버크홀더리아 비에나멘시스 엠씨1404 및 이를 함유하는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KR102143334B1 (ko) 식물 주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프레데릭스버겐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148789B1 (ko) 균핵병 방제용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1952421B1 (ko) 신규한 셀라티아 에스피 im2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N113151079A (zh) 一种多粘类芽孢杆菌kdb及其应用
KR20050033999A (ko)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