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164B1 -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164B1
KR101346164B1 KR1020070008305A KR20070008305A KR101346164B1 KR 101346164 B1 KR101346164 B1 KR 101346164B1 KR 1020070008305 A KR1020070008305 A KR 1020070008305A KR 20070008305 A KR20070008305 A KR 20070008305A KR 101346164 B1 KR101346164 B1 KR 10134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unit
lever
support cover
intermediat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341A (ko
Inventor
양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164B1/ko
Priority to US11/869,867 priority patent/US7657204B2/en
Priority to EP07121038.9A priority patent/EP1950630B1/en
Priority to CN2007101934047A priority patent/CN101231492B/zh
Publication of KR2008007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23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락킹장치는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에 설치되며, 중간전사벨트와 감광매체가 접촉하도록 하는 레버유닛과, 중간전사벨트의 측면을 덮는 지지커버에 설치되며, 지지커버가 엔진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락킹유닛, 및 락킹유닛에 연동하여 레버유닛이 동작하도록 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한다.
락킹장치, 커플링유닛, 커버고정부재, 가압레버, 고정레버, 연동

Description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Lo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지지커버가 장착된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지지커버가 분리된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락킹장치가 설치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지지커버가 분리된 도 3의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화상형성장치의 지지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가 커플링유닛에서 분리된 상태나타낸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락킹장치에서 락킹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락킹장치에서 레버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엔진 프레임
111; 기준핀 112; 토너 카트리지
114; 화상형성유닛 115; 감광매체의 축
116; 감광매체 117; 폐토너통
120; 중간전사벨트유닛 121; 중간전사벨트
123; 중간전사벨트 프레임 130; 지지커버
131; 기준부시 135; 축 구멍
140; 락킹장치 150; 락킹유닛
151; 락킹핸들 153; 캠 기어
156; 커버고정부재 160; 커플링유닛
161; 제1커플링 162; 제2커플링
163; 커플링 기어 170; 레버유닛
171; 레버 축 173; 가압레버
175; 고정레버 180; 가압판
181; 전사백업롤러 183; 복귀부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전사벨트를 사 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간전사벨트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4개의 화상형성유닛을 포함하며, 화상형성유닛에 형성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로 중첩적으로 전사하여 완전한 컬러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엔진 프레임(10), 4개의 토너카트리지(13), 4개의 화상형성유닛(14), 중간전사벨트유닛(20), 지지커버(30)를 포함한다.
엔진 프레임(10)은 4개의 토너 카트리지(13), 4개의 화상형성유닛(14), 중간전사벨트유닛(20) 및 지지커버(30)를 지지한다. 엔진 프레임(10)의 주위에는 인쇄매체를 저장하며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미도시)과,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인쇄매체 이송유닛(미도시), 중간전사벨트에 형성된 컬러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미도시),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미도시) 및 정착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미도시)이 설치된다.
4개의 토너 카트리지(13)는 화상형성유닛(14)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각각 다른 색의 토너를 담고 있다. 일반적으로, 4개의 토너 카트리지(13)는 각각 블랙(black),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의 토너를 담고 있다.
4개의 화상형성유닛(14)은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감광매체(미도시)와, 감광매체의 표면을 일정 전압으로 대전시키는 대전수단(미도시)과, 감광매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수단(미도시), 및 토너 카트리지(13)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아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중간전사벨트유닛(20)은 중간전사벨트(21)가 무한궤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중간전사벨트(21)와 중간전사벨트 프레임(23)을 포함한다. 중간전사벨트(21)의 내측에는 4개의 화상형성유닛(14)의 감광매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전사백업롤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블랙의 화상이 감광매체로부터 중간전사벨트(21)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백업롤러의 일측으로 엔진 프레임(10)에는 고정레버(40)가 설치된다. 고정레버(40)를 일 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레버(40)가 전사백업롤러를 가압하여 중간전사벨트(21)와 블랙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14a)의 감광매체가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면, 감광매체의 화상이 중간전사벨트(21)로 정확하게 전사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화상형성유닛(14a)을 분리하면, 감광매체와 중간전사벨트(21)가 서로 마찰하여 긁힘 등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고정레버(40)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레버(40)가 전사백업롤러를 가압하던 상태가 해제되어 중간전사벨트(21)와 감광매체가 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화상형성유닛(14a)을 분리하여도 감광매체와 중간전사벨트(21)가 서로 마찰하여 손상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지지커버(30)는 4개의 화상형성유닛(14)의 감광매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 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4개의 감광매체의 축(15)을 회전 지지한다. 지지커버(30)의 전면에는 2개의 락킹레버(32)가 설치된다. 2개의 락킹레버(32)에 대응되는 엔진 프레임(10)에는 2개의 락킹 브라켓(1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커버(30)를 엔진 프레임(10)의 측면에 밀착시키고, 2개의 락킹레버(32)를 회전시켜 락킹 브라켓(12)에 걸리도록 하면, 지지커버(30)를 엔진 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락킹레버(32)를 반대로 회전시켜 락킹레버(32)가 락킹 브라켓(12)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면, 지지커버(30)를 엔진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지지커버(30)를 고정하는 락킹레버(32)와 중간전사벨트(21)가 감광매체와 접촉되도록 하는 고정레버(40)가 별개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프레임(10)에서 화상형성유닛(14)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락킹레버(32)와 고정레버(40)를 별도로 작동시켜야 하다. 즉, 2개의 락킹레버(32)를 돌려 지지커버(30)를 엔진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여 도 2와 같이 고정레버(40)를 노출시킨 후, 고정레버(40)를 돌리면 중간전사벨트(21)가 감광매체로부터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화상형성유닛(14)을 빼면, 중간전사벨트(21)와 감광매체가 마찰되지 않으므로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화상형성유닛(14)을 장착할 때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지지커버(30)를 장착하면 된다. 즉, 화상형성유닛(14)을 장착한 후, 고정레버(40)를 돌려 중간전사벨트(21)가 감광매체와 접촉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커버(30)를 엔진 프레임(10)에 밀착시키고 락킹레버(32)를 돌리면 지지커버(30)가 엔진 프레임(10)에 고정되게 된 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형성유닛(14)을 교체하거나 정비할 경우에는 락킹레버(32)와 고정레버(40)를 순차로 돌려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형성유닛(14)을 교체할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한 번의 동작으로 여러 개의 구성요소를 고정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에 설치되며, 중간전사벨트와 감광매체가 접촉하도록 하는 레버유닛;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측면을 덮는 지지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커버가 엔진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락킹유닛; 및 상기 락킹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레버유닛이 동작하도록 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에 회전 지지되는 레버 축; 및 상기 레버 축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가압레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레버 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이 상기 엔진 프레임에서 상기 레버 축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핸들; 상기 락킹핸들과 동축 상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는 캠 기어; 및 상기 캠 기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핸들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커버의 측면으로 돌출하거나 그 내측에 위치하는 커버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커버고정부재가 상기 지지커버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기어는 상기 커플링유닛을 회전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커버고정부재를 이동시키는 캠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유닛은, 상기 레버유닛에 설치되는 제1커플링; 상기 제1커플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플링; 및 상기 제2커플링과 동축 결합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커플링 기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커플링은 복수 개의 조(jaw)로 형성되며, 상기 제1커플링은 상기 복수 개의 조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커플링은 상기 커플링 기어의 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커플링과 상기 커플링 기어 사이에는 가압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내측에 설치되는 엔진 프레임; 상기 엔진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중간전사벨트의 무한궤도운동을 지지하는 중간전사벨트유닛; 상기 중간전사벨트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개의 화상형성유닛; 상기 중간전사벨트 유닛의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전사벨트가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하도록 하는 레버유닛; 상기 엔진 프레임의 일측을 덮는 지지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커버가 상기 엔진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락킹유닛; 및 상기 락킹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레버유닛이 동작하도록 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지지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화상형성유닛의 감광매체의 축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축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지지커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준부시; 및 상기 기준부시에 대응되도록 상기 엔진 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기준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커버가 상기 엔진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기준핀이 상기 기준부시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전사벨트가 감광매체와 접촉하도록 하는 제1부재; 지지커버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지지커버의 내축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커버가 엔진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제1부재가 동작하도록 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제1부재에 설치되는 제1커플링; 상기 제1커플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플링; 및 상기 제2커플링과 동축 결합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커플링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커플링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제2부재가 돌출되거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캠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캠 기어를 동작시키는 락킹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지지커버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고, 도 4는 지지커버가 분리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엔진 프레임(110), 복수 개의 토너 카트리지(112), 복수 개의 화상형성유닛(114), 중간전사벨트유닛(120), 지지커버(130), 폐토너통(117), 락킹장치(140)를 포함한다.
엔진 프레임(110)은 복수 개의 토너 카트리지(112), 복수 개의 화상형성유닛(114), 중간전사벨트유닛(120) 및 지지커버(130)를 지지한다. 엔진 프레임(110)의 둘레에는 인쇄매체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미도시)과,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인쇄매체 이송유닛(미도시), 중간전사벨트에 형성된 컬러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미도시),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미도시) 및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미도시)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인쇄매체 공급유닛, 인쇄매체 이송유닛, 전사유닛, 배지유닛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하였다.
복수 개의 토너 카트리지(112)는 엔진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화상형성유닛(114)의 감광매체(116, 도 9a 참조)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각각 다른 색의 토너를 담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개의 토너 카트리지(112)를 사용하며, 각 토너 카트리지(112)는 각각 블랙(black),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의 토너를 담고 있다.
복수 개의 화상형성유닛(114)은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의 하측에 설치된다. 각 화상형성유닛(114)은 감광매체(116)와, 감광매체(116)의 표면을 일정 전압으로 대전시키는 대전수단 (미도시), 감광매체(116)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수단(미도시), 및 상술한 토너 카트리지(112)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아 감광매체(116)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개의 토너 카트리지(112)에 대응하여 4개의 화상형성유닛(114)이 사용된다. 따라서, 4개의 화상형성유닛(114)은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화상을 형성한다.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은 복수 개의 토너 카트리지(112)의 하측으로 엔진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중간전사벨트(121), 중간전사벨트 프레임(123), 구동롤러와 피동롤러를 포함한다. 중간전사벨트(121)는 중간전사벨트 프레임(123)에 설치되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에 의해 무한궤도운동을 한다. 중간전사벨트(121)가 무한궤도운동을 하는 동안 복수 개의 화상형성유닛(114)의 감광매체(116)에 형성된 화상이 중간전사벨트(121)로 중첩적으로 전사된다. 중간전사벨트(121)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화상형성유닛(114)의 감광매체(116)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전사백업롤러(181, 도 9a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개의 화상형성유닛(114)이 사용되므로 4개의 전사백업롤러(181)가 설치된다. 4개의 전사백업롤러(181)는 중간전사벨트(121)가 화상형성유닛(114)의 감광매체(116)와 접촉하도록 지지하여 감광매체(116)에 형성된 화상이 중간전사벨트(121)로 전사되도록 한다.
지지커버(130)는 엔진 프레임(110)의 일측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화상형성유닛(114)의 감광매체(116)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감광매체(116)의 축(115)을 회전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커버(130)의 내면(130a)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감광매체(116)의 축(115)을 회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축 구멍(13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개의 감광매체(116)의 축(115)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커버(130)의 내면(130a)에는 4개의 축 구멍(1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커버(130)의 내면(130a)에는 지지커버(130)를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할 때, 지지커버(130)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안내하는 기준부시(131)가 설치된다. 엔진 프레임(110)에는 기준부시(131)에 삽입되어 지지커버(130)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준핀(111)이 설치되어 있다. 기준부시(131)와 기준핀(111)은 일정 간격으로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토너통(117)은 엔진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화상형성유닛(114)과 중간전사벨트(121)에서 배출된 폐토너를 수거한다.
락킹장치(140)는 지지커버(130)를 엔진 프레임(1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하고, 중간전사벨트(121)가 블랙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114a)의 감광매체(116)와 접촉되도록 하며,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이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락킹장치(14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레버유닛(170), 락킹유닛(150), 및 커플링유닛(160)을 포함한다.
레버유닛(170)은 중간전사벨트 프레임(123)에 설치되며, 중간전사벨트(121)가 감광매체(116)와 접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레버유닛(170)은 중간전사벨트 프레임(123)에 회전 지지되는 레버 축(171)과, 레버 축(171)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가압레버(17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레버유닛(170)은 2개의 가압레버(173)를 포함한다.
가압레버(173)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위치에 있을 때, 가압레버(173)의 선단이 가압판(180)의 일단을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압판(180)은 중간전사벨트 프레임(123)의 내측에 타단이 힌지(182)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레버(173)가 가압판(180)의 일단을 누르면, 가압판(1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사백업롤러(181)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전사백업롤러(181)가 중간전사벨트(121)를 눌러, 중간전사벨트(121)와 화상형성유닛(114)의 감광매체(116)가 접촉하게 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축(171)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레버(173)가 가압위치를 벗어나면, 가압판(180)의 일단이 복귀부재(183)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중간전사벨트(121)와 감광매체(116)가 떨어지게 된다.
레버유닛(170)은 고정레버(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레버(175)는 레버 축(171)의 일단에 설치되며,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이 엔진 프레임(11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고정레버(175)는 중간전사벨트 프레임(123)이 엔진 프레임(110)에서 레버 축(171)의 축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가압레버(173)가 가압판(180)을 누르는 가압위치에 있을 때, 고정레버(175)는 엔진 프레임(110)에 형성된 고정홈(177)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레버(173)가 가압위치에서 벗어나면 고정레버(175)도 고정홈(177)에서 벗어난 상태가 된다.
락킹유닛(150)은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의 측면을 덮는 지지커버(130)에 설치되며, 지지커버(130)를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락킹유닛(150)은 지지커버(13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핸들(151), 락킹핸들(151)과 동축 상에 설치되며, 락킹핸들(151)과 일체로 회전하는 캠 기어(153), 및 캠 기어(153)의 일 측에 설치되며, 락킹핸들(151)의 동작에 따라 지지커버(130)의 일 측면(130b)으로 돌출하거나 그 내측에 위치하는 커버고정부재(156)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커버(130)의 내측에는 커버고정부재(156)가 지지커버(130)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157)가 설치된다.
캠 기어(153)는 캠 기어 축(152)을 통해 락킹핸들(15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155)와 캠부(154)로 형성된다. 캠 기어(153)의 기어부(155)는 락킹핸들(151)의 회전범위 내에서 커플링유닛(160)의 커플링 기어(163)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락킹핸들(151)이 회전하면, 커플링 기어(163)가 회전되게 된다. 캠부(154)는 락킹핸들(151)의 회전에 따라 커버고정부재(156)가 지지커버(130)의 측면(130b)으로 돌출되거나 지지커버(1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캠부(154)의 캠 곡선은 캠 기어(153)가 회전하면, 커버고정부재(156)를 밀어 커버고정부재(156)의 선단이 지지커버(130)의 측면(130b)에서 돌출되도록 하는 고점부(154a)와, 커버고정부재(156)의 선단이 지지커버(1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저점부(154b)로 형성된다. 따라서, 락킹핸들(151)에 의해 캠 기어(153)가 회전하여 캠부(154)가 저점부(154b)에서 고점부(154a)로 이동하면, 커버고정부재(156)의 선단이 지지커버(130)의 측면(130b)에서 돌출된다. 또한, 락킹핸들(151)에 의해 캠 기어(153)가 반대로 회전하여 캠부(154)가 고점부(154a)에서 저점부(154b)로 이동하면, 커버고정부재(156)가 탄성부재(157)에 의해 지지커버(130)의 내측으로 이 동하여, 커버고정부재(156)의 선단이 지지커버(130)의 측면(130b)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락킹핸들(151)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부(154)에 의해 커버고정부재(156)가 지지커버(130)의 측면(130b)으로 돌출되고, 기어부(155)에 의해 레버 축(171)이 회전하여 가압레버(173)는 가압판(180)을 가압하고, 고정레버(175)는 고정홈(177)에 위치하게 된다. 락킹핸들(151)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부(154)와 탄성부재(157)에 의해 커버고정부재(156)가 지지커버(130)의 내측으로 복귀하고, 기어부(155)에 의해 가압레버(173)는 가압판(180)을 벗어나고, 고정레버(175)는 고정홈(177)에서 벗어나게 된다.
커플링유닛(160)은 락킹유닛(150)에 연동하여 레버유닛(170)이 동작하도록 하며, 지지커버(130)가 엔진 프레임(11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지지커버(130)를 엔진 프레임(110)에서 분리하면, 락킹장치(140)는 커플링유닛(160)에 의해 레버유닛(170)과 락킹유닛(150)이 분리되고, 지지커버(130)를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하면, 레버유닛(170)과 락킹유닛(150)이 연결되어 락킹핸들(151)의 동작이 커플링유닛(160)을 통해 레버유닛(170)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커플링유닛(160)은 레버유닛(170)에 설치되는 제1커플링(161), 제1커플링(16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플링(162), 및 제2커플링(162)과 동축 결합되며, 지지커버(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커플링 기어(163)를 포함한다. 따라서, 커플링 기어(163)가 회전하면, 제2커플링(162)이 회전하고, 제2커플링(162)이 회전하면 제1커플링(161)이 회전하게 된다. 제1커플링(161)과 제2커플 링(162)은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의 커플링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커플링(162)은 선단에 복수 개의 조(162a)(jaw)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제1커플링(161)은 제2커플링(162)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는 제2커플링(162)의 복수 개의 조(162a)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홈(161a)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커플링(162)이 2개의 조(162a)를 갖는 경우에는 제1커플링(161)은 2개의 홈(161a)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커플링(162)의 복수 개의 조(162a)가 제1커플링(161)의 복수 개의 홈(161a)에 삽입되면 제2커플링(162)의 회전력이 제1커플링(161)으로 전달된다.
또한, 제2커플링(162)은 커플링 기어(163)의 축(164)에 축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나 회전하지는 않도록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제2커플링(162)과 커플링 기어(163) 사이에 압축 스프링과 같은 가압부재(165)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지지커버(130)가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된 경우, 제2커플링(162)의 조(162a)가 제1커플링(161)의 바닥면을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지지커버(130)를 엔진 프레임(110)에 장착할 때, 제2커플링(162)의 조(162a)가 제1커플링(161)의 홈(161a)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락킹핸들(151)을 회전시키면 제2커플링(162)이 회전하면서 제2커플링(162)의 조(162a)가 제1커플링(161)의 홈(161a)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제2커플링(162)의 회전력이 정상적으로 제1커플링(161)으로 전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커버(130)의 외면에 2개의 락킹핸들(151,151')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락킹핸들(1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장치(140)를 동작시킨다. 그러나, 좌측의 락킹핸들(15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락킹장치(140)의 커플링유닛(160)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좌측의 락킹핸들(151')을 돌리면, 커버고정부재(156)만이 동작한다.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140)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엔진 프레임(110)에 장착된 지지커버(130)를 분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커버(130)를 분리할 경우, 도 8a에 도시된 락킹핸들(151)을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정도 돌린다. 락킹핸들(151)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락킹핸들(151)과 일체로 설치된 캠 기어(153)도 90도 회전한다. 캠 기어(153)가 90도 회전하면, 커버고정부재(156)의 후단에 접촉하고 있던 캠부(154)가 고점부(154a)에서 저점부(154b)로 이동한다. 그러면, 커버고정부재(156)와 지지커버(130)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157)에 의해 커버고정부재(156)가 지지커버(13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커버고정부재(156)의 선단이 엔진 프레임(110)의 걸림부(159)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커버(130)를 엔진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4에는 지지커버(130)가 분리된 상태의 화상형성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캠 기어(153)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캠 기어(153)의 기어 부(155)와 맞물린 커플링 기어(163)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커플링 기어(163)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커플링 기어(163)에 동축 설치된 제2커플링(162)이 회전한다. 제2커플링(162)이 회전하면, 제2커플링(162)과 맞물린 제1커플링(161)이 회전한다. 제1커플링(161)이 회전하면, 제1커플링(161)과 일체로 설치된 레버 축(171)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레버 축(171)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레버(173)와 고정레버(175)도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가압레버(173)가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가압레버(173)의 선단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180)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가압판(180)이 복귀부재(183)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전사벨트(121)가 화상형성유닛(114a)의 감광매체(116)로부터 떨어진다. 이와 같이 중간전사벨트(121)가 감광매체(116)로부터 떨어지면, 사용자가 화상형성유닛(114a)을 엔진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중간전사벨트(121)나 감광매체(116)가 서로 마찰하여 긁히거나 손상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레버 축(171)에 의해 고정레버(175)가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고정레버(175)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77)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을 엔진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지지커버(130)를 엔진 프레임(11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지지커버(130)의 내면에 형성된 기준부시(131)를 엔진 프레임(110)의 기준핀(111)에 일치시킨다. 또한, 지지커버(130)의 내면에 형성된 4개의 축 구멍(135)은 4개의 화상형성유닛(114)의 감광매체(116)의 축(115)과 일치시킨다. 그 후, 지지커버(130)를 밀어 엔진 프레임(110)에 밀착시키면, 락킹장치(140)의 제2커플링(162)은 제1커플링(161)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락킹핸들(151)을 반 시계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시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고정부재(156)가 돌출되어 지지커버(130)가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또한, 가압레버(173)에 의해 중간전사벨트(121)가 감광매체(116)와 접촉하게 되고,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은 고정레버(175)에 의해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락킹핸들(151)의 회전에 의해 락킹유닛(150)과 레버유닛(170)이 작동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락킹핸들(151)이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락킹핸들(151)과 일체로 회전하는 캠 기어(153)도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캠 기어(153)가 90도 회전하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고정부재(156)의 후단과 접촉하고 있는 캠 기어(153)의 캠부(154)가 저점부(154b)에서 고점부(154a)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커버고정부재(156)가 탄성부재(157)를 가압하면서 이동하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고정부재(156)의 선단이 지지커버(130)의 측면(130b)으로 돌출된다. 커버고정부재(156)의 선단이 지지커버(130)에서 돌출되면, 엔진 프레임(110)의 걸림부(159)에 걸려 지지커버(130)가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캠 기어(153)가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캠 기어(153)의 기어부(155)에 맞물린 커플링 기어(163)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커플링 기 어(163)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제1커플링(161)과 제2커플링(162)에 의해 레버 축(171)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레버 축(171)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가압레버(173)와 고정레버(175)도 90도 회전한다. 가압레버(173)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가압레버(173)의 선단이 가압판(180)을 누르게 된다. 가압판(180)이 눌리면, 전사백업롤러(181)가 아래로 이동하여 중간전사벨트(121)가 화상형성유닛(114)의 감광매체(116)와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한, 고정레버(175)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고정홈(177)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이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락킹장치(140)에 의하면, 락킹핸들(151)을 돌리는 것만으로 여러 개의 구성요소, 즉, 커버고정부재(156), 가압레버(173), 고정레버(17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락킹핸들(151)을 일 방향으로 돌리면, 지지커버(130)가 엔진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중간전사벨트(121)가 감광매체(116)와 접촉되며,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이 엔진 프레임(110)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화상형성장치(100)가 인쇄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사용자가 락킹핸들(151)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지지커버(130)가 엔진 프레임(110)에서 분리되고, 중간전사벨트(121)가 감광매체(116)로부터 떨어지며며, 중간전사벨트유닛(120)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화상형성유닛(114)을 손상 없이 엔진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락킹핸들을 돌리는 것만으로 여러 개의 구성요소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락킹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한 번에 지지커버를 고정하는 커버고정부재, 중간전사벨트를 감광매체에 접촉시키는 가압레버, 중간전사벨트유닛을 엔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모품인 화상형성유닛을 교체하거나 점검할 때, 락킹핸들만 돌리면 화상형성유닛을 엔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유닛을 교체한 후에는 지지커버를 닫고 락킹핸들을 돌리는 것만으로 화상형성장치가 인쇄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유지보수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22)

  1.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에 설치되며, 중간전사벨트와 감광매체가 접촉하도록 하는 레버유닛;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측면을 덮는 지지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커버가 엔진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락킹유닛; 및
    상기 락킹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레버유닛이 동작하도록 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에 회전 지지되는 레버 축; 및
    상기 레버 축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이 상기 엔진 프레임에서 상기 레버 축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핸들;
    상기 락킹핸들과 동축 상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는 캠 기어; 및
    상기 캠 기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핸들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커버의 측면으로 돌출하거나 그 내측에 위치하는 커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부재가 상기 지지커버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어는 상기 커플링유닛을 회전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커버고정부재를 이동시키는 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유닛은, 상기 레버유닛에 설치되는 제1커플링;
    상기 제1커플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플링; 및
    상기 제2커플링과 동축 결합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커 플링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링은 복수 개의 조(jaw)로 형성되며,
    상기 제1커플링은 상기 복수 개의 조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링은 상기 커플링 기어의 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커플링과 상기 커플링 기어 사이에는 가압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10. 화상형성장치의 내측에 설치되는 엔진 프레임;
    상기 엔진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중간전사벨트의 무한궤도운동을 지지하는 중간전사벨트유닛;
    상기 중간전사벨트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개의 화상형성유닛;
    상기 중간전사벨트유닛의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전사벨트가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하도록 하는 레버유닛;
    상기 엔진 프레임의 일측을 덮는 지지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커버가 상 기 엔진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락킹유닛; 및
    상기 락킹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레버유닛이 동작하도록 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닛은, 상기 중간전사벨트 프레임에 회전 지지되는 레버 축; 및
    상기 레버 축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전사벨트유닛이 상기 엔진 프레임에서 상기 레버 축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핸들;
    상기 락킹핸들과 동축 상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는 캠 기어; 및
    상기 캠 기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핸들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커버의 측면으로 돌출하거나 그 내측에 위치하는 커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유닛에 설치되는 제1커플링;
    상기 제1커플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플링; 및
    상기 제2커플링과 동축 결합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커플링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화상형성유닛의 감광매체의 축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축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 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준부시; 및
    상기 기준부시에 대응되도록 상기 엔진 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기준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커버가 상기 엔진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기준핀이 상기 기준부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중간전사벨트가 감광매체와 접촉하도록 하는 제1부재;
    지지커버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지지커버의 내축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커버가 엔진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제1부재가 동작하도록 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제1부재에 설치되는 제1커플링;
    상기 제1커플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플링; 및
    상기 제2커플링과 동축 결합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커플링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커플링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제2부재가 돌출되거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캠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캠 기어를 동작시키는 락킹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락킹장치.
KR1020070008305A 2007-01-26 2007-01-26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34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305A KR101346164B1 (ko) 2007-01-26 2007-01-26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869,867 US7657204B2 (en) 2007-01-26 2007-10-10 Lo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7121038.9A EP1950630B1 (en) 2007-01-26 2007-11-19 A Fasten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7101934047A CN101231492B (zh) 2007-01-26 2007-11-20 锁定装置及具有该锁定装置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305A KR101346164B1 (ko) 2007-01-26 2007-01-26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341A KR20080070341A (ko) 2008-07-30
KR101346164B1 true KR101346164B1 (ko) 2013-12-31

Family

ID=3921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305A KR101346164B1 (ko) 2007-01-26 2007-01-26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57204B2 (ko)
EP (1) EP1950630B1 (ko)
KR (1) KR101346164B1 (ko)
CN (1) CN1012314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190B2 (en) * 2007-07-04 2010-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removing and mounting cover
JP5158508B2 (ja) * 2008-09-30 2013-03-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674628B2 (ja) * 2008-10-10 2011-04-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04823B2 (ja) * 2012-02-29 2016-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057162B2 (ja) * 2012-12-13 2017-0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520116B2 (ja) * 2014-12-26 2019-05-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682784B2 (ja) * 2015-01-30 2020-04-15 株式会社リコー 引出し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212186A (ja) * 2015-05-01 2016-12-15 株式会社リコー 着脱ユニット、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51093B2 (ja) * 2015-09-11 2019-07-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415619B1 (en) * 2018-03-05 2019-09-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olless fastener for engine cover
JP2020052358A (ja) * 2018-09-28 2020-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63189B2 (ja) 2020-05-29 2024-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0724A (ja) * 1998-05-14 1999-11-30 Sharp Corp ユニット収納装置
JP2000172086A (ja) 1998-12-08 2000-06-23 Toshiba Corp 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2006133733A (ja) 2004-09-17 2006-05-2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3541A (en) * 1987-05-28 1989-10-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4007531B2 (ja) 2000-10-30 2007-11-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545349B2 (ja) * 2001-01-23 2004-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1331525A3 (en) 2002-01-25 2004-06-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image quality and maintenance workability
JP3727617B2 (ja) * 2002-07-26 2005-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17455B2 (ja) 2004-02-27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0724A (ja) * 1998-05-14 1999-11-30 Sharp Corp ユニット収納装置
JP2000172086A (ja) 1998-12-08 2000-06-23 Toshiba Corp 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2006133733A (ja) 2004-09-17 2006-05-2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0630B1 (en) 2018-08-29
EP1950630A1 (en) 2008-07-30
KR20080070341A (ko) 2008-07-30
CN101231492B (zh) 2011-12-14
US20080181681A1 (en) 2008-07-31
US7657204B2 (en) 2010-02-02
CN101231492A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164B1 (ko) 락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6602409B2 (ja) 画像形成装置
JP4995211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87262B1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9702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095041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68689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161565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2018072610A (ja) 画像形成装置
KR20110123961A (ko) 현상유닛 및 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602939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6819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27688A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そのプロセス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20086311A (ja) 画像形成装置
JP572533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23250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774678B2 (en) Supporting cov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04986A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そのプロセス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670129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088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4786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像形成ユニット
JP201302008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