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068B1 -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6068B1 KR101346068B1 KR1020130076248A KR20130076248A KR101346068B1 KR 101346068 B1 KR101346068 B1 KR 101346068B1 KR 1020130076248 A KR1020130076248 A KR 1020130076248A KR 20130076248 A KR20130076248 A KR 20130076248A KR 101346068 B1 KR101346068 B1 KR 101346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arding
- main frame
- cylinder
- vehicl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1—Passenger vehicl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e.g. dock, with aircraft or terminal buil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15—Mobile stai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7—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combined with ground-supported vehicles for the transport, handling or placing of such bridges or of sec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나 항공기 등과 같이 비교적 높이가 높은 탑승구를 구비하는 장비로의 탑승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높이에 대응할 수 있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탑승구로의 탑승을 위한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으로서, 적재부에 대해 상하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내부에 스텝부재가 배치되는 메인프레임부(2300),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대해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인출부(2200), 상기 인출부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는 탑승부(2100) 및 상기 메인프레임부와 적재부 사이에 개재되어 메인프레임부의 경사각도에 다라 유압을 발생하는 제1실린더(31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회동에 의한 제1실린더의 신축에 의하여 상기 탑승부와 스텝부재의 경사가 조절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따라서, 다양한 조건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정확하고 신속하게 탑승장치의 마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탑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이나 항공기 등과 같이 비교적 높이가 높은 탑승구를 구비하는 장비로의 탑승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높이에 대응할 수 있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탑승장치는 지면에 대해 탑승구가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 사람이나 물건이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스텝을 구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항공기 탑승의 경우는 탑승교를 탑승구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교나 스텝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항공기는 지면에 대해 탑승구의 높이가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정해진 높이의 탑송교나 스텝카를 공항 등에서 구비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탑승장치는 항만의 선박에 탑승할 때에도 사용하게 되는데, 항만에서 사용되는 탑승장치는 높이에 따라 저상데크(Deck) 방식과 고상데크 방식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저상데크란 단일의 스텝 구조물을 항만과 선박의 탑승구에 배치하는 방식인데, 일반적으로 지게차를 이용하여 데크의 위치까지 이동한 이후 소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스텝장치를 인양하여 탑승구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조작된다.
고상데크란 복수의 탑승장치를 이용하여 비교적 높은 탑승구에 대응하여 배치하는 방식이고, 이러한 경우는 복수의 스텝구조물과 중간의 지지를 위한 컨테이너와 같은 지지물을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고상데크 방식이 적용되는 종래의 탑승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선박(1)이 항만 부두에 정박해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데크(a, b, c)의 부위에 대응하여 스텝장치가 설치된다.
도면의 예에서는 세 개의 스텝부재(2, 3, 4)가 연결부위에 각각 지지구조물인 컨테이너(5, 6)에서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 각각의 구조물을 운반하고 데크 부위에서 각각의 부위들을 정착시키고 지면과 데크를 연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과도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항만에 정박되는 선박의 경우는 조수간만의 차이 또는 파도에 의하여 높낮이가 지속적으로 가변되는 경우가 많고, 상기한 탑승장치를 통하여서는 이러한 높이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탑승장치의 설치상태가 비교적 긴 시간 지속되는 경우 데크의 높이의 변화로 인하여 스텝장치가 지면이나 탑승구에 대해 지속적으로 위치가 가변되어 심각한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탑승부위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지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탑승구로의 탑승을 위한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으로서, 적재부에 대해 상하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내부에 스텝부재가 배치되는 메인프레임부(2300),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대해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인출부(2200), 상기 인출부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는 탑승부(2100) 및 상기 메인프레임부와 적재부 사이에 개재되어 메인프레임부의 경사각도에 다라 유압을 발생하는 제1실린더(31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회동에 의한 제1실린더의 신축에 의하여 상기 탑승부와 스텝부재의 경사가 조절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따라서, 다양한 조건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정확하고 신속하게 탑승장치의 마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상기 탑승부는 인출부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실린더의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탑승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탑승부조절실린더(3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상기 스텝부재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의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제2실린더(3200)와,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하여 메인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메인바(3310)와, 상기 메인바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구동링크(3350)와, 상기 구동링크(335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스텝을 이루는 스텝바(3330)와, 인접되는 스텝바를 상호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링크바(33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스텝의 경사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상기 인출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후방 단부측이 지면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출부의 후방 단부측이 후방으로 인출되어 지면에 인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승차시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상기 메인프레임부가 지면에 대해 15˚ 에서 35˚범위에서 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상기 탑승부가 단부측에 구비되어 탑승구의 좌우 유동에 다른 완충 기능을 하는 완충부(211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 및 장비사고의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상기 탑승부가 탑승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경사도와 인출부의 인출되는 길이는 탑승구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인력과 시간의 소모가 최소화되고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상기 메인프레임부, 인출부 또는 탑승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캐노피(2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리성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탑승구의 높이와 거리에 대응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탑승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대형 선박과 같은 경우 조수간만의 차이나 파고의 영향에 의하여 탑승구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경우 종래의 탑승장치에 비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높이와 거리의 조절에 따라 내부에 스텝부재들의 경사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됨으로써 탑승자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고 작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고상데크 방식의 탑승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스텝의 경사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스텝의 경사조절을 위한 유압계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스텝의 경사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스텝의 경사조절을 위한 유압계통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이하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차량본체(1000)와, 상기 차량본체(100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스텝부(20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본체(100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제어부가 구비되는 운전석부(1100)와, 상기 운전석부(1100)의 후방측에서 스텝부(2000)를 결합할 수 있는 소정의 적재부(1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본체(1000)에 구비되는 주행수단 및 동력원과 같은 장치들은 공지의 구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소정의 탑승구에 탑승부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조작상태에서 차량을 고정할 수 있는 아우트리거(1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1300)는 유압을 통하여 하방으로 인출되는 구성일 수 있고, 도면에서는 양측의 전후에 4개가 배치되는 예가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기본적으로 스텝부(2000)가 길이방향으로 인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틸팅됨으로써 다양한 탑승구의 높이에 대응하여 스텝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대형 크루즈와 같은 선박에 있어서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텝부(2000)는 적재부(1200)에 상하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메인프레임부(2300)와,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인출부(2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와 인출부(2200)는 각각 내부 공간 또는 상측에서 사람이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스텝부재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스텝은 틸팅되는 경사에 따라 조절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a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적재부(1200)의 후방측에는 힌지부(140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의 상하회동을 지지한다. 또한, 적재 또는 이동 상태에서의 메인프레임부(2300)의 지지를 위하여 상기 적재부(1200)의 전방측에는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적재브라켓(참조번호 미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와 적재부(1200)의 연결부위로서 상기 힌지부(1400)의 전방측에는 유압실린더인 경사조절실린더(2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조절실린더(2400)는 소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되며 인출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를 상측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된 아우트리거(1300), 경사조절실린더(2400) 및 후술될 유압장치들은 별도의 동력원에 의하여 작동될 수도 있지만, 차량에 구비되는 엔진의 동력을 인출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PTO(Power Take Off)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인출부(2200)는 별도의 인출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유압실린더, 와이어 또는 기어와 같은 다양한 슬라이딩 구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2200)의 전방측 단부에는 탑승부(2100)가 구비되는데, 상기 탑승부(2100)는 선박의 탑승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탑승구, 특히 선박의 탑승구의 경우는 높이에 따른 탑승부(2100)의 위치의 조정이 필요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탑승부(2100)도 후술될 스텝부재와 마찬가지로 스텝부(2000)의 경사 및 길이의 조절에 따라 수평상태를 유지하여야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경사도가 조절될 필요성이 존재하는 데 이와 관련하여 스텝부재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상기 탑승부(2100)는 단부측에 완충부(211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완충부(2110)는 탑승구와의 연결 또는 안착부위에서의 좌우 유동에 따른 소정의 버퍼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2110)는 길이의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선박의 움직임을 흡수하여 장비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완충부(2110)는 탑승부(2100)의 하단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단측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 및/또는 인출부(2200)는 상측에 비나 바람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캐노피(231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캐노피(2310)는 탑승부(2100)의 부위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텝부(2000)와 적재부(1200)를 이루는 구성의 재질과 구조는 비틀림이나 인장강도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텝부(2000)는 무게와 강성을 고려하여 알루미튬 및 고장력 강재로 형성되는 트러스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상기된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가장 저고도 및 근거리로 탑승부(2100)가 위치되는 예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는 경사조절실린더(2400)는 신축된 상태로 메인프레임부(2300)의 일부가 적재브라켓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인출부(2200)도 메인프레임부(230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b는 가장 최고도 및 원거리로 탑승부(2100)가 위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상기 경사조절실린더(2400)는 가장 신장된 상태로 작동된다. 또한, 인출부(2200)는 메인프레임부(2300)에서 완전히 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도 4의 a예에서 탑승부(2100)의 양단측까지의 수평거리가 15m이고 경사각도가 15˚인 상태로 배치되고, 탑승부(2100)의 높이는 지면에서 4m인 상태로 배치된다.
도 4의 b예에서는 탑승부(2100)의 양단측까지의 수평거리가 21m로 연장되고, 경사각도는 35˚이며 탑승부(2100)의 높이는 지면에서 13m인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높이와 거리는 항만부두의 형태 및 대형 크루즈의 경우까지 대비할 수 있는 정도의 조작범위로서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선박의 경우 적용이 가능한 범위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높이의 조절은 소정의 제어부를 통하여 조작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길이나 높이의 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탑승부(2100)의 부위에 소정의 위치감지센서를 설치하고 탑승구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판단하여 경사도 및 인출길이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자의 임의의 조작에 의한 불완전한 배치를 보완하고 배의 높이변화에 대한 연속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인출부(2200)의 길이는 메인프레임부(2300)의 길이보다 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a에서와 같이 경사각도가 크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힌지부(140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특성상 메인프레임부(2300)의 하측 단부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 경우는 탑승자가 최초 승차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사도가 낮은 상태에서 인출부(2200)의 후방측이 메인프레임부(2300)보다 더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인출부(2200)의 후방 단부측을 지면에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부(2200)는 후방 단부측에 하방으로 절첩 또는 회동될 수 있는 소정의 승차부(2210)를 구비하여 안전한 승차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와 같이 경사각도가 큰 경우는 메인프레임부(2300)의 후방 단부가 지면에 인접하게 되고 이 경우 인출부(2200)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탑승자의 불편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승차부(2210)는 다시 메인프레임부(230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이 종래의 경우와 달리 길이 및 경사도가 조절되는 개념을 제시하기 때문에 메인프레임부(2300)와 인출부(2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텝부재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어야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이와 함께 탑승부(2100)의 경사도도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텝부재의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스텝의 경사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메인프레임부(2300)와 적재부(1200)의 사이에는 틸팅의 조절을 위한 경사조절실린더(2400)가 구비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와 적재부(1200)의 사이에 추가적인 실린더장치인 제1실린더(3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3100)는 경사조절실린더(2400)와는 달리 피동적인 인입 및 인출동작을 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경사조절실린더(2400)가 압력의 제공에 의하여 피스톤을 동작시키는 것에 대비하여 제1실린더(3100)는 적재부(1200)와 메인프레임부(2300)의 상대적인 각도에 따라 피스톤이 동작하여 압력을 외부로 제공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에는 제2실린더(320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실린더(3200)는 제1실린더(3100)와 유압회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호간에 유압을 공유함으로써 인입 및 인출동작을 연동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실린더(3200)는 피스톤 측에 메인프레임부(2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바(331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실린더(3200)의 운동에 따라 메인바(33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텝부재의 수평조절이 이루어진다.
스텝부재를 이루는 구성들로서 실질적으로 계단을 이루는 스텝바(3330)가 구비되고, 상기 스텝바(3330)는 메인바(3310)와 구동링크(3350)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구동링크(3350)는 메인바(3310)의 길이방향의 이동에 따라 경사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각각의 스텝바(3330)들은 링크바(334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3340)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텝부재의 최상단과 최하단 측 및 스텝바(3330)의 전방단부와 링크바(3340)와 연결부위는 각각 메인프레임부(2300)에 대해 고정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바들의 연결부위는 상호간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도 5a에서는 상기 메인프레임부(2300)의 각도가 가장 작은 상태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제1실린더(3100)는 신축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1실린더(3100)와 유압회로에 의하여 연결된 제2실린더(3200)는 신장된 상태로 메인바(3310)를 하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링크(3350)는 메인프레임부(2300)에 대해 상측으로 최대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링크바(3340)는 가장 신축된 상태로 형성되어 스텝바(3330)의 경사도가 메인프레임부(2300)에 대해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5b는 상기된 스텝의 경사조절구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경사조절실린더(2400)가 최대로 인출되어 제1실린더(3100)가 신장되면, 유압회로에 의하여 제2실린더(3200)가 신축되고 그 결과 메인바(331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링크(3350)가 메인프레임부(2300)에 대해 최대의 각도로 형성되고 링크바(3340)는 신장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 결과로서 스텝바(3330)의 각도가 메인프레임부(2300)에 대해 최대의 각도로 배치되어 결국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평조절을 위한 초기 위치는 제1실린더(3100)와 제2실린더(3200)의 초기 상태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부(2200) 내부에도 동일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부(2100)에도 유압회로에 의하여 제1실린더(3100)의 작동에 따라 수평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탑승부(2100)는 제2실린더(320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별도의 피동실린더인 탑승부조절실린더(3210)가 결합되어 별개로 동기되어 작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탑승부조절실린더(3210)의 경우 인출부(2200)에 대해 탑승부(2100)의 틸팅 각도만을 조절하면 충분하므로, 상기된 스텝부재의 조절과 같이 링크구조는 생략되고 탑승부(2100)가 인출부(2200)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탑승부조절실린더(3210)의 신축에 따라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된 스텝 경사조절구조의 유압회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실린더(3100)와 제2실린더(3200)는 상호 동기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유압회로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이때 제1실린더(3100)와 제2실린더(3200)는 반대되어 작동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제1실린더(3100)가 신장될 때는 제2실린더(3200)측에 음압이 제공되어 신축되고, 반대로 제1실린더(3100)가 신축될 때는 제2실린더(3200)측에 양압이 제공되어 신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은 탑승구의 높이와 거리에 대응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탑승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화물선박이나 항공기 등 소정의 높이에 탑승이 필요한 장치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대형 선박과 같은 경우 조수간만의 차이나 파고의 영향에 의하여 탑승구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경우 종래의 탑승장치에 비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높이와 거리의 조절에 따라 내부에 스텝부재들의 경사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됨으로써 탑승자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고 작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차량본체 1100...운전석부
1200...적재부 1300...아우트리거
1400...힌지부 2000...스텝부
2100...탑승부 2110...완충부
2200...인출부 2300...메인프레임부
2400...경사조절실린더 3100...피동실린더
3200...수평조절실린더 3310...메인바
3320...지지부 3330...스텝바
3340...링크바 3350...구동링크
1200...적재부 1300...아우트리거
1400...힌지부 2000...스텝부
2100...탑승부 2110...완충부
2200...인출부 2300...메인프레임부
2400...경사조절실린더 3100...피동실린더
3200...수평조절실린더 3310...메인바
3320...지지부 3330...스텝바
3340...링크바 3350...구동링크
Claims (8)
- 지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탑승구로의 탑승을 위한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으로서,
적재부에 대해 상하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내부에 스텝부재가 배치되는 메인프레임부(2300);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대해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인출부(2200);
상기 인출부의 전방 단부측에 배치되는 탑승부(2100);
상기 메인프레임부를 상측으로 틸팅시키는 경사조절실린더(2400);
상기 메인프레임부와 적재부 사이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부의 경사각도에 다라 유압을 발생하는 제1실린더(3100); 및
상기 인출부에 배치되고, 스텝바의 경사를 형성하는 제2실린더를 구비하는 스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실린더가 신장되어 메인프레임부가 상측으로 틸팅되면 메인프레임부에 의하여 제1실린더가 늘어나고, 제1실린더와 유압회로에 의하여 연결된 제2실린더가 음압을 전달받아 줄어들어 스텝바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인출부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실린더의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탑승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탑승부조절실린더(3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의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제2실린더(3200)와,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하여 메인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메인바(3310)와, 상기 메인바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구동링크(3350)와, 상기 구동링크(335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스텝을 이루는 스텝바(3330)와, 인접되는 스텝바를 상호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링크바(33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후방 단부측이 지면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출부의 후방 단부측이 후방으로 인출되어 지면에 인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지면에 대해 15˚ 에서 35˚범위에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단부측에 구비되어 탑승구의 좌우 유동에 다른 완충 기능을 하는 완충부(2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탑승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경사도와 인출부의 인출되는 길이는 탑승구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부, 인출부 또는 탑승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캐노피(2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6248A KR101346068B1 (ko) | 2013-07-01 | 2013-07-01 |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6248A KR101346068B1 (ko) | 2013-07-01 | 2013-07-01 |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6068B1 true KR101346068B1 (ko) | 2013-12-31 |
Family
ID=4998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6248A KR101346068B1 (ko) | 2013-07-01 | 2013-07-01 |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606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1914B1 (ko) * | 2015-06-16 | 2016-12-02 | 채기병 | 선박용 승선, 하선 자동 트랩 장치 |
CN106428613A (zh) * | 2016-12-07 | 2017-02-22 | 郭华 | 机场车载式可升降高度自动扶梯 |
KR101863461B1 (ko) | 2016-12-28 | 2018-05-31 | 한국공항공사 | 유압식 저상탑승교 |
CN108773499A (zh) * | 2018-07-03 | 2018-11-09 | 信华智能装备(江苏)有限公司 | 一种航空用登机梯 |
US11466462B2 (en) * | 2018-09-12 | 2022-10-11 | The Boeing Company | Rotating mount folding guardrai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3264Y1 (ko) * | 1991-04-03 | 1994-05-19 | 이홍재 | 비행기 트랩용 보조계단 |
JP2005349993A (ja) * | 2004-06-11 | 2005-12-22 | Showa Aircraft Ind Co Ltd | タラップ車 |
JP2010149590A (ja) * | 2008-12-24 | 2010-07-08 | Shinmaywa Industries Ltd | タラップ車 |
KR20110058023A (ko) * | 2009-11-25 | 2011-06-01 | (주)에이비텍 | 미세 접근장치와 완충부를 갖는 탑승교 및 그 작동 방법 |
-
2013
- 2013-07-01 KR KR1020130076248A patent/KR1013460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3264Y1 (ko) * | 1991-04-03 | 1994-05-19 | 이홍재 | 비행기 트랩용 보조계단 |
JP2005349993A (ja) * | 2004-06-11 | 2005-12-22 | Showa Aircraft Ind Co Ltd | タラップ車 |
JP2010149590A (ja) * | 2008-12-24 | 2010-07-08 | Shinmaywa Industries Ltd | タラップ車 |
KR20110058023A (ko) * | 2009-11-25 | 2011-06-01 | (주)에이비텍 | 미세 접근장치와 완충부를 갖는 탑승교 및 그 작동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1914B1 (ko) * | 2015-06-16 | 2016-12-02 | 채기병 | 선박용 승선, 하선 자동 트랩 장치 |
CN106428613A (zh) * | 2016-12-07 | 2017-02-22 | 郭华 | 机场车载式可升降高度自动扶梯 |
KR101863461B1 (ko) | 2016-12-28 | 2018-05-31 | 한국공항공사 | 유압식 저상탑승교 |
CN108773499A (zh) * | 2018-07-03 | 2018-11-09 | 信华智能装备(江苏)有限公司 | 一种航空用登机梯 |
US11466462B2 (en) * | 2018-09-12 | 2022-10-11 | The Boeing Company | Rotating mount folding guardrai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6068B1 (ko) |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 |
US11059414B2 (en) | Pickup truck | |
CN106627309B (zh) | 一种消防指挥综合作业车 | |
US8833290B2 (en) | Light-weight platform having stairs | |
CN108569374B (zh) | 接船口、具有该接船口的登船桥以及登船桥的控制方法 | |
KR200483184Y1 (ko) | 갠트리형 데크 하우스를 구비한 선박 | |
US10507848B2 (en) | Railway vehicle with a movable, vertical gap bridging entry threshold | |
KR20150050590A (ko) | 선박 및 선박용 갱웨이 | |
CN108093642A (zh) | 伸缩交通桥、设有伸缩交通桥的单元及其方法 | |
CH702751A2 (de) | Absenkbarer Klapprahmen für Wasserfahrzeuge. | |
US9415979B2 (en) | High speed, reduced clearance lift | |
US11932352B2 (en) | Tower for a boat | |
CN107351984A (zh) | 一种旅客登船桥渡板及包含该渡板的登船桥 | |
WO2014182173A1 (en) | Device for a transport ramp, and a method to operate same | |
CN111422156A (zh) | 交通工具安全 | |
CN114364605B (zh) | 装船用防风雨装置 | |
CN207241965U (zh) | 一种旅客登船桥接船通道 | |
US11046397B2 (en) | Telescoping tower for a boat | |
CN204871629U (zh) | 一种机场升降装卸平台驾驶室操作控制台 | |
KR20180052210A (ko) | 구난용 선박 | |
KR20140005112U (ko) | 작업 공간 및 통행로 확보 레이더 마스트 | |
CN207241964U (zh) | 一种旅客登船桥渡板及包含该渡板的登船桥 | |
CN214729502U (zh) | 一种邮轮码头登船桥 | |
KR20230156309A (ko) |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 |
US20180265140A1 (en) | Gate Lif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