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461B1 - 유압식 저상탑승교 - Google Patents

유압식 저상탑승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461B1
KR101863461B1 KR1020160180968A KR20160180968A KR101863461B1 KR 101863461 B1 KR101863461 B1 KR 101863461B1 KR 1020160180968 A KR1020160180968 A KR 1020160180968A KR 20160180968 A KR20160180968 A KR 20160180968A KR 101863461 B1 KR101863461 B1 KR 10186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passenger
tunnel
hydraulic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상
정양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6018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유압식 저상탑승교는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대기하는 대기부, 대기부와 항공기를 연결하여 여객이 이동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의 일단을 상기 계류장의 저면에서 소정높이 이격하여 지지하는 로툰다 및 터널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리프트 칼럼부를 포함하고, 항공기가 주기하는 계류장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여객이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한다. 계류장에 대기부를 배치하여,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의 이동을 제한하여 계류장 이동간에 발생하는 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유압식 저상탑승교의 하강높이를 낮추어, 소형항공기도 접현한다. 또한, 유압유닛을 하강할 수 있어 유지보수 시, 작업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유압식 저상탑승교 {Hydraulic low level passenger boarding bridge}
본 발명은 유압식 저상탑승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항의 계류장에 터미널과 떨어져 배치되고, 여객이 항공기를 탑승 또는 하기하기 위해 대기하는 유압식 저상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탑승교는 공항터미널에서 여객청사와 항공기를 연결하여 여객을 이송하기 위한 기계장치 형태의 다리로서, 통상은 여객청사에서 로툰다까지 고정식탑승교로 설치하고, 로툰다에서 항공기까지는 이동식 탑승교 또는 고정식 탑승교를 설치한다.
하지만, 단층구조의 여객청사 또는 작은 규모의 여객청사의 경우, 항공기의 날개 등의 간섭으로 인해 탑승교의 배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많은 항공기가 운항하는 경우, 별도의 셔틀버스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운행하여 계류장에 주기해 있는 항공기에 여객을 이송한다. 또한, 탑승교 서비스가 가능한 기종에 해당되지 않는 항공기에 대해서도 여객을 이송시켜야 한다. 여객은 항공기와 인접한 곳에서 하차하여 걸어서 트럭 등으로 이송되는 상향경사로를 통해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한다.
이러한 경우, 여객이 버스에서 내려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동안 비, 바람 및 눈 등의 외기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류장에 여객이 이동하여 사고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탑승교는 탑승교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트 칼럼을 구동시키는 유압유닛이 휠구동기의 상단에 배치되는 구조로 유압유닛과 터널부의 간섭으로 높이가 낮은 소형항공기에 접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문제점을 계류장에 대기부를 배치하여,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압식 저상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또한,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의 이동을 제한하여 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압식 저상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또한, 터널부의 하강높이를 낮추어, 소형항공기도 여객이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탑승 또는 하기할 수 있는 유압식 저상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저상탑승교에 대해 설명한다. 유압식 저상탑승교는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대기하는 대기부, 상기 대기부와 상기 항공기를 연결하여 상기 여객이 이동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의 일단부를 계류장의 저면에서 소정높이 이격하여 지지하는 로툰다, 및 상기 터널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리프트 칼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공기가 주기하는 상기 계류장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여객이 상기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 칼럼부는, 상기 터널부를 승강 또는 하강 구동하여 상기 항공기에 접현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유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유압유닛은, 상기 터널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 칼럼부는, 하강구동 시, 상기 유압유닛과 상기 터널부의 간섭이 배제되어, 소형항공기에도 접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유압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유닛 이송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유압유닛 이송파트는, 상기 터널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유압유닛을 상기 터널부의 측면하단으로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유압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려 상기 유압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대기부는, 상기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상기 여객을 이송하는 리모트 버스의 제 1출입문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출입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 2출입문은, 상기 리모트 버스가 상기 대기부에 주차 또는 정차하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류장에 대기부를 배치하여,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의 이동을 제한하여 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널부의 하강높이를 낮추어, 소형항공기도 접현할 수 있는 유압식 저상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저상탑승교가 배치되는 공항의 터미널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저상탑승교의 대기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대기부와 리모트 버스의 구동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저상탑승교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저상탑승교의 리프트 칼럼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칼럼의 측면으로 이동된 유압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항에 배치되는 유압식 저상탑승교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항의 터미널(1)은 여객이 항공기(A)에 탑승 또는 하기하기 전후에 수하물을 찾거나 맡기고, 입국심사 및 세관을 통과하기 위한 여객청사(10)와 항공기(A)를 연결하여 여객이 계류장에 주기된 각각의 항공기(A)에 탑승 또는 하기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탑승교(100)가 여객청사(10)의 승강장과 연결되어 배치된다. 또한 여객청사(10)와 소정거리 떨어진 계류장내에 위치한 항공기(A)에 여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유압식 저상탑승교(200)가 배치된다.
항공기(A)는 비행을 위해 일정 길이 이상의 날개를 구비해야 하며, 항공기(A)간의 날개의 충돌이 없도록 여객의 탑승을 위해 탑승교(100)가 접현하여 계류장에 주기하기 위해서는 승강장이 일정 길이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여객청사(10)의 승강장은 상당한 거리를 띄워서 배치될 수 밖에 없어서, 동시에 승하강할 수 있는 승강장의 개수가 매우 제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객청사(10)의 승강장이 아닌, 계류장의 지상에 항공기(A)를 주기히여 승객을 탑승 또는 하기할 필요가 있다.
계류장 지상에 배치된 항공기(A)를 이용하는 여객은 리모트 버스(B)에 탑승하여 이동을 하거나 가까운 거리일 경우 걸어서 이동한다. 리모트 버스(B)를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은 항공기(A)와 소정거리를 형성하고 주차 또는 정차된 리모트 버스(B)와 항공기(A) 사이를 걸어서 이동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또한, 항공기(A)에 탑승 또는 하기를 하기 위해 트럭 등으로 이송되는 상향경사로를 항공기(A)에 배치한다.
하지만, 항공기(A)의 탑승 또는 하기가 지연되거나 리모트 버스(B)의 운행이 지연되는 경우 여객은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기에 노출된 채로 항공기(A) 및 리모트 버스(B)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항공기(A)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계류장을 이동하면서 교통사고 등의 각종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여객청사(10)에서 떨어진 계류장에 위치한 유압식 저상탑승교(200)가 개시된다.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는 여객청사(10)와 연결되지 않고 계류장 일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는 여객청사(10)의 크기에 한정되어 배치되지 않고 계류장의 공간을 활용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활용이 우수하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저상탑승교의 대기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는 항공기(A)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부(210), 대기부(210)와 연결되어 항공기를 연결하여 여객이 이동하는 터널부(2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는 승객이 계류장을 이동하며, 외기 및 각종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대기부(210)는 항공기(A)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항공기(A) 또는 리모트 버스(B)를 기다리며 대기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대기부(210)는 여객이 눈, 비, 바람 및 기온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항공기(A)의 탑승 또는 리모트 버스(B)의 승차을 대기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대기부(210)는 터널부(230)의 저면과 대기부(210)의 저면의 고저차를 줄이기 위해 계류장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대기부(210)는 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출입문(211)을 구비한다. 제 2출입문(211)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여객청사(10)와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를 운행하여 여객을 이동시키는 리모트 버스(B)에 구비되는 제 1출입문(B1)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리모트 버스(B)는 2개의 제 1출입문(B1)을 일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리모트 버스(B)는 유압식 저상탑승교(200)의 대기부(210)의 장축방향과 리모트 버스(B)의 장축방향이 일치하도록 주차 또는 정차할 수 있다. 대기부(210)는 주차 또는 정차된 리모트 버스(B)의 제 1출입문(B1)의 위치에 일치하는 위치에 2개의 제 2출입문(211)을 구비할 수 있다. 대기부(210)에 형성되는 제 2출입문(211)과 리모트 버스(B)에 형성되는 제 1출입문(B1)은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리모트 버스(B)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이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출입문(B1) 및 제 2출입문(211)의 개수가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출입문(B1) 및 제 2출입문(2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대기부와 리모트 버스의 구동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출입문(211)은 리모트 버스(B)가 대기부(210)에 주차 또는 정차해야 개방된다. 예를 들어, 리모트 버스(B)는 대기부(210)의 장축방향으로 여객을 승차시키거나 하차시키기 위해 주차 또는 정차될 수 있다. 리모트 버스(B)의 운전원은 제 1출입문(B1)을 대기부(210)의 제 2출입문(211)에 일치하도록 리모트 버스(B)를 주차 또는 정차시킬 수 있다.
리모트 버스(B)의 운전원이 제 1출입문(B1)을 개방하면, 대기부(210)의 제 2출입문(211)이 개방될 수 있다. 제 2출입문(211)의 개방을 위해 항공기(A)에 탑승하는 승무원이 대기부(2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무원은 여객을 안내하여 대기부(210)의 제 2출입문(211)이 개방되면 리모트 버스(B) 또는 항공기(A)로 이동시킨다. 승무원은 여객이 리모트 버스(B)에 탑승하거나 대기부(210) 내부 출입을 완료하면, 대기부(210)의 제 2출입문(211)을 폐쇄한다.
제 2출입문(211)은 승무원이 수동으로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자동으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대기부(210)와 리모트 버스(B)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주차 및 정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기부(210)와 리모트 버스(B)는 RF통신(Radio Frequency), WiFi(Wireless Fidelity),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 UWB(Ultra-wideband)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법으로 무선통신 할 수 있다.
리모트 버스(B)가 대기부(210)에 주차 또는 정차하면, 리모트 버스(B)의 운전원은 제 1출입문(B1)을 개방할 수 있다. 리모트 버스(B)는 대기부(210)에 주차 또는 정차하였음을 알리는 전기적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대기부(210)는 리모트 버스(B)의 주정차신호를 수신하여 제 2출입문(211)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대기부(210)에 배치되는 승무원은 여객을 안내하여 리모트 버스(B)에 승차시키거나 대기부(210) 내부로 출입시킬 수 있다.
리모트 버스(B)의 운전원은 여객이 리모트 버스로 승차 또는 하차를 완료하면, 제 1출입문(B1)을 폐쇄할 수 있다. 리모트 버스는 제 1출입문(B1)의 폐쇄를 알리는 신호를 대기부(210)에 송신할 수 있다. 대기부(210)는 제 1출입문(B1)의 폐쇄 신호를 수신하여, 제 2출입문(211)을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부(210)는 계류장으로 이동하는 여객을 통제한다. 따라서, 대기부(210)는 여객의 계류장 이동간에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항의 터미널의 시설은 일반인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는 보안구역일 수 있다. 따라서, 대기부(210)가 리모트 버스(B)의 주차 또는 정차시에만 제 2출입문(211)을 개폐하여 여객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저상탑승교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는 항공기(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항공기(A)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는 로툰다(220), 터널부(230), 휠구동기(240), 캡(250), 캐노피(260) 및 리프트 칼럼부(270)가 더 구비된다.
로툰다(220)는 터널부(230)의 일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항공기(A)의 여러 위치에 따라 터널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 역할을 한다다. 로툰다(220)는 계류장의 저면에 배치되어, 터널부(230)의 일단을 계류장의 저면에서 소정높이로 이격하여 지지한다.
터널부(230)는 대기부(210)와 항공기(A)를 연결하여 여객이 이동하는 통로이다. 터널부(230)는 로툰다(220)에 고정되는 고정터널(231)과 연결되어 저상탑승교(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이동터널(232)이 구비된다. 터널부(230)는 이동터널(232)이 항공기(A) 방향으로 터널부(230)를 신장하여 항공기(A)와 접현한다.
휠구동기(240)는 지면에 접하여 리프트 칼럼부(270)의 하단에 부착된다. 휠구동기(240)는 터널부(230)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터널부(230)의 길이를 변경할 때, 지표면과 밀착한 바퀴를 구동하여 터널부(230)의 위치를 변경한다. 휠구동기(240)는 이동터널(232)을 항공기(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캡(250)은 터널부(230)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터널부(230)와 항공기(A) 사이에서 통로를 형성한다. 캡(250)은 터널부(230)에 대해서 캡(250)이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할 수 있다. 캡(250)은 유압식 저상탑승교(200)의 최단부에 위치하여 시야가 확보되기 때문에 유압식 저상탑승교(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운전조작반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캐노피(260)는 캡(250)과 항공기(A) 사이를 밀폐시켜 통로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캐노피(260)는 주름관 형상일 수 있다. 캐노피(260)가 주름관 형상이므로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저상탑승교의 리프트 칼럼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리프트 칼럼부(270)는 항공기(A)의 크기에 따라 터널부(230)를 상하로 움직여 승강 또는 하강구동한다. 리프트 칼럼부(270)는 터널부(230)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리프트 칼럼부(270)는 유압유닛(271), 고정칼럼 (272)및 이동칼럼(273)을 구비한다.
유압유닛(271)은 리프트 칼럼부(270)를 승강 또는 하강구동한다. 유압유닛(271)은 터널부(2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유압유닛(271)은 리프트 칼럼부(270)를 구동해야 하기 때문에 리프트 칼럼부(270)와 인접한 터널부(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압유닛(271)은 고정칼럼(272)에 연결되는 이동칼럼(273)을 승강 또는 하강 구동한다.
유압유닛(271)은 리프트 칼럼부(270)의 상부에 유압배관(275)을 통해 유압을 공급하여 리프트 칼럼부(270)를 승강 또는 하강 구동한다. 예를 들어, 유압배관(275)은 터널부 양측에 위치한 각각의 이동칼럼의 상부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유압배관(275)은 유압유닛(271)이 유지보수를 위해 탑승교의 측면 하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플랙시블 유압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랙시블 유압호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압유닛(271)에 호스릴(미도시)등이 장착되어 유압배관(275)의 길이를 조절하여 유압배관(275)을 분리하지 않고 유압유닛(271)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리프트 칼럼부에 호스릴등이 장찰될 수 있다.
고정칼럼(272)은 휠구동기(240)가 결합되는 휠프레임(274)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고정칼럼(272)은 터널부(2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고정칼럼(272) 사이에 터널부(230)가 승강 구동한다. 고정칼럼(272)은 사각형의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이동칼럼(273)은 각각의 고정칼럼(272)을 둘러싸는 사각기둥형상으로 복수의 고정칼럼(272)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칼럼(273)은 고정칼럼(272)과 동일한 형상이다. 이동칼럼(273)의 내주면은 고정칼럼(272)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이동칼럼(273)은 터널부(230)의 양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리프트 칼럼부(270)는 터널부(230)가 고정되어 있는 이동칼럼(273)을 승강 또는 하강 구동하여 터널부(230)를 승강 또는 하강 구동한다. 리프트 칼럼부(270)는 유압식 저상탑승교(200)가 항공기(A)에 접현할 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리프트 칼럼부(270)를 구동하는 유압유닛(271)이 휠구동기(240)가 연결된 휠프레임(274)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리프트 칼럼부(270)는 터널부(230)의 하강구동 시, 유압유닛(271)의 높이만큼의 간섭이 발생하여 소형항공기(A)를 접현할 때, 캡(250)이 소형항공기(A)의 내부저면의 높이와 일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유닛(271)이 터널부(2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터널부(230)의 하강구동 시, 유압유닛(271)과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널부(230)는 유압유닛(271)의 높이만큼 더 하강하여 소형항공기(A)에 접현이 가능하다.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는 가이드레일(281) 및 이동레일(282)을 구비하는 유압유닛 이송파트(28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유압유닛 이송파트(280)에 대해서는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4a 및 도 4b로 돌아와서 설명하면,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는 로툰다(220)가 터널부(230)의 일단을 계류장의 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하여 결합하여, 하강구동 시, 캡(250)의 높이가 더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저상탑승교(200)는 계류장의 저면에 인접하게 항공기(A)의 출입문이 형성되는 소형항공기(A)에도 접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식 저상탑승교(200)가 계류장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층식 터미널 등의 경우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칼럼의 측면으로 이동된 유압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는 유압유닛(271)이 터널부(2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유압유닛(271)의 유지보수 시, 작업자가 터널부(230)의 상부에 올라가야 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터널부(230)에서 낙상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압유닛(271)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유닛 이송파트(280)가 더 구비된다.
유압유닛 이송파트(280)는 가이드레일(281) 및 이동레일(282)을 더 구비한다.
가이드레일(281)은 터널부(230)의 상부에 위치한 유압유닛(271)을 터널부(230)의 일측면 하단으로의 이송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레일(281)은 "凹" 자 형상의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터널부(230)의 상부와 하나의 이동칼럼(273)측면에 결합되도록 "ㄱ" 자로 굴곡되는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레일(281)은 터널부(230)의 상부와 이동칼럼(273)에 결합된다.
이동레일(282)은 유압유닛(271)과 결합된다. 또한, 이동레일(282)은 돌출부가 가이드레일(281)의 오목부에 맞물려 유압유닛(271)을 이동시킨다. 이동레일(282)은 가이드레일(281)과 대응하도록 "凸" 자 형상의 단면이 소정간격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동레일(282)은 가이드레일(281)의 굴곡된 부분 회전하며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복수개가 소정간격을 형성하고 유압유닛(27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유닛(271)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레일(282)에 모터 등으로 구동되는 휠(미도시)이 "凸"형상의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다. 휠은 이동레일(282)의 일단에 결합되고 휠의 외주면이 가이드레일(281)상에 배치되어 이동레일(282)을 이동시키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부하를 주어 유압유닛(271)의 낙하를 방지한다.
이러한, 유압유닛(271)은 이동레일(282)과 결합되어 터널부(230)의 상부에서 가이드레일(281)을 따라 이동칼럼(273)의 측면을 타고 이동된다. 유압유닛(271)은 터널부(230)의 측면 하단에 위치되므로써, 유지보수 시,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플랙시블 호스와 호스릴로 구성되는 유압배관(275)을 분리하지 않고 유압유닛(271)을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유지보수 시, 유압식 저상탑승교(200)를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유닛이 유압유닛 이송파트에 구비된 가이드레일과 이동레일을 슬라이드 하여 이동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압유닛은 체인, 모터 등을 구비한 이동식 휠, 및 와이어 등에 배치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유닛 이송파트(280)의 구동을 모터 등으로 구동되는 휠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압유닛(271) 또는 이동레일(282)의 이동방향 양측에 와이어 등을 결합하여 와이어를 이동시켜, 유압유닛(271)을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계류장에 대기부를 배치하여,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의 이동을 제한하여 계류장 이동간에 발생하는 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압식 저상탑승교의 하강높이를 낮추어, 소형항공기도 접현할 수 있다.
또한, 유압유닛을 하강할 수 있어 유지보수 시,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 : 항공기 B : 리모트 버스
B1 : 제 1출입문 1 : 공항의 터미널
10 : 여객청사 100 : 탑승교
200 : 유압식 저상탑승교 210 : 대기부
211 : 제 2출입문 220 : 로툰다
230 : 터널부 231 : 고정터널
232 : 이동터널 240 : 휠구동기
250 : 캡 260 : 캐노피
270 : 리프트 칼럼부 271 : 유압유닛
272 : 고정칼럼 273 : 이동칼럼
274 : 프레임 275 : 유압배관
280 : 유압유닛 이송파트 281 : 가이드레일
282 : 이동레일

Claims (8)

  1.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대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대기부;
    상기 대기부와 상기 항공기를 연결하여 상기 여객이 이동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의 일단부를 계류장의 저면에서 소정높이 이격하여 지지하는 로툰다;
    상기 터널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압유닛의 유압이 공급되어 승강 또는 하강 구동하여서 상기 터널부의 상기 항공기에 접현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트 칼럼부; 및
    상기 유압유닛을 상기 터널부의 상부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유닛 이송파트;
    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유닛 이송파트는,
    상기 터널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유압유닛을 상기 터널부의 측면하단으로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유압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려 상기 유압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레일;
    를 포함하고,
    상기 항공기가 주기하는 상기 계류장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여객이 상기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유압식 저상탑승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칼럼부는 하강구동 시, 상기 유압유닛과 상기 터널부의 간섭이 배제되어,
    상기 터널부가 소형항공기에도 접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저상탑승교.
  5. 삭제
  6. 삭제
  7.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여객이 대기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대기부;
    상기 대기부와 상기 항공기를 연결하여 상기 여객이 이동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의 일단부를 계류장의 저면에서 소정높이 이격하여 지지하는 로툰다; 및
    상기 터널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리프트 칼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부는,
    상기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상기 여객을 이송하는 리모트 버스의 제 1출입문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출입문;
    을 포함하고,
    상기 항공기가 주기하는 상기 계류장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여객이 상기 항공기에 탑승 또는 하기하는 유압식 저상탑승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출입문은,
    상기 리모트 버스가 상기 대기부에 주차 또는 정차하면 개방되는 유압식 저상탑승교.
KR1020160180968A 2016-12-28 2016-12-28 유압식 저상탑승교 KR10186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68A KR101863461B1 (ko) 2016-12-28 2016-12-28 유압식 저상탑승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68A KR101863461B1 (ko) 2016-12-28 2016-12-28 유압식 저상탑승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461B1 true KR101863461B1 (ko) 2018-05-31

Family

ID=6245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968A KR101863461B1 (ko) 2016-12-28 2016-12-28 유압식 저상탑승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4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02B1 (ko) * 2013-01-02 2013-06-21 서진공조 주식회사 항공기 냉난방 공급장치용 송풍공기 냉각장치
KR101346068B1 (ko) 2013-07-01 2013-12-31 주식회사 광림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JP5711984B2 (ja) 2011-01-28 2015-05-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搭乗橋
KR101549335B1 (ko) * 2014-04-10 2015-09-01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1984B2 (ja) 2011-01-28 2015-05-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搭乗橋
KR101277502B1 (ko) * 2013-01-02 2013-06-21 서진공조 주식회사 항공기 냉난방 공급장치용 송풍공기 냉각장치
KR101346068B1 (ko) 2013-07-01 2013-12-31 주식회사 광림 여객선박용 탑승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KR101549335B1 (ko) * 2014-04-10 2015-09-01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8011B2 (ja) ドローン着陸システムおよびドローン着陸ステーション
US7367528B2 (en) Airport system for operations, safety, and security
US4110859A (en) Passenger loading ramp
US8342310B2 (en) Conveyor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of passengers/goods
KR20080086337A (ko) 승객이송장치
US2487613A (en) Airport and airport gangway
CN105366493A (zh) 一种可循环电梯
US11772818B1 (en) Unmanned, rapid and circular transportation system for airport passengers and luggage
US3046908A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passengers and cargo
KR100789706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
KR101863461B1 (ko) 유압식 저상탑승교
US3724015A (en) Aircraft loading ramps
KR101652799B1 (ko) 헬리포트용 승강기 시스템
KR20170049658A (ko) 자동 주차 안내장치
CN210888661U (zh) 一种隐藏式站台安全门
US2750135A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aircraft passengers and cargo at airports
KR102485588B1 (ko) Uam 또는 드론 자율 이착륙을 위한 버티포트 시스템
RU2719075C1 (ru) Система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зита и платформа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зита
KR101258334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CN110920633B (zh) 一种摆渡式轨道交通乘降系统及运行方式
CN206327354U (zh) 一种可在普通路面随意上落的装配梯式轿箱组合空中巴士系统
KR102575265B1 (ko) 수직 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터미널 및 주기장용 리프트
KR102579703B1 (ko)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161981A (ja) 輸送システム
US20240083596A1 (en) Aircraft boarding vehicle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