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309A -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309A
KR20230156309A KR1020237026760A KR20237026760A KR20230156309A KR 20230156309 A KR20230156309 A KR 20230156309A KR 1020237026760 A KR1020237026760 A KR 1020237026760A KR 20237026760 A KR20237026760 A KR 20237026760A KR 20230156309 A KR20230156309 A KR 2023015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fin assembly
ship
vibration damp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티리오스 필리포우
Original Assignee
소티리오스 필리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티리오스 필리포우 filed Critical 소티리오스 필리포우
Publication of KR2023015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3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39/061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by using trimflaps, i.e. flaps mounted on the rear of a boat, e.g. speed b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gyroscopes direct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39/06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the foils being mounted on outriggers or the like, e.g. antidrift hydrofoils for sail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4Steering or slowing-down by extensible flap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쌍의 핀 조립체(20)로 구성된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은 선박 트랜섬(60)의 트랜섬 중앙을 통과하는 가로 축(x)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며, 핀 조립체(20)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 된 여러 개의 연속적인 개별 핀(21)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하나의 베이스와 두 개의 교차 측면으로 구성된 유형 II 단면을 가지고, 여기서 상부 핀의 측면은 바로 하부 핀의 측면에 접하고 물이 통과하는 연속적인 폐쇄 덕트를 형성하고 FM 조립체(20)는 수위 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선박에 대한 관절 연결(22)에 의해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동시에 반대 및 평행하게 회전하여 피칭 및 롤링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즉시 감쇠시키고 선박의 전복 및 물 유입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본 발명은 잔물결, 바람 및/또는 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수상 선박의 안정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모든 크기의 수상 선박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문제는 선박이 겪는 진동이다. 이러한 진동은 승객과 승무원에게 메스꺼움이나 피로를 유발하는 불쾌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의 분실이나 파손을 유발하고 선박 자체가 전복되어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피칭은 선박의 종방향 진동이며 롤링은 선박의 수직 축을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다.
현재 많은 선박, 특히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해 건조된 화물선에는 폭풍우로 인해 컨테이너가 움직여 선박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 댐퍼가 장착되어 있다.
선박/선박 안정화에는 수동형과 능동형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패시브
대형 선박(상선, 유람선)에서 주로 사용되는 수동적 안정화 방법은 선박의 특정 구획에 물을 채우는 것이다. 그들의 작동은 통신 선박의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롤링 측면에서 수동 안정화의 두 번째 방법은 선박의 선체 측면에 설치된 고정 핀이다. 고정 핀의 단점은 진동이 없는 잔잔한 해역에서도 선박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연료 소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선박의 선체에서 영구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액티브
능동 안정화 방법은 피스톤을 통한 액체 덩어리의 변위로 구성된다. 이 방법의 단점은 액체 덩어리를 정확히 정확한 시간에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작동이 어렵다는 것이다.
능동 안정화의 또 다른 방법은 자이로스코프 안정화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 시스템을 통해 선박 탱크에 물을 채우는 것이다. 이 방법의 단점은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물을 펌핑하는 데 따른 지연으로 인해 반응이 느리다는 것이다.
세 번째 능동적 안정화 방법은 선박의 선체 측면에 핀을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선체의 움푹 들어간 곳에 보관하는 것이다. 바다가 잔잔할 때는 물의 저항을 받지 않으므로 선박의 속도를 줄이거나 추가 연료를 소비하지 않으며, 핀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움푹 들어간 곳에 보관할 수 있다.
이 방법의 단점은 롤링 측면에서만 안정화를 제공하고 비용이 매우 비싸고 핀 배치가 어렵고 선박 선체에 큰 구멍을 만들어 핀이 보관되는 구획을 만들기 위해 매우 조심스럽게 밀봉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획은 선박의 선체에서 귀중한 공간을 차지한다. 또한 이러한 핀은 선박이 움직일 때만 작동할 수 있다.
수계 내에서 정지된 선박의 안정성 유지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수상 선박은 종축을 따라 넓은 표면을 노출하기 때문에 해류 및 바람과 같은 힘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러한 힘으로 인해 선박이 원하는 고정 위치 또는 원하는 항로에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 및/또는 항로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경계와 수많은 조정이 필요하다.
현재 정지 상태의 선박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능동형 스태빌라이저가 있다. 이는 선체 측면의 수위 아래 외부에 장착된 한 쌍의 핀을 사용하는 가장 널리 보급된 스태빌라이저 시스템으로, 이 핀은 정지 또는 이동 중인 선박의 원하는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견인되거나 견인되지 않을 수 있으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스태빌라이저는 피칭이 아닌 롤링만 감쇠시켜야 한다.
능동형 피칭 스태빌라이저의 또 다른 유형은 파워 트림이다. 파워 트림은 스피드보트의 주요 제어 장치 중 하나이다. 파워 트림은 계획과 속도, 연비를 최적으로 활용하고 엔진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순항을 원활하게 해준다. 엔진에 장착되어 선박이 움직일 때만 작동하며, 제대로 다루려면 경험이 필요하고 반응이 느리다.
또 다른 능동형 스태빌라이저는 스피드보트의 기본 컨트롤 중 하나인 트림 탭으로, 이 탭의 목적은 롤링을 완화하는 것이다. 선외 모터가 장착된 선박에서는 파워 트림과 결합할 수 있고, 선내 모터가 장착된 선박에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선박의 트랜섬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핀이다. 전기 및 유압식이다. 15~17노트 이상의 속도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그래야만 연료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작동이 어렵다.
자동 트림 탭도 사용할 수 있다. 선박의 패널 보드에 있는 스크린 또는 제어판에서 작동하며,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사용하여 선박의 최적 보정으로 조정하고 순항하는 동안 시스템이 보정 핀의 설정을 변경하여 선박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유지하지만 각 개별 리플이 아닌 상태로 유지한다.
능동형 스태빌라이저의 또 다른 유형은 자이로스코픽 스태빌라이저이다. 자이로스코픽 토크를 사용하여 선박의 롤링을 감쇠한다. 단점은 구매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고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선체 내부에 배치되므로 선박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관성으로 인해 자이로스코프가 선박을 보조할 수 있는 한 순간적으로만 작동한다는 점이다. 또한 시작 시 15~20분 정도의 지연이 있다.
따라서 어떤 스태빌라이저도 선박의 종축과 수직축에 대한 진동을 모두 감쇠시키지 못한다.
또한 기존의 어떤 안정화 시스템도 격렬한 리플이 발생할 때 각각의 개별 리플에서 피칭에 대한 선박의 경사를 보정하지 못한다.
현존하는 어떤 안정화 시스템도 선박이 수직축과 종축 양쪽 방향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현재까지 즉각적인 감속 기능이 있는 안정화 시스템은 없다.
기존의 안정화 시스템은 효율성, 낮은 구매 비용, 간단한 디자인, 작은 총 부피, 연비, 선체 내부 공간 예약없이 선체 내부에 추가 큰 구멍을 만들지 않으며 가장 큰 선박에서 가장 작은 선박에 쉽게 설치, 쉬운 조립-분해, 각 선박의 요구에 따라 적응성 및 개인화, 즉시 시동, 자동 또는 수동 작동 선택, 정지 또는 순항 선박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안정화 시스템은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스태빌라이저의 모든 특성을 결합하여 현재까지 달성할 수 없었던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선박의 트랜 섬에 쌍으로 배치되고, 선박의 트랜 섬 중앙을 통과하는 수직 축과 관련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는 핀 조립체를 통해 달성되며, 플랩 대신에 또는 더 넓게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열 된 여러 개의 연속적인 개별 핀으로 구성되며, 각각 베이스와 두 개의 교차면으로 구성된 P 형 단면을 가지며, 여기서 상부 핀의 측면은 바로 아래 핀의 측면에 접하고 물이 통과하는 연속적인 폐쇄 도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핀 조립체의 자이로 스코프, 가속도계, GPS 및 위치 센서로 구성된 전자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 시스템을 통해 핀 조립체의 움직임은 수위 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 시계 방향으로 선박의 트랜 섬과 연결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 선박과의 관절 연결로부터 선박이 설치된 선체 바닥의 레벨과 완전히 평행하고 서로 평행하거나 독립적으로 동시에 반대 및 평행 한 제로 평면에 대해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은 선박이 움직이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핀 조립체를 통과하는 물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며, 회전 방향과 평행 또는 독립적인 회전 방향에 따라 세로축 및/또는 수직축에 대한 선박의 경사가 0으로 감소하고 전복이 방지된다. 특히 핀 조립체가 평행으로 회전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미를 들어 올리고 선수를 낮추거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미를 낮추고 선수를 들어 올려 피칭을 완화하고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롤링을 보정한다.
선박이 움직이고 있고 핀 조립체가 서로 다른 경사로 고정되어 있고 동시에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회전하는 경우, 두 축을 향한 선박의 경사를 동시에 재설정한다.
본 발명의 작동은 작업자가 해당 손잡이를 눌러 원하는 핀 조립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원하는 핀 조립체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으로 수행하거나 센서 입력 및 작업자의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적절한 핀 조립체가 원하는 결과를 가져 오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회전 할 수 있다.
선박이 정지 상태일 때는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자동으로 또는 해당 노브를 위아래로 눌러 수동으로 수직 축에 대한 경사가 무효화된다. 선박이 이동 중일 때는 해당 노브를 위아래로 눌러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속도 및 자동 설정에 따라 피칭과 관련하여 선박의 프로그래밍된 경사도를 정의하여 선박을 정렬함으로써 선박의 수직축 및 종축에 대한 선박의 경사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무효화된다, 작업자가 정의한 경사에서이 경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거나 장치가 GPS 센서 및 충격 센서 시스템을 통해 선박의 속도와 물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장치가 최적의 경사를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보정하는 설정을 활성화하고 각 핀 조립체와 독립적으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링과 관련하여 롤링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보정한다.
특히, 전자 제어기에 설치된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선박이 리플의 절정까지 올라갈 때 강한 경사를 감지하고 핀 조립체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시하여 선박이 절정까지 올라가는 대신 뱃머리를 내리고 리플을 가로지르도록 한다, 반면, 리플 하강 시 선박을 따라가면 핀 조립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시하여 뱃머리가 상승하여 리플의 골짜기로 갑작스럽게 떨어지지 않고 수평선 또는 조작자가 설정한 경사와 관련하여 선박의 각도를 재설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박의 안정화를 달성할 뿐만 아니라 특히 개방형 선박에서 선수에서 물이 유입되고 선박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박이 선수 또는 선미에서 강한 힘을 받으면 자이로스코프는 선박의 세로축에 대한 강한 기울기를 감지하고 핀 조립체의 구동 시스템을 통해 핀 조립체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수를 내리거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미를 내려 경사를 제로화한다.
마찬가지로, 선박이 강한 측면 파도, 바람 또는 화물의 측면 변위를 받는 경우 자이로스코프는 수직 축을 향한 선박의 강한 경사를 감지하고 이를 무효화하기 위해 파도 또는 기타 측면 힘을 받는 선박의 같은 측면에 있는 핀 조립체를 회전시킨다, 수직축을 기준으로 구동 시스템을 통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횡력을 받는 선박의 반대편에 있는 핀 조립체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힘에 저항하고 선박의 경사를 제로로 복원한다.
선박이 강한 횡력과 종축을 따라 힘을 모두 받으면 자이로 스코프는 수직 축과 종축에 대한 경사를 모두 감지하고 핀 조립체의 구동 시스템을 통해 횡력을받는 선박 측면과 반대쪽에 있는 핀 조립체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선박의 수직 축과 관련하여 횡력을 받는 선박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한 핀 조립체는 수직 축에 대한 경사를 제거하기 위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핀 조립체는 세로 축의 경사를 제거하기 위해 반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병렬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격 센서는 선박의 엔진으로부터 부하 및 소비 데이터 피드를 수신하여 연료 소비가 증가했는지 모니터링하고, 선박의 GPS(38)로부터 속도 및 방향 데이터 피드를 수신하여 속도 및 이동 방향의 일정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전자 컨트롤러에 설치되며, 이는 차례로 전자 제어기(35)에 신호를 제공하여, 자동 선택에서 피칭 측면에서 선박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핀 조립체(20)를 회전시켜, 낮은 연료 소비를 위한 최대 속도와 승객의 안전 및 편안함을 위한 수중 최소 충격 사이에서 운전자 옵션에 따라 최적의 경사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핀 조립체(20)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제공한다.
수중에서 선박의 최소 충격을 위한 설정에서 핀 조립체의 회전(방향, 각도)이 지시되어 각 개별 리플에서, 특히 선박이 파도의 정점을 향해 상승하기 시작할 때 핀 조립체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통과하는 물에 대한 저항을 초래함으로써 선박의 최적의 경사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선미를 들어 올리고 선수를 낮추어 파도를 건너고 파도의 저점으로 내려 가기 시작할 때 핀 조립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물에 대한 저항을 유발하여 스템을 낮추고 선수를 들어 올리며 최대 속도 수율 설정에서는이 작업이 비활성화된다 .
핀 조립체의 구동 시스템은 오일 펌프와 유압 피스톤 실린더 또는 서보 모터 또는 하이브리드 서보 모터 또는 다른 유형의 구동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전자 컨트롤러는 선박의 미리 결정된 경사도에서 핀 조립체의 회전을 시작하고, 선박의 속도에 따라 핀 조립체의 최대 경사도를 결정하고, 핀 조립체의 틸트 회전에 대한 응답 시간을 결정하는 등의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각 핀 조립체에 개별 핀을 더 많이 배치하면 물에 대한 저항력이 커지기 때문에 선박의 기울기 조정을 더 잘 제어할 수 있다. 핀의 개수는 원하는 저항에 따라 달라진다.
개별 핀의 길이, 너비, 두께, 모양 및 재질은 설치되는 선박의 크기와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개별 핀 간의 연결 유형도 차별화된다.
선박 선회 시 안정성과 안전성, 승객의 쾌적한 승차감을 위해 선회하는 동안 수직축에 대한 경사도를 0으로 유지하거나 특수 센서를 통해 가능한 한 짧은 반경으로 선회하여 가장 빠르게 완료할 수 있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스티어링의 특수 센서를 통해 움직임에 따라 시스템이 선회 반경을 조정하여 그에 따라 반응하는 자동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작은 반경으로 빠른 회전을 달성하기 위해 선박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방향의 반대쪽에 있는 핀 조립체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회전 방향과 같은 쪽에 있는 핀 조립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수직 축에 대한 선박의 경사가 0으로 유지되는 동안 롤링이 없고 반경이 큰 회전을 달성하기 위해 선박의 수직 축에 대해 회전 방향의 반대쪽에 있는 핀 조립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회전 방향과 같은쪽에 있는 핀 조립체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서는 핀 조립체의 위치 센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핀 조립체가 제로 레벨을 통과 할 때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무효화 지점이 수정된다. 먼저 제로 레벨에 도달한 핀 조립체는 다른 핀 조립체가 제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핀 조립체 간의 보정 시간이 미리 정해진 한계를 초과하면 핀 조립체의 회전을 구동하는 구동 시스템, 조향 시스템에 문제가 있어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하다는 알림이 제어 스크린을 통해 운영자에게 표시되고 안전 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안전 모드는 본 발명이 오작동하는 경우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선박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유발할 수 있다.
선박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 센서에 의해 확인 된 경우에만 작업자가 손잡이를 통해 활성화되는 플랩 인출 기능이 있으며, 이는 선박을 인양/진수/정박 할 때, 수리 또는 유지 보수 또는 청소 중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 핀 조립체가 후퇴하는 동안 사용된다,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선박의 트랜 섬에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정지하여 물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선박의 속도를 줄이고 불필요한 연료를 소비하지 않고 최대 최고 속도를 달성하고 타격 및 손상, 해양 오염 및 기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선박의 속도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 작동 또는 선박 경사 프로그래밍 옵션이 있다.
본 발명을 작동하여 선박의 세로 축에 대해서만 또는 세로 축에 대해서만 또는 두 축에 대해서만 선박의 경사를 보정하는 옵션이 있다.
핀 조립체에는 물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는 플랩 게이트가 부착되어 있다. 선박가 정지해 있을 때는 플랩 게이트가 개별 핀에 달려 있어 그 안에 있는 물을 가두어 파티션이 댐핑되는 동안 물에 대한 저항이 커져 즉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선박이 움직일 때 플랩 게이트는 물의 움직임과 운동량에 의해 들어 올려져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핀을 통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더 적은 수의 개별 핀이 필요하다.
개별 핀 사이의 거리는 고정되거나 가변적이다. 본 발명의 한 버전에서는 원하는 물에 대한 저항에 따라 핀 조립체의 개별 핀을 연결하는 장치가 있으며, 그로부터 핀 사이의 거리 변화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한 예에서, 개별 핀은 빔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빔 중 하나는 바를 통해 드라이브 시스템에 연결되며, 드라이브 시스템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 된 연결 지점에서 선박에 연결된 개별 핀에 시계 방향 및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드라이브 시스템이 확장되면 바가 고정된 연결 지점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별 핀을 관절 연결부를 통해 끌어당겨 핀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고 드라이브 시스템이 완전히 확장되는 동안 개별 핀이 접촉할 때까지 수렴하여 방수 기능이 없어져 속도가 증가하고 연료 소비가 감소한다. 구동 시스템을 철회하면 바가 고정된 연결 지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별 핀을 관절 연결부를 통해 끌어당기므로 구동 장치가 완전히 철회되는 동안 핀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증가하여 내수성이 향상되고 선박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선외 엔진, 캣워크 등으로 인해 선박 트랜섬에 공간이 부족한 경우 핀 조립체가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핀 조립체는 선박의 트랜 섬에 설치된 레일 트랙에 부착 된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연장 중 구동 시스템은 핀 조립체가 선체 외부에 있는 플레이트를 선박의 좌우로 이동시켜 핀 조립체의 자유로운 회전을 달성하고, 본 발명이 꺼지면 인출 중 구동 시스템은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핀 조립체를 선박의 트랜 섬의 원래 위치로 복원한다.
본 발명에는 핀 조립체에 장착 된 센서를 통해 핀 조립체의 회전 반경 주변의 스캔 영역에서 물체, 저택 및 기타 장애물이 감지되면 핀 조립체의 회전을 즉시 중지하는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비상 정지 안전 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있어 작업자가 선박을 즉시 정지시키고 싶을 때 언제든지 비상 정지 버튼을 누르면 모든 핀 조립체가 즉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뱃머리를 떨어 뜨려 선박의 속도를 큰 힘으로 정지시킨다.
이는 특히 속도가 빨라 감속이 어려운 선박에 중요한 장점이다.
핀 조립체의 구동 시스템의 모션 전달 장치에는 움직이는 부품을 해양 오염(예: 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폴리머 또는 기타 재료로 접이식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핀 조립체의 구동 시스템의 모션 전달 장치를 청소하는 기능이 있으며, 그 동안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본 발명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각 구동 장치의 이동 부분의 전체 경로를 완전히 확장하고 완전히 철회하여 해양 생물이 부착되지 않도록하고 서비스 수명과 효과를 연장한다.
본 발명의 구성 부분은 배선 시스템으로 서로 통신하며 새로운 배선을위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유사한 시스템을 통한 무선 네트워킹이 대체로 사용된다.
모바일 또는 태블릿 또는 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문제를 원격으로 작동하거나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선박에 설치하고 구성 부품을 연결하는 경우 공간이 부족한 경우 선박의 기존 배선이 대안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낮은 에너지 소비는 선박가 휴식하는 동안 선박의 경사를 재설정 할 필요가 없을 때 오일 펌프가 유휴 상태이거나 매우 낮은 회전 수로 작동하거나 작업자가 지정한 기간 동안 잔물결이 없을 때 압력없이 0 회전으로 작동을 중단하기 때문이다. 선박의 작은 경사를 보정하기 위해 핀 조립체의 작은 회전이 필요한 경우, 오일 펌프의 속도가 감소하여 낮은 오일 흐름으로 작동하므로 작동 압력이 낮아지고 오일 흐름 저항이 감소한다.
잔물결이 심한 경우 인버터를 통해 오일 펌프의 속도가 증가하고 전자 컨트롤러가 전자 밸브를 열도록 지시하여 구동 시스템의 압력을 통해 핀이 점점 더 빠르게 회전하여 선박의 경사가 0으로 감소한다. 동작이 완료되면 전자 밸브가 닫히고 오일 펌프가 다시 관성 상태로 돌아간다.
적절한 지점에서 전기 밸브를 닫으면 선박이 항해 중일 때 핀 조립체가 선박을 필요한 방향으로 계속 밀어내어 원하는 결과, 즉 선박의 필요한 경사도를 생성하며 시간에 비례하여 누적적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선박의 두 가지 안정화 시스템, 즉 스태빌라이저와 플랩 또는 트림 탭의 기능을 하나로 결합하는 동시에 피치와 롤을 감쇠하는 동시에 선박이 움직이는 동안 피치 감쇠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여 현재까지 어떤 안정화 시스템에서도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선박의 진동을 감쇠시킬 뿐만 아니라 기상악화나 적재물 변위 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플랩은 선수를 내리고 선미를 들어 올려 선박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선박의 경사를 보정한다. 본 발명의 핀 조립체는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수를 아래로 밀고 선수를 들어 올릴 때에도 선박의 경사를 보정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선박의 최대 속도를 활용하면서 연료와 승객의 편안함을 절약 할 수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장점은 다른 스태빌라이저처럼 선박을 항구에 계류하거나 다른 선박 옆에 계류하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선박 외부와 선박의 트랜섬에 위치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가 매우 편리하다는 것이다. 또한 핀 조립체가 육지나 다른 물체에 부딪혀도 선박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다. 선박의 트랜 섬에 설치하는 것은 구조상 견고하여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선체 강화가 필요한 다른 안정화 시스템과 달리 발전하는 힘을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추가 작업, 구멍 및 씰링 없이 추가 공간 없이 기존 플랩 시스템을 제거하고 동일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신규 선박 또는 기존 선박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는 것이다.
기존의 안정화 시스템은 선박을 들어 올려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은 물 속에서도 개별 핀을 쉽게 분리 및 연결하여 세척, 유지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유사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한 저속 선박(변위 또는 반변위)에도 장착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선박을 안정화하기까지 15~20분의 지연이 필요한 자이로스코프 스태빌라이저와 달리 즉각적인 시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주요 장점은, 본 발명의 오작동으로 인해 선박의 급격한 움직임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안전 작동이 작동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특히 자이로스코프 관성을 이용하기 위해 회전 시 매우 큰 하중이 존재해야 하는 자이로스코프 스태빌라이저에 비해 총 질량이 낮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점은 특히 진공 펌프의 작동뿐만 아니라 이동 질량의 수천 회전에서 영구 회전을 위해 지속적인 에너지 소비가 필요한 자이로스코픽 스태빌라이저와 관련하여 전력 소비가 적다는 것이다.
또 다른 주요 장점은 선박의 연료 소비의 경제성이다. 본 발명은 기계 부품이 거의 없는 매우 단순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문제 발생이 적고 수리가 용이하여 특별한 전문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장점은 부피가 작고 설계 및 설치가 간단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 일뿐만 아니라 공간 부족으로 인해 다른 스태빌라이저를 설치할 수없는 가장 작은 선박에도 배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장착 선박의 유형과 크기, 원하는 안정성 제어 수준에 따라 맞춤화 및 조정이 가능하다.
선박에서 화물의 이동이 발생하거나 횡풍에 의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선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핀 조립체에 한 방향으로 영구적인 압력을 가해야 한다. 자이로스코픽과 같은 다른 안정장치는 선박의 경사를 일시적으로만 보정할 수 있고 영구적인 압력을 가할 수 없는 반면, 본 발명은 이를 가능하게 한다. 지금까지 수동 또는 자동 플랩에서 작업자 또는 자동 시스템이 벽을 교정하기 위해 두 플랩 중 하나를 내릴 때 선체 표면 아래로 내려가는 플랩에 의해 발생하는 일방적인 저항으로 인해 필요한 선박 측면으로 위쪽으로 밀리는 동시에 선박 전체의 토크가 발생하여 선박이 플랩이 내려가는쪽으로 선회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선로를 댐핑하고 선박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면 왼쪽 플랩이 내려와야 하고 선박이 왼쪽으로 회전해야 했다. 그런 다음 운전자는 선박의 진로를 직진으로 유지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고 반대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야 했다. 그러나 방향타가 선박의 축과 완전히 정렬되지 않으면 유체 역학적 저항이 증가하여 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추가 연료 소비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이 칸막이를 감쇠하는 데 필요한 토크가 두 조립체에서 동시에 공유되므로 핀 조립체의 기울기가 훨씬 작아지고, 왼쪽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오른쪽은 선박의 진로에 전혀 영향을주지 않고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 져 방향타가 선박의 축과 완전히 정렬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을 선박에 설치하기 위해 공간이 부족한 경우 다른 시스템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선박의 기존 배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선박에 설치된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전자 컨트롤러.
도 3은 서보 모터가 있는 구동 시스템.
도 4는 하이브리드 서보 모터가 있는 구동 시스템.
도 5는 개별 핀 및 FM 조립체의 측면의 정면도.
도 6은 개별 핀과 핀 복합체의 측면도.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 방식.
도 10 및 11은 움직이는 핀 콤플렉스가 있는 본 발명의 버전과 그 작동 방식.
도 12, 도 13, 도 14는 개별 핀의 가변 거리를 갖는 본 발명의 버전 및 이의 작동 방식을 교차하여 제시.
도 15는 본 발명이 덤핑 롤링을 위해 작동하는 방식.
도 16은 본 발명이 덤핑 투구에서 작동하는 방식.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선박에 설치된 상태로, 핀 조립체(20)가 플랩(65), 비상 정지 버튼(50), 핀 조립체 인출 손잡이(55) 및 선박의 제어 패널에 장착된 제어 스크린(45) 대신 선박의 트랜섬(60)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 블레이드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 오일 펌프(26) 및 유압 피스톤 실린더(27), 핀 조립체 위치 센서 시스템(30), 전자 제어기(35) 및 정보 전송 시스템을 통해 이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는 자이로스코프(36), 가속도계(37), GPS(38), 핀 조립 위치 센서(39) 및 충격 센서(40)로 구성된 전자 컨트롤러를 도시한다.
도 3은 서보 모터(28)가 있는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하이브리드 서보 모터(29)가 있는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개별 핀(21)과 서로 연결된 다수의 개별 핀(21)으로 구성된 핀 조립체(2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서로 연결된 다수의 개별 핀(21), 선박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 연결부(22) 및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된 플랩 게이트(23)로 구성된 개별 핀(21) 및 핀 조립체(2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선박이 움직이고 있고 감쇠할 진동이 없을 때 본 발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도시한다. 핀 조립체(20)는 영점면(1)과 평행하도록 회전하고 플랩 게이트(23)는 물의 운동량에 의해 운반되어 들어 올려져 물에 대한 저항을 일으키지 않고 선박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물이 단순히 통과하게 된다.
도 8은 선박이 움직일 때 본 발명이 피칭 진동을 댐핑하는 경우, 핀 조립체(20)가 힌지 연결부(22)에서 선박의 트랜섬(60)까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통과하는 물의 저항을 유발하여 스템을 들어 올리고 선수를 내리는 반면 플랩 게이트(23)는 물의 운동량에 의해 저항 없이 운반되고 들어 올려지는 작동 방식을 도시한다.
도 9는 선박이 움직일 때 피칭 진동을 감쇠하는 경우 본 발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데, 핀 조립체(20)가 힌지 연결부(22)에서 선박의 트랜섬(60)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통과하는 물의 저항을 유발하여 선미를 내리고 선수를 들어 올리는 반면 플랩 게이트(23)는 저항을 일으키지 않고 물의 운동량에 의해 운반 및 들어 올린다.
도 10은 핀 조립체(20)가 레일(71)에 부착된 플레이트(70)에 설치되고 구동 시스템 장치(72)를 통해 전체 핀 조립체(20)가 트랜섬(60)에 공간이 부족할 때 회전을 달성하기 위해 선박의 선체 밖으로 후퇴되는 본 발명의 버전을 나타낸다.
도 11은 작동 중이 아니며 원래 위치에 있는 움직이는 핀 조립체(20)가 있는 본 발명의 버전을 도시한다.
도 12, 13, 14에서는 빔(80)에 의해 관절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핀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21) AA 섹션의 본 발명의 버전이 제시된다. 빔 중 하나는로드(81)를 통해 구동 시스템(82)에 관절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시스템(82)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 된 연결 지점(83)에서 선박에 부착 된 단일 핀(21)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시스템(82)을 연장하면 바(81)가 고정된 연결 지점(83)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개별 핀(21)도 관절 연결부(84)를 통해 회전하므로, 구동 시스템(84)이 완전히 연장되는 동안 개별 핀(21)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고 접촉할 때까지 개별 핀(21)이 수렴하게 된다. 구동 시스템(82)의 인출에 의해 바(81)는 고정된 연결 지점(83)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개별 핀(21)은 관절 연결부(84)를 통해 회전하며, 그 결과 구동 시스템(82)이 완전히 인출될 때 이들 사이의 거리가 가능한 최대 거리까지 증가한다.
도 15는 선박이 수직축(x), 특히 오른쪽에서 진동을 받을 때 본 발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도시한다. 수직축의 기울기를 제거하기 위해 왼쪽 핀 조립체(2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오른쪽 핀 조립체(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6은 선박이 세로 축(y), 특히 뱃머리에서 진동 할 때 본 발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도시한다. 세로축의 경사를 없애기 위해 핀 조립체(2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Claims (26)

  1. 선박의 트랜섬(60)에 장착되고 선박의 트랜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축(X)에 대해 대칭이며, 서로 연결된 다수의 개별 핀(21),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핀 조립체(20)쌍, 전자 제어기(35), 자이로스코프(36), 가속도계(37), GPS(38) 및 핀 조립체 위치 센서(39)로 구성된 핀 조립체 위치 센서 시스템(30), 하나 이상의 제어 스크린(45), 핀 조립체 후퇴 버튼(55) 및 수동 및 자동 작동하는 이들 사이의 정보 전송 시스템으로 구성된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
    - 상기 핀 조립체(20)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연속적인 개별 핀(21)으로 구성되며, 각 핀은 베이스와 두 개의 교차 측면으로 구성된 P형 단면을 가지며, 상부 핀의 측면이 바로 하부 핀의 측면에 접하여 물이 통과하는 연속적인 폐쇄 덕트를 형성하고,
    - 핀 조립체(20)는 서로 평행하거나 독립적이며 동시에 반대 및 병렬로 회전하는 선박과의 관절 형 연결(22)에 의해 수위 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 선박의 엔진으로부터 부하 및 소비 데이터 피드를 수신하는 전자 컨트롤러(35)에 설치되어, 연료 소비가 증가했는지 모니터링하고 GPS(38)로부터 선박 데이터 피드의 속도 및 이동 방향을 수신하여 속도를 줄이고 이동 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피칭 측면에서 보트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핀 조립체(20)를 회전하도록 전자 컨트롤러(35)에 신호를 보내는 충격 센서(40)를 포함하하고,
    - 비상 정지 버튼(50)을 통해 활성화되면 모든 플랩 조립체(20)가 즉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뱃머리를 낮추고 보트의 속도를 강제로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안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20)가 플랩(65) 대신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이 오일 펌프(26)와 유압 피스톤 실린더(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이 서보 모터(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이 하이브리드 서보 모터(2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이 선체 바닥(66)의 수평(1)과 완전히 평행 한 제로 레벨 표면에 따라 선박(60)의 트랜섬과 적어도 두 지점에서 관절 연결(22)에 의해 핀 조립체(20)의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평행하고 독립적인 회전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충격 센서(40)가 자동 설정에서 작업자 옵션에 따라 최대 속도와 물에 대한 최소 충격 사이의 무게를 측정하여 선박의 최적 경사를 달성하고, 물에서 선박의 최소 충격 설정에서 핀 조립체(20)의 회전(방향, 각도)을 설정하여 각 개별 리플에서 선박의 최적 경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특히 선박이 파도의 꼭대기까지 상승할 때 핀 조립체(20)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통과하는 물에 대한 저항을 유발하며, 선미를 들어 올리고 선수를 낮추어 파도를 가로 지르는 동안 파도의 저점으로 내려 가기 시작하면 핀 조립체(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통과하는 물에 대한 저항을 일으키고 반대 방향으로 선미를 낮추고 선수를 올리면서 최대 속도 성능을 선택하면 상기 기능을 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선박이 강한 횡력을 받을 때 자이로 스코프(36)가 수직축(x)에 대한 경사를 감지하고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을 통해 힘을 받는 선박의 측면과 반대쪽에 있는 핀 조립체(20)가 선박의 수직축(x)에 대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힘을 받는 선박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한 핀 조립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선박이 선수로부터 강한 힘을받을 때 자이로 스코프(36)가 길이 방향 축(y) 및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을 통해 경사를 감지하고, 핀 조립체(2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선박이 선체로부터 강한 힘을 받으면 자이로스코프(36)가 세로축(y)을 향한 경사를 감지하고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을 통해 핀 조립체(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선박이 강렬한 횡축 및 종축 힘을 모두받을 때 자이로 스코프(36)가 수직 축(x) 및 종축(y)과 관련하여 그리고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을 통해 경사를 감지하고, 선박의 수직축(x)과 관련하여 힘을 받는 선박의 측면과 반대쪽에 있는 핀 조립체(2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횡력을 받는 선박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한 핀 조립체(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핀 조립체(20)는 시계 반대 방향과 시계 방향으로 평행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1. 제 1항 및 제 3항에 있어서, 전자 제어기(35)가 선박의 미리 결정된 경사도에서 핀 조립체의 회전을 시작하고, 선박의 속도에 따라 핀 조립체의 최대 경사도를 결정하고, 핀 조립체의 경사 교대에 대한 응답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2. 제 1항 및 제 3항에 있어서, 선박의 선회 중에 롤링을 제로로 유지하는 옵션과 가능한 한 빨리 완료하는 옵션이 있고, 또는 자동 옵션에서 특수 센서를 통해 조향에 따라 선회 반경을 조정하는 옵션이 있으며, 작은 반경으로 가장 빠른 선회를 완료하기 위해 선박의 수직축(x)을 기준으로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핀 조립체(2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회전과 같은 방향에 있는 핀 조립체(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수직축(x)에 대한 선박의 경사가 0으로 유지되는 동안 롤링이 없고 반경이 큰 선회를 달성하려면 선박의 수직축(x)과 관련하여 선회 방향과 반대인 핀 조립체(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선회와 같은 방향에 있는 핀 조립체(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3.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 시스템(30)을 통해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핀 조립체(20)가 제로 평면(1)을 통과할 때 제로 포인트가 보정되고, 먼저 영점면(1)에 도달한 핀 조립체(20)는 다른 핀 조립체(20)가 영점면(1)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영점면이 보정되는 즉시 계속 움직이며, 핀 조립체(20) 사이의 보정 시간이 미리 정해진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자는 제어 스크린(45)을 통해 유압 피스톤 실린더(27), 서보 모터(28) 또는 하이브리드 서보 모터(29), 핀 조립체(20)의 회전을 달성하는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에 문제가 있으며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받고 안전 작동 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핀(21)은 설치될 선박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길이, 폭 및 두께, 형상 및 재질이 가변적이며, 또한 핀 조립체(20)를 구성하는 개별 핀(21)의 개수가 원하는 저항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20)가 물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는 부착 된 플랩 게이트(23)를 가지고, 선박이 정지 상태일 때, 플랩 게이트(23)는 개별 핀(21)에 닿아 물을 가두어 물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동시에 롤링을 감쇠시켜 즉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보트가 움직일 때 플랩 게이트는 물의 움직임과 운동량에 의해 들어 올려져 보트의 움직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핀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 후퇴 버튼(55)을 통해, 그리고 센서에 의해 선박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만, 핀 조립체(20)를 후퇴시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선박의 트랜섬(60)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조립체(20)가 선박(60)의 트랜섬에 설치된 롤링 가이드(71)에 부착된 플레이트(70)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70)는 선체 외부의 구동 시스템(72)에 의해 이동되어 선박(60)의 트랜섬에 공간이 부족할 때 핀 조립체(20)의 회전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8. 제 1항 및 제 3항에 있어서, 선박의 경사를 보정하기 위해 핀 조립체(20)의 회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오일 펌프의 작동이 유휴 상태(26)로 설정되고, 작업자가 설정한 시간 간격 동안 잔물결이 없고 선박의 작은 경사를 교정하기 위해 핀 조립체(20)의 작은 회전이 필요한 경우, 오일 펌프(26)의 속도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심지어 작동을 완전히 중단하여 오일 펌프(26)의 속도를 줄여 낮은 오일 흐름으로 작동하여 작동 압력을 낮추고 오일 흐름 저항을 낮추며, 잔물결이 심할 경우 인버터를 통해 오일 펌프의 속도가 증가하고 전자 컨트롤러가 전자 밸브가 열리도록 하여 구동 시스템의 압력을 통해 핀 조립체가 점점 더 빠르게 회전하여 보트의 경사가 0으로 감소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전자 제어기가 닫히고 오일 펌프가 다시 유휴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19.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20)의 개별 핀(21)이 고정 된 거리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20.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20)의 개별 핀(21)이 그들 사이의 거리 변화를 조절하는 연결 장치를 가지고, 이러한 장치의 한 가지 경우는 빔(80)을 통해 개별 핀(21) 사이의 관절 연결이고, 빔 중 하나는 바(81)를 통해 구동 시스템(82)에 의해 연결되며, 구동 시스템(82)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된 연결 지점(83)에서 선박에 부착된 개별 핀(21)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 시스템(82)이 확장되면 바(81)가 고정된 연결 지점(83)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개별 핀(21)과 마찬가지로 관절 연결부(84)를 통해 회전하여 드라이브 시스템(84)이 완전히 확장되는 동안 개별 핀(21)과 접촉할 때까지 수렴하는 바(81)와 개별 핀(21) 사이의 거리를 줄이며, 구동 시스템(82)이 인출되면 바(81)는 고정된 연결 지점(83)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개별 핀(21)도 관절 연결부(84)를 통해 회전하므로 구동 장치가 완전히 인출(82)될 때 이들 사이의 거리가 가능한 최대 거리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21. 제 3항, 제 4항, 제 5항에 있어서, 유압 피스톤 실린더(27), 서보 엔진(28) 및 하이브리드 서보 엔진(29), 핀 조립체(25)의 구동 시스템을 해양 미생물로부터 청소하며, 그 동안 비활성화된 경우에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움직이는 부분의 완전한 팽창 및 완전한 철수가 발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22. 제 1항에 있어서, 핀 조립체(20)에 센서가 있어 범위 내에서 물체, 사람 또는 기타 장애물을 감지 할 때 핀 조립체(20)의 회전을 즉시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23. 제 1항에 있어서, 부품 간의 정보 전송 시스템이 배선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24. 그 부품 사이의 정보 전송 시스템이 무선 네트워킹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따른 선박 진동 댐퍼.
  25. 그 부품 사이의 정보 전송 시스템이 선박의 기존 배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따른 선박 진동 댐퍼.
  26. 문제 처리 및 해결은 원격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따른 선박 진동 댐퍼.
KR1020237026760A 2021-03-17 2022-03-01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KR20230156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R20210100165A GR20210100165A (el) 2021-03-17 2021-03-17 Διαταξη αποσβεσης ταλαντωσεων σκαφους
GR20210100165 2021-03-17
PCT/GR2022/000008 WO2022195302A1 (en) 2021-03-17 2022-03-01 Vessel oscillation damp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309A true KR20230156309A (ko) 2023-11-14

Family

ID=8099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760A KR20230156309A (ko) 2021-03-17 2022-03-01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4308447A1 (ko)
JP (1) JP2024510639A (ko)
KR (1) KR20230156309A (ko)
CN (1) CN116888042A (ko)
AU (1) AU2022237962A1 (ko)
CA (1) CA3211154A1 (ko)
GR (1) GR20210100165A (ko)
IL (1) IL305413A (ko)
MX (1) MX2023010911A (ko)
WO (1) WO20221953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278A (en) * 1979-12-17 1981-04-14 Gaudin George C Gyro-controlled pitch stabilizing system
US6397772B1 (en) * 2000-04-06 2002-06-04 Dale Christensen Boat motor trolling attachment
US7174843B1 (en) * 2005-10-19 2007-02-13 Tossavainen Raimer E Hydrofoil unit for attaching to the stern of the hull of a boat
WO2007072185A2 (en) * 2005-12-20 2007-06-28 Cape Advanced Engineering (Proprietary) Limited A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craft
US7594834B2 (en) * 2007-01-26 2009-09-29 Honda Motor Co., Ltd. Marine propulsion apparatus
US9598160B2 (en) * 2015-06-23 2017-03-21 Brunswick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ttitude of a marine vessel with trim devices
US10676166B1 (en) * 2017-04-04 2020-06-09 Skier's Choice, Inc. Surf wake forming systems and methods with gyroscope force vector translation
CN109204756A (zh) * 2018-11-06 2019-01-15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多叶片式多角度旋转升力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5302A8 (en) 2023-07-20
CA3211154A1 (en) 2022-09-22
CN116888042A (zh) 2023-10-13
EP4308447A1 (en) 2024-01-24
JP2024510639A (ja) 2024-03-08
MX2023010911A (es) 2023-09-28
GR20210100165A (el) 2022-10-10
WO2022195302A1 (en) 2022-09-22
AU2022237962A1 (en) 2023-09-21
IL305413A (en) 202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7125B1 (en) Underwater mobile apparatus and moving method thereof
KR101535888B1 (ko) 선박의 능동적 및 수동적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US5511504A (en) Computer controlled fins for improving seakeeping in marine vessels
EP1960256B1 (en) Dual draft vessel
EP2978661B1 (en) Stabilising of marine bodies
JP2005535495A (ja) 船舶
KR101259129B1 (ko) 양력 핀과 이를 구비한 선박
WO2015120862A1 (en) A boat heel compensation method and system, and a boat with said system
EP2699472A1 (en) Mobile ballast device
IL305414A (en) Angiopoietin-like 3 (ANGPTL3) IRN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m
US20180354592A1 (en) Sail boat propulsion and stabilisation system and device
KR101245573B1 (ko) 모바일 하버 리프팅 시스템을 위한 댐핑 조인트 장치
JPH09202291A (ja) 浮体減揺装置
KR101225115B1 (ko) 추진체가 장착된 선박의 핀 스태빌라이저
KR20230156309A (ko) 선박 진동 댐퍼 시스템
KR101282772B1 (ko) 선박의 선형을 고려한 능동형 롤링 펜더
US20240182142A1 (en) Vessel oscillation damper system
JP2017035975A (ja) 抵抗低減、安定性向上の双胴船
JPH0616172A (ja) アンチピッチング兼用可動船首バルブ付き船舶
EP1517831B1 (en) Multi-purpose heavy lift vessel
KR101572540B1 (ko) 유압 윈치를 이용한 선박 자동계선방법 및 선박 자동계선장치
JP4200543B2 (ja) 船舶海洋構造物の横揺れ抑制装置
KR100292094B1 (ko) 어선의 전복방지장치
JP3517895B2 (ja) 海洋構造物の減揺装置
KR20220026730A (ko) 트림 제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