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453B1 -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453B1
KR101344453B1 KR1020070028508A KR20070028508A KR101344453B1 KR 101344453 B1 KR101344453 B1 KR 101344453B1 KR 1020070028508 A KR1020070028508 A KR 1020070028508A KR 20070028508 A KR20070028508 A KR 20070028508A KR 101344453 B1 KR101344453 B1 KR 10134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olyethylene
composition
weight
powd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619A (ko
Inventor
김경섭
유재원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2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4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3Coating mediated by organosilicon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을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의 고체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형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피지흡유능이 높아 화장 후 피지분비에 의한 화장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색조화장료, 폴리에틸렌

Description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COLOR COSMETIC COMPOSITION OF POWDER CONTAINING POLYETHYL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분말의 사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피지흡유능이 높아 화장 후 피지분비에 의한 화장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번들거림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지속성 향상 효과도 우수한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분백류 색조화장료는 분체부와 오일부의 2 성분으로 구성되며, 분백류 색조 화장료는 안료와 색소를 혼합하고 오일 및 왁스류를 분사하여 제조되었다. 또한, 분백류 색조화장료는 그 구성비, 제형, 및 사용목적에 따라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우더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형 분체 화장료,특히 투웨이케익의 원료로는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 사이트,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의 체질안료, 나일론 가루 등의 기능성 안료, 산화티탄 등의 백색안료, 황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등의 착색안료 및 운모티탄, 산화철 처리된 운모티탄 등의 진주광택안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이들을 고형화시키기 위해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실리콘계오일, 에스테르계 왁스 및 하이드로카본계 왁스 등의 오일이 5 내지 15 중량% 범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제품은 피부에 도포되어 대략 8 내지 12 시간 동안 부착되어 있고, 이 시간 중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등의 피부분비물에 의해 화장막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를 보면, 들뜸, 뭉침, 색상변화, 번들거림 현상 등 지속성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중 화장 후 경시에 따라 분비된 피지에 의해 분체화장막이 젖었을 때 나타나는 색상변화 현상은 현재 분백류 색조화장료를 사용하는 여성들의 큰 불만사항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피지분비량과 분백류 색조화장료의 도포량을 고려하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우선, 피부타입에 따른 피지분비량을 보면 지성피부의 이마부위에서는 1.38 ± 0.87 ug/cm2/min, 중성피부의 이마부위에서는 0.75 ± 0.55 ug/cm2/min 정도의 피지가 분비된다. 화장시간을 대략 8시간으로 가정하고, 분백류 색조화장료의 도포량을 0.31 ± 0.16 mg/cm2 으로 가정하면, 화장시간 동안 화장이 흐트러지지 않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분백료 색조화장료는 지성피부에서는 약 200 wt%, 중성피부에서 는 약 100 wt%정도의 흡유력을 지닌 제품이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분백류 색조화장료에서는 바인더 등의 목적으로 오일 및 왁스 등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분체가 미리 젖음으로서 제품자체의 흡유능이 감소하게 된다. 즉, 오일 및 왁스 등을 바인더로 사용한 기존의 분백류 색조화장료는 평균 흡유능이 약 60 내지 70 wt% 수준이며, 오일 및 왁스의 사용은 화장료의 흡유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제품의 화장지속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화장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은 크게 두가지로 제시되어 왔다. 첫째는 제품자체의 흡유능을 극대화시켜 분비된 피지를 지속적으로 흡유하도록 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사용된 분체의 표면을 발유특성이 우수한 불소 등으로 코팅하여 화장막이 피지에 젖지않게 하여 보송한 화장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화장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02372호는 지속성 향상을 위해 오일의 함량을 줄이고 고체바인더로 알려진 금속염을 사용해 제품의 흡유능을 향상시키고 성형성을 보강하는 기술을 제시하였으나, 바인더역할을 하는 오일의 함량을 줄일 경우 금속염만으로는 제품의 성형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4-231609호는 불소의 발유특성을 이용하여 흡유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시하였으나, 불소코팅 분체의 약한 피부부착성과 다른 물질들과 의 상용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을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의 고체바인더로 사용하여, 화장 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번들거림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지속성 향상 효과도 우수한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실라카 분체 및 안료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고체 바인더로서 폴리에틸렌 분말을 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 분말은 평균입경이 0.1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이고, 밀도가 0.91 g/cm3 내지 0.97 g/cm3이며, 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바인딩 기능이 탁월하여 케익형 분백류 색조화장품에 요구되는 성형성 확보가 가능하고 제형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분체자체의 피지흡유능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키는 등 사용감에 영향이 없는 고체바인더를 연구하던 중, 기존의 오일 또는 왁스 바인더 대신에 폴리에틸렌 고체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 분체의 피지흡유능을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화장 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 고 화장지속성 향상 효과도 우수한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고흡유분체의 함량이 증가하여 최종 제품의 흡유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체바인더로서 폴리 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카 분체는 중공 구상 실리카, 중다공 구상 실리카 또는 다공성 구상 실리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구상 실리카이다. 상기 구상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분산성의 향상을 위하여 실리콘을 코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상 실리카는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를 흡수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페이-오프 성능을 향상시기기 위한 고흡유 분체이다.
상기 실리카 분체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구상 실리카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땀이나 피지의 흡수능이 저하되어 적합하지 않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 부착력 및 제형안정성이 떨어져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안료는 체질안료, 나일론 가루 등의 기능성 안료, 산화티탄 등의 백색안료, 착색안료, 및 진주광택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안료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피복성과 착색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분산성의 향상을 위하여 실리콘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질안료의 예로는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탄산칼슘, 및 탄산마그네슘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독성분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착색안료의 예로는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적색산화철, 군청산화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독성분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주광택안료는 운모티탄, 및 산화철로 처리된 운모티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5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커버력 및 화장효과가 나빠지므로 적합하지 않고, 9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안정성이 나빠지므로 적합하지 않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제형을 유지하는 바인더로서 종래의 액체 바인더인 오일 또는 왁스를 대체하여 제형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피지흡유능이 높아 화장 후 피지분비에 의한 화장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 g/cm3 내지 0.97 g/cm3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은 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고체바인더로서의 역할이 부족하여 성형안정성이 저하되어 적합하지 않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감이 나빠져 적합하지 않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통상의 에틸렌중합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가능하다. 폴리에틸렌의 제조방법의 일예로 필리스법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기압 및 60 내지 80℃에서 중합하는 저압법으로 수행하거나 30 내지 40기압 및 100 내지 170℃에서 중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백류 색조 화장용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산란제, 방부제, 향료, 산화방지제, 및 청량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우더파운데이션, 또는 투웨이케익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웨이 케익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2
폴리에틸렌 분말의 제조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 분말의 제조는 종래에 공지된 폴리에틸렌의 중합방법인 필립스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에틸렌 분말은 알루미나-실리카를 운반체로 하는 산화크롬을 촉매로 하여 70기압 및 80℃에서 중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 분말은 입자크기가 평균 6 마이크로미터(μm)이었고, 평균 밀도는 0.96 g/cm3이었으며, 평균 분자량은 약 150,000 이었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틸렌 분말의 입자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500 배율로 사진 촬영을 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에틸렌 분말의 입자는 다소 불규칙한 모양의 그래뉼 형태를 나타내었다.
투웨이 케익의 제조
실시예1 및 2의 투웨이케익은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에 따라, 균일하게 혼합한 후,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1의 제품은 실리콘 코팅 마이카 10 중량, 실리콘코팅 세리사이트 15 중량, 실리콘코팅 탈크 30.5 중량, 실리콘코팅 중다공성 실리카(고흡유분체) 10 중량, 실리콘코팅 나이론 가루 10 중량, 실리콘 코팅 이산화티탄 12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평균 3마이크로미터) 8 중량, 실리콘코팅 적색산화철 0.8 중량, 실리콘코팅 황색산화철 2.7 중량, 실리콘코팅 흑색산화철 0.5 중량, 방 부제 0.2 중량 및 향 0.3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비교예 1 및 2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의 투웨이케익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투웨이케익을 제조하였다. 즉, 실시예 1 내지 2와는 고체 바인더인 폴리에틸렌 대신에, 유동 파라핀과 왁스를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실리콘코팅 마이카 10.0 10.0 10.0 10.0
실리콘코팅 세리사이트 15.0 15.0 15.0 15.0
실리콘코팅 탈크 30.5 8.5 29.5 7.5
실리콘코팅 중다공성 실리카(고흡유 분체) 10.0 25.0 10.0 25.0
실리콘코팅 나이론 가루 10.0 10.0 10.0 10.0
실리콘코팅 이산화티탄 12.0 12.0 12.0 12.0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고체 바인더) 8.0 15.0 - -
실리콘코팅 적색산화철 0.8 0.8 0.8 0.8
실리콘코팅 황색산화철 2.7 2.7 2.7 2.7
실리콘코팅 흑색산화철 0.5 0.5 0.5 0.5
방부제 0.2 0.2 0.2 0.2
0.3 0.3 0.3 0.3
유동파라핀 - - 4.0 7.0
실리콘 오일 - - 5.0 9.0
(단위: 중량%)
실시예 3 : 흡유능의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2와 상기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투웨이케익의 피지흡유능 및 성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지흡유능 측정은 JIS법을 수행하였스며, 상기 성형성 측정은 침입경도계(JIS K 6301, ASKER社, 일본)로 각 3회씩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고체바인더로 포함한 실험예 1 및 2는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성형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피지흡유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와 달리 오일바인더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고흡유분체의 함량이 증가한 만큼 제품의 흡유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중다공형의 고흡유분체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성형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흡유능(g/g) 0.95 1.73 0.63 0.86
성형성(경도) 우수(35) 우수(36) 우수(31) 나쁨(10)
실시예 4 : 사용감의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2와 상기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투웨이케익의 사용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20 내지 50 세의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브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고 화장시 지속성, 사용감, 및 화장효과를 하기 표 3의 평가기준에 따라 관능평가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고체바인더로 포함하는 실험예 1 및 2에서 제조한 투웨이케익이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투웨이케익에 비하여 화장시 번들거림, 지속성 및 사용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기준
5 매우 우수
4 우수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번들거림 4.1 4.5 3.2 3.3
지속성 4.0 4.3 3.6 3.6
화장효과 4.1 4.4 3.6 3.5
본 발명에 따른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왁스 등의 액체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에틸렌 분말을 고체바인더로 사용하여 고흡유분체의 함량이 증가되어 흡유능이 개선되면서도 제형안정성이 유지되어, 화장 후 피지분비에 의한 화장흐트러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번들거림을 억제하며, 화장지속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인정된다.

Claims (6)

  1.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실리카 분체 10 내지 30 중량부, 안료 50 내지 81.5 중량부, 및 고체 바인더로서 폴리에틸렌 분말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분말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인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 g/cm3 내지 0.97 g/cm3이고, 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00인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a)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탄산칼슘, 및 탄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체질안료; b)나일론 가루; c)산화티탄; d)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적색산화철 및 군청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착색안료; 및 e)운모티탄, 및 산화철 처리된 운모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진주광택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실리콘 코팅된 것인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백류 색조 화장용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산란제, 방부제, 향료, 산화방지제, 및 청량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용 조성물.
KR1020070028508A 2007-03-23 2007-03-23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KR10134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08A KR101344453B1 (ko) 2007-03-23 2007-03-23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08A KR101344453B1 (ko) 2007-03-23 2007-03-23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619A KR20080086619A (ko) 2008-09-26
KR101344453B1 true KR101344453B1 (ko) 2013-12-23

Family

ID=4002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508A KR101344453B1 (ko) 2007-03-23 2007-03-23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266B1 (ko) * 2014-01-21 2015-05-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색조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941B1 (en) 1999-11-23 2001-09-18 Color Access, Inc. Powder to liquid compositions
KR100372773B1 (ko) * 2000-01-13 2003-02-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941B1 (en) 1999-11-23 2001-09-18 Color Access, Inc. Powder to liquid compositions
KR100372773B1 (ko) * 2000-01-13 2003-02-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619A (ko) 200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KR102586449B1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EP0905206A2 (en) Composite powder an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1088955B1 (ko) 유성타입의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2292207A1 (en) Cosmetic material and cosmetic method for touch up
KR20120021926A (ko) 실리콘 파우더 복합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7468B1 (ko) 메이크업 수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3070B1 (ko) 커버력 및 밀착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9319B1 (ko) 커버력 및 밀착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4453B1 (ko)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8785B1 (ko) 금속염으로 표면 처리한 체질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63599B1 (ko) 파우더형 색조 화장료
KR101727028B1 (ko) 무정형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파우더형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7559B1 (ko) 소수성 다공성 파우더 및 수용성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보습용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3807B1 (ko) 휘발성 오일이 담지된 실리카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US20200289385A1 (en) Use of calcined kaolin as a mattifying agent
KR102460163B1 (ko) 무기분체를 이용한 피지 조절용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6277B1 (ko) 바인더로 유중다가알코올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692B1 (ko) 나일론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원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8550A (ko) 코팅처리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KR101308895B1 (ko)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
JPH0288512A (ja) 固型粉末化粧料
KR20090121851A (ko) 복합 코팅처리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