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499B1 -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 Google Patents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499B1
KR101342499B1 KR1020120050739A KR20120050739A KR101342499B1 KR 101342499 B1 KR101342499 B1 KR 101342499B1 KR 1020120050739 A KR1020120050739 A KR 1020120050739A KR 20120050739 A KR20120050739 A KR 20120050739A KR 101342499 B1 KR101342499 B1 KR 10134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ocket
guide
circumferential surface
hollow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093A (ko
Inventor
김병수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로보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티즈 filed Critical (주)로보티즈
Priority to KR102012005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499B1/ko
Priority to PCT/KR2012/003765 priority patent/WO2013172488A1/ko
Priority to CN201280073732.2A priority patent/CN104349825B/zh
Publication of KR2013012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Landscapes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 결합체는, 제1 및 제2 피결합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결합재를 연결하며,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배치된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과, 하단으로부터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가이드슬롯들을 가지는 중공 소켓; 그리고 상기 중공 소켓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슬롯들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들을 구비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ELASTIC COMBINING DEVICE WITH LOCKING AND UNLOCKING CAPABILITIES}
본 발명은 탄성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2 이상의 피결합재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종래의 결합체 중 대표적인 것이 볼트와 너트이며, 볼트와 너트는 나사체결을 통해 피결합재를 견고하게 연결한다. 그러나, 볼트는 일자 홈이나 십자 홈을 가지며,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일자 홈이나 십자 홈에 삽입하여 볼트를 너트에 체결해야 한다. 따라서, 볼트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일자 홈이나 십자 홈이 공구에 의해 마모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플라스틱과 같이 강도가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경우, 볼트 및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나사산이 마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라스틱 가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 피결합재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지거나, 피결합재가 반복적인 운동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체결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이 느슨해질 수 있으며, 심지어 피결합재가 분리될 수 있다.
조립식 로봇, 블럭 완구 등의 경우에는 다수의 피결합재들을 다중 결합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로봇, 완구 등을 완성하며, 피결합재들은 반복적 다중 결합과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볼트와 너트 결합의 경우, 피결합재 간의 결합이 항상 고정결합이므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피결합재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제한이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 결합을 위해서는 각 피결합재의 적어도 일 측면이 개방되어 있어야 하므로, 3개 이상의 다층으로 적층된 피결합재들을 2개씩 반복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다중 결합을 연장 내지 확장해갈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0-0065400호 2000.11.15.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공구 없이 피결합재들을 연결할 수 있는 탄성 결합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복적인 분해결합이 가능하며, 피결합재 또는 탄성결합체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결합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 결합체를 통한 피결합재의 연결이 용이한 반면 탄성 결합체가 피결합재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결합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 결합체는, 제1 및 제2 피결합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결합재를 연결하며,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배치된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과, 하단으로부터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가이드슬롯들을 가지는 중공 소켓; 그리고 상기 중공 소켓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슬롯들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들을 구비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슬롯들 및 상기 가이드돌기들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공 소켓은 상기 가이드슬롯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공 소켓은 상부면 및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된 둘 이상의 가이드홈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들은 상기 가이드슬롯들의 길이방향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핀은 하단으로부터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둘 이상의 유도슬롯들을 가지며, 상기 유도슬롯들은 상기 가이드돌기들의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도슬롯들은 상기 지지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롯들의 사이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 결합체는, 제1 및 제2 피결합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결합재를 연결하는 중공 소켓; 그리고 상기 중공 소켓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 소켓은, 하부에 위치하며, 2 이상으로 분기되어 이격된 외측분기부들을 가지는 중공형 몸체; 그리고 상기 중공형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배치된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측분기부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들을 구비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분기부들은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핀은 하부에 위치하며 2 이상으로 분기되어 이격된 내측분기부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돌기들은 상기 내측분기부들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지지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핀의 삽입을 제한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보다 크고 상기 헤드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헤드와 상기 지지핀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 없이 피결합재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분해결합시 피결합재 또는 탄성 결합체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피결합재의 연결이 용이한 반면 탄성 결합체가 피결합재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결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중공 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고정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탄성 결합체를 이용하여 피결합재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탄성 결합체를 통해 피결합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결합체가 분리된 모습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중공 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고정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결합체는 중공 소켓(200) 및 고정핀(100)을 구비하며,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탄성 결합체는 조립식 로봇이나 블럭 완구에 사용되어 서로 다른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100)은 중공 소켓(200) 내에 삽입되어 상호 체결하며, 이를 통해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 소켓(200)은 중공형 몸체(220)와 중공형 몸체(220)의 양단부에 연결된 상부걸림턱(210) 및 하부걸림턱(230)을 구비한다. 중공 소켓(200)은 피결합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피결합재를 연결한다. 상부걸림턱(210) 및 하부걸림턱(230)은 중공형 몸체(220)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부걸림턱(210)은 중공형 몸체(22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하부걸림턱(230)은 중공형 몸체(220)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상부걸림턱(210) 및 하부걸림턱(230)은 복수의 피결합재를 지지하여 피결합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중공형 몸체(220)는 원통 형상(또는 피결합재의 삽입공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소켓 몸체(220)의 하단부(또는 도 2의 우측단부)는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로 분기된다.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은 이격되어 배치되며, 소켓 몸체(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되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2개의 가이드슬롯(225,226)은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이 이격된 공간에 형성되며, 소켓 몸체(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되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은 중공형 몸체(220)의 하단부로부터 중공형 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의 하단부는 개방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의 상단부는 폐쇄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은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으로 인해 오므려질 수 있으며, 중공 소켓(200)은 피결합재의 삽입공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중공 소켓(200)이 피결합재의 삽입공에 삽입된 후,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은 복원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100)을 중공 소켓(200)의 내측에 삽입한 경우, 후술하는 가이드돌기들(121,123)은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25,126)을 따라 각각 이동하며, 가이드돌기들(121,123)의 이동은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또는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가이드돌기들(121,123)의 이동이 상단부가 폐쇄된 가이드슬롯(225,226)으로 인해 제한되며, 고정핀(100)이 중공 소켓(2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100)의 회전은 제한된다.
제한돌기들(240)은 외측분기부들(222,224)(또는 가이드슬롯들(225,226))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100)을 중공 소켓(200)의 내측에 삽입체결한 경우, 제한돌기들(240)은 가이드돌기들(121,123)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핀(100)과 중공 소켓(200)의 체결상태를 유지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가이드돌기(121)의 이동은 2개의 제한돌기(240)에 의해 제한되나, 1개의 제한돌기(240)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중공 소켓(200)은 가이드홈들(212,214)을 가지며, 가이드홈들(212,214)은 상부면 및 내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가이드홈들(212,214)은 가이드슬롯들(225,226)의 길이방향에 각각 위치하며, 고정핀(100)과 중공 소켓(200)의 체결시 가이드돌기들(121,123)의 위치를 안내한다. 즉, 사용자는 고정핀(100)의 가이드돌기들(121,123)을 가이드홈들(212,214)에 각각 맞춘 후, 고정핀(100)을 중공 소켓(200)이 내측에 삽입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홈들(212,214)이 가이드슬롯들(225,226)의 길이방향에 위치하므로, 가이드돌기들(121,123)은 가이드홈들(212,214)을 거쳐 가이드슬롯들(225,226)로 각각 쉽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2개의 외측분기부들(222,224)과, 2개의 가이드슬롯들(225,226)을 설명하고 있으나, 중공형 몸체(220)는 3개 이상의 외측분기부들과 3개 이상의 가이드슬롯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100)은 헤드(110) 및 지지핀(120), 그리고 보조헤드(150)를 포함한다. 지지핀(120)은 대체로 원형봉 형상(또는 중공 소켓(200)의 중공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지지핀(120)은 피결합재의 삽입공에 삽입된 중공 소켓(200)에 삽입된다. 중공 소켓(200)의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이 오므려질 경우, 중공 소켓(200)이 피결합재의 삽입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지지핀(120)은 중공 소켓(200)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이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핀(120)의 하단부(또는 도 3의 우측단부)는 제1 및 제2 내측분기부들(122,124)로 분기된다. 제1 및 제2 내측분기부들(122,124)은 이격되어 배치되며, 지지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되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2개의 유도슬롯들(125,126)은 제1 및 제2 내측분기부들(122,124)이 이격된 공간에 형성되며, 지지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되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도슬롯들(125,126)은 지지핀(120)의 하단부로부터 지지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및 제2 유도슬롯(125,126)의 하단부는 개방되고, 제1 및 제2 유도슬롯(125,126)의 상단부는 폐쇄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내측분기부들(122,124)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및 제2 내측분기부들(122,124)은 제1 및 제2 유도슬롯(125,126)으로 인해 오므려질 수 있으며, 지지핀(120)은 중공 소켓(200)의 내측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100)이 중공 소켓(200)에 삽입된 후, 제1 및 제2 내측분기부들(122,124)은 복원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2개의 내측분기부들(122,124)과, 2개의 유도슬롯들(125,126)을 설명하고 있으나, 지지핀(120)은 3개 이상의 내측분기부들과 3개 이상의 유도슬롯들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돌기들(121,123)은 제1 및 제2 내측분기부들(122,124)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지지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100)을 중공 소켓(200)의 내측에 삽입한 경우, 후술하는 가이드돌기들(121,123)은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25,126)을 따라 각각 이동한다. 고정핀(100)을 중공 소켓(200)의 내측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돌기들(121,123)은 앞서 설명한 가이드홈들(212,214)을 통해 가이드슬롯들(225,226)로 이동한다.
한편, 고정핀(100)이 중공 소켓(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유도슬롯(125,126)과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이 동일한 방향에 위치할 경우,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은 외력에 의해 오므려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내측분기부들(122,124)은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과 함께 오므려질 수 있다. 즉, 지지핀(120)은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이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고정핀(100)이 중공 소켓(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유도슬롯(125,126)과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은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 유도슬롯(125,126)과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은 고정핀(100)(또는 중공 소켓(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의 위상 차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에 도시).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탄성 결합체를 이용하여 피결합재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탄성 결합체를 통해 피결합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탄성 결합체를 이용한 피결합재의 연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결합재(500,600,700)는 복수의 삽입공들을 가지며, 삽입공들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삽입공은 상부삽입공(510,610,710)과 중간삽입공(520,620,720), 그리고 하부삽입공(530,630,730)을 가진다. 상부삽입공(510,610,710)과 하부삽입공(530,630,730)은 동일한 직경(또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중간삽입공(520,620,720)은 상부삽입공(510,610,710)과 하부삽입공(530,630,730) 보다 작은 직경(또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결합재들(500,600)의 삽입공들이 정렬하여 일치시킨다. 이후, 중공 소켓(200)을 먼저 피결합재들(500,600)의 삽입공 내에 삽입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은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으로 인해 오므려질 수 있으며, 중공 소켓(200)은 피결합재의 삽입공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중공 소켓(200)이 삽입공 내에 삽입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걸림턱(210)은 상부삽입공(610) 내에 위치하며, 하부걸림턱은 하부삽입공(530) 내에 위치한다. 상부걸림턱(210)과 하부걸림턱(230)은 피결합재들(500,600)을 지지하며, 피결합재들(500,6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고정핀(100)을 중공 소켓(200)의 내측에 삽입하며, 고정핀(100)은 제1 및 제2 외측분기부들(222,224)이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내측분기부들(122,124)은 제1 및 제2 유도슬롯(125,126)으로 인해 오므려질 수 있으며, 지지핀(120)은 중공 소켓(200)의 내측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돌기들(121,123)은 앞서 설명한 가이드홈들(212,214)을 통해 가이드슬롯들(225,226)로 이동하며,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225,226)을 따라 각각 이동하여 제한돌기(24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한돌기(240)는 가이드돌기들(121,123)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중공 소켓(200)을 피결합재의 삽입공에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결합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100)을 중공 소켓(200)에 삽입하여 중공 소켓(200)이 피결합재의 삽입공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정핀(100)은 내측분기부들의 변형을 통해 중공 소켓(200) 내에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들(121,123)을 통해 가이드슬롯들(225,226)과 유도슬롯들(125,126)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100)의 삽입시 가이드돌기들(121,123)은 가이드홈들(212,214)을 통해 가이드슬롯들(225,226)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제한돌기(240)는 가이드돌기들(121,123)의 이동을 제한하여, 일정 크기 이하의 외력에 의해 고정핀(100)이 중공 소켓(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고정핀 110 : 헤드
120 : 지지핀 121,123 : 가이드돌기
122,124 : 내측분기부 125,126 : 유도슬롯
200 : 중공 소켓 210 : 상부걸림턱
212,214 : 가이드홈 220 : 중공형 몸체
222,224 : 외측분기부 225,226 : 가이드슬롯
230 : 하부걸림턱 240 : 제한돌기
500,600,700 : 피결합재

Claims (10)

  1. 제1 및 제2 피결합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결합재를 연결하며,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배치된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과, 하단으로부터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가이드슬롯들을 가지는 중공 소켓; 및
    상기 중공 소켓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슬롯들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들을 구비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소켓은 상기 가이드슬롯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가지는, 탄성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들 및 상기 가이드돌기들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소켓은 상부면 및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된 둘 이상의 가이드홈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들은 상기 가이드슬롯들의 길이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체.
  5. 제1 및 제2 피결합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결합재를 연결하며,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배치된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과, 하단으로부터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가이드슬롯들을 가지는 중공 소켓; 및
    상기 중공 소켓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슬롯들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들을 구비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핀은 하단으로부터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둘 이상의 유도슬롯들을 가지며,
    상기 유도슬롯들은 상기 가이드돌기들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탄성 결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슬롯들은 상기 지지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롯들의 사이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체.
  7. 제1 및 제2 피결합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결합재를 연결하는 중공 소켓; 및
    상기 중공 소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 소켓은,
    하부에 위치하며, 2 이상으로 분기되어 이격된 외측분기부들을 가지는 중공형 몸체; 및
    상기 중공형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측분기부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들을 구비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분기부들은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들을 구비하는, 탄성 결합체.
  8. 삭제
  9. 제1 및 제2 피결합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결합재를 연결하는 중공 소켓; 및
    상기 중공 소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 소켓은,
    하부에 위치하며, 2 이상으로 분기되어 이격된 외측분기부들을 가지는 중공형 몸체; 및
    상기 중공형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측분기부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들을 구비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핀은 하부에 위치하며 2 이상으로 분기되어 이격된 내측분기부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돌기들은 상기 내측분기부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체.
  10. 제1항,제5항,제7항,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지지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핀의 삽입을 제한하는 헤드; 및
    상기 중공 소켓의 내측보다 크고 상기 헤드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헤드와 상기 지지핀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체.
KR1020120050739A 2012-05-14 2012-05-14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KR10134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39A KR101342499B1 (ko) 2012-05-14 2012-05-14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PCT/KR2012/003765 WO2013172488A1 (ko) 2012-05-14 2012-05-14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CN201280073732.2A CN104349825B (zh) 2012-05-14 2012-05-14 具有解锁功能的弹性结合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39A KR101342499B1 (ko) 2012-05-14 2012-05-14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93A KR20130127093A (ko) 2013-11-22
KR101342499B1 true KR101342499B1 (ko) 2013-12-17

Family

ID=4958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739A KR101342499B1 (ko) 2012-05-14 2012-05-14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42499B1 (ko)
CN (1) CN104349825B (ko)
WO (1) WO2013172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1275B1 (de) * 2015-03-24 2019-11-13 Revell GmbH Verbindungssystem zum lösbaren verbinden von bauteilen und bausatz mit einem solchen
CN104888470A (zh) * 2015-05-29 2015-09-09 凯涛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中间连接件
CN104857729A (zh) * 2015-05-29 2015-08-26 凯涛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搭建组件
CN104857730A (zh) * 2015-05-29 2015-08-26 凯涛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搭建组合用件
KR101709283B1 (ko) 2015-08-12 2017-02-23 주식회사 로보로보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KR101599347B1 (ko) * 2015-11-24 2016-03-03 (주)프로보 조립식 블록
CN105363220A (zh) * 2015-12-15 2016-03-02 上海未来伙伴机器人有限公司 一种连接件及积木玩具
CN110719801B (zh) * 2017-03-20 2021-09-28 贝尔合控(深圳)科技有限责任公司 玩具构造套件
KR102059466B1 (ko) 2017-11-09 2019-12-27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 상단고정체의 분리·결합 시스템
KR102059464B1 (ko) * 2017-11-09 2019-12-27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 상단고정체 락 인서트와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집합체 상단고정체의 분리·결합 시스템
KR102116572B1 (ko) 2018-01-19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101988415B1 (ko) * 2018-01-19 2019-06-12 주식회사 헬로긱스 블록 체결 기구
DE202019100290U1 (de) 2018-01-19 2019-06-24 Lg Electronics Inc. Luftreiniger
DE202019100292U1 (de) 2018-01-19 2019-05-09 Lg Electronics Inc. Luftreiniger
CN110725844B (zh) * 2019-10-17 2021-04-20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定位销、及其组装方法和装配方法
KR102387019B1 (ko) * 2020-02-18 2022-04-18 주식회사 로보로보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KR102451257B1 (ko) * 2020-06-01 2022-10-07 주식회사 로보로보 고정력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KR102526452B1 (ko) * 2020-10-28 2023-04-27 (주)델로 관절 구조를 포함하는 토이 로봇
KR102483077B1 (ko) * 2021-07-19 2022-12-29 권순형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8588B2 (ja) * 2000-05-29 2010-06-2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N2743973Y (zh) * 2004-10-23 2005-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器扣具
US7736211B2 (en) * 2005-11-29 2010-06-15 Minds-I, Inc. Construction system
KR100940029B1 (ko) * 2007-01-12 2010-02-04 (주)로보티즈 탄성 결합체
CN201076088Y (zh) * 2007-07-03 2008-06-25 吴易璋 扣具
KR101127424B1 (ko) * 2009-09-24 2012-03-22 윤이식 조립 완구 구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93A (ko) 2013-11-22
WO2013172488A1 (ko) 2013-11-21
CN104349825A (zh) 2015-02-11
CN104349825B (zh)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499B1 (ko)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JP5820076B2 (ja) 家具取付具の固定デバイス
KR101438568B1 (ko) 구조재의 결합구조
US6955513B2 (en) Flexible fastener
JP5753188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CN1964648A (zh) 滑动和搭接夹具
TWM472686U (zh) 具溝槽的旋鎖結構、旋鎖組合件及包裝結構
TWM515044U (zh) 快速定位扣件
KR102068303B1 (ko) 철근 커플러
KR100940029B1 (ko) 탄성 결합체
KR101665940B1 (ko) 자석을 이용한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KR101282232B1 (ko) 프레임용 조인트
CN205930472U (zh) 可伸缩的装置和遮篷
KR20120057484A (ko) 턴버클
KR101178518B1 (ko) 양방향 고정금구
KR200473822Y1 (ko) 드라이버용 비트 소켓
KR102070423B1 (ko) 프로파일 연결장치
JP5561008B2 (ja) グロメット
JP4330722B2 (ja) 継手構造
CN107645996A (zh) 用于固定呈条状的添置件的组件
JP6819992B2 (ja) 連結具を備える仕切り
KR200481919Y1 (ko) 렌치홀더용 구경조절 소켓
JP5101247B2 (ja) 構造材の結合構造
JP6184729B2 (ja) 結合部材
KR101402836B1 (ko) 복합재 구조물 결합용 볼트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