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077B1 -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077B1
KR102483077B1 KR1020210093892A KR20210093892A KR102483077B1 KR 102483077 B1 KR102483077 B1 KR 102483077B1 KR 1020210093892 A KR1020210093892 A KR 1020210093892A KR 20210093892 A KR20210093892 A KR 20210093892A KR 102483077 B1 KR102483077 B1 KR 102483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less communication
pattern
groo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형
Original Assignee
권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형 filed Critical 권순형
Priority to KR102021009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직물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며, 스마트 직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패턴홈과, 상기 패턴홈 내부면에 일단부가 매립되고 상기 스마트 직물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전달하는 전극핀을 포함하는 제1 유니트,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패턴홈과 대응되어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턴홈에 삽입되는 패턴돌출부와, 상기 패턴돌출부가 상기 패턴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패턴돌출부에 함몰 형성되는 전극홈과, 상기 전극홈과 연결되어 상기 전극핀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제2 유니트 및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A detach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smart textile}
본 발명은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직물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며, 스마트 직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무선통신기기가 점점 작아지고 있으며, 또한 IoT 기술과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이 착용하는 옷이나 가방 등에도 각종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는 기술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에 더불어 섬유 및 직물 관련 기술 또한 개발됨에 따라, 직물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 직물에 대한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최근에는 스마트 의류, 스마트 가방 등 다양한 스마트 직물 제품들이 점차 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직물을 이용한 스마트 직물 기반 제품들은 스마트 직물에서 생체신호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수단, 무선통신수단, 전력공급수단,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센서수단 등에 전력 공급 및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스마트 직물 기반 제품에서 스마트 직물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무선통신수단과, 전력공급수단은 스마트 직물과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로 인해, 스마트 의류나 스마트 가방과 같은 스마트 직물 기반 제품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무선통신수단과 전력공급수단이 손상, 파손되는 경우들이 발생하고 있어, 무선통신수단을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6419호(2012.08.17.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8971호(2014.01.22.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스마트 직물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며, 스마트 직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패턴홈과, 상기 패턴홈 내부면에 일단부가 매립되고 상기 스마트 직물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전달하는 전극핀을 포함하는 제1 유니트,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패턴홈과 대응되어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턴홈에 삽입되는 패턴돌출부와, 상기 패턴돌출부가 상기 패턴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패턴돌출부에 함몰 형성되는 전극홈과, 상기 전극홈과 연결되어 상기 전극핀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제2 유니트 및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상기 제1 유니트의 상기 패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전극핀을 보호하는 연질의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전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극핀이 상기 보호부재 내부에 매몰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니트의 상기 패턴돌출부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가 가압되어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전극핀이 상기 보호부재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전극홈에 삽입되어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패턴홈 외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네틱과,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패턴돌출부 외측 둘레부에 상기 제1 마그네틱과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유니트는 상기 제2 바디에 끼움 결합되는 별도의 분리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바디의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분이 상기 패턴돌출부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바디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2 바디는 색상, 패턴, 형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복수개의 상기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분리바디와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유니트에 상기 제1 유니트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유니트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제1 유니트의 외측면과 상기 연장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제1 유니트의 외측면과 상기 연장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유니트의 상기 패턴홈 내부면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구비되고, 탄성을 가지는 고정핀 및 상기 패턴돌출부가 상기 패턴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유니트의 상기 패턴돌출부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홈은 내측 단부에 상기 고정핀의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측 단부가 측방으로 꺾여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핀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핀과 상기 고정핀은 각각 상기 패턴홈의 중심부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구비되되, 상기 패턴홈의 중심부 둘레를 따라 상기 전극핀과 상기 고정핀이 순차적으로 교차되어 배치되고, 상기 패턴홈의 내측면은 상기 전극핀과 대응되는 제1 내경부와 상기 고정핀과 대응되고 상기 제1 내경부와 상이하게 구성되는 제2 내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 내경부와 대응되는 제1 외경부와, 상기 제2 내경부와 대응되는 제2 외경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상기 제2 유니트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장배터리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홈에 상기 전극핀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부와, 상기 결합감지부에서 상기 전극홈에 상기 전극핀이 삽입됨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상기 내장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공급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구동되도록 하는 통신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상기 제2 유니트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장배터리 및 상기 내장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 가능한 제3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1 유니트, 제2 유니트, 결합부를 포함하고, 특히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제2 유니트는 제1 유니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이로 인해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제2 유니트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가 적용되는 스마트 직물 기반 제품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 직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세척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기기의 파손 및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1 유니트의 패턴홈과 제2 유니트의 패턴돌출부에 의해, 전극핀과 전극홈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극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전극핀을 보호하는 연질의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전극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극핀의 손상 및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2 유니트는 제2 바디와 분리바디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이때 제2 바디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바디와 분리바디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제2 바디는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제2 바디가 색상, 패턴, 형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제2 바디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리바디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2 유니트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와 제2 유니트가 조립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2 유니트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스마트 직물 기반 제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가 장착되는 스마트 직물 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좌, 우, 상, 하, 전, 후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각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바라보는 방향 또는 구성요소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크게 제1 유니트(100), 제2 유니트(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함몰 형성되는 패턴홈(120)과, 상기 패턴홈(120) 내부면에 일단부가 매립되고 상기 스마트 직물(T)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전달하는 전극핀(130)을 포함하는 제1 유니트(100), 제2 바디(210)와, 상기 제2 바디(210)에 상기 패턴홈(120)과 대응되어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턴홈(120)에 삽입되는 패턴돌출부(220)와, 상기 패턴돌출부(220)가 상기 패턴홈(120)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핀(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핀(130)이 삽입되도록 상기 패턴돌출부(220)에 함몰 형성되는 전극홈(230)과, 상기 전극홈(230)과 연결되어 상기 전극핀(13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250)을 포함하는 제2 유니트(200) 및 상기 제1 유니트(100)와 상기 제2 유니트(200)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가 적용되는 의류, 가방 등 스마트 직물 기반 제품을 세척하여야 하는 경우, 무선통신모듈(250)이 구비되는 제2 유니트(200)를 제1 유니트(100)와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무선통신모듈(250)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제1 유니트(100)의 상기 패턴홈(120)과 제2 유니트(200)의 상기 패턴돌출부(220)에 의해 상기 전극핀(130)과 상기 전극홈(230)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니트(100)와 상기 제2 유니트(200)가 체결되도록 하여 전극핀(130)이 결합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100)는 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 직물(T)에 고정 장착되고 제2 유니트(200)가 제1 유니트(10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 모두 스마트 직물(T)과 분리된 상태에서 스마트 직물(T) 양측으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2 유니트(200)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100)는 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 직물(T)에 고정 장착되고 제2 유니트(200)가 제1 유니트(10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예시를 나타낸다.
우선, 제1 유니트(100)는, 스마트 직물(T)과 연결되어 스마트 직물(T)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전달받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직물(T)에 고정 장착되어 스마트 직물(T)의 정보수집수단과 연결되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함몰 형성되는 패턴홈(120)과, 상기 패턴홈(120) 내부상기 패턴홈(120) 내부면에 일단부가 매립되고 상기 스마트 직물(T)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전달하는 전극핀(130)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2 유니트(200)는, 제1 유니트(100)와 결합되어 스마트 직물(T)로부터 제1 유니트(100)로 전달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250)이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바디(210)와, 상기 제2 바디(210)에 상기 패턴홈(120)과 대응되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패턴홈(120)에 삽입되는 패턴돌출부(220)와, 상기 패턴돌출부(220)가 상기 패턴홈(120)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핀(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핀(130)이 삽입되도록 상기 패턴돌출부(220)에 함몰 형성되는 전극홈(230)과, 상기 전극홈(230)과 연결되어 상기 전극핀(13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250)을 포함한다.
한편, 제2 유니트(200)에는 무선통신모듈(250)이 구동되기 위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장배터리(500)와, 무선통신모듈(250)로 내장배터리(50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모듈(600)은 제2 유니트(200)의 전극홈(230)에 제1 유니트(100)의 전극핀(130)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부(미도시)와, 결합감지부에서 전극홈(230)에 전극핀(130)이 삽입됨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내장배터리(500)의 전력을 무선통신모듈(250)로 공급하여 무선통신모듈(250)이 구동되도록 하는 통신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니트(200)에 내장배터리(500)가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내장배터리(500)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도록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 가능한 보조전원모듈이 구비되는 제3 유니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유니트(700)는 제3 바디와, 제3 바디에 구비되어 외부 전력공급수단으로부터 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이 충전되고, 충전된 전력을 무선으로 제2 유니트(200)의 내장배터리(500)로 공급하는 보조전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3 유니트(700)가 제2 유니트(200)와 탈부착 되도록 구성되는 탈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탈부착부는, 상기 결합부(300)와 같이, 자력에 의한 결합, 홈과 돌기에 의한 결합, 후크와 고리에 의한 결합 등 2 개의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제2 유니트(200)와 제3 유니트(700)는 각각 내장배터리(500)에 충전된 전력량과 보조전원모듈에 충전된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량 확인부가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결합부(300)는,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으로, 자력에 의한 결합, 홈과 돌기에 의한 결합, 후크와 고리에 의한 결합 등 2개의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결합부(300)는, 자력에 의해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례로, 제1 바디(110)의 패턴홈(120) 외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네틱(310)과, 제2 바디(210)의 패턴돌출부(220) 외측 둘레부에 상기 제1 마그네틱(310)과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마그네틱(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유니트(100)의 패턴홈(120)과 제2 유니트(200)의 패턴돌출부(220)는,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전극핀(130)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의 결합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기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패턴홈(120)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특정 형상을 가진 홈이나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패턴돌출부(220)의 외측 둘레부는 패턴홈(120)의 내측 둘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1 유니트(100)의 패턴홈(120)에 삽입되는 전극핀(130)을 보호하는 연질의 보호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극핀(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니트(100)와 상기 제2 유니트(20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극핀(130)이 상기 보호부재(400) 내부에 매몰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 유니트(100)와 상기 제2 유니트(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니트(200)의 패턴돌출부(220)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400)가 가압되어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전극핀(130)이 상기 보호부재(400)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전극홈(230)에 삽입되어 접촉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1 유니트(100)는 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 직물(T)에 고정 장착되고 제2 유니트(200)가 제1 유니트(10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제1 실시예에서, 제2 유니트(200)가 제2 바디(210)와 결합되는 별도의 분리바디(240)를 포함하고,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를 결합하는 결합부(300)가 변경된 예시를 나타낸다.
우선, 제2 실시예에서 결합부(300)는, 상기 제2 유니트(200)에 상기 제1 유니트(100)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유니트(100)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재(330)와, 상기 제1 유니트(100)의 외측면과 상기 연장부재(330)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끼움홈(340)과, 상기 제1 유니트(100)의 외측면과 상기 연장부재(330)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끼움홈(340)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350)를 포함하여, 끼움홈(340)에 끼움돌기(350)가 끼워져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재(330)는 제2 바디(210)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장부재(330)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 및 도 6에서는 연장부재(330)는 제2 바디(21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연장부재(330)에 끼움돌기(350)가 형성되고, 제1 유니트(100)의 제1 바디(110) 외측면에 끼움홈(340)이 형성된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 일체로 형성된 제2 바디(210)와 연장부재(330)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210)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고, 더불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210) 사이의 틈에 밀폐를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장부재(330)는 경질 소재를 포함하고, 힌지축에 의해 제2 바디(210)의 외측면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방으로 회동시켜 제1 유니트(100)의 외측면과 접촉되고 상방으로 회동시켜 제1 유니트(100)의 외측면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서 제2 유니트(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10)에 끼움 결합되는 별도의 분리바디(240)를 더 포함하여, 분리바디(240)가 제2 바디(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바디(240)의 일부가 제2 바디(210)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제2 바디(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노출되는 부분이 패턴돌출부(220)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유니트(200)가 제2 바디(210)와 분리바디(2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2 바디(210)는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연질 소재를 포함하고, 분리바디(240)는 보호부재(40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경질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제2 바디(210)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개 구비되고, 더불어 연질 소재의 제2 바디(210)는 색상, 패턴, 형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제2 바디(2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분리바디(240)와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가 적용된 스마트 직물(T) 기반 제품의 색상, 패턴, 형상 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제2 바디(210)의 색상, 패턴,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유니트(200)가 제2 바디(210)와 분리바디(2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모듈(250)과 더불어 내장배터리(500)와 제어모듈(600)은 분리바디(24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조립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2 유니트(200)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 모두 스마트 직물(T)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예시를 나타낸다.
이때,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 모두 스마트 직물(T)과 분리된 상태에서 스마트 직물(T) 양측으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상호 결합 가능하게 되며, 이때 결합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부(300)는 고정핀(360)과 고정홈(3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실시예에서 결합부(300)는, 제1 유니트(100)의 패턴홈(120) 내부면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구비되고 탄성을 가지는 고정핀(360)과, 패턴돌출부(220)가 패턴홈(120)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핀(360)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핀(360)이 삽입되도록 제2 유니트(200)의 패턴돌출부(220)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37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 사이로 스마트 직물(T)이 개지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유니트(100)에 구비되는 전극핀(130)이 스마트 직물(T)을 관통하고, 스마트 직물(T)을 관통하는 전극핀(130) 단부가 제2 유니트(200)의 전극홈(230)에 삽입되며, 스마트 직물(T)을 관통하면서 전극핀(130)이 스마트 직물(T)과 접촉됨에 따라 스마트 직물(T)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전극홈(230)을 통해 무선통신모듈(25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홈(370)에 고정핀(360)이 억지끼움 되어, 고정홈(370)에 고정핀(360)이 끼워져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와 분리가 방지하도록 구성되거나, 결합부(300)는 고정홈(370) 내측 단부에, 고정핀(360)의 고정홈(370)으로 삽입되는 측 단부가 측방으로 꺾여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핀고정홀(380)을 더 포함하여, 탄성을 가지는 고정핀(360)의 단부가 핀고정홀(380)에 측방으로 꺾여 삽입되어,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 간의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를 상호 이격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상호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결합부(300)가 고정핀(360)과 고정홈(370)을 포함하는 경우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핀(130)과 상기 고정핀(360)은 각각 상기 패턴홈(120)의 중심부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구비되되, 상기 패턴홈(120)의 중심부 둘레를 따라 상기 전극핀(130)과 상기 고정핀(360)이 순차적으로 교차되어 배치되고, 이때, 상기 패턴홈(120)의 내측면은 상기 전극핀(130)과 대응되는 제1 내경부와 상기 고정핀(360)과 대응되고 상기 제1 내경부와 상이하게 구성되는 제2 내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돌출부(220)의 외측면은 상기 제1 내경부와 대응되는 제1 외경부(221)와, 상기 제2 내경부와 대응되는 제2 외경부(2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상기 패턴홈(120)의 제1 내경부와 상기 패턴돌출부(220)의 제1 외경부(221)가 대응되고, 상기 패턴홈(120)의 제2 내경부와 상기 패턴돌출부(220)의 제2 외경부(222)가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1 유니트(100)와 상기 제2 유니트(200)가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전극핀(130)과 상기 고정핀(36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전극핀(130)과 고정핀(360)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의 배치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 반경범위가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결합부(300)가 고정핀(360)과 고정홈(370)을 포함하는 경우에, 보호부재(400)는 고정핀(360)과 대응되는 위치에도 절개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니트(100)와 상기 제2 유니트(20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극핀(130)과 상기 고정핀(360)이 상기 보호부재(400) 내부에 매몰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 유니트(100)와 상기 제2 유니트(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니트(200)의 패턴돌출부(220)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400)가 가압되어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전극핀(130)과 상기 고정핀(360)이 상기 보호부재(400) 외측으로 노출되어, 전극핀(130)은 전극홈(230)에 삽입되고, 고정핀(360)은 고정홈(370)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여, 전극핀(130)과 고정핀(360) 모두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결합되는 결합부(300)는, 상기의 제1 실시에에 기재된 제1 마그네틱(310)과 제2 마그네틱(320)에 의한 자력에 의한 결합, 제2 실시예에 기재된 연장부재(330), 끼움홈(340), 끼움돌기(350)를 포함하는 홈과 돌기에 의한 결합, 제3 실시예에 기재된 고정핀(360)과 고정홈(370)을 포함하는 홈과 돌기에 의한 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결합구조가 복합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고정핀(360)과 고정홈(370)에 의한 결합구조와 제1 마그네틱(310)과 제2 마그네틱(320)에 의한 자력에 의한 결합구조가 복합적으로 동시에 구비되어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는, 제2 유니트(200) 혹은 제3 유니트(700)에, 가속도센서, 대기질센서 등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센서를 추가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센서 장착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를 슬롯 타입의 탈부착 가능한 장착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제2 유니트(200)가 제2 바디(210)와 분리바디(2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분리바디(240)에 센서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가 구비되는 스마트 의류, 스마트 가방과 같은 스마트 직물(T) 기반 제품은, 스마트 직물(T)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장착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스마트 직물 기반 제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가 장착되는 스마트 직물 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장착가이드부는 본 발명의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의 제1 유니트(100)와 제2 유니트(200)가 결합되는 결합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표시된 가이드라인(L)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라인(L) 내부 영역은 메쉬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전극핀(130)과 고정핀(36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장착홀(미도시)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직물(T)의 가이드라인(L) 내부 영역이 메쉬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메쉬 영역이 절반으로 나뉘어 접속 단자를 형성하여, 두 개의 전극핀(130)이 한 쌍을 이루어 한 쌍을 이루는 전극핀(130) 각각이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을 담당하는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스마트 직물의 가이드라인(L) 내부 영역에 장착홀이 형성되는 경우, 전극핀(130)이 장착되는 두 개의 장착홀이 한 쌍을 이루고, 한 쌍을 이루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두 개의 전극핀(130)이 대응되는 한 쌍을 이루어 한 쌍을 이루는 전극핀(130) 각각이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을 담당하는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제1 유니트
110 : 제1 바디
120 : 패턴홈
130 : 전극핀
200 : 제2 유니트
210 : 제2 바디
220 : 패턴돌출부
221 : 제1 외경부
222 : 제2 외경부
230 : 전극홈
240 : 분리바디
250 : 무선통신모듈
300 : 결합부
310 : 제1 마그네틱
320 : 제2 마그네틱
330 : 연장부재
340 : 끼움홈
350 : 끼움돌기
360 : 고정핀
370 : 고정홈
380 : 핀고정홀
400 : 보호부재
500 : 내장배터리
600 : 제어모듈
700 : 제3 유니트
T : 스마트 직물
L : 가이드라인

Claims (11)

  1.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패턴홈과, 상기 패턴홈 내부면에 일단부가 매립되고 스마트 직물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전달하는 전극핀을 포함하는 제1 유니트;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패턴홈과 대응되어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턴홈에 삽입되는 패턴돌출부와, 상기 패턴돌출부가 상기 패턴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패턴돌출부에 함몰 형성되는 전극홈과, 상기 전극홈과 연결되어 상기 전극핀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제2 유니트;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유니트의 상기 패턴홈에 삽입되어 상기 전극핀을 보호하는 연질의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전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극핀이 상기 보호부재 내부에 매몰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 유니트와 상기 제2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니트의 상기 패턴돌출부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가 가압되어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전극핀이 상기 보호부재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전극홈에 삽입되어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패턴홈 외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네틱과,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패턴돌출부 외측 둘레부에 상기 제1 마그네틱과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니트는
    상기 제2 바디에 끼움 결합되는 별도의 분리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바디의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분이 상기 패턴돌출부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2 바디는 색상, 패턴, 형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복수개의 상기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분리바디와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유니트에 상기 제1 유니트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유니트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제1 유니트의 외측면과 상기 연장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제1 유니트의 외측면과 상기 연장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유니트의 상기 패턴홈 내부면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구비되고, 탄성을 가지는 고정핀 및
    상기 패턴돌출부가 상기 패턴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유니트의 상기 패턴돌출부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홈은 내측 단부에 상기 고정핀의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측 단부가 측방으로 꺾여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핀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핀과 상기 고정핀은 각각
    상기 패턴홈의 중심부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구비되되, 상기 패턴홈의 중심부 둘레를 따라 상기 전극핀과 상기 고정핀이 순차적으로 교차되어 배치되고,
    상기 패턴홈의 내측면은 상기 전극핀과 대응되는 제1 내경부와 상기 고정핀과 대응되고 상기 제1 내경부와 상이하게 구성되는 제2 내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 내경부와 대응되는 제1 외경부와, 상기 제2 내경부와 대응되는 제2 외경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니트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장배터리; 및
    상기 제2 유니트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홈에 상기 전극핀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부와, 상기 결합감지부에서 상기 전극홈에 상기 전극핀이 삽입됨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상기 내장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공급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구동되도록 하는 통신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니트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장배터리; 및
    상기 내장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 가능한 제3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KR1020210093892A 2021-07-19 2021-07-19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KR102483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892A KR102483077B1 (ko) 2021-07-19 2021-07-19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892A KR102483077B1 (ko) 2021-07-19 2021-07-19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077B1 true KR102483077B1 (ko) 2022-12-29

Family

ID=8453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892A KR102483077B1 (ko) 2021-07-19 2021-07-19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0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65U (ko) * 2006-11-28 2006-12-21 신경하 탈부착이 용이한 표찰
KR101176419B1 (ko) 2010-11-05 2012-11-20 한윤희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KR20130127093A (ko) * 2012-05-14 2013-11-22 (주)로보티즈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KR20140008971A (ko) 2012-07-13 2014-01-22 실버레이 주식회사 단추형 전기 및 통신용 커넥터
KR20210085481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셀로긴 스마트 의류를 이용한 다이어트 및 건강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65U (ko) * 2006-11-28 2006-12-21 신경하 탈부착이 용이한 표찰
KR101176419B1 (ko) 2010-11-05 2012-11-20 한윤희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KR20130127093A (ko) * 2012-05-14 2013-11-22 (주)로보티즈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KR20140008971A (ko) 2012-07-13 2014-01-22 실버레이 주식회사 단추형 전기 및 통신용 커넥터
KR20210085481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셀로긴 스마트 의류를 이용한 다이어트 및 건강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3889B (zh) 具有运动功能的可佩戴装置组件
CN101396261B (zh) 传感器装置
US11968492B2 (en) Earphone
CN110740792A (zh) 具有可拆卸模块的可穿戴物品
KR102483077B1 (ko) 분리 가능한 스마트 직물용 무선통신기기
KR20080077583A (ko) 고글
US10631606B1 (en) Pocket for electronic device
WO2019143106A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이 가능한 충전 보조 기구
CN108845615A (zh) 一种佩戴组件及可穿戴设备
KR20190134462A (ko)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CN206557661U (zh) 屏幕可伸缩的终端
CN206541425U (zh) 智能防丢报警连接带及具有该连接带的穿戴设备
US20230259191A1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Device
CN217482563U (zh) 一种手指电筒
WO2016190595A1 (ko) 기능성 의류
KR20170080774A (ko) 모자 겸용 헬멧
CN219802669U (zh) 包括印制电路板结构的电子模块
KR20040070115A (ko) 테크노 광섬유 직물
CN113384904A (zh) 一种可拆分式智能游戏手柄
KR102150713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GB2585729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CN219162552U (zh) 智能穿戴设备
GB2591241A (en)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KR20170030002A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CN218994636U (zh) 一种便于检测墙面高处位置的墙面渗漏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