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462A -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462A
KR20190134462A KR1020190038022A KR20190038022A KR20190134462A KR 20190134462 A KR20190134462 A KR 20190134462A KR 1020190038022 A KR1020190038022 A KR 1020190038022A KR 20190038022 A KR20190038022 A KR 20190038022A KR 20190134462 A KR20190134462 A KR 20190134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diaper
toilet
electrode
sens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697B1 (ko
Inventor
김권희
채수원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JP2021505170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74237B2/ja
Priority to PCT/KR2019/003874 priority patent/WO2019225854A1/ko
Priority to US17/050,254 priority patent/US20210077312A1/en
Publication of KR2019013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은 인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DIAPER FOR SENSING URINE AND FECES, URINE AND FECES SENSING SHEET FOR DIAPER AND URINE AND FECES SENS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소변으로 인해 발생한 기저귀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종래의 기저귀에 부착하여 대소변 감지 기능을 구현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이들과 연계하여 사용 가능한 용변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저귀는 용도에 따라 밴드형 기저귀, 팬티형 기저귀, 패드형 기저귀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착용 대상에 따라 유아용 기저귀, 성인용 기저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기저귀는 안감층, 흡수층 및 방수커버 등 3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아용 또는 성인용 기저귀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감지선을 구비하여 용변 접촉 시 감지되는 전기적 변화를 통해 기저귀 착용 대상의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대소변 감지 기능이 없는 기존의 기저귀에 부착하여 대소변 감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용변 감지 시트 및 이들과 연계하여 사용 가능한 용변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는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로서, 상기 안감층은 인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고, 실 또는 밴드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안감층에 재봉공정, 접착공정 또는 인쇄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각 전도성 감지선의 끝부분은 상기 안감층 또는 상기 방수커버에 형성된 전도성의 전극수용부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일체일 수 있다.
상기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상기 전극수용부는 전도성 섬유의 직물, 편물, 펠트 또는 부직포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상기 전극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안감층의 일단이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면 쪽으로 접혀 부착되어 상기 전극수용부가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상기 전극수용부가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에 형성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의 일단이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상기 전극수용부와 전기적으로 일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수용부는 제1 전극수용부 및 제2 전극수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안감층 또는 상기 방수커버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안감층 또는 상기 방수커버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수용부는 단일의 제4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선과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4 전극수용부는 상기 제1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1 전도성 천, 상기 제2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2 전도성 천, 및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 전도성 천과 상기 제2 전도성 천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비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단위 감지선들이 전기적으로 결속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변 및 소변의 감지영역을 분할하여 기저귀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는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로서, 상기 안감층은 인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배열되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의 양단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상기 안감층의 내측면 상에서 적어도 일 부분이 구부러져 어느 한 부분과 다른 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탄소 섬유 및 전도성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는 방수커버, 흡수층 및 안감층을 포함하는 기저귀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기저귀에 용변 감지 기능을 부여하는 용변 감지 시트로서, 상기 안감층에 부착되어 인체와 접촉하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변 감지 시트는 상기 안감층과 동일하거나 상기 안감층에 대응하는 흡수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안감층과 접촉하여 부착되는 부착면에 부착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고, 실 또는 밴드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재봉공정, 접착공정 또는 인쇄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각 전도성 감지선의 끝부분은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형성된 전도성의 전극수용부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일체일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상기 전극수용부는 전도성 섬유의 직물, 편물, 펠트 또는 부직포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극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일단이 상기 기저귀의 방수커버 외측면 쪽으로 접혀 부착되어 상기 전극수용부가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수용부는 제1 전극수용부 및 제2 전극수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수용부는 단일의 제4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선과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4 전극수용부는 상기 제1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1 전도성 천, 상기 제2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2 전도성 천, 및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 전도성 천과 상기 제2 전도성 천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비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변감지시트의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단위 감지선들이 전기적으로 결속되어 구현됨으로써 용변 감지 영역의 구획 분할이 가능하며, 기저귀의 효율적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는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기저귀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기저귀에 용변 감지 기능을 부여하는 용변 감지 시트로서, 상기 안감층에 부착되어 인체와 접촉하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내측면에 배열되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의 양단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상기 안감층의 내측면 상에서 적어도 일 부분이 구부러져 어느 한 부분과 다른 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탄소 섬유 및 전도성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는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또는 상기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에 접속되어 용변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저귀 착용 대상의 용변 여부를 감지하는 용변 감지부; 상기 용변 감지부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저귀 또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수용부에 마련된 공간에 삽입되는 전극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사전에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여 개폐되며,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극수용부를 체결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변 감지 장치는 상기 전극부의 상측면에 전도성 소재로 도금되고 사전에 정해진 높이로 돌출된 전극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장치의 상기 전극접점은 상기 용변 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있다.
상기 용변 감지 장치의 상기 전극부의 상측면 일단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부의 하측면 일단에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가 흡인력에 의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장치의 상기 덮개부의 하측면에 마련된 공간에 용수철 및 상기 용수철을 덮는 연질의 용수철 덮개가 설치되어, 상기 전극부가 상기 전극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극접점과 상기 전극 수용부가 겹쳐진 부분에 가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한 전원 스위치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장치의 상기 용변 감지부는 보호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기에 대변 및 소변 감지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변 및 소변 감지 기능을 갖춘 유아용 또는 성인용 기저귀에 용변 감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저귀 착용 대상의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변 감지 기능이 없는 종래의 유아용 또는 성인용 기저귀의 안감에 용변 감지 시트를 부착하고 이에 용변 감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저귀 착용 대상의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저귀 착용자의 용변 감지 결과를 보호자의 단말기 또는 중계기로 전송함으로써, 보호자가 신속하게 기저귀를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저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가 접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가 접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가 신체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가 접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도성 감지선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가 접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를 기저귀에 위치시킨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가 부착된 기저귀의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의 내측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의 내측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의 덮개부가 열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를 바닥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의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용변 감지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용변 감지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용변 감지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용변 감지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용변 감지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기저귀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에 용변 감지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의 덮개부가 열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를 바닥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의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고 덮개부가 열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고 덮개부가 닫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및 용변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용변 감지 시트를 이용하여 용변 여부를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변을 감지하는 경우 측정되는 저항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변을 감지하는 경우 측정되는 저항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기저귀(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기저귀(10)는 패드형 기저귀이나, 상기 기저귀(10)는 패드형 기저귀 외에 밴드형 기저귀 또는 팬티형 기저귀로도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기저귀(10)가 착용 대상에 착용되어 용변을 수거하는 한 기저귀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기저귀 착용 대상은 성인 또는 어린이와 같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도 해당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저귀(10)는 안감층(10'), 흡수층(10'') 및 방수커버(10''')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감층(10')은 상기 흡수층(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층(10'')은 상기 방수커버(10''')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안감층(10')은 용변이 투과되는 층으로서 기저귀 착용 대상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내측면과 기저귀 또는 용변을 수용 가능한 부재와 접촉되는 외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감층(10')은 천을 포함하는 직물, 편물, 펠트 또는 부직포 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흡수층(10'')은 상기 안감층(10')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안감층(10')을 통해 전달된 용변을 흡수하여 수용한다.
상기 방수커버(10''')는 상기 흡수층(10'')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흡수층(10'')에 흡수된 용변이 기저귀(10)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가 접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는 방수커버(10'''), 상기 방수커버(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10'') 및 상기 흡수층(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감층(10')은 인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인체에 무해하거나 피부에 독성이 적으면서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에 포함되는 전도성 물질은 은일 수 있으나, 상기 전도성 물질은 은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은 외에 금, 스테인리스 스틸, 동합금(황동, 백동 등), 티타늄,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전도성 물질이 포함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상기 안감층(10')에 재봉공정, 접착공정 또는 인쇄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는 전도성의 전극 수용부(122, 12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상기 안감층(10')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상기 방수커버(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의 끝부분은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일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과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또는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과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앞서 설명한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전도성 섬유로 만들어진 직물, 편물, 펠트 또는 부직포 재질로 구현되어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감층(10')에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과 그에 연결된 복수의 전극 수용부(122, 124)가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10')의 일단이 상기 방수커버(10''')의 외측면을 향해 접혀져 상기 방수커버(10''')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안감층(10')의 내측면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 및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가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10')에서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가 형성된 부분(10'E)이 상기 방수커버(10''')를 벗어나도록 연장되어 상기 방수커버(10''')의 외측면 쪽으로 접히고, 해당 부분(10'E)이 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상기 방수커버(10''')에 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상기 방수커버(10''')의 외측면에 노출되어 후술하는 용변 감지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가 상기 방수커버(10''')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10')에 형성된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의 일단이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와 전기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와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상기 각 공정의 조합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에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제 1 감지선(112) 및 제 2 감지선(11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제 1 전극 수용부(122) 및 제 2 전극 수용부(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 수용부(122)의 일측(도 3 및 도 4에서 기저귀의 바깥쪽)은 상기 제 1 감지선(112)과 결합되어 상기 안감층(10')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전극 수용부(122)의 타측(도 3 및 도 4에서 기저귀의 안쪽)은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해 상기 안감층(10')에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전극 수용부(124)의 일측(도 3 및 도 4에서 기저귀의 바깥쪽)은 상기 제 2 감지선(114)과 결합되어 상기 안감층(10')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전극 수용부(124)의 타측(도 3 및 도 4에서 기저귀의 안쪽)은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해 상기 안감층(10')에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그 결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수용부(122, 124)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후술하는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수용부(122, 124)의 타측(즉, 기저귀의 안쪽)이 재봉공정으로 안감층(10')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수용부(122, 124)의 타측은 각각 제 1 및 제 2 고정선(1121, 114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선(1121, 1141)은 전기전도성을 갖는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선(112, 114)과 달리 전도성을 갖지 않는 일반 실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선(1121, 1141)이 전기전도성을 갖는 실로 구성된다면, 고정선에서 보풀이 일어나 제 1 및 제 2 고정선(1121, 1141) 사이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수용부(122, 124)가 단락되어 용변 감지 기능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가 접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된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는 패드형 기저귀로 구현된 반면, 이 실시예에서는 밴드형 기저귀로 구현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도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밴드형 기저귀(10) 역시 방수커버(10'''), 흡수층(10'') 및 안감층(10')을 포함하며, 상기 안감층(10')에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이 포함되어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 사이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한다.
뿐만 아니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밴드형 기저귀(10) 역시 안감층(10')의 내측면에 전도성 감지선(112, 114) 및 전극 수용부(122, 124)가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10')에서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가 형성된 부분(10'E)이 상기 방수커버(10''')를 벗어나도록 연장되어 상기 방수커버(10''')의 외측면 쪽으로 접히고, 해당 부분(10'E)이 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상기 방수커버(10''')에 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상기 방수커버(10''')의 외측면에 노출되어 후술하는 용변 감지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가 신체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달리, 이 실시예에서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가 팬티형으로 구현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도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팬티형 기저귀(10) 역시 방수커버(10'''), 흡수층(10'') 및 안감층(10')을 포함하며, 상기 안감층(10')에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이 포함되어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 사이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한다.
뿐만 아니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팬티형 기저귀(10) 역시 안감층(10')의 내측면에 전도성 감지선(112, 114) 및 전극 수용부(122, 124)가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10')에서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가 형성된 부분(10'E)이 상기 방수커버(10''')를 벗어나도록 연장되어 상기 방수커버(10''')의 외측면 쪽으로 접히고, 해당 부분(10'E)이 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상기 방수커버(10''')에 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상기 방수커버(10''')의 외측면에 노출되어 후술하는 용변 감지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가 접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에서 전도성 감지선은 재봉공정에 의해 기저귀(10)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는 안감층(10')의 내측면에 제 1 전도성 감지선(112') 및 제 2 전도성 감지선(114')을 포함하고, 방수커버(10''')의 외측면에 제 3 전도성 감지선(112'') 및 제 4 전도성 감지선(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각각 상기 제 3 및 제 4 전도성 감지선(112'', 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전도성 감지선(112')과 상기 제 3 전도성 감지선(112'')은 각각 재봉공정에서 밑실과 윗실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전도성 감지선(114')과 상기 제 4 전도성 감지선(114'')은 각각 재봉공정에서 밑실과 윗실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는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선(112', 114')과 상기 제 3 및 제 4 감지선(112'', 114'')이 안감층(10')의 내측면으로부터 흡수층(10'')을 지나 방수커버(10''')의 외측면까지 관통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용변 감지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기저귀(10)에서 기저귀 착용 대상의 신체 쪽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전도성 감지선(112', 114')이 재봉공정에 의해 안감층(10') 속에 파묻히게 되어 전도성 감지선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 피부에 트러블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다.
더 나아가, 이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기저귀에 전도성 감지선으로 재봉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기저귀 생산라인에 큰 변동없이 본 발명의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방수커버(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 3 감지선(112'')은 안감층(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1 감지선(112')과 일체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수커버(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 4 감지선(114'')은 안감층(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2 감지선(114')과 일체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전도성 감지선은 밑실과 윗실의 결합으로 재봉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실로 박음질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는 재봉흔을 통한 용변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하여 방수커버(10''')의 외측면 상에서 제 3 감지선(112'')의 적어도 일부 구간 및 제 4 감지선(114'')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각각 방수 테이프(132, 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도성 감지선은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감지선(112, 14)은 길이방향을 따라 물결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길이방향을 따라 펄스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용변 감지를 위한 각 감지선을 2열로 배열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3열 또는 그 이상의 배열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가 접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저귀(10)의 안감층(10')에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이 서로 분리되어 배열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저귀(10)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을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의 어느 한 부분과 다른 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의 가운데 부분이 직각으로 구부러져 전도성 감지선(110')의 한쪽 부분과 다른쪽 부분이 서로 평행하도록 안감층(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감지선(110')의 양 단부는 전극 수용부(122, 124)의 한쪽(도 18에서 바깥쪽)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의 다른 쪽(도 18에서 안쪽)은 기저귀(10)에 고정되어,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의 고정된 양쪽 사이에는 후술하는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이 사용되는 경우,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전도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가급적 낮은 전기저항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전도성 감지선(112, 114) 간의 전기저항이 매우 높은 상태이나,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 사이에 용변이 묻은 경우에는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 간의 전기저항이 낮아져서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반면, 이 실시예처럼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이 사용되는 경우, 전도성이 낮은 물질을 포함하여 가급적 높은 전기저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평상시에는 전도성 감지선(110')의 전기저항이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은 상태이나, 상기 전도성 감지선(110')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들 사이에 용변이 묻으면 상대적으로 전도성 감지선(110')보다 전도성이 높은 용변을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도성 감지선(110')의 양단에서 측정되는 전기저항이 평상시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17 내지 도 19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은 전도성을 구비하되 일반적인 소변이나 대변보다는 전도성이 낮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전도성 물질로 은 또는 다른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나, 이 실시예에서 전도성 감지선(110')은 전도성 물질로 탄소 섬유 및 전도성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 대신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을 사용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패드형, 밴드형 및 팬티형 기저귀(10)의 안감층(10')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0)에 재봉공정으로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는 방수커버(10''')의 외측면 상에서 전도성 감지선(110')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방수 테이프(130)를 더 포함하여, 재봉흔을 통한 용변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10'''')의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 및 도 2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10'''')를 기저귀(10)에 위치시킨 내측 및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10'''')가 부착된 기저귀(10)의 외측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시트(10'''')는 종래의 기저귀 내측에 부착되어 기존의 일반 기저귀에 용변 감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시트이다.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는 종래의 기저귀(10)의 안감층에 부착되어 인체와 접촉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는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은 용변과 접촉 시에 전도성 감지선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한다.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는 기저귀(10)의 안감층(1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안감층(10')에 대응하는 흡수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는 안감층(10')과 접촉하여 부착되는 부착면에 소정의 부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의 외측면에는 기저귀(10)의 안감층(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테이프(T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시트(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에 관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에 구비된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에 관한 구성과 동일하다.
나아가,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는 복수의 전극 수용부(122, 124)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는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과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에 관한 구성도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에 구비된 전도성 감지선(112, 114)에 관한 구성과 동일하다.
더 나아가,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 역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의 안감층(10')과 같이,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가 형성된 부분이 기저귀(10)의 방수커버(10''')를 넘어 연장되고,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연장된 부분이 상기 방수커버(10''')의 외측면 쪽으로 접혀져 소정의 부착 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이를 위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의 외측면에는 용변 감지 시트가 상기 방수커버(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테이프(T2)가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에 형성된 전극 수용부(122, 124)가 기저귀(10)의 방수커버(10''')의 외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10'''')의 내측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에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이 서로 분리되어 배열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을 포함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시트(10'''')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의 어느 한 부분과 다른 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의 가운데 부분이 직각으로 구부러져 전도성 감지선(110')의 한쪽 부분과 다른쪽 부분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감지선(110')의 양 단부는 전극 수용부(122, 124)의 한쪽(도 25에서 바깥쪽)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의 다른 쪽(도 25에서 안쪽)은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에 고정되어,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의 고정된 양쪽 사이에는 후술하는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시트(10'''')에서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에 관한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앞서 설명한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에 포함된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과 동일하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10'''')의 내측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용변 감지 시트(10'''')가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을 구비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전도성 감지선(112, 114)으로 구성된 두 개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는 셋 또는 그 이상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가 셋 이상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그 길이가 동일하지 않아서 상기 셋 이상의 전도성 감지선 중 일부의 길이는 나머지와 상이하거나, 상기 셋 이상의 전도성 감지선 각각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는 제 1 전도성 감지선(112), 제 2 전도성 감지선(114) 및 제 3 전도성 감지선(1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는 상기 제 1 전도성 감지선(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극 수용부(122), 상기 제 2 전도성 감지선(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극 수용부(124) 및 상기 제 3 전도성 감지선(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3 전극 수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극 수용부(122, 124, 126)의 어느 한쪽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도성 감지선(112, 114, 116)에 의해 용변 감지 시트(10'''')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극 수용부(122, 124, 126)의 다른 한쪽은 제 1 내지 제 3 고정선(1121, 1141, 1161)에 의해 용변 감지 시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3 고정선(1121, 1141, 1161)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도성 감지선(112, 114, 116)과 달리 전도성을 갖지 않는 일반 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6과 같은 용변 감지 시트(10'''')를 기저귀(10)에 사용하는 경우,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용변 감지 장치는 전극 수용부의 개수만큼 전극부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변 감지 시트(10'''')의 전극 수용부와 결합되어 용변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변 감지 장치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에 구비된 전극 수용부(122, 124, 126)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전극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에 구비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도성 감지선(112, 114, 116) 중 하나(예컨대, 제 3 전도성 감지선(116))는 나머지 둘(예컨대, 제 1 및 제 2 전도성 감지선(112, 114))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
도 26에서 길이가 짧은 상기 제 3 전도성 감지선(116)은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의 바깥쪽에 배치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길이가 짧은 전도성 감지선이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길이가 긴 제 1 및 제 2 전도성 감지선(112, 114) 사이에 길이가 짧은 제 3 전도성 감지선(116)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변 감지 시트(10'''')에 구비된 셋 이상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 116)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지 않고 일부의 길이가 나머지의 길이와 차이가 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용변 감지 시트(10'''')의 서로 다른 영역(예컨대, 기저귀 착용 대상을 기준으로 아랫배에 해당하는 전방 영역과 엉덩이에 해당하는 후방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용변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셋 이상의 전도성 감지선에 관한 구성은 용변 감지 시트(10'''')에 적용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앞서 언급한 다양한 종류의 기저귀(10)의 안감층(10')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가 열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를 바닥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는 앞서 설명한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 또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10'''')에 접속되어 용변을 감지한다.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용변 감지부(미도시), 본체부(432), 전극부(4301, 4302) 및 덮개부(434)를 포함한다.
상기 용변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 또는 상기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저귀 착용 대상의 용변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용변 감지부는 전도성 감지선의 양단 간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전기저항이 기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기저귀(10)에 용변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432)는 상기 용변 감지부를 수용한다.
상기 전극부(4301, 4302)는 상기 본체부(432)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기저귀(10) 또는 용변 감지 시트(10'''')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 수용부(122, 124)에 마련된 공간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전극부(4301, 4302)는 기저귀(10)의 안감층(10') 또는 용변 감지 시트(10'''')에 형성된 전극 수용부(122, 124)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기저귀(10)에 결속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434)는 상기 본체부(432)에 회전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사전에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여 개폐되며, 상기 덮개부(434)가 닫히는 경우 상기 전극부(4301, 4302)와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가 서로 밀착되어 체결시킬 수 있다.
도 28 및 도 30을 참조하면, 각각의 전극부(4301, 4302)의 상측면에는 전도성 소재로 도금되고 사전에 정해진 높이로 돌출된 전극접점(4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접점(433)은 상기 용변 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와 상기 용변 감지부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28,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각 전극부(4301, 4302)의 상측면 일단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부(434)의 하측면 일단에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8, 도 30 및 도 31에서 상기 전극부(4301, 4302)에 설치된 자석은 도면식별번호 431a로 표시되고, 상기 덮개부(434)에 설치된 자석은 도면식별번호 436a로 표시된다.
그 결과, 상기 본체부(432)와 상기 덮개부(434)는 일정한 흡인력으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용변 감지 장치(430)는 상기 전극부(4301, 4302)와 상기 덮개부(434) 둘 모두에 자석이 설치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둘 중 어느 하나에만 자석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철과 같은 자성체가 설치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28,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434)의 하측면에 마련된 공간에 플런저(438) 및 플런저 용수철(435b)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434)에는 소정의 가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434)가 닫힌 상태에서 전극접점(433)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극부(4301, 4302)가 전극 수용부(122, 124)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부(434)가 닫힌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전극접점(433)과 상기 전극 수용부(122, 124)가 겹쳐진 부분에 일정한 가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그 외에,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상기 본체부(432)에 충전을 위한 충전구(430P) 및 충전구 마개(43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상기 충전구(430P)에 삽입된 충전수단(예: HDMI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상기 본체부(432)의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한 전원 스위치 버튼(430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원 스위치 버튼(430S)을 누름으로써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용변 감지부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기저귀 착용 대상의 보호자의 단말기 또는 보호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기에 대변 및 소변 감지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변 감지부가 전도성 감지선(112, 114, 110')의 양단 간 전기저항 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아지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단말기나 중계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패드형 기저귀(10)에 용변 감지 장치(43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밴드형 기저귀(10)에 용변 감지 장치(43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에 용변 감지 장치(43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에 용변 감지 장치(43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을 갖는 기저귀(10)에 용변 감지 장치(43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7은 기저귀(10)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10'''')에 용변 감지 장치(43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전극부(4301, 4302)가 안감층(10') 또는 용변 감지 시트(10'''')에 형성된 전극 수용부(122, 124)에 삽입되고 덮개부(434)가 폐쇄됨으로써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기저귀(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저귀(10)의 외측에 결합된 용변 감지 장치(430)는 기저귀 착용 대상 또는 그 보호자에 의해 쉽게 탈부착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는 단일의 제 4 전극 수용부(128)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실시예에서 전극 수용부는 복수 개가 아닌 하나의 제 4 전극 수용부(128)로만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4 전극 수용부(128)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선(112, 114)과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 4 전극 수용부(128)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 감지 장치(430)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4 전극 수용부(128)와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선(112, 114) 간의 결합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전극 수용부(128)는 제 1 전도성 천(1281), 제 2 전도성 천(1282) 및 비전도성 연결부(12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도성 천(1281)은 상기 제 1 감지선(112)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도성 천(1282)은 상기 제 2 감지선(114)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도성 천(1281)과 상기 제 2 전도성 천(1282)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 전기적으로 개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비전도성 연결부(1283)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 1 전도성 천(1281)과 상기 제 2 전도성 천(1282)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전도성 연결부(1283)는 어느 한 쪽이 상기 제 1 전도성 천(1281)에 바느질에 의해 결합되고, 나머지 한 쪽이 상기 제 2 전도성 천(1282)에 바느질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비전도성 연결부(1283)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128)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434)가 닫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128)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434)가 열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128)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430)를 바닥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128)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434)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128)에 삽입되는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434)가 닫혀 있는 상태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서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는 하나의 전극부(4303)를 구비한다.
상기 전극부(4303)는 본체부(432)에 연결되어, 기저귀 또는 용변 감지 시트에 형성된 도 38과 같은 하나의 전극 수용부(128)에 마련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그 외,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에 포함되는 용변 감지부(미도시), 용변 감지부를 수용하는 본체부(432), 본체부(432)를 덮는 덮개부(434)에 관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 실시예에서는 용변 감지 장치(430)에 전극부(4303)가 하나만 구비되므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부(4303)에 설치되는 자석(431a)과 상기 덮개부(434)에 설치되는 자석(436a)은 각각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충전을 위한 충전구 및 충전구 마개를 포함하는 대신, 상기 본체부(432) 내에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여 유선으로 충전하지 않고 무선으로 충전을 실시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상기 덮개부(434)의 하측면에 마련된 공간에 용수철(435c) 및 상기 용수철(435c)을 덮는 용수철 덮개(439)가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극부(4303)가 상기 전극 수용부(128)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부(434)가 닫히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전극접점(433)과 상기 전극 수용부(128)가 겹쳐지는 부분에 용수철(435c)에 의한 가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용수철 덮개(439)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상기 용수철 덮개(439)의 재질은 연성을 갖는 한 실리콘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128)에 용변 감지 장치(430)의 전극부(4303)가 삽입되고 덮개부(434)가 열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수용부(128)에 용변 감지 장치(430)의 전극부(4303)가 삽입되고 덮개부(434)가 닫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는 단일의 전극부(4303)가 단일의 제 4 전극 수용부(128)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두 전극접점(433)이 상기 제 4 전극 수용부(128)의 제 1 및 제 2 전도성 천(1281, 1282)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선(112, 114)과 도통하게 된다.
그리고,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덮개부(434)가 닫히면, 상기 덮개부(434)에 구비된 용수철(435c)이 용수철 덮개(439)를 통해 상기 제 4 전극 수용부(128)에 일정한 세기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함으로써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전극접점(433)과 상기 제 4 전극 수용부(128) 간에 밀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 및 용변 감지 장치(43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112, 114) 또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110')과 상기 전도성 감지선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전극 수용부(122, 124)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430)는 용변 감지부, 전극부(4301, 4302), 무선 통신부(240, 340) 및 배터리부(260, 360)를 포함한다.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전극부(4301, 4302)는 기저귀(10)의 전극 수용부(122, 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도성 감지선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한다.
기저귀 착용 대상이 용변을 보아 기저귀(10)의 안감층(10') 또는 용변 감지 시트(10'''')에 소변 또는 대변이 묻는 경우, 상기 용변 감지부가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 100')의 양단 간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상기 전도성 감지선(112, 114, 100')의 양단 간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감지되면 무선 통신부(240, 340)를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1)로 기저귀(10)에 용변이 묻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8을 참조하면, 용변 감지부는 기저귀 착용 대상이 용변하였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용변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용변 정보는 무선 통신부(240,340)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1)로 전송된다.
용변 감지부는 무선 통신부(240,340)를 통해서 보호자 단말기(1)로부터 확인 신호(AC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지속적으로 용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 단말기(1)는 무선 통신부(240, 3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구현 방식에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보호자 단말기(1)가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변 감지부는 배터리부(260,360)에 충전된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여 배터리 잔량 정보를 무선 통신부(240,340)를 통해서 용변 정보와 함께 보호자 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용변 감지부는 배터리 잔량 정보만을 독립적으로 일정한 시간 주기로 무선 통신부(240,340)를 통해서 보호자 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40,34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되어, 해당 모듈을 구비한 보호자 단말기(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무선 통신부(240,340)는 Wi-Fi, Bluetooth, ZigBee 등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3G, LTE 등의 셀룰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고, TCP, UDP, IPv6, 6LowPAN 등의 IoT 및 센서 네트워크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하여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40,340)는 용변 정보를 용변 감지부(230,330)로부터 입력받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기(1)로 배변 정보를 무선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240,340)는 보호자 단말기(1)와 페어링(Paring)되면, 용변 감지부(230,330)로부터 입력된 용변 정보 및 배터리 잔량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1)로 전송하고, 보호자 단말기(1)로부터 수신된 확인 신호를 용변 감지부(230,33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조작부(250,350)는 스위치, LE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스위치 온(Switch On)되면 배터리부(260,360)의 전원을 내부 구성요소들, 즉 전도성 감지선(110), 전극 수용부(122,124), 용변 감지부(230,330), 및 무선 통신부(240,340) 등에 공급하여 용변 감지 장치를 구동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스위치 오프(Switch Off)되면 배터리부(260,36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용변 감지 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조작부(250,350)는 스위치 온/오프 될 때마다 내부에 포함된 LED를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변 감지 장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부(260,360)는 전도성 감지선(110), 전극 수용부(122a/b,124a/b), 용변 감지부(230,330), 무선 통신부(240,340) 및 조작부(250,350)로 전원을 공급하여 각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는 무선 충전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부(270)는 본체부(432) 내부에 구비되어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상기 배터리부(260, 360)를 충전한다. 상기 무선 충전부(270)는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용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부(260, 360)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실시예와 같이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배터리부(260, 360)가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432)에 유선 충전을 위한 충전구(430P)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용변 감지 장치(430)의 본체부(432)는 밀폐형으로 구성되어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변 감지 장치 및 이와 연동되는 보호자 단말기의 상호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사용자가 조작부(250,350)의 스위치를 온시키면 배터리부(260,360)가 용변 감지 장치 전체로 전원을 공급하여 용변 감지 장치가 온되고, 용변 감지 장치가 보호자 단말기(1)에 접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용변 감지 장치와 보호자 단말기(1)간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이 수행되고, 용변 감지 장치가 온되면 용변 감지 장치와 보호자 단말기(1) 간에 페어링이 수행된다.
한편, 용변 감지 장치가 온되면, 용변 감지부(230,330)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전도성 감지선(110)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용변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용변이 이루어진 경우에, 용변 감지 장치는 용변 정보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용변 감지 장치는 배터리부(260,360)의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여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용변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자 단말기는 용변 감지 장치로부터 용변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용변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보호자 단말기(1)에게 용변이 감지되었음을 알린다.
보호자 단말기(1)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자 단말기(1)는 진동, 알람, 특별한 효과음, LED 램프의 주기적 점멸 등의 방식으로 용변 감지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자 단말기(1)는 보호자가 용변 감지를 인지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보호자가 알림 해제 명령을 입력하지 않으면 전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보호자가 알림 해제 명령을 입력하면,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용변 감지 장치로 전송한다.
용변 감지 장치는 보호자 단말기(1)로부터 확인 신호(ACK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용변 정보를 다시 전송하고,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감지 작업을 종료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용변 감지 시트를 이용하여 용변 여부를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변을 감지하는 경우 측정되는 저항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변을 감지하는 경우 측정되는 저항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전극수용부(122, 124)에서 나타나는 저항의 변화값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기기(2)를 용변 수용부와 연결하여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기기(2)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끝단이 집게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현된 집게로 전극수용부(122, 124)를 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감지선에서 나타나는 저항이 각 전극수용부(122, 124)를 통해 측정기기(2)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층(10')에 배열된 전도성 감지선(112, 114) 사이에 대변 대체품을 도포하는 경우, 5.679킬로옴(kΩ)의 저항값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층(10')에 배열된 전도성 감지선(112, 114)에 소변 대체품을 적하하는 경우, 대변 대체품이 도포된 경우보다 작은 저항값인 0.4203킬로옴(kΩ)의 저항값이 측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용변 감지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소변뿐만 아니라 대변 또한 감지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대변 대체품이 접촉되는 경우가 소변 대체품이 접촉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이 측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는 저항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전극수용부(122, 124) 간의 저항을 측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전용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패치부 간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거나 인덕턴스 측정기를 이용하여 패치부 간의 인덕턴스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성 감지선과 전극수용부가 구비된 안감층 또는 용변 감지 시트에 용변 접촉 시 전기적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용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즉각적인 용변 감지가 가능하여 기저귀 안감층이 장시간 많은 수분을 보유할 필요가 없어 보다 경제적이고 인체 친화적인 기저귀의 개발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우선 방수커버, 흡수층 및 안감층을 준비한다. 안감층은 흡수층 또는 커버시트보다 길게 만들고, 내측면에 전도성 감지선을 외측면의 일단에 전극수용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방수 커버, 흡수층 및 안감층을 순서대로 결합하고 전극수용부가 형성된 안감층 끝부분을 방수 커버 경계선에서 외측으로 접어 전극수용부가 방수커버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부착한다.
다른 실시예로, 방수커버, 흡수층 및 안감층으로 구성된 종래의 기저귀에 재봉 공정으로 기저귀의 안감층에서 방수커버까지 관통하는 전도성 감지선과 전극수용부를 형성하고, 방수커버의 외측면에 노출된 전도성 감지선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방수 테이프를 부착하여 용변의 누설을 방지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기저귀
10': 안감층
10'': 흡수층
10''': 방수커버
10'''': 용변 감지 시트
110', 112, 114: 전도성 감지선
122, 124: 전극 수용부
1121, 1141: 고정선

Claims (35)

  1.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은 인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고, 실 또는 밴드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안감층에 재봉공정, 접착공정 또는 인쇄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3. 제1항에 있어서,
    각 전도성 감지선의 끝부분은 상기 안감층 또는 상기 방수커버에 형성된 전도성의 전극수용부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수용부는 전도성 섬유의 직물, 편물, 펠트 또는 부직포 재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안감층의 일단이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면 쪽으로 접혀 부착되어 상기 전극수용부가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수용부가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에 형성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의 일단이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상기 전극수용부와 전기적으로 일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수용부는 제1 전극수용부 및 제2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안감층 또는 상기 방수커버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안감층 또는 상기 방수커버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수용부는 단일의 제4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선과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극수용부는 상기 제1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1 전도성 천, 상기 제2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2 전도성 천, 및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 전도성 천과 상기 제2 전도성 천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비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단위 감지선들이 전기적으로 결속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2.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은 인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배열되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의 양단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상기 안감층의 내측면 상에서 적어도 일 부분이 구부러져 어느 한 부분과 다른 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탄소 섬유 및 전도성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5. 방수커버, 흡수층 및 안감층을 포함하는 기저귀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기저귀에 용변 감지 기능을 부여하는 용변 감지 시트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에 부착되어 인체와 접촉하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 감지 시트는 상기 안감층과 동일하거나 상기 안감층에 대응하는 흡수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안감층과 접촉하여 부착되는 부착면에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고, 실 또는 밴드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재봉공정, 접착공정 또는 인쇄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18. 제15항에 있어서,
    각 전도성 감지선의 끝부분은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형성된 전도성의 전극수용부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수용부는 전도성 섬유의 직물, 편물, 펠트 또는 부직포 재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일단이 상기 기저귀의 방수커버 외측면 쪽으로 접혀 부착되어 상기 전극수용부가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수용부는 제1 전극수용부 및 제2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수용부는 단일의 제4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선과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극수용부는 상기 제1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1 전도성 천, 상기 제2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2 전도성 천, 및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 전도성 천과 상기 제2 전도성 천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비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단위 감지선들이 전기적으로 결속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6.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기저귀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기저귀에 용변 감지 기능을 부여하는 용변 감지 시트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에 부착되어 인체와 접촉하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내측면에 배열되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의 양단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상기 안감층의 내측면 상에서 적어도 일 부분이 구부러져 어느 한 부분과 다른 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탄소 섬유 및 전도성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9.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또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에 접속되어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또는 상기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감지선과 관련된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용변을 감지하는 용변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저귀 착용 대상의 용변 여부를 감지하는 용변 감지부;
    상기 용변 감지부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저귀 또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수용부에 마련된 공간에 삽입되는 전극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사전에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여 개폐되며,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극수용부를 체결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의 상측면에 전도성 소재로 도금되고 사전에 정해진 높이로 돌출된 전극접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접점은 상기 용변 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의 상측면 일단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부의 하측면 일단에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가 흡인력에 의해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하측면에 마련된 공간에 용수철 및 상기 용수철을 덮는 연질의 용수철 덮개가 설치되어, 상기 전극부가 상기 전극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극접점과 상기 전극 수용부가 겹쳐진 부분에 가압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한 전원 스위치 버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 감지부는 보호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기에 대변 및 소변 감지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KR1020190038022A 2018-05-24 2019-04-01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KR102252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05170A JP7274237B2 (ja) 2018-05-24 2019-04-02 大小便検知機能を有するおむつ、おむつ用用便検知シート、及び用便検知装置
PCT/KR2019/003874 WO2019225854A1 (ko) 2018-05-24 2019-04-02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US17/050,254 US20210077312A1 (en) 2018-05-24 2019-04-02 Diaper for sensing urine and feces, urine- and feces-sensing sheet for diaper, and urine- and feces-sen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9316 2018-05-24
KR1020180059316 2018-05-24
KR20180091986 2018-08-07
KR1020180091986 2018-08-07
KR20180096366 2018-08-17
KR1020180096364 2018-08-17
KR1020180096365 2018-08-17
KR20180096363 2018-08-17
KR2020180003857 2018-08-17
KR20180096364 2018-08-17
KR1020180096363 2018-08-17
KR20180003857 2018-08-17
KR20180096365 2018-08-17
KR1020180096366 2018-08-17
KRPCT/KR2018/016985 2018-12-31
KR1020180173949 2018-12-31
KR20180173949 2018-12-31
KR2018016985 2018-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462A true KR20190134462A (ko) 2019-12-04
KR102252697B1 KR102252697B1 (ko) 2021-05-17

Family

ID=6900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022A KR102252697B1 (ko) 2018-05-24 2019-04-01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77312A1 (ko)
JP (1) JP7274237B2 (ko)
KR (1) KR102252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809B1 (ko) * 2021-02-18 2021-06-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및 용변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5508A (zh) * 2021-08-27 2021-09-24 深圳一代科技有限公司 一种包括感应线及隐形口袋的智能吸收用品
KR102660068B1 (ko) * 2022-02-16 2024-04-24 (주)파트론 배변 패드의 오염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4848299A (zh) * 2022-04-06 2022-08-05 无锡市瀚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阻检测的智能纸尿裤及量化检测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806A (ko) * 2003-02-19 2004-08-26 장희규 기저귀의 배뇨 경보장치
KR100688903B1 (ko) * 2004-03-08 2007-03-08 장동욱 기저귀용 소변감지센서
KR20080005520A (ko) * 2005-04-29 2008-01-1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체액 신호 장치를 위한 흡수 물품에서의 연결 메커니즘
KR20090009828A (ko) * 2006-04-26 2009-01-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상태 통보 시스템을 구비한 젖음 감시 시스템
KR101289747B1 (ko) * 2010-04-08 2013-07-26 (주)피앤폴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KR20130140515A (ko) * 2012-06-14 2013-12-24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KR101426973B1 (ko) * 2006-12-15 2014-08-0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내 다수의 배설물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121059A (ko) * 2013-04-05 2014-10-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 시스템
KR20140124190A (ko) * 2013-04-16 2014-10-24 지우솔루션주식회사 수분감지 센서 및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70023440A (ko) * 2015-08-24 2017-03-06 임창용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0250B1 (en) * 1996-05-07 2001-03-13 Knox Security Engineering Corporation Diapers with moisture detection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m
US6246330B1 (en) * 1998-05-29 2001-06-12 Wyn Y. Nielsen Elimination-absorber monitoring system
US6559772B2 (en) * 2001-07-24 2003-05-06 Farnaz Zand Moisture sensing apparatus
US20100241094A1 (en) * 2009-03-20 2010-09-23 Sherron Mark Smart diaper
RU2620707C2 (ru) * 2013-03-19 2017-05-29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Способ закрепл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й проводящей нити во впитывающем изделии
TWI533857B (zh) * 2013-09-14 2016-05-21 Diaper structure and diaper detection system with wireless detection of wet state
EP2944299B1 (en) * 2014-05-07 2019-02-06 Nxp B.V. A sensor, an incontinence garment, and a method for activating an incontinence garment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806A (ko) * 2003-02-19 2004-08-26 장희규 기저귀의 배뇨 경보장치
KR100688903B1 (ko) * 2004-03-08 2007-03-08 장동욱 기저귀용 소변감지센서
KR20080005520A (ko) * 2005-04-29 2008-01-1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체액 신호 장치를 위한 흡수 물품에서의 연결 메커니즘
KR20090009828A (ko) * 2006-04-26 2009-01-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상태 통보 시스템을 구비한 젖음 감시 시스템
KR101426973B1 (ko) * 2006-12-15 2014-08-0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내 다수의 배설물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89747B1 (ko) * 2010-04-08 2013-07-26 (주)피앤폴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KR20130140515A (ko) * 2012-06-14 2013-12-24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KR20140121059A (ko) * 2013-04-05 2014-10-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 시스템
KR20140124190A (ko) * 2013-04-16 2014-10-24 지우솔루션주식회사 수분감지 센서 및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70023440A (ko) * 2015-08-24 2017-03-06 임창용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809B1 (ko) * 2021-02-18 2021-06-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및 용변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697B1 (ko) 2021-05-17
JP2021519675A (ja) 2021-08-12
JP7274237B2 (ja) 2023-05-16
US20210077312A1 (en)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4462A (ko)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KR20210034375A (ko)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KR101005692B1 (ko) 기능성 복대
US20140130381A1 (en) Footwear able to be wirelessly charge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used for the same
JP5972488B1 (ja) 尿漏れ検知システム
TWM463579U (zh) 尿濕提示系統
KR101912749B1 (ko) 스마트 패드
KR20140121059A (ko)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 시스템
KR102263809B1 (ko)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및 용변 감지 장치
CN101336857A (zh) 一次性电子感湿尿布及可分离再用的尿湿报警器装置
KR20180022643A (ko) 기저귀용 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과 기저귀
KR101648850B1 (ko)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JP2007296024A (ja) 電子おむつシステム
WO2017078502A1 (ko) 차폐 구조를 갖는 비접촉식 기저귀용 배변 감지 장치
JP3178797U (ja) 使い捨ておむつの排便、排尿検知装置
KR20110034751A (ko)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KR200293551Y1 (ko) 무선방식의 기저귀용 용변감지장치 및 용변신호감지용의도체부가 내장된 기저귀
TWI755316B (zh) 排便偵測提示裝置
KR101908270B1 (ko) 스마트 기저귀
CN219802669U (zh) 包括印制电路板结构的电子模块
JPWO2018220729A1 (ja) 生体用電極の接続具
GB2591241A (en)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SK8218Y1 (sk) Inteligentný odev na monitoring biodát človeka, najmä signálu z elektrokardiogramu
US20240003718A1 (en) Power generation sensor
US20240004099A1 (en) Power genera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