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002A -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002A
KR20170030002A KR1020150127295A KR20150127295A KR20170030002A KR 20170030002 A KR20170030002 A KR 20170030002A KR 1020150127295 A KR1020150127295 A KR 1020150127295A KR 20150127295 A KR20150127295 A KR 20150127295A KR 20170030002 A KR20170030002 A KR 20170030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device
garment
mobile
mobil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990B1 (ko
Inventor
황성재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to KR102015012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990B1/ko
Priority to PCT/KR2015/013330 priority patent/WO2017043700A1/ko
Priority to US15/010,085 priority patent/US9859747B2/en
Publication of KR2017003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002A/ko
Priority to US15/807,685 priority patent/US101481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 장치를 통하여 모바일 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는, 의복 장치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 간 전력 이동을 지원하는 패브릭 케이블(fabric cable),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배터리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 관련 정보에 따라 충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 2 접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Garment Device and System Having a Charging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m}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체에 착용하는 의복에 복수의 모바일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전하는 의복 장치,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장치, 특히, 스마트 시계 등의 웨어러블 장치판매 및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는 대용량 배터리를 장착할 수 없어 잦은 충전이 필요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충전을 위한 탈착 횟수 증가, 충전 시마다 크래들에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최근 스마트 의류의 등장으로 인하여, 스마트 의류에 대하여서도 배터리 용량 및 전력 충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 및 스마트 의류의 충전 주기 연장 및 편리한 전력 충전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복 장치 및 이것에 연결된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복 장치를 매개로 하여 어느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다른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복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 또는 모바일 장치 간에 소정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는, 의복 장치의 제 1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모바일 장치와 연결되는 제 1 접속부; 상기 의복 장치의 제 2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모바일 장치와 연결되는 제 2 접속부;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 간 전력 이동을 지원하는 패브릭 케이블(fabric cable);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또는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배터리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 관련 정보에 따라 충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가 충전되도록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및 제 2 모바일 장치가 착용되는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패브릭 케이블은 전자물질의 수송 또는 충전이 가능한 전자 실(electronic thread)로 만든 패브릭(fabric) 물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각각은, 외부 장치와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스마트 벨트, 스마트 가방, 스마트 신발, 스마트 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은,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의 종류 및 착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도록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 각각은, 무선 충전 접속부로서, 동일 패턴 또는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충전 기능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련 정보는, 배터리 충전 정보, 배터리 사용량 정보, 무선 충전 수행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한 근접 조건을 각각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대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중 특정 영역에서 충전 수행 또는 중단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거나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의복 장치를 복수 개 착용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의복 장치 각각의 접속부가 중첩됨에 따른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복 장치는, 신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체 정보를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복 장치,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활용하여 충전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은, 제 1 모바일 장치; 의복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의복 장치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가 착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접속부와, 제 2 모바일 장치가 착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접속부 및 상기 제 1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브릭 케이블(fabric cable)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도록 또는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 1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중 해당 영역에 대한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내에 설치되는, 충전 기능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 화면은, 배터리 충전 정보 및 배터리 사용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각각은, 충전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충전 대기 모드의 설정/해제, 충전 활성 모드의 설정/해제, 충전 설정/해제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복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한 근접 조건을 각각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충전 대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복 장치는, 신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체 정보를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충전 방법은, 의복 장치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각각 구비된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배터리 관련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충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한 근접 조건을 각각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 방법은, 신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체 정보를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를 신체로부터 분리하여 별도 충전을 하지 않더라도 의복 장치에 연결된 다른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모바일 장치의 충전 주기가 연장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복 장치를 매개로 하여 그것에 연결된 모바일 장치 간 전력 공유 및 정보 공유가 가능하므로, 모바일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 동작을 요구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 및 모바일 장치로 구성된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의 접속부 및 그것에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의 무선 연결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의 접속부 및 그것에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의 유선 연결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를 통한 복수의 모바일 장치간 전력 충전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의 특정 영역에 대한 모바일 장치의 근접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를 복수 개 착용하는 경우 코일 중첩에 따른 급속 충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가 스마트 신발인 경우 의복 장치가 하의인 경우 무선 충전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가 스마트 시계이고 의복 장치가 벨트인 경우 무선 충전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가 스마트 가방인 경우 의복 장치가 상의인 경우 무선 충전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복 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의자 및 의복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무선 충전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복 장치를 통한 무선 충전 알람을 도시한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모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자 물질 전송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를 통한 모바일 장치의 충전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청구항에 기재된 "제 1 및 제 2 ~ "는 2개 이상을 의미하는 표현으로서 2개에 한정하여 해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복수의 ~"는 "제 1 및 제 2 ~"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의복 장치는, 전자물질의 수송 또는 충전이 가능한 전자 실(electronic thread) 또는 전도성 실(conductive thread)로 만든 패브릭(fabric) 물질로 구성된 의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의복 장치는, WPC 무선 충전 표준 또는 PMA 무선 충전 표준에 맞는 안테나 패턴(또는 코일 패턴)을 옷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주머니, 소매, 허리부위 등)에 삽입함으로써 후술할 접속부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또는 웨어러블 장치들을 자연스럽게 착용(모바일 장치가 주머니에 삽입된 상태도 포함)된 상황에서 의복 장치의 접속부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삽입하여야 한다. 또한, 의복 장치는, 사용자 신체의 상체 또는 하체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의 면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의복 장치는 셔츠, 바지, 치마, 모자, 가방, 팔 토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모바일 장치는, 외부 장치와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수단은 NFC 등의 무선 통신 표준 외에도 USB 등의 유선 통신 표준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통신 수단은 USB 전력 전송(USB Power Delivery)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USB 케이블을 통한 전압, 전류, 충전 방향 등을 협상(Negotiate)하기 위한 통신 채널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통신 수단은 무선 충전 표준인 Qi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는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스마트 벨트, 스마트 가방, 스마트 신발, 스마트 모자, 휴대용 보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는, 착용 시 사용자의 신체 중 특정 부위(손목, 발, 어깨, 허리, 얼굴, 머리 등)을 복수의 면으로 둘러싸는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는, 무선 충전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음성 입력 등 모든 형태의 입력을 포함)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 및 모바일 장치로 구성된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의복 장치는, 상의 및 하의를 포함하고, 모바일 장치는, 핸드폰, 스마트 시계 및 스마트 신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을 실행하는 복수의 모바일 장치(120-1 내지 120-3) 및 복수의 모바일 장치(120-1 내지 120-3)와 연결되어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의복 장치(110-1, 110-2)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복수의 의복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의복 장치를 이용한 충전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복 장치(110-1, 110-2))는, 복수의 영역(111 내지 113)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접속부(111-1 내지 113-1)를 통하여 복수의 모바일 장치(120-1 내지 120-3)와 각각 연결된다. 이 때, 복수의 모바일 장치(120-1 내지 120-3)의 배터리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어느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력으로 다른 모바일 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접속부(111-1)는 상의(110-1) 주머니 등에 위치하여 핸드폰(제 1 모바일 장치(120-1)의 예시)과 유무선 연결될 수 있고, 제 2 접속부(112-1)는 상의(110-1) 소매 등에 위치하여 스마트 시계(제 2 모바일 장치(120-2)의 예시)과 무선 또는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3 접속부(113-1)는 하의(110-2) 하단에 위치하여 스마트 신발(제 3 모바일 장치(120-3)의 예시)과 무선 또는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충전 동작을 주로 제어하는 상의(110-1)와 하의(110-2)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의(110-1)의 접속부(116-1) 및 하의(110-2)의 접속부(116-2)를 별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속 영역은, 의복 장치를 착용한 신체의 특정 부위 및 해당 모바일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바일 장치(120-1)는 제 1 영역(111)에 대응되고, 제 2 모바일 장치(120-2)는 제 2 영역(112)에 대응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접속 영역은, 접속부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부(또는 배터리), 센서부, 통신부,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은 자연스럽고 일반적인 착용 위치에서 의복 장치와 모바일 장치가 전기적으로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가 일반적으로 착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팔목 부분에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이 배치될 수 있고, 스마트폰을 휴대할 수 있는 셔츠 또는 바지 형태의 의복 장치의 주머니 부분에 제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스마트 백팩의 어깨 끈 부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셔츠 형태의 의복 장치의 어깨 부위에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이 배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의복 장치(110-1, 110-2)는, 복수의 접속부(111-1 내지 113-1) 간 전력 이동을 지원하는 패브릭 케이블(fabric cable)(11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5)는 의복 장치(110-1)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모바일 장치에서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5)는 제 1 모바일 장치(120-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120-2)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의복 장치(110-1, 110-2)는 패브릭 케이블(114), 접속부(111)와 같은 수동 소자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패브릭 케이블(114)는, 복수의 접속 영역(또는 복수의 접속부) 사이를 연결하거나, 어느 접속 영역과 의복 장치 내에 구비된 에너지 저장부(배터리)/제어부/센서부/통신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패브릭 케이블(114)은, 패브릭 소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 전자 실 또는 전도성 실의 형태일 수 있고, 케이블 배터리로서 전력을 저장하거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직접 저장하거나 송수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패브릭 케이블은, 의복 장치와 모바일 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금속)을 통해 패브릭 소재와 결합한 형태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15)는, 어느 영역 내에 구비되거나, 영역과 다른 별도의 부분에 구비되어 접속부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의 접속부 및 그것에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의 무선 연결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영역(112)에 대응되는 제 2 모바일 장치(120-2)를 스마트 시계라고 가정한다.
의복 장치(110-1)의 소매에 수용부(211)를 스마트 시계(120-2)에 수용부(211)와 결합되는 돌출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부(211) 및 돌출부(212)가 결합함에 따라, 제 2 영역(112)에 구비된 제 2 접속부(112-1)과 스마트 시계(120-2)가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어 무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211) 및 돌출부(212)는 후술할 근접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물리적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211)는 단추 구멍으로 돌출부(212)는 단추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주머니에 무선 연결 가능한 접속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핸드폰이 주머니에 수용되었을 경우에 주머니의 폭이 후술할 근접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주머니의 2개의 측면부가 물리적인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코일 형태의 접속부의 경우, 동일 패턴 또는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형태 접속부의 일례인 복수 코일로 구성된 전력 송수신기는, 몸 측 방향으로 자기장에 대한 쉴드(shield)를 구비하고, 안테나 접촉면이 최대한 휘어지지 않도록 단단한 소재로 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의 접속부 및 그것에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의 유선 연결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a 및 도 3b에서는 모바일 장치를 스마트 시계라고 가정한다.
도 3a에 따르면, 소매에 단추 오목부(311)를 스마트 시계에 단추 볼록부(312)를 구비하고, 오목부(311) 및 볼록부(312)를 결합하는 경우 접속부와 스마트 시계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도 3b에 따르면, 소매 일부분 및 스마트 시계 각각에 제 1 및 제 2 자석 커넥터(313, 314)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자석 커넥터(313, 314)를 결합하는 경우 접속부와 스마트 시계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도 3c에 따르면, 상의 하단 및 하의 상단 각각에 제 1 및 제 2 커넥터(315, 316)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커넥터(315, 316)를 결합하는 경우 상/하의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의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신발)를 상의에 구비된 제어부(115) 또는 상의에 연결된 다른 모바일 장치들과 연결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커넥터는 지퍼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 이(conductive teeth)와 부도체(non-conductive teeth)가 교대로 배치되어 신호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지퍼의 복수의 이(teeth, 316) 중 4개의 도체 이가 USB 표준의 4개의 핀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의복 장치는 도 1의 제 1 의복 장치(110-1)를 의미하고, 모바일 장치는 도 1의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를 의미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후술할 충전 방향은, 제 1 모바일 장치(120-1)에서 제 2 모바일 장치(120-2)라고 가정한다(물론, 그 역의 경우도 가능).
도 4의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복 장치(110-1)는, 제 1 및 제 2 영역(111, 112)에 각각 구비되고, 제 1 및 제 2 영역(111, 112)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111-1, 112-1), 제 1 및 제 2 접속부(111-1, 112-1) 간 전력 이동을 지원하는 패브릭 케이블(114),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로부터 제 1 및 제 2 배터리 관련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통신부(미도시) 및 제 1 및 제 2 배터리 관련 정보에 따라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제 1 모바일 장치(120-1)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제 1 접속부(111-1)를 제어하고, 제 1 접속부(111-1)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제 2 모바일 장치(120-2)를 무선 충전하도록 제 2 접속부(112-1)를 제어하는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영역(111, 112)은,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가 착용되는 제 1 및 제 2 신체 부위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또는 제 2 영역(111, 112)은,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의 종류 및 착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도록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바일 장치(120-2)가 스마트 시계인 경우 스마트 시계가 착용될 손목에 대응되는 의복 장치의 소매에 제 2 영역(112)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 2 영역(112)은, 착용된 스마트 시계 위를 덮거나 스마트 시계의 밴드(strap) 영역에 걸치는 경우 등의 착용 형태에 따라, 제 2 영역(112)의 위치 또는 면적이 스마트 시계와 일정 거리 내에 근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접속부(111-1 112-1)는, 패브릭 소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료로 구성되어 의복 장치와 결합하거나,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서 의복 장치의 패브릭 소재와 탈부착 가능한 물리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접속부 형태가 코일인 경우, 복수의 코일들은 복수의 패턴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일정한 규칙(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사용자는, 의복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를 착용한다(S410).
의복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가 제 1 또는 제 2 영역에 대한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420). 더욱 구체적으로, 판단 단계(S420)는, 제어부(11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 장치는, 해당 모바일 장치가 해당 영역과 일정 거리 내에 근접하거나 접촉되는 형태로서(모바일 장치는 스마트 시계/스마트 가방/스마트 폰/스마트 신발이고, 영역은 소매/주머니/어깨부분/바지 밑단/벨트 특정 부분 이라고 가정), 소매가 스마트 시계를 덮거나, 상의 어깨 부분에 스마트 가방의 가방 끈이 놓이거나, 주머니 내에 스마트 폰이 소지되거나, 스마트 신발이 바지 밑단에 닿거나, 벨트 특정 부분에 스마트 시계가 근접하는 경우에 근접 조건을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복 장치는, 의복 장치(또는 모바일 장치)에 내장된 조도 센서/이미지 센서 등의 근접 센서 또는 모바일 장치 근접에 의한 접속부의 지자기 센서값 변화량 등을 감지하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근접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근접 조건은, 해당 영역의 위치,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의 종류/착용형태, 접속부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매와 스마트 시계"와 "스마트 가방과 상의 어깨부분"은, 근접 조건의 설정 값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접속부가 유선 접속부인 경우에는 유선 접속부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에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근접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센서가 필요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적외선 근접 감지 센서 등을 활용하여, 근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수단 자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15)는 모바일 장치가 의복 장치의 통신부(미도시)의 통달 거리(Coverage) 내에 있어서, 의복 장치가 송신한 신호에 대하여 모바일 장치가 응답을 할 때에도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 접속부들의 접촉하는 경우에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5)는 통신 수단의 신호의 세기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활용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를 근접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5)는 아이비콘(iBeacon)과 같이, 수신감도를 기준으로 거리를 수 센티미터 이내(Immediate), 수 미터 이내(Near), 10 미터 이상(Far)의 몇 단계로 구분하여, 일정 단계 이내로 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정의될 때를 근접 조건이라 판단할 수도 있다. 기타, 당업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근접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가 모두 근접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의복 장치는, 근접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하는 경우(S420에서 예),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를 연결한다(S430). 다시 말하면, 의복 장치는,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 모바일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결 단계(S430)에서 의복 장치는,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대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대기 모드에서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는, 무선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무선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행 화면을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2 모바일 장치에 대한 충전 정보(예를 들어, 충전 잔여량,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 사용 잔여 시간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실행 화면을 통해 원하는 만큼의 전력을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무선 충전 전력량, 무선 충전 시간 또는 무선 충전 가동시점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무선 충전 대기 모드에서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는, 무선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 무선 충전 효율을 위한 사용자의 자세 등을 가이드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무선 충전에 효율적인 신체 자세 또는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가이드 하거나, 무선 충전 중에 자세를 유지하도록 알림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무선 충전 애플리케이션 관련 실행 화면은, 해당 모바일 장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매개로 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매에 의해 덮인 스마트 시계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밝기의 세기 등을 조절하여 소매에 실행 화면이 투영될 수 있도록 하거나, 소매 근처의 신체 부위에 프로젝터를 활용한 프로젝션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의복 장치가 제어부(115)를 가지는 경우에는 의복 장치의 제어부에서 모바일 장치(120-1 또는 120-2)의 디스플레이에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120-1 또는 120-2)가 제어부(115)를 가지는 경우에는 직접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취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의복 장치는,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 1 및 제 2 배터리 관련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S440). 더욱 구체적으로, 수신 단계(S440)는, 의복 장치의 통신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수신된 제 1 및 제 2 배터리 관련 정보는,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간에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 관련 정보는, 해당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로서, 배터리 충전 정보, 배터리 사용량 정보 또는 무선 충전 수행에 해당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련 정보는, 임계점 이하의 충전 정보(예를 들어, 충전량, 잔여시간 등),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수의 증가로 인한 배터리 사용량 증가 추세도,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이벤트(구체적으로, 바이오센서/SNS/일정 정보를 통해 잠을 자고 있거나, 앉거나 서 있는 상태 등의 이벤트를 감지 가능), 해당 모바일 장치로 입력되는 배터리와 관련된 기 설정된 명령(구체적으로, 해당 모바일 장치가 감지하는 제스처 또는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는, 배터리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생성하여 의복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는, 서로 교환된 배터리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는, 자신의 충전 잔여량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무선 충전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생성하거나, 교환된 상대방 모바일 장치의 충전 잔여량이 자신 보다 일정 수준 높은 경우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는, 무선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시각/청각/촉각 제공 수단을 통하여 배터리 관련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모바일 장치의 충전 잔여량이 임계점 이하인 경우 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의복 장치는, 모바일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생성한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의복 장치는,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 생성시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자동 설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동작에 상응하여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동작은, 실행 화면에 표시된 시각적으로 표현된 객체(visual object)에 대한 터치 입력, 기 설정된 공간 제스처,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모바일 장치에서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생성하였다고 가정한다(물론,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였다면 제 1 모바일 장치에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설정할 수 있음).
의복 장치는, 제 1 및 제 2 배터리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충전 방향을 결정한다(S450).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15)는, 무선 충전 활성 모드가 설정된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제 1 모바일 장치에서 제 2 모바일 장치로 충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충전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부(115)는 제 1 모바일 장치 및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 배터리 관련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련 정보는 배터리 소모 속도에 관련된 정보, 충전량 관련 정보 및 사용자의 충전 패턴 또는 충전 컨택스트(Context)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소모 속도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나 또는 물리적인 배터리 소모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배터리 소모 속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소모 속도가 큰 장치로부터 배터리 소모 속도가 작은 장치로 충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인 충전량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배터리의 총 용량 및 현재 충전 비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각 디바이스의 배터리의 총 용량 및 현재 충전 비율을 고려하여 총 용량과 충전 비율의 곱을 구해 충전 용량을 구하여 충전 용량이 큰 장치에서 작은 장치로 충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충전 비율만을 고려하여 현재 충전 비율이 높은 장치에서 낮은 장치로 충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충전 패턴에 관한 정보는 충전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충전 빈도 예를 들어 하루 평균 충전 회수가 많은 경우에는 충전 회수가 높은 기기에서 충전 회수가 낮은 기기로 충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충전 컨택스트 정보는 예를 들어, 일정 정보 및 위치 정보 또는 의복 착용 패턴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방향을 결정하는 예는 아래와 같다.
먼저, 제어부(115)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환경인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등록된 일정(캘린더)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파악된 일정과 관련된 활동량, 행동 패턴 및 장소에 따른 무선 충전 환경 등을 결정하거나 예측한다. 그리고, 결정된 또는 예측된 무선충전환경에 따라 의복 장치의 무선 충전 작동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무선 충전 작동 모드는 전력 절감 모드, 일반 무선 충전 모드 및 급속 무선 충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활동량이 적고, 의복과 스마트 워치 등의 모바일 장치가 접촉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휴대폰으로부터 스마트 시계로 충전 방향을 정할 수 있다. 내일 1시에 회의실에서 고객 상담이 예정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제어부(115)는 고객 상담이 많은 활동량을 요하지 않고, 또한, 고객 상담시 주로 긴팔의 정장을 입기 때문에 의복 장치와 스마트 와치가 충전이 가능한 근접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5)는 휴대폰에서 헬스 트래킹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워치로 충전을 하도록 충전 방향을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5)는 고객 상담 및 일정 정보를 참조하여 예정된 1시에 휴대폰과 스마트 워치가 의복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면, 휴대폰의 배터리에서 스마트 워치로 충전을 하도록 충전 방향을 정하고 충전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5)는 디바이스 사용 패턴에 따라 충전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5)는 시간/장소 별로 사용자의 디바이스 사용 패턴을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115)는 특정 시간에 특정 장소에서 주로 사용하지 않는 기기의 전력을 특정 장소에서 특정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기기로 무선 전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아침 6시에서 7시 사이에 사용자가 아침운동을 주로 한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15)는 사용자의 운동 시간 및 장소를 파악하여 운동시 주로 사용하지 않는 기기인 휴대폰에서 운동시 주로 사용하는 기기인 스마트 워치로 충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5)는 사용자가 퇴근시간에 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퇴근시간의 일정시간 전에 스마트 워치의 전력을 휴대폰으로 모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충전 컨택스트 정보는 특정 장소에서 충전이 용이한 기기인지 여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5)는 특정 장소에서 충전이 용이하지 않은 기기로 충전되도록 충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5)는 스마트 카 내에 있음을 인지할 경우, 운전 상황에서 스마트 워치가 충전이 어려운 디바이스라고 설정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5)는 의복 장치에 연결된 다른 기기에서 스마트 워치로 충전이 되도록 충전 방향을 정할 수 있다.
또는, 충전 컨택스트 정보는 의복 착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5)가 의복 착용 패턴을 파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복수의 의복을 착용할 수 있고, 이 중 일부가 의복 장치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의복 장치의 제어부(115)는 의복의 착탈 상황을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무선 충전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5)는 외투의 착탈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5)는 외투의 착탈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별도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외투 자체가 추가적인 의복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의복 장치의 제어부(115)는 추가적인 의복 장치인 외투와 통신을 하여 착탈 여부를 알 수 있다. 의복 장치의 제어부(115)는 외투의 착탈 여부를 파악한 뒤, 장소를 실내라고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15)는 실내인 경우, 스마트 와치의 사용이 적다고 가정하고 충전 방향을 스마트 워치에서 휴대폰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5)는 착용된 의복을 인식하고, 착용된 의복의 종류에 따라 용자의 컨택스트를 반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복 장치 이외의 운동복 착용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활동량이 증가하고 스마트 워치의 사용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5)는 운동복 착용이 감지되면 착용 후 운동 장소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무선 충전 기간으로 규정하고, 해당 기간 중 스마트 폰의 전력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충전 방향을 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황에 맞도록 충전 방향을 정할 수 있다.
의복 장치는, 상기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제 1 접속부를 이용하여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S460). 더 나아가, 의복 장치는, 제 1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모바일 장치의 충전 잔여량이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그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의복 장치는, 상기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전력을 패브릭 케이블을 통하여 제 1 접속부에서 제 2 접속부로 송신한다(S470). 더 나아가,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은, 의복 장치의 에너지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후 제 2 접속부로 전달되거나, 패브릭 케이블을 통해 바로 제 2 접속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에너지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전력의 일부는 의복 장치의 구동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의복 장치는, 송신 단계(S470)에서 송신된 전력으로 제 2 모바일 장치를 무선 충전한다(S480). 더욱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단계(S480)는 제어부(1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접속부에 공급된 전력이 제 2 접속부의 자기 유도를 위한 전류로서 공급됨으로써, 제 2 접속부의 자기장 변화를 유도하고 그에 따라 제 2 모바일 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의복 장치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사이의 전력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또는 제2 접속부에 대한 무선 충전 경로 및 무선 충전량을 의복 장치 또는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의 시각/청각/촉각 제공 수단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의복 장치는, 무선 충전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 또는 의복 장치에 구비된 바이오 센서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SNS 정보/일정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사용자의 활동상태, 사용자의 일정, 무선 충전 시기(낮과 밤), 장소(실내 외) 등 무선 충전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고려하여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이동 차량 안에서 앉아 있는 등 정지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급속 무선 충전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의 일정을 미리 파악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시간대에 급속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급속 무선 충전의 수행 전에 사용자에게 미리 알리거나, 관련한 가이드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비록 무선 충전 활성 모드이더라도, 이동 중이거나 운동 중일 경우 무선 충전 효율이 감소되므로 불필요한 무선 충전 시도를 제한하거나, GPS 정보 또는 날씨 정보를 활용하여 비 오는 날 외부에 있을 경우 안전상을 이유로 무선 충전 시도를 의도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의복 장치는,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의복 장치와의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모바일 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무선 충전 대상인 제 2 모바일 장치가 복수인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획득할 전력량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착용된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관련 정보에 기초한 충전 요구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대상인 모바일 장치들의 충전 상태, 배터리 관련 정보 또는 가이드 정보는, 특정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제 1 모바일 장치)에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복 장치는, 제 2 모바일 장치의 무선 충전량이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무선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하여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이 100% 완료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설정한 70%를 달성하였다면,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무선 충전 해제 동작(예를 들어, 소매를 걷거나, 덮인 소매의 상태 변경 등)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복 장치는, 센싱부를 이용하여 신체 정보를 감지하고,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체 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감지된 신체 정보는, 의복 장치의 센싱부에서 획득되어 패브릭 캐이블을 통해 특정 영역으로 전송되고, 특정 영역에 구비된 통신부를 통하여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의복 장치는, 자신이 감지한 신체 정보를 모바일 장치에 전달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력이 필요할 경우,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장치에 무선 충전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모바일 장치는, 무선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하여 의복 장치의 접속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모바일 장치는, 실행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헬스 케어 등)에 따라 다중의 신체 정보를 수집하여야 하는 경우, 의복 장치의 접속부로 소정의 전력을 무선 공급 한 뒤 의복 장치로부터 신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복 장치는, 복수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서 무선 충전 수행을 관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모바일 장치를 무선 충전하거나 무선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의복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무선 충전 유지/중단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이벤트로서 의복 장치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받은 경우, 착용된 복수의 모바일 장치 중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생성한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설정하고, 복수의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무선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수행 이벤트에 해당하는 사용자 제스처에는, 스마트 시계 위에 소매를 덮는 제스처, 스마트 가방의 끈을 당김으로써 근접 상태의 강도를 높이는 제스처, 스마트 모자 위에 스마트 안경을 걸침으로써 양 장치간에 접촉 영역이 발생하도록 하는 제스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팔을 흔드는 제스처나 발을 구르는 제스처 등 미리 정해진 제스처 또는 사용자가 정의한 제스처를 충전 수행 이벤트로서 감지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팔을 흔드는 제스처는 스마트 시계에서 감지하고, 발을 구르는 제스처는 스마트 신발에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무선 충전 중단 이벤트로서 의복 장치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로서 근접 조건을 해제시키는 제스처(예를 들어, 소매를 걷거나 소매를 접는 행위 등)를 입력받는 경우, 무선 충전을 중단하고 무선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의복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는 근접 조건을 만족시키는 임계값을 벗어나는 상태가 사용자의 의복 장치에 대한 터치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 적극적인 사용자의 무선 충전 중단 이벤트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복 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의복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활용하여 무선 충전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 장치와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무선 충전 및 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증이 가능한 사용자의 수를 추가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은, 지문 인증, 생체 정보를 활용한 인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의복 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를 통한 복수의 모바일 장치간 무선 충전을 도시한다.
도 5에 따르면, 제 1 영역의 제 1 접속부와 제 2 영역의 제2 접속부는 패브릭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는 의복 장치와 하나의 인터페이스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구분된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는,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하여 각각 근접 조건을 만족할 경우, 무선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행 화면을 통해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충전 정보(예를 들어, 충전 잔여량,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 사용 잔여 시간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는, 패브릭 케이블(114) 또는 유무선 통신수단(미도시)을 활용하여 각종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 관련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상기 교환된 각종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120-1, 120-2)는, 청각 및 촉각 수단을 통한 피드백 또는 무선 충전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의 특정 영역에 대한 모바일 장치의 근접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바일 장치가 스마트 시계라고 가정한다.
도 6에 따르면, 의복 장치는, 소매에 의해 스마트 시계(120-2)가 덮이거나 소매에 걸리는 경우, 제 2 영역(112)의 접속부(소매에 위치)와 스마트 시계(특히, 무선 충전 모듈)(120-2)가 맞닿거나 근접함을 감지하고, 스마트 시계(120-2)에 무선 충전 대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대기 모드에서 의복 장치 및 스마트 스마트 시계(120-2)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점 이하의 충전량 상태인 경우, 제 1 접속부 또는 스마트 시계의 무선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접속부 또는 스마트 시계(120-2)의 무선 충전 모듈은, 각각 1차 코일 또는 2차 코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복 장치에서 스마트 시계로 또는 스마트 시계에서 의복 장치로 쌍방향으로 전력을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소매로 덮여 있는 상태가 고정되도록 스마트 시계 또는 의복 장치에 물리적 수단(예를 들어, 고리, 접착부재, 단추, 지퍼 등) 또는 전자기적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 시계의 모듈(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projector, LED 등)을 통해 스마트 시계의 배터리 관련 정보가 소매 또는 착용된 스마트 시계의 근처 신체 부위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에 따르면, 스마트 시계(120-2)와 그에 대응하는 소매의 영역(112)이 근접 조건을 만족하도록 맞닿게 하기 위하여, 스마트 시계(120-2)의 일 영역 및 소매의 일 영역에 자성을 갖는 구성(예를 들어, 자석 또는 자성물질)을 포함시키거나, 부착에 용이한 물질 또는 물리적인 구조의 부착 수단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본체 또는 스마트 시계 밴드(strap) 영역에 자석 또는 자성물질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의복 장치의 경우 소매의 일 영역(끝자락 부분)에 해당 구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자석은 무선 충전 중 전자기 유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소매와 스마트 시계의 접촉 또는 근접 상태를 적극적으로 해제시킬 경우 무선 충전이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 장치 또는 스마트 시계는, 스마트 시계를 덮고 있거나 스마트 시계 주변에 걸쳐 있는 소매를 접거나 걷는 제스처를 취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감지된 근접 상태 해제 제스처를 기초로 코일에 전류 공급을 제한함으로써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장치를 복수 개 착용하는 경우 코일 중첩에 따른 급속 충전을 도시한다.
도 8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의복 장치를 복수 개 착용한 경우(예를 들어, 셔츠와 재킷 착용), 상기 복수의 의복 장치 각각의 접속부가 중첩됨에 따른 고속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는, 복수 개의 의복 장치의 착용이 감지될 경우, 중첩된 접속부 또는 넓게 배치된 접속부를 통한 고속 무선 충전의 실행 여부를 묻는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고속 무선 충전 수행 시 중첩된 접속부(또는 넓게 배치된 접속부)를 통해 자속의 강도 또는 밀집도가 증가되어 고속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무선 충전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시계를 착용한 상태(skin)에서 제 1 의복 장치 하나만 착용한 경우(1st Layer)에는, 스마트 시계의 무선 충전 모듈(1st coil)과 제 1 의복 장치의 접속부(2nd coil)가 근접함에 따라 무선 충전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의복 장치를 중복하여 착용하는 경우(Multi-Layer), 제 1 의복 장치의 제 1 접속부와 제 2 의복 장치의 접속부(2nd coil)가 중첩되거나 넓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멀티 코일의 형태로 가짐으로써 자속의 강도 또는 자속의 균일성을 증가시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급속 충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복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는, 급속 충전 가능 정보를 사용자에게 피드백 또는 가이드 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스마트 시계 위의 소매를 두드리거나 2개 이상의 소매를 나란히 접어 스마트 시계 위에 덮는 등의 제스처를 입력받는 경우 급속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소매의 중첩으로 멀티 코일이 형성되도록 코일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복수의 의복 장치 착용시), 소매를 접을 경우에 멀티 코일이 형성되도록 소매의 일 영역에 복 수개의 코일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하나의 의복 장치 착용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가 스마트 신발인 경우 의복 장치가 하의인 경우 무선 충전을 도시한다.
도 9에 따르면, 스마트 신발에 의해 생산된 압전 에너지를 의복 장치의 접속부를 통해 다른 모바일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다. 스마트 신발은, 상기 생산된 압전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저장된 압전 에너지를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의복 장치의 접속부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의복 장치는, 상기 전달된 압전 에너지에 해당하는 전력으로 제 2 접속부에 근접하도록 착용된 다른 모바일 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이용하여 발생한 전력을 스마트 신발의 특정 위치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고, 무선 충전 시 상기 저장된 전력을 스마트 신발의 특정 위치에 구비된 코일에 흘려 근접한 위치의 의복 장치의 코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신발의 특정 위치와 바지 밑단의 일 영역이 맞닿거나 일정 거리 내에 근접할 경우, 무선 충전 대기 모드로 진입하여 배터리 관련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임계점 이하의 충전량을 지닌 장치가 감지될 경우 그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 신발에 구비된 GPS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활용하여 착용자의 위치 또는 환경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오는 날 실외에 있는 경우 무선 충전을 중단하거나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 신발의 코일 형성 위치에 접착 구조 또는 자석 구조 등을 결합시켜 하의의 코일 형성 위치와 가까이 위치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마트 시계에 의해 생산된 운동 에너지 또는 스마트 가방(또는 스마트 모자)에 의해 생산된 태양 에너지를 활용하여 의복 장치를 통한 다른 모바일 장치의 무선 충전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가 스마트 시계이고 의복 장치가 벨트인 경우 무선 충전을 도시한다.
도 10에 따르면, 사용자의 자세(예를 들어, 의자에 앉아 있거나, 가만히 서 있거나, 나란히 누워 있거나 등)에 따라 벨트와 스마트 시계가 근접 또는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벨트 내의 접속부(예를 들어, 패브릭 코일부)와 스마트 시계 내의 무선 충전 모듈(예를 들어, 패브릭 코일부)이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함에 따라, 양 장치 모두 무선 충전 대기 모드로 진입하고, 서로 배터리 관련 정보(예를 들어, 충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임계점 이하의 충전량을 가진 장치가 존재할 경우, 해당 장치는 무선 충전 활성 모드로 진입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벨트 내의 접속부는 벨트 착용시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스마트 시계와의 근접 또는 접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시계의 배터리가 내장된 파트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경우, 해당 파트만 분리하여 벨트의 접속부에 근접시킴으로써, 벨트 내의 접속부와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시계의 배터리를 내장한 파트는 시계 본체에 구비되거나, 밴드에 케이블 배터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벨트 및 스마트 시계의 근접 상태가 안정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의 신체 정보를 통해 착용자가 벨트를 착용한 채 잠에 들거나, 이동 중인 차량에 앉아 있는 등), 집중적으로 고속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가 스마트 가방인 경우 의복 장치가 상의인 경우 무선 충전을 도시한다.
도 11에 따르면, 의복 장치의 착용 중 스마트 가방을 착용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의복 장치의 접속부와 서로 맞닿거나 일정 거리 내로 근접할 수 있는 위치에 스마트 가방의 무선 충전 모듈을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은 가방 줄에서 착용 시 어깨에 걸쳐지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복 장치의 착용 중 스마트 가방을 매고 있음을 감지하기 위해, 스마트 가방 줄의 일 영역에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일정 압력 이상이 감지될 경우 두 장치의 착용 상태를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방 줄에 패브릭 배터리 기술을 적용하여 전기 회로 자체를 패브릭으로 구현함으로써, 스마트 가방 외부 표면에 장착된 태양 전지로부터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거나 유무선으로 다른 위치 또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방 착용시 의복 장치의 등 부분과 맞닿는 부위에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의복 장치의 등 부분에 위치한 접속부와 무선 충전 모듈이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방 안에 소지된 노트북, 패드 등의 전자 제품을 무선 충전하거나 이들의 전력을 의복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복 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를 도시한다. 이 경우, 모바일 장치인 스마트 폰(120-1) 또는 스마트 시계(120-2)에 보안 정보(Security element)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a)에 따르면, 스마트 폰(120-1)의 보안 정보가 의복 장치를 통하여 스마트 시계(120-2)에 전달됨으로써, 스마트 폰(120-1)을 주머니에서 빼거나 스마트 폰(120-1)의 정보를 별도로 스마트 시계에 전달할 필요 없이,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NFC)를 활용한 모바일 결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2(b)에 따르면, 스마트 폰(120-1)에서 의복 장치의 접속선 및 접속부를 통하여 모바일 결제 단말과 통신함으로써, 별도로 스마트 폰(120-1)을 주머니에서 뺄 필요 없이 모바일 결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의자 및 의복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무선 충전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를 착용한 경우를 가정한다.
도 13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마트 의자에 앉을 경우 착용한 의복 장치의 허리 부분에 구비된 접속부와 스마트 의자의 접속부가 서로 근접함으로써, 스마트 의자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으로 주머니 속에 소지된 제 1 모바일 장치 또는 소매에 근접하도록 착용된 제 2 모바일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복 장치를 통한 무선 충전 알람을 도시한다.
도 14에 따르면, 의복 장치의 제어부(115)는, 주머니에 장착된 지퍼 또는 단추가 잠긴 경우 충전/방전을 시작하고, 지퍼 또는 단추가 열린 경우 충전 /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지퍼의 일 부분을 LED 램프로 구성하여 충전/방전 시 LED 램프를 켜거나 램프 색깔을 변경하여 충전/방전 중임을 알릴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복 장치는, 슈퍼 축전기 형태의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무선 충전 모듈을 본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특정 파트에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특정 파트에 구비한 경우, 무선 충전 모듈이 내장된 특정 파트를 분리하여 의복 장치의 접속부에 부착한 뒤, 근접 조건을 유지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무선 충전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장치의 구성에 따라 유선 충전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의복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모바일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제어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는 의복 장치(제어부 내장)가 제어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 장치로서의 동작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로 지정된 모바일 장치는, 제어 동작으로서, 의복 장치에 연결된 모바일 장치들의 타입, 충/방전 가능 여부, 충방전 상태, 식별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장치로 지정된 모바일 장치는, 제어 동작으로서, 충/방전 상태에 따라 연결된 모바일 장치들의 속성(transmitter/receiver)을 지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충방전 상태에 따라, 송신기(transmitter)로 지정된 장치는 수신기(receiver)로 지정된 장치에서 Qi 표준에 맞도록 충방전 전압/전류를 기존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기 지정된 양만큼 증가시키거나 수신기(receiver)로 지정된 장치에서 요청한 만큼 조절하여 증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장치가 배터리인 경우 송신기(transmitter)로만 지정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의복 장치의 제 1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모바일 장치와 연결되는 제 1 접속부;
    상기 의복 장치의 제 2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모바일 장치와 연결되는 제 2 접속부;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 간 전력 이동을 지원하는 패브릭 케이블(fabric cable);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또는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배터리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 관련 정보에 따라 충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가 충전되도록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및 제 2 모바일 장치가 착용되는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브릭 케이블은 전자물질의 수송 또는 충전이 가능한 전자 실(electronic thread)로 만든 패브릭(fabric) 물질을 구비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각각은,
    외부 장치와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스마트 벨트, 스마트 가방, 스마트 신발, 스마트 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은,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의 종류 및 착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도록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 각각은,
    무선 충전 접속부로서, 동일 패턴 또는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련 정보는,
    배터리 충전 정보, 배터리 사용량 정보, 무선 충전 수행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한 근접 조건을 각각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중 특정 영역에서 충전 수행 또는 중단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거나 충전을 중단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의복 장치를 복수 개 착용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의복 장치 각각의 접속부가 중첩됨에 따른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신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체 정보를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복 장치,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활용하여 충전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12. 제 1 모바일 장치; 의복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의복 장치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가 착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접속부와, 제 2 모바일 장치가 착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접속부 및 상기 제 1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브릭 케이블(fabric cable)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도록 또는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 1 모바일 장치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중 해당 영역에 대한 근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 내에 설치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화면은,
    배터리 충전 정보 및 배터리 사용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각각은,
    충전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충전 대기 모드의 설정/해제, 충전 활성 모드의 설정/해제, 충전 설정/해제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시스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한 근접 조건을 각각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충전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시스템.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장치는,
    신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체 정보를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시스템.
  21. 의복 장치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각각 구비된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배터리 관련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충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충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한 근접 조건을 각각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 활성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신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신체 정보를 상기 제 1 및 제 2 모바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 방법.
KR1020150127295A 2015-09-08 2015-09-08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KR10179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95A KR101797990B1 (ko) 2015-09-08 2015-09-08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PCT/KR2015/013330 WO2017043700A1 (ko) 2015-09-08 2015-12-07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US15/010,085 US9859747B2 (en) 2015-09-08 2016-01-29 Garment device and system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US15/807,685 US10148118B2 (en) 2015-09-08 2017-11-09 Garment device and system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95A KR101797990B1 (ko) 2015-09-08 2015-09-08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491A Division KR102150713B1 (ko) 2017-11-09 2017-11-09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002A true KR20170030002A (ko) 2017-03-16
KR101797990B1 KR101797990B1 (ko) 2017-11-15

Family

ID=5823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295A KR101797990B1 (ko) 2015-09-08 2015-09-08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7990B1 (ko)
WO (1) WO20170437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67B1 (ko) * 2020-10-08 2021-04-26 (주)링크타운코리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스마트 의류 및 웨어러블 장치
KR20220088270A (ko) *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된 스마트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4619B2 (en) * 2003-06-11 2005-08-02 Motorola, Inc.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s in garments
JP4394023B2 (ja) * 2005-03-31 2010-01-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間の電力移動システム
US20110278943A1 (en) * 2010-05-11 2011-11-1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System including wearable power receiver and wearable power-output device
KR101926564B1 (ko) * 2012-07-11 2018-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용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102120922B1 (ko) * 2013-03-25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공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방법
KR20150065498A (ko) * 2013-12-05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벨트형 충전기
KR101545212B1 (ko) * 2014-12-31 2015-08-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67B1 (ko) * 2020-10-08 2021-04-26 (주)링크타운코리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스마트 의류 및 웨어러블 장치
KR20220088270A (ko) *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된 스마트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990B1 (ko) 2017-11-15
WO2017043700A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118B2 (en) Garment device and system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197417B2 (en) Monitoring activity with intelligent fabrics
US99792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EP3157127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140008653A (ko) 착용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20150065498A (ko) 웨어러블 벨트형 충전기
US20230039159A1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KR101797990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US20240171017A1 (en) Wearable article and electronics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power
KR102150713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US20230259191A1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Device
JP2016213915A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GB2592900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GB2585729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WO2021148781A1 (en) Electronics module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GB2591241A (en)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KR20170027426A (ko)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GB2588620A (en) Wearable article, textile article and method
GB2596932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GB2611457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GB2611459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GB2585728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GB2594820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US1019359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antenna switching method
WO2021084244A1 (en) Wearable article and electronics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sensor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