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426A -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426A
KR20170027426A KR1020150124002A KR20150124002A KR20170027426A KR 20170027426 A KR20170027426 A KR 20170027426A KR 1020150124002 A KR1020150124002 A KR 1020150124002A KR 20150124002 A KR20150124002 A KR 20150124002A KR 20170027426 A KR20170027426 A KR 20170027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external device
connection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재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to KR102015012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426A/ko
Publication of KR2017002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섬유를 구비한 의류를 활용하여 외부 디바이스간의 전력 및 정보 교환을 구현하기 위한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 섬유로 구성된 의류는 특정 위치에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의류의 연결단자는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단자와 접촉/근접 상태를 만족시키기 위해 커넥터와 결합된다. 커넥터를 통해 양측의 연결단자가 접촉되면 상기 의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류의 전도성 섬유를 통해 의류의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의류 및 외부 디바이스는 전력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하나의 플랫폼 형태가 된다.

Description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BY USING CONDUCTIVE FABRIC}
본 발명은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스마트의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활성화 되면서 이를 활용한 입력 방법 및 정보 전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는 일반적으로 천연 섬유와 함께 전극이 되는 실(스테인리스강 등의 소재)을 다시 음극과 양극으로 꼬아 전도성 의류에 적용한 것이다. 전도성 섬유는 외부의 입력신호 및 의류에 구비된 각종 센서의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일종의 전선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의류는 디바이스로서, 전도성 섬유 외에 배터리, 컨트롤러, 유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세탁 시 반드시 분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본래 의류의 기능(편안함/패션 등)을 완전히 대체하기에 다소 어려움/거부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배터리, 컨트롤러, 유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일반 의류로서, 전도성 섬유 및 연결단자 등의 최소화된 구성을 통해 passive하게 외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연결단자를 활용하여 의류 및 외부 디바이스 간의 전자기적인 연결/해제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도성 섬유로 구성된 의류는 특정 위치에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의류의 연결단자는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단자와 접촉/근접 상태를 만족시키기 위해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으며, 커넥터를 통해 양측의 연결단자가 접촉되면 상기 의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류의 전도성 섬유를 통해 의류의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전력 또는 정보를 무선/유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다른 구성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전력 및 정보 교환에 있어서 의류 내의 위치적 특성 및 용도에 적합한 방법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가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패시브(passive) 한 연결을 통해 전도성 섬유를 구비한 일반 의류가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의류화 되는 모습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 소매의 연결단자가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단자와 서로 측면방향으로 연결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 소매의 연결단자가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단자와 서로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탈착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본체와 의류의 연결단자 결합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의 연결단자와 스마트워치의 스트랩 연결단자가 단추형태로 구성되어 끼움홀과 끼움부를 통한 결합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 소매로 스마트워치를 덮음으로써, 의류 안쪽에 구비된 연결단자가 스마트워치 스트랩에 구비된 연결단자와 결합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단자가 구비된 커넥터가 엑세서리 형태로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의류의 연결단자와 결합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단자가 구비된 커넥터가 똑딱이 단추 형태로서, 탄성구조/부재에 의한 결합력 증대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도성 단자와 비전도성 단자가 교차된 구조의 지퍼형태 커넥터로 의류와 의류를 전자기적으로 연결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도성 섬유로 일반 단추의 홀에 접촉/연결된 스냅 커넥터의 구성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를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가 의류와 전자기적으로 접촉/연결되어 의류를 매개로 한 전력교환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디바이스와 의류가 커넥터에 의해 passive하게 접촉/연결되어 전도성 섬유에 의해 하나의 플랫폼을 형성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 연결단자의 위치/형태가 외부 디바이스가 착용되는 의류의 접촉 부위 및 신체 부위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의 착용만으로 의류와 자연스러운 접촉/연결을 유도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에 의해 의류와 외부 디바이스의 접촉/연결이 확인되면 전자기적으로 연결된 의류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특징을 순서화 한 것이다.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써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1. 본 발명의 주요 구성
(1) 의류
본 발명에서의 의류는 전자물질의 수송 또는 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전도성 섬유로 고리를 만든 페브릭(섬유, 옷감) 소재로 구성된 의류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전도성 섬유는, 의류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를 상기 의류와 접촉/근접한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섬유는 의류를 구성하는 천연 섬유를 대체할 수 있으며 전도성 섬유는 금속, 금속 산화물, 탄소 계열 등의 도체 재료를 사용하여 전기 저항을 낮게 만들거나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극재료의 응용범위도 모두 포함한다.
1) 의류의 제1영역
제1영역은 착용된 의류 내의 특정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제1영역은 연결단자를 구비하여 착용되는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단자와 물리적/전자기적 접촉이 이뤄지는 영역이다. 이 때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의류 착용 시의 대응되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 및 착용되는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형태 등을 고려하여 위치/형태/면적/기능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의 접촉/연결을 위해 상기 의류 내에 상기 제1영역 외에 별도의 제2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의류 내의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의 착용으로 자연스럽게 접촉/연결되어 전자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연결단자뿐만 아니라 접촉/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와의 전력/정보 송수신을 위한 코일 유닛, 센서 유닛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의류에는 별도의 컨트롤러(CPU), 배터리, 통신수단 등을 구비하지 않으며, 최소화된 구성으로서 의류 내의 상기 제1영역(또는 제2영역)과의 접촉을 통해 착용 외부 디바이스와 페시브(passive)한 전자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2) 상기 제1영역의 연결단자
상기 의류의 제1영역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착용 시, 전자기적 연결이 이뤄지는 영역으로서, 연결단자를 구비한다. 이 때 연결단자는 상기 제1영역의 위치/면적/형태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착용위치/커넥터 형태 등을 고려하여 그 형태/구성 등이 결정된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착용상태에 상기 의류와의 전자기적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영역의 연결단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단자와 접촉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상기 제1영역 내의 연결단자는 상기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커넥터에 잘 접촉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하 실시예 파트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2) 외부 디바이스
본 발명에서의 외부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소지 가능한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안경형 타입 디바이스(HMD, Head Mounted Display), 손목형 타입 디바이스(smart watch, wrist band 등), 목걸이형 타입 디바이스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가방, 스마트 신발, 스마트 모자 등 신체에 착용/소지 가능한 모든 디지털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배터리, 컨트롤러(CPU), 통신수단 및 각종 센서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구성은 패시브(passive)하게 연결된 의류의 구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의류와 접촉/연결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장탈착 가능한 엑세서리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류와 접촉/연결되어 전자기적 연결상태가 된 이후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의류는 전력을 유/무선으로 교환하거나 센서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2. 의류 및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 특징/ 실시예
(1) 페시브 (passive) 연결 구조( 도1 , 도2 )
신체에 착용된 의류 내에 배터리, 컨트롤러(CPU), 통신수단 등을 구비한 채로 외부 디바이스와 커넥터를 통한 접촉/연결 특징은 이미 활발히 연구/개발되고 있는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의류 내에 전도성 섬유, 연결단자/커넥터 외 구성을 최소화한 일반 의류 형태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페시브 한 전자기적 연결을 구성한다. 아래와 같이, 도 1(선행) 및 도 2(본 발명)의 연결 형태/구조 설명을 통해 발명의 페시브(passive)한 연결 특징을 소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가 다양한 형태의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화 한 것이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소지/착용 상태 시, 상기 의류 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된 커넥터를 통해 상기 의류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커넥터는 의류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도 1의 구조는 의류에 컨트롤러가 장착되어 있어, 각종 전자기적 신호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통신수단 및 배터리가 추가로 구성된 디바이스이며, 상기 커넥터를 통해 두 디바이스가 전자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패시브 한 연결을 통해, 전도성 섬유를 구비한 일반 의류가 외부 디바이스와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전환되는 모습을 도시화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의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전자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의 역할이 중요하다. 도 2에서는 상기 커넥터의 역할을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에 의해 컨트롤러, 배터리, 통신수단 등을 구비하지 않은 의류가 외부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에서, 전자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이처럼 상기 의류가 커넥터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의류의 각종 센서에서 감지되는 물리적/화학적/생체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및 정보 처리를 위한 배터리 및 컨트롤러는 전자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의류의 상기 제1 영역의 연결단자는 전도성 섬유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전력/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의류의 전도성 섬유를 송수신 프로토콜이 동작하는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통신은 저속용 또는 고속용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현재의 직렬통신 프로토콜(USB, RS232, RS485)방법을 전도섬유와 연결된 연결단자에 적용한다. 물론, 전도성 섬유로 연결된 의류의 연결단자를 외부 디바이스의 통신매체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직렬통신 프로토콜 외에 각종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 특히 USB 통신 프로토콜을 전도성 섬유로 구성된 의류의 통신매체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직렬 프로토콜 방법에 비해 높은 전송률을 보일 수 있다.
(2) 의류 및 외부 디바이스의 다양한 연결 형태
1) 연결단자끼리의 직접 접촉에 의한 커넥트 ( 도3 , 도4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 소매의 연결단자가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단자와 서로 측면방향으로 연결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의류 소매 끝에 위치한 제1영역에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소매 끝의 연결단자가 외부 디바이스의 측면에 구비된 연결단자와 접촉하여, 전자기적으로 커넥트가 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스마트워치에 해당할 경우, 상기 스마트워치가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소매 끝의 연결단자가 스마트워치의 USB 단자에 물리적 접촉/근접이 감지되면 스마트워치의 디스플레이에 커넥트 여부에 대한 UI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안정적인 접촉/근접을 위한 가이드 UI가 상기 스마트워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 소매의 연결단자가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단자와 서로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상기 도 3과 달리 외부 디바이스의 연결단자 위치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본체를 한 축을 기준으로 상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소매 끝 또는 소매 안쪽 소재에 구비된 제1영역의 연결단자에 의해, 소매가 상기 스마트워치를 덮을 경우 접촉에 의한 커넥트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의류 소매의 연결단자 또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연결단자 주위에 접촉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전자기 구성(자석)/물리적 구성(sticky 물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2) 탈착형 외부 디바이스에 의한 커넥트 ( 도5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탈착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본체와 의류의 연결단자 결합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5A는 스마트워치 본체로서 스트랩과 분리 가능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워치 본체는 도 5A와 같이 클립 형태로 구성되어 커넥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스마트워치 스트랩과의 분리 이후, 상기 클립형태의 스마트워치 본체는 상기 의류의 제1영역과 접촉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전자기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B는 상기 클립형태의 스마트워치 본체가 의류의 제1영역과 접촉/근접되면 상기 본체의 출력수단(시청촉각)을 동원하여 상기 접촉/근접 여부 및 커넥트 완료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C는 클립형태의 스마트워치 본체 USB단자가 상기 의류의 연결단자와 맞물려 접촉됨으로써 전자기적 연결(커넥트)가 수행될 수 있다. 클립형태의 스마트워치 본체는 강력한 탄성구조를 통해 맞물린 상태의 상기 의류의 연결단자와 강한 접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3) 외부 디바이스의 착용부재를 이용한 커넥트 ( 도6 , 도7 )
외부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한 착용부재를 이용한 커넥터 형태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착용부재는 착용되는 신체의 부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기능에 따라 다르며, 일 예로 스마트워치의 착용부재는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스트랩(strap) 구성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의 연결단자와 스마트워치의 스트랩 연결단자가 단추형태로 구성되어 끼움홀과 끼움부를 통한 결합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상기 스마트워치 스트랩의 끼움홀에는 연결단자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의류 소매의 연결단자가 상기 스마트워치의 끼움부(단추)에 의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마트워치 스트랩 단추의 끼움 수에 따라 접촉되는 스트랩 끼움홀의 연결단자가 달라지게 되므로, 접촉상태가 달라진다. 즉 차별적인 접촉상태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각종 명령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워치 스트랩에 A, B, C, D, 끼움 홀이 있고, a, b 끼움부가 있을 경우 상기 끼움부 a, b가 상기 끼움 홀 A, B에 결합하는 경우와 상기 끼움 홀 B, C에 결합하는 경우는 서로 다른 접촉상태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 소매로 스마트워치를 덮음으로써, 의류 안쪽에 구비된 연결단자가 스마트워치 스트랩에 구비된 연결단자와 결합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스마트워치 스트랩에는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물리적 버튼 및 자성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4) 엑세서리 형태의 커넥터를 이용한 커넥트 ( 도8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단자가 구비된 커넥터가 엑세서리 형태(예: 케이스)로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의류의 연결단자와 결합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장탈착 가능한 케이스 형태의 커넥터를 구비할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본체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상기 의류의 제1영역에 구비된 연결단자와 접촉이 가능하다. 스마트워치와 연동이 가능한 케이스 형태의 커넥터를 사전에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커넥터에 연결된 의류를 제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케이스 형태인 상기 커넥터에 근거리 통신(Wifi, Bluetooth 등) 모듈이 있어, 커넥터가 장착된 스마트워치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워치의 일 위치에 근접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의류 접촉단자와의 근접 시, 스마트워치 컨트롤러에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스마트워치 본체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위치 중 일부에 연결단자(USB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형태의 커넥터 연결단자는 전자기적으로 연결될 상기 의류 내 제1영역의 형태/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착용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커넥트 될 수 있도록 그 위치/형태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연결단자는 상기 케이스 구조 내에서 물리적 힘에 의해 유동적으로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5) 커넥터의 탄성부재 /구조를 이용한 커넥트 ( 도9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단자가 구비된 커넥터가 똑딱이 단추 형태로서, 탄성구조/부재에 의한 결합력 증대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똑딱이 단추의 끼움부는 연결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구조와 결합되어 똑딱이 단추에 대한 물리적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의류 및 외부디바이스의 연결단자가 접촉되어 전자기적인 연결(커넥트)이 완료된다. 이 때 똑딱이 단추 형태의 커넥터의 탄성부재/구조는 움직임에 따른 탈착현상을 줄이는데 효과를 제공한다.
6) 의류의 기본 구성(지퍼, 단추)를 이용한 커넥트 ( 도10 , 도11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퍼 형태의 커넥터를 도시화 한 것이다. 상기 지퍼 형태의 커넥터는 지퍼를 올리는 동작에 의해 전도성 단자와 비전도성 단자가 교차하여 맞물림으로써 분리된 의류의 파트를 전자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의류 파트의 전자기적 연결을 통해, 의류의 제1영역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도 상기 의류와 전자기적 연결이 수행된다. 이처럼 상기 지퍼형태의 커넥터는 분리된 의류의 연결, 복수 의류의 연결, 복수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가능하며, 전자기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지퍼의 열림 정도를 감지하거나, 지퍼 손잡이의 움직임에 대한 속도 방향, 반복 횟수 등에 따른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지퍼를 잠그거나/여는 동작에 의해 교차되는 접촉단자를 통해 전자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단자는 전도성 섬유를 통해 전력/센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반 의류의 구성인 단추가 커넥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단추의 홀에 전도성 섬유와 비 전도성 섬유를 교차하여 엮음으로써 일반 의류의 단추를 통해 분리된 의류, 복수 개의 의류, 복수 개의 디바이스 등을 전자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착용 이후 단추를 매는 동작을 통해 상기 의류는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와 전자기적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의류 단추의 위치/종류/전도성 섬유의 구성 등에 따라, 단추를 맬 때 커플링 되는 접촉 부위/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며, 동일한 의류 내라도, 단추 별로 매는 동작에 의한 기능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는 단추에 따라 의류와 접촉/근접된 외부 디바이스 중에서 커넥트 할 대상을 결정하는 등 각종 명령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3. 의류 및 외부 디바이스의 커넥트 이후 특징
(1) 전력 교환( 도12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를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스가 의류와 전자기적으로 접촉/연결되어 의류를 매개로 한 전력교환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의류의 상기 제1영역에는 연결단자뿐만 아니라, 전력을 교환하기 위한 수간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영역에는 전도성 코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코일은 의류 내에서의 상기 제1영역 위치/면적 및 접촉되는 제1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형태/기능 등에 따라 패턴/구성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커넥트 실행 이후,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배터리 전력을 상기 의류에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 받은 상기 의류는 전도성 섬유를 통해 다른 위치인 제2영역의 제2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무선충전 중에는 상기 의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가이드 하거나 현재의 접촉상태정보를 의류 및 외부 디바이스의 각종 수단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2) 센서 정보 교환( 도13 , 도14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와 의류가 커넥터에 의해 passive하게 접촉/연결되어 전도성 섬유에 의해 하나의 플랫폼을 형성하는 특징을 도시화 한 것이다. 하나의 플랫폼을 형성한 상기 의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센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의류가 감지한 생체정보를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력 및 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의류에 내장된 통신모듈을 통해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에 무선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 요청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의류에서 취득된 센서 정보는 전도성 섬유를 통해 의류의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에 구비된 연결단자를 통해 커넥트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전달 받은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컨트롤러(CPU)에 의해 처리된다.
(3) UI ( 도15 )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에 의해 의류와 외부 디바이스의 접촉/연결이 확인되면 전자기적으로 연결된 의류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특징을 순서화 한 것이다. 커넥트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의류의 센서정보를 함께 처리하며, 커넥트 이후의 어플리케이션/기능 등은 상기 의류의 센서정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의류 또는 외부 디바이스의 센서정보는 의류/외부 디바이스의 출력수단을 통해 피드백/가이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넥트가 해제되면, 상기 의류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커넥트 전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없음.

Claims (1)

  1. -
KR1020150124002A 2015-09-02 2015-09-02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7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02A KR20170027426A (ko) 2015-09-02 2015-09-02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02A KR20170027426A (ko) 2015-09-02 2015-09-02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26A true KR20170027426A (ko) 2017-03-10

Family

ID=5841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002A KR20170027426A (ko) 2015-09-02 2015-09-02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4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411B1 (ko) * 2018-11-14 2020-02-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물형 스마트 그리드 센서
KR102273380B1 (ko) * 2020-10-21 2021-07-06 주식회사 테슬라바이오랩 체성분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섬유장치 및 체성분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411B1 (ko) * 2018-11-14 2020-02-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물형 스마트 그리드 센서
KR102273380B1 (ko) * 2020-10-21 2021-07-06 주식회사 테슬라바이오랩 체성분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섬유장치 및 체성분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646A (ko) 스마트 인터렉션 장치
US9859747B2 (en) Garment device and system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4598260U (zh) 一种蓝牙耳机
US20230071908A1 (en) Wearable article
US20230039159A1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US20240171017A1 (en) Wearable article and electronics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power
KR20170027426A (ko)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N106955093A (zh) 生理状态监测装置
CN104851253A (zh) 一种服装用智能系统
US20230259191A1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Device
CN219802669U (zh) 包括印制电路板结构的电子模块
TWI622358B (zh) 模組化智慧服飾
KR101797990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GB2591241A (en)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GB2592900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GB2585729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GB2596047A (en)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2591821A (en) Wearable article
CN212515547U (zh) 可穿戴电子设备
KR100859320B1 (ko) 의복 간 비접촉 통신 장치
KR20170126430A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의복 장치 및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충전 방법
KR20190055647A (ko) 원격제어 장치를 내장한 플렉서블 패치
GB2611459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GB2596932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GB2611457A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