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283B1 -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 Google Patents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283B1
KR101709283B1 KR1020150113976A KR20150113976A KR101709283B1 KR 101709283 B1 KR101709283 B1 KR 101709283B1 KR 1020150113976 A KR1020150113976 A KR 1020150113976A KR 20150113976 A KR20150113976 A KR 20150113976A KR 101709283 B1 KR101709283 B1 KR 101709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ing
jaw
guid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748A (ko
Inventor
최영석
이민영
박병수
박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to KR102015011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83B1/ko
Priority to PCT/KR2015/009651 priority patent/WO2017026575A1/ko
Priority to CN201580022798.2A priority patent/CN106687184B/zh
Publication of KR2017001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Abstract

완구용 결합유닛은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며, 제1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유닛은 제1 헤드부, 상기 제1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걸림턱들이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헤드부에 마주하는 제2 헤드부, 상기 제2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들이 걸리며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EASY LOCKING UNIT}
본 발명은 완구용 결합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구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며 원터치 방식의 체결 구조로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에 관한 것이다.
완구용으로 사용되는 결합유닛으로 대부분의 경우 볼트 등의 결합유닛을 사용하여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완구가 어린이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라면 결합을 위한 공구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문제로 완구의 조립 또는 해체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을 수행할 수 있는 결합유닛에 관한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2-0050739호에서는 부품을 양방향으로 결합하면서도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결합유닛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제품들은 결합을 위한 도구를 생략하고 용이한 결합을 도모하고는 있으나, 소정의 결합력과 결합의 편의성을 위해 복잡한 구조로 제작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결합유닛의 구조적 안전성 또는 내구성이 저하되어 결국 결합력이 저하되어 결합유닛의 본래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7093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의 체결구조로 상대적으로 간단한 체결이 가능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킨 완구용 결합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결합유닛은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며, 제1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유닛은 제1 헤드부, 상기 제1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걸림턱들이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헤드부에 마주하는 제2 헤드부, 상기 제2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들이 걸리며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삽입부는 원주방향으로 끝단에 돌출된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1 삽입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 사이에는 제1 홈부, 상기 제2 걸림턱과 상기 제1 삽입부 사이에는 제2 홈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턱이 상기 제1 홈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은 헐거운 결합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삽입공간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턱이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상기 제2 홈부로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고정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삽입공간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걸림턱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끝단에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유닛을 고정하는 끝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의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고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유닛의 걸림턱들이 제2 유닛의 고정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에 의해 고정부재의 결합이 가능하며,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유닛을 제2 유닛 방향으로 미는 행위만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고정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턱은 제1 및 제2 걸림턱들로 구분되어 각각 제1 및 제2 홈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턱을 포함하므로, 상기 고정턱이 상기 제1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는 헐거운 결합 상태, 즉 풀림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다, 상기 고정턱이 상기 제2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가 되므로,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로 고정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걸림턱이 상기 가이드부를 외측으로 확장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 유닛의 가이드부의 끝단의 끝단부는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닛이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며 고정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와의 고정력이 증가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소정의 결합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닛을 삽입방향의 반대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정턱이 제1 홈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끝단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의 고정력이 감소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용이한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결합유닛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완구용 결합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완구용 결합유닛의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제2 유닛을 하측에서 관찰한 저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제2 유닛을 상측에서 관찰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완구용 결합유닛이 한 쌍의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고정시키는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결합유닛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완구용 결합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완구용 결합유닛의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제2 유닛을 하측에서 관찰한 저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제2 유닛을 상측에서 관찰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결합유닛(10)은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100)이 상기 제2 유닛(200)과 결합하며 고정이 필요한 고정부재를 서로 결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닛(100)은 제1 헤드부(110), 제1 삽입부(120) 및 제2 삽입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200)은 제2 헤드부(210), 제1 가이드부(220), 제2 가이드부(230), 제1 고정부(240) 및 제2 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헤드부(110)는 통상적인 볼트나 나사못 등과 같이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삽입부(120)는 상기 제1 헤드부(110)의 제1 헤드면(111)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1 삽입부(120)도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삽입부(130)는 상기 제1 삽입부(120)로부터 상기 제1 삽입부(1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1 걸림턱(132) 및 제2 걸림턱(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삽입부(130)는 상기 제1 삽입부(120)보다 작은 반경의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들(132, 133)은 상기 제2 삽입부(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걸림턱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걸림턱(132)은 상기 제2 삽입부(130)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걸림턱(133)은 상기 제1 걸림턱(132)과 상기 제1 삽입부(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들(132, 133)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제1 홈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턱(133)과 상기 제1 삽입부(120)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제2 홈부(134)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 홈부(131)의 너비가 상기 제2 홈부(134)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후술하겠으나 고정턱이 상기 제1 홈부(131)에 위치하는 경우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100, 200)이 풀린 상태로 상대적으로 약한 고정력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턱이 상기 제2 홈부(134)에 위치하는 경우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100, 200)은 단단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헤드부(210)는 중앙이 개구된 링 형상을 가지며, 상면인 제2 헤드면(211)은 상기 제1 헤드면(111)과 마주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유닛(200)은 상기 제1 유닛(100)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201)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 유닛(100)이 상기 삽입 공간(201)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제2 헤드면(211)은 상기 제1 헤드면(111)과 접촉된다.
상기 제1 가이드부(220)는 상기 제2 헤드부(210)로부터 연장되는 제1 가이드면(221), 및 상기 제1 가이드면(221)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1 끝단부(22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면(221)은 내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120, 130)이 보다 수월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끝단부(222)는 상기 제1 가이드면(221)의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가이드면(221)과 상기 제1 끝단부(222)는 외면 측에서 단차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단차는 후술하겠으나 고정이 필요한 고정부재의 외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가이드부(230)는 상기 제1 가이드부(22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220)와 대칭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면(231) 및 제2 끝단부(2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220, 230) 사이에는 상기 삽입공간(20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201)에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120, 130)이 삽입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가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220, 230)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가이드부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 제1 고정부(240)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220, 230)의 사이에 상기 제2 헤드부(210)로부터 연장되며 제1 고정면(241) 및 제1 고정턱(2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면(241)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들(221, 231)과 동일하게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120, 130)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1 고정턱(242)은 상기 제1 고정면(241)의 끝단에 상기 삽입공간(20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고정턱(242)은 상기 제1 홈부(131)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닛(100)이 상기 제2 유닛(20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홈부(13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턱(242)의 너비는 상기 제2 홈부(134)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고정턱(242)이 상기 제1 홈부(131)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100, 200)은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풀림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제1 고정턱(242)이 상기 제2 홈부(134)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턱(242)과 상기 제1 홈부(134)는 서로 맞물려 고정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100, 200)은 서로 고정 및 결합된다.
상기 제2 고정부(250)는 상기 제1 고정부(240)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220, 230) 사이에 위치하며, 제2 고정면(251) 및 제2 고정턱(25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정면(251) 및 상기 제2 고정턱(252)은 각각 상기 제1 고정면(241) 및 상기 제1 고정턱(24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드면(221)은 상기 제1 끝단부(222) 측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공간(201)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제2 가이드면(231)도 상기 제2 끝단부(232) 측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공간(201) 방향으로 휘어진다. 그리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간(201)은 원형보다는 타원형에 가까운 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들의 개수 및 상기 고정부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들(221, 231)이 상기 삽입공간(201)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제2 삽입부(130)가 상기 삽입공간(201)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걸림턱(132)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들(221, 231)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들(221, 231)이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22, 232)도 외측으로 확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22, 232)은 결합이 필요한 고정부재들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22, 232)과 상기 고정부재들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1 유닛(100)이 상기 제2 유닛(200)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고정턱들(242, 252)은 상기 제2 홈부(134)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들(221, 231)이 외측으로 확장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22, 232)이 고정부재의 외면에 보다 강한 결합력 또는 고정력을 작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100, 200)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들이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유닛(100)을 상기 제2 유닛(200)으로부터 탈거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고정턱들(242, 252)은 상기 제1 홈부(131)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들(221, 231)은 내측으로 복귀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22, 232)이 고정부재의 외면에 작용하던 고정력 또는 결합력이 감소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100, 200)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탈거된다.
즉, 상기와 같은 고정 또는 탈거 동작을 상기 제1 유닛(100)을 상기 제2 유닛(200)으로 밀어 넣거나, 상기 제1 유닛(100)을 상기 제2 유닛(200)으로부터 빼는 동작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완구용 결합유닛이 한 쌍의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고정시키는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완구용 결합유닛(10)이 고정부재들(20, 30)을 서로 결합하는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결합이 필요한 제1 고정부재(20)와 제2 고정부재(30)의 제1 및 제2 개구부들(21, 31)을 정렬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을 상기 정렬된 제1 및 제2 개구부들(21, 31)에 삽입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 유닛(100)은 상기 제2 유닛(200)에 헐거운 결합 상태로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턱들(242, 252)이 상기 제1 홈부(131) 상에 위치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2 유닛(200)의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22, 232)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들(21, 31)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부재(30)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이 후, 상기 제1 유닛(100)을 상기 제2 유닛(200) 방향으로 밀착시키면, 상기 제1 헤드면(111)과 상기 제2 헤드면(211)은 서로 밀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턱들(242, 252)은 상기 제2 홈부(134) 상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1 걸림턱(132)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들(221, 231)을 외측으로 밀어 확장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22, 232)도 상기 제2 고정부재(30)의 외면상에서 상기 제2 개구부(31)의 외측방향으로 확장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끝단부들(222, 232)과 상기 제2 고정부재(30) 사이의 고정력 또는 결합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완구용 결합유닛(1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들(20, 30)은 서로 고정된다.
반면, 고정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들(20, 30)을 탈거하는 경우, 상기 제1 유닛(100)을 상기 제2 유닛(200)으로부터 빼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유닛의 걸림턱들이 제2 유닛의 고정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에 의해 고정부재의 결합이 가능하며,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유닛을 제2 유닛 방향으로 미는 행위만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고정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턱은 제1 및 제2 걸림턱들로 구분되어 각각 제1 및 제2 홈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턱을 포함하므로, 상기 고정턱이 상기 제1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는 헐거운 상태, 즉 풀림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다, 상기 고정턱이 상기 제2 홈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가 되므로,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로 고정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걸림턱이 상기 가이드부를 외측으로 확장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 유닛의 가이드부의 끝단의 끝단부는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닛이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며 고정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와의 고정력이 증가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소정의 결합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닛을 삽입방향의 반대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정턱이 제1 홈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끝단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의 고정력이 감소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용이한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결합유닛은 다양한 종류의 완구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완구용 결합유닛 100 : 제1 유닛
110 : 제1 헤드부 120 : 제1 삽입부
130 : 제2 삽입부 132 : 제1 걸림턱
133 : 제2 걸림턱 200 : 제2 유닛
210 : 제2 헤드부 220 : 제1 가이드부
230 : 제2 가이드부

Claims (8)

  1.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며, 제1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은,
    제1 헤드부;
    상기 제1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걸림턱들이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헤드부에 마주하는 제2 헤드부;
    상기 제2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들이 걸리며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는 원주방향으로 끝단에 돌출된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1 삽입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 사이에는 제1 홈부, 상기 제2 걸림턱과 상기 제1 삽입부 사이에는 제2 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이 상기 제1 홈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은 헐거운 결합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삽입공간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턱이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상기 제2 홈부로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삽입공간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걸림턱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끝단에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유닛을 고정하는 끝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의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KR1020150113976A 2015-08-12 2015-08-12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KR101709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76A KR101709283B1 (ko) 2015-08-12 2015-08-12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PCT/KR2015/009651 WO2017026575A1 (ko) 2015-08-12 2015-09-15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CN201580022798.2A CN106687184B (zh) 2015-08-12 2015-09-15 用于玩具的轻松锁定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76A KR101709283B1 (ko) 2015-08-12 2015-08-12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748A KR20170019748A (ko) 2017-02-22
KR101709283B1 true KR101709283B1 (ko) 2017-02-23

Family

ID=5831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976A KR101709283B1 (ko) 2015-08-12 2015-08-12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218A (ko) * 2020-02-18 2021-08-26 주식회사 로보로보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5860A (en) * 1997-05-15 1998-07-07 Illinois Tool Works Inc. Plastic rivet having integral drive pin and body
JP4091859B2 (ja) * 2003-03-03 2008-05-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締結具
KR100940029B1 (ko) * 2007-01-12 2010-02-04 (주)로보티즈 탄성 결합체
WO2013172488A1 (ko) 2012-05-14 2013-11-21 (주)로보티즈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218A (ko) * 2020-02-18 2021-08-26 주식회사 로보로보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KR102387019B1 (ko) * 2020-02-18 2022-04-18 주식회사 로보로보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748A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9761B1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cleaning tool
JP5036816B2 (ja) 留め具
US6089805A (en) Device for mounting blind
JP2004019671A (ja) 2ピースクリップ
JP2007315517A (ja) 2ピースクリップ
KR101709283B1 (ko)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JPH0135930Y2 (ko)
JP6435231B2 (ja) 留め具
KR20190029155A (ko) 거푸집용 연결핀
JP6396277B2 (ja) クリップ
JP5134204B2 (ja) グロメット
KR101899410B1 (ko)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JP2000283132A (ja) クリップ
JP5114359B2 (ja) 止め具
JP2009150073A (ja) 継手構造
JP2007282645A (ja) 伸縮箸
KR20120030161A (ko) 푸시 리벳
JP5725564B2 (ja) 連結継手及びセグメント
CN210666385U (zh) 卡接结构以及电子产品
JP5095550B2 (ja) クリップ
CN113510661B (zh) 万向关节装配方法及装配装置
JP2005282778A (ja) 棒状体の連結構造
JP4996659B2 (ja) リベット
JP4649139B2 (ja) 止め具
KR20170035740A (ko) 리벳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